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810B1 - 강하용장치 - Google Patents

강하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810B1
KR810001810B1 KR7701946A KR770001946A KR810001810B1 KR 810001810 B1 KR810001810 B1 KR 810001810B1 KR 7701946 A KR7701946 A KR 7701946A KR 770001946 A KR770001946 A KR 770001946A KR 810001810 B1 KR810001810 B1 KR 810001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cent
lever
low
spee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노리 한다
Original Assignee
구니노리 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니노리 한다 filed Critical 구니노리 한다
Priority to KR7701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4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s sliding on the ro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강하용장치
제1도는 종래의 강하용 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 (A)는 제1도의 강하용 장치의 부품인 L형 레버의 확대시시도.
(B)는 조작간의 확대사시도.
(C)는 계지조의 확대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강하용 장치를 토오프에 설치한 상태의 일부 파단 사시도.
제5도는 종래의 강하용 장치의 작동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강하용 장치의 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레버의 일부 절개사시도.
본 발명은 고충 건물의 화재나 긴급사태 발생시의 긴급 피난용 또는 고층 건물이나 높은 장소에서의 공사용 혹은 안전구로 사용할 수 있는 강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강하용 장치로서는 로오프를 축이나 S자형홈에 감고, 아래쪽 로오프를 손으로 쥐고 매어달려서 아래쪽 로오프를 늦추면서 강하하는 것이 있었으나, 지상의 구출작업자 등이 잘못하여 로오프를 잡아당기면 강하 동작이 중단되기 때문에, 강하위치를 안전한 곳으로 변경할 수 없고, 한 사람(피구출자)이 지상에 완전히 도촉하기 전에는 다른 사람을 그 로오프로서 구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아래쪽 로오프를 피구출자가 손으로 잡고, 강하속도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노약자나 환자등은 이러한 강하 장치로서 구출 할 수 없다.
이러한 장치에서의 폐단을 보완하기 위해서 제1도-제5도에 도시한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하 이 장치를 참고적으로 설명한다.
(1)은 본 발명의 제 구구를 수납하는 갑체이다.
이 가체(1)의 한 쪽의 측벽(1a)에는 내면에 로오프의 통과용홈(S1)의 천설된 개체(2)를 경첩(3)에 의하여 개폐자재하게 부착하고 있다. 이 개체(2)의 전기한 경첩(3)과 반대되는 측면에는 중공 브라켓트(4)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것과 대하는 갑체 측벽(1b)에는 그 브라켓트(5a)(5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브라켓트(4)(5a)(5b)에 핀(6)을 갑입하는 것에 의하여 개체(2)를 폐색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7)은 갑체(1)의 하부측벽에 핀(8)에 의하여 요동자재하게 부착되어서 이루어진 L자형상 레버로서, 갑체외부에 돌출하고 있는 레버하단에는 현수용 고리(9)가 부착되어서 이루어지며, 그 고리(9)에는 후술하는 피구출자를 지지하기 위한 안전벨트가 부착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갑체내부에 위치하는 레버 상연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되도록하여 슬릿트(10)가 천설하고 있다.
(11)은 갑체(1)의 상부측벽에 핀(12)을 사용하여 그 구멍(13a)을 지착하는 것에 의하여 요동자재하게 부착되어 있는 조작간으로서, 손잡이 부분(m)을 제외한 선단은 두 갈래로 구성되며, 그 하단에는 전기레버(7)의 상단부분이 끼워지며, 조작간의 하부의 구멍(13b)과 레버(7)의 슬릿트가 핀(14)을 사용하여 연결되어서 이루어진다.
(15)는 열쇠모양으로 형성한 계지조로서 갑체(1)의 중앙부분에 핀(16)을 사용하여 요동자재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그 계지조의 열쇠모양으로 된 조의 선단(P)은 하향으로 되어서, 전기한 조작간(11)의 두 갈래속으로 삽입되어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m)이 수평인때 레버(7)의 내측을 둘러싸도록하여 계합되는 것 같이 이루어진다.
한편, 계지조의 후단부(f)는 타원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로오프의 통과용 홈(S2)을 천설하고, 도시한 것과 같이 손잡이(m)가 수평의 상태로서 그 조의 선단이 레버(7)와 계합할 때 타원체의 단경측이 개체(2)와 대향하도록 된다.
(17)은 개체(1)의 하부체 핀(18)을 사용하여 수하하는 것과 같이하여서 요동자재하게 취부하여서 이루어져 보조간으로서, 갑체내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체(19)가 형성되며, 그 돌기체 내에는 로오프의 통과용 홈(S3)이 천설되어 있다.
(20)은 갑체(1)의 측벽하부 부분에 전기한 보조간과 대향하는 것과 같이 하여서 고정되어 있는 안내간이며, 내면에는 로오프 통과용 홈(S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21)은 스프링으로서, 개체(2)의 이면에 부착된 판(22)과 전기한 보조간(17)과의 사이에 수축해서 개재시키며, 보조간(17)의 돌기체(19)를 안내간(20)쪽으로 향하도록 하며, 홈(S3)과 홈(S4)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로오프를 협압하도록하여 보조적인 브레이크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러한 강하용 장치의 사용방법과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건물의 창틀 혹은 옥상의 난간 등에 로오프(23)를 취부하고, 그 로오프(23)를 지상으로 처지게 한다.
다음에 강하장치의 핀(6)을 뽑고, 개체(2)를 열어서 갑체내에 로오프(23)를 장설하고, 개체(2)를 폐쇄하여 원래대로와 같이 핀(6)을 끼운다. 그렇게하고 강하하려고 하는 사람은 고리(9)에 몸체를 장착한 안전벨트(24)의 후크(25)를 걸고, 로오프(23)에 매달린다.
이때에 체중에 의한 하중이 걸리게되므로, 레버(7)가 시계침방향(26)으로 회동하며, 조작간(11)의 손잡이(m)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것에 수반하여 계지조(27)를 동일하게 반시계방향(15)으로 회동시킨다. 이때에 계지조(15)의 후단부(f)는 타원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계지조의 반시계침방향의 회동은 그 타원체의 장경축을 개체(2)에 향하여 압압시키도록 하는것으로서 로오프(23)는 개체에 협압된다.
따라서 강하장치는 자동적으로 로오프상에 정지한다.
다음에 강하를 도모하려고 할때에는 조작간(11)을 잡고, 조작간(11)의 전기한 회동방향(27)과는 반대방향의 외력. 즉 반시계침방향(29)으로 압하하는 것같이하면, 계지조(15)의 전기한 타원체의 장경축에 의한 협압력이 제거되어서 강하가 시작된다.
이제, 만약 강하게 가속이 가하여져서 강하속도가 크게될 때에는 조작간(11)을 놓으면되지만, 보조간(17)을 안내간에 대하여 강하게 쥐어잡는 것만으로도 강하속도는 완만해진다.
또한, 보통 신체의 안정을 위하여 한편손으로서 보조간(17)을 쥐어잡는데 돌출한 돌기체(19)가 로오프(23)를 보조간(17)과의 사이에 협압하는 것에 의하여서도 제동작용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강하용 장치에서는 반드시 조작간을 작동해야만하므로 노약자나 환자들을 구조할 경우에, 그들 스스로 조작할 수 없으므로, 로오프 중간에서 정지하여 매달리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에 있어서의 제반 결점을 제거하고, 조작간을 작동하지 않고 적당한 강하속도로 강하시킬 수 있는 강하용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에 있어서, 레버(7)를 제외한 부분은 제1도-제5도에서 도시한 종래의 강하용장치와 같다.
즉, L자형상 레버(7')는종래에 있어서의 고리(9)의 위치가 일정한 것에 대하여, L자형상 레버의 고리쪽을 통상체(30)로 형성하고 그 통상체내에 고리(9)를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슬릿트(31)를 천설하고, 고리(9)를 슬릿트(31)내에 접동하도록 감입시킴과 아울러, 지착용 나사(32)와 스프링(33)을 사용하여 조절된 압력으로서 지점의 핀(8)쪽으로 향하여 압압고정하여 두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체중의 여하에 물구하고, 계지조(15)에 의한 로오프(23)의 협압력을 일정하게 할수가 있으며, 일정한 속도로서 강하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여 지착용 나사(32)를 조정하여 스프링의 압력을 적당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에 따라서 조작간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적인 강하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체중이 무거울수록 나사(32)를 고리(9)쪽으로 조이고, 가벼울수록 나사(32)를 그 반대쪽으로 풀어내므로서, 일정한 제동작용을 하면서 강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층건물외부 공사시에는 위에서 아래로 일정한 속도로 강하하면서, 임의의 위치에서 조작간을 작동시켜서 정지하여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갑체 측벽에 L자 형상의 레버를 회동자재하게 취부시킴과 아울러, 그 레버의 일단에는 장혈을 천설하고, 핀을 개재하여 조작간과 요동자재하게 연결시키고, 또한 그 연결부에 계지조의 열쇠 형상 선단부를 계지시켜서 갑체 바깥으로 향하는 요동이 제한되도록하여 놓은 하강용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L형 레버(7')의 외부돌출부를 고리(9) 삽입접동용슬릿트(31)가 천설된 통상체(30)로 형성하고, 통상체(30)내에 스프링(33)을 장설하고, 통상체(30)에 형성된 나사부에 지착용 나사(32)를 조절가능하게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용장치.
KR7701946A 1977-08-22 1977-08-22 강하용장치 KR810001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946A KR810001810B1 (ko) 1977-08-22 1977-08-22 강하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946A KR810001810B1 (ko) 1977-08-22 1977-08-22 강하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810B1 true KR810001810B1 (ko) 1981-11-16

Family

ID=1920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1946A KR810001810B1 (ko) 1977-08-22 1977-08-22 강하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81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9782A (en) Skid-out highrise fire escape device
US5145036A (en) Self controlled safety descent retarder
US3880255A (en) Emergency fire escape mechanism
US4640388A (en) Escape device
US4102431A (en) Emergency personnel lowering apparatus
US4934484A (en) Descending life saving device
US3926278A (en) Emergency escape sling
KR101026277B1 (ko) 고층건물용 비상 완강장치
US4083438A (en) Escape device
KR810001810B1 (ko) 강하용장치
US6994182B2 (en) Escape device for building
KR100436423B1 (ko) 비상탈출용 베란다 장치
US4485891A (en) Emergency escape system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US4184567A (en) Fire escape device with rope loop clamp
US3850262A (en) Escape machine
KR102109587B1 (ko) 접이식 피난 기구
DE2802832A1 (de) Abstiegs- und/oder rettungseinrichtung
US20030205430A1 (en) Fire escape device
CN1820805B (zh) 高楼逃生救生系统
JPH0228930Y2 (ko)
US6966151B1 (en) Manipulable door barrier escape apparatus and method
JPH0725963Y2 (ja) 緊急避難装置
US20060225953A1 (en) Safety escape chute apparatus
JPH01305970A (ja) 無電源降下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