KR810001863Y1 - 제어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제어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863Y1
KR810001863Y1 KR2019800000795U KR800000795U KR810001863Y1 KR 810001863 Y1 KR810001863 Y1 KR 810001863Y1 KR 2019800000795 U KR2019800000795 U KR 2019800000795U KR 800000795 U KR800000795 U KR 800000795U KR 810001863 Y1 KR810001863 Y1 KR 810001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valve
plunger
push ro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0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로 하야시다
Original Assignee
도끼꼬 가부시끼 가이샤
다께마다 다까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끼꼬 가부시끼 가이샤, 다께마다 다까도시 filed Critical 도끼꼬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00000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8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8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어밸브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쪼는 푸시로드 행정과 제어구멍 유체압력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선도.
본 고안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등에 사용하는 제어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페달 등에 의하여 가압되는 푸시로드의 행정과 압력의 사이에는 가압행정과 감압행정에서는 히스테리시스가 존재하고 한편으로 푸시로드의 압력과 압력과의 사이에는 히스테리스가 존재하지 않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을 자동차의 유압브레이크장치에 사용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밸브장치 몸체(1)에는 제1도의 좌측부터 대경부(2), 이 대경부(2)보다는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작용실(3), 가장 작은 직경을 갖는 소경부(4), 및 작용실(3)과 소경부(4)의 중간정도의 직경을 갖는 중경부(5)로 구성되는 단부(段付)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20에는 자유피스톤(6)이 밀접하게 또 활동가능하게 끼여져서 그 좌단은 고무 혹은 금속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체(7)를 거쳐서 플러그(8)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또 중경부(5)에는 푸시로드(9)가 밀접하여 미끄럼운동할 수 있게 끼여져 있다.
이 푸시로드(9)의 좌단은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 단부와 몸체(1)의 소경부(4)를 형성하는 단부와의 사이에는 스프링(10)이 설치되어 푸시로드(9)를 항상 우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푸시로드(9)의 우측도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 단부가 몸체(1)의 우단에 설치된 환형의 정지기(11)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그 이상 우측으로 나가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푸시로드(9)는 도시되지 않은 브레이크 페달을 밞음으로써, 좌측으로 눌리게 되어 있다. (12)는 방진용의 캡으로 고무 등의 탄성체로 되어 있다.
또한 몸체(1)에는 각각 일단이 대경부(2), 작용실(3), 및 중경부(5)와 통하는 흡입구멍(13), 제어구멍(14) 및 배출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흡입구멍 (13)의 타단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압펌프가 연결되고 제어구멍이의 타단에는 전후 차륜의 호일 실린더가 연결되어 있다. 또 배출구멍(15)의 타단에는 저장탱크가 연결되어 있다.
자유피스톤(6)의 측심부에는 우측부터 구멍이 천공되어 흡입실(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실(16)은 자유피스톤(6)의 직경방향으로 천공된 통로(17)에 의하여 흡입구멍(13)과 연통하고 있다.
흡입실(16)의 중앙부에는 플랜지형의 밸브부(18)를 가진 밸브체(19)가 미끄럼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20)에 의하여 도면의 우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밸브부(18)는 자유피스톤(6)의 우단에 끼어 진 환형의 흡입밸브시이트(21)가 접하고 있다.
밸브체(19)의 일단은 작용실(3)에 위치되며 또 이 밸브체(19)의 측심부에는 구멍(22)이 천공되어 있다.
(23)은 이 구멍(22)에 의하여 작용실(23)의 압력을 받은 배압실이다.
밸브체(19)의 흡입밸브시이트(21)를 관통하는 부분은 직경이 약간 축소되어 흡입통로(24)를 형성하고 있다. 이 흡입통로(24)는 밸브(18)가 흡입밸브시이트(1)부터 떨어졌을 때 작용실(3)과 흡입실(16)과를 연통시키게 되어 있다.
몸체(1)의 단부구멍 중 소경부(4)에는 플런저(25)가 그 일부를 작용실(3)내로 돌출시켜서 밀접되어 미끄럼운동할 수 있게 끼여져 있다.
플런저(25)의 작용실(3)내로 돌출한 부분에는 보지링(26)이 끼여 있어, 전기플런저(25)는 아부지링(26)이 몸체(1)의 작용실(3)과 소경부(4)와의 경계단부(27)에 접하게끔 스프링(28)으로 가압되어 있다.
플런저(25)의 측심부에는 구멍(29)이 천공되어 있다. 또 플런저(25)의 중경부(5)에 위치한 측은 배출밸브부(30)의를 형성하고 푸시로드(9)의 일단에 형성된 배출밸브시이트(31)에 대응하고 있다.
플런저(25)의 보지링(26)이 설치된 부분에 근접한 곳에는 직경방향으로 구멍 (32)이 천공되어 구멍(29)과 연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도시한 상태는 브레이크작용이 되어 있지 않을 때를 도시하고 이때 제어구멍(14)과 배출구멍(15)은 작용실(3), 구멍(32), 구멍(29)을 거쳐서 서로 연통되어 제어구멍(14)에 연결된 호일실린더에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며 따라서 제동작용는 되어 있지 않다.
브레이크 페달을 밞음으로써 푸시로드(9)를 스프링(10)에 대항하여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배출밸브시이트(31)는 배출밸브(30)부에 접하여 제어구멍(14)과 배출구멍(15)과의 연동을 차단시킨다.
푸시로드(9)을 더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푸시로드(9)은 플런저(25)를 눌러 이 플런저(25)를 거쳐서 밸브체(19)도 좌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밸브체(19)의 밸브부(18)와 흡입밸브시이트(21)는 서로 떨어져 흡입구멍(13)부터의 압력유체는 통로(17), 흡입실, 흡입통로(24) 및 작용실(3)을 거쳐서 제어구멍(14)으로 흘러 호일실린더에 작용하여 제동이 되기 시작한다. (제2도 A점)
작용실(3)내에 압력유체가 흡입되면 플런저(25)는 유효가압면적에 유체압력을 곱한 값의 반력을 받는 동시에 자유피스톤(56)은 탄성체(7)을 압축하면서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플런저(25)와 자유피스톤(6)과의 상대변위에 의하여 밸브부(18)와 흡입밸브시이트(21)는 다시 접촉하여 흡입실(16)과 작용실(3)과는 차단되어 작용실(3)로의 압력유체의 유일입을 차단시킨다.
푸시로드(9)를 더 큰 힘으로 가압하면 플런저(25)를 거쳐서 밸브체(19)도 눌려wu 밸브부(18)와 흡입밸브시이트(21)와는 다시 떨어지게 되어 흡입구멍(13)으로부터의 압력유체는 제어구멍(14)으로 흐른다.
그리고 다시 흡입실(16)과 작용실(3)간은 차단된다.
이와 같이 하여 차단, 연통이 반접됨으로써 호일실린더로의 유체압력 P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상승하고 최고압력 P에 도달한다.
여기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푸시로드(9)도 제1도의 우측으로 이동하지만 푸시로드(9)와 플런저(25)는 플런저(25)의 보지링(26)이 단부 (27)에 접할때까지는 일체로 되어 이동하므로 밸브체(19)의 밸브부(18)와 측입밸브시이트(21)는 접하게 되어 흡입구멍(13)과 제어구멍(14)간은 차단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그리고 플런저(25)의 보지링(26)이 단부(27)에 접하면 푸시로드(9)만이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배출밸브부(30)와 배출밸브시이트(31)는 서로 떨어져 제어구멍(14)과 배출구멍(15)간은 연통되게 된다.
(제2도 B점), 따라서 호일실린더의 압력유체는 배출구멍(15)에 연결된 저장탱크로 순간적으로 이동하여 제동작용이 해제되게 된다. 그리고 다시 원상태로 복귀한다.
결국 P점부터 B점에 달하는 귀환행정에서는 호일실린더의 압력은 제거되지 않고 푸시로드(9)만이 귀환되어 이 사이가 히스테리시스가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푸시로드(9)의 입력은 B점에 달할 때 까지는 감소하지 않으므로 압력과 입력과의 사이에는 히스테리시스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과 같이 브레이크페달 등에 의하여 가압되는 푸시로드(9)의 행정과 압력의 사이에는 가압행정과 감압행정에서는 히스테리시스가 존재하고 또 압력과 압력과의 사이에는 히스테리시스가 존재하지 않아 자동차의 제동해제가 원활하게 되어 안정성은 극히 높게 되고 또 조작감각은 푸시로드의 입력에 대한 브레이크 효력이 전진행정과 후퇴행정에서 같게 되고 극히 양호하게 된다.

Claims (1)

  1. 동체(1)내부에 활동가능하게 피스톤(6)을 설치하여 이 피스톤(6)의 축심부에는 흡입구멍(13)과 제어구멍(14)을 연통차단단하는 밸브체(19)와 밸브시이트(21)로 형성되는 흡입밸브(19,21)을 설치하여 상기 흡입밸브의 제어구멍(14)쪽의 한쪽단은 상기 밸브체에 다른 쪽단을 푸시로드(9)에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플런저(25)를 몸체(10)에 대하여 활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상기 플런저(25)의 측심부에는 구멍 (29)을 제공시켜 그 한쪽 단을 제어구멍(14)측에 연통시키는 동시에 다른 쪽단을 배출구멍(15)에 연통시켜 상기 푸시로드(9)와 플런저(25)로 상기구멍(19)의 다른 쪽단을 개폐시키는 배출밸브(30,31)을 형성시키며 또 상기 플런저(25)의 상기 흡입밸브에 인접한 부분에는 몸체(1)의 단부에 끼이는 보지링(2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밸브장치.
KR2019800000795U 1980-02-08 1980-02-08 제어밸브장치 KR8100018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795U KR810001863Y1 (ko) 1980-02-08 1980-02-08 제어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795U KR810001863Y1 (ko) 1980-02-08 1980-02-08 제어밸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40003116 Division 1974-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863Y1 true KR810001863Y1 (ko) 1981-10-27

Family

ID=1921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0795U KR810001863Y1 (ko) 1980-02-08 1980-02-08 제어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8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9467A (en) Accumulator arrangement for a booster brake mechanism
US3977425A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valve
EP0219834B1 (en) Portless type master cylinder device with non return valve and restricted passage in parallel between pressure chamber and fluid reservoir
US4034566A (en) Hydraulic boosting apparatus in braking system
US6550245B2 (en) Hydraulic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US5597012A (en) Valve with a threshold with retractable push rod
US4178757A (en) Flow control means
US4800724A (en) Brake booster device providing pressure to both pressure chambers of tandem brake master cylinder device
US4094554A (en) Hydraulic brake booster for a vehicular brake system
US4338787A (en) Variable ratio brake master cylinder device
US3915066A (en) Power boost mechanism
US3633462A (en) Bypass orifice for hydraulic boost device
JPS6222825B2 (ko)
US4660381A (en) Hydraulic booster with electrically driven plunger pump
US4753075A (en) Portless type master cylinder device with intake valve and flow resisting means between pressure chamber and reservoir chamber
US3662552A (en) Master cylinder for hydraulic braking system
KR810001863Y1 (ko) 제어밸브장치
JPH035337B2 (ko)
US3425222A (en) Fluid pressure braking system
US4217758A (en) Hydraulic brake booster with integral accumulator
US4154059A (en) Hydraulic brake booster with integral accumulator
US4539892A (en) Hydraulic brake booster
US4472942A (en) Tandem brake master cylinder with anti bottoming system
US4328671A (en) Fluid pressure intensifier
JPS59216759A (ja) ブレ−キ作動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