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803B1 - Austenite stainless steel - Google Patents

Austenite stainless ste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803B1
KR810001803B1 KR7702951A KR770002951A KR810001803B1 KR 810001803 B1 KR810001803 B1 KR 810001803B1 KR 7702951 A KR7702951 A KR 7702951A KR 770002951 A KR770002951 A KR 770002951A KR 810001803 B1 KR810001803 B1 KR 810001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corrosion resistance
stainless steel
steel
mangan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9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에드와드 데버렐 해리
안토니 치빈스키 조세프
Original Assignee
리차드 씨. 로즈
알레니 루드럼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텟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차드 씨. 로즈, 알레니 루드럼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텟트 filed Critical 리차드 씨. 로즈
Priority to KR770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8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803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Abstract

Hot workable austenitic stainless steel of improved pitting and crevice corrosion resistance to chloride ion, consists of (by wt.) 19-23% Cr, 1-16% Ni, 3-5% Mo, 2.5-15% Mn, <= 0.01% S, 0.01% of >= 1 of Cl, Ca and Mg, from 0.2% up to its solubility limit of N, <= 0.1% C, 1% Si, <= 3% Cu, <= 1% Nb, <= 0.3% V, <= 0.3% Ti, and balance Fe. The steel has a wt. loss of <= 1 pt. in 10,000 in a 72 hour, room temp., 10% FeCl3, 90% distilled water, rubber band test. Pref. steel contains 19.5-22% Cr, <= 0.38 (0.23-0.33)% N, 9-13% Ni, and 8-13.5% Mn.

Description

아우스테나이트 스텐레스 강철Austenitic stainless steel

본 발명은 아우스테나이트 스텐레스 강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ustenitic stainless steel.

금속 표면과 염스이온 사이에 접촉시 점식으로 공지된 부식이 일어나는데 이것은 특히 해수 내에서 심하면 화학 공정 및 펌프와 종이 공정매체 내에서 일어난다. 대개의 부식 형태는 약상할 수 있는 균일한 속도로 진행되나 점식은 예상할 수 없는 특징이 있다. 점식은 금속 표면의 특정한 예상할 수 없는 부분에 집중되며 한번 점식이 시작되면 염소이온이 시작된 점식에 집중되어 자체가속이 일어난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점식"의 피팅(pitting:점식) 및 크레비스(crevise:틈 부식)의 양쪽 의미를 포함한다. 틈 부식에 형태 또는 퇴적을 통하여 존재할 때 공격 형태는 틈부식으로 기술하였으니 통상적으로 틈 부식은 점식으로 칭한다.On contact between the metal surface and the salt ions, a corrosion known to occur occurs, particularly in seawater, in chemical processes and in pumps and paper processing media. Most forms of corrosion progress at a uniform rate that can weaken, but the viscosity is unpredictable. The ignition concentrates on certain unpredictable parts of the metal surface, and once ignition begins, it concentrates on the ignition where chlorine ions have started, causing self-acceleratio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e include both meanings of pitting and crevise crevice corrosion. The attack form is described as crevice corrosion when it is present in form or through deposition in crevice corrosion.

본 발명 높은 내점식성을 가진 아우스테나이트 합금에 관한 것으로 이 합금은 실온하에서 72시간의 10% 염화제2철과 90% 증류수 라버 밴드시험에서 10,000 중 1부 이하의 중량 감소를 나타냈다. 크롬 특히 모리브덴의 특별 첨가는 내접식성을 증가시키거나 크롬과 모리브덴은 페타이드를 촉진하는 원소들이므로 합금은 아우스테나이트 강철의 형성을 위하여 충분한 양의 아우스텐나이트 촉진원수를 포함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원소들은 또한 내점식성을 간화시키는 닉켈 망간(어떤 준위까지) 동 및 질소를 포함한다. 아우스테나이트 강철은 용이한 용접, 탁월한 강도 및 일반적 부식 저항을 포함한 이들의 일반적 배합성 때문에 페라이트 및 마래사이트 강철보다 큰 이용성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stenitic alloy having high corrosion resistance, which exhibited a weight loss of less than 1 part in 10,000 in 72 hours of 10% ferric chloride and 90% distilled water lab band tests at room temperature. The special addition of chromium, especially molybdenum, increases the corrosion resistance or chromium and molybdenum are the elements that promote the phosphide, so the alloy should contain sufficient austenite promoting water to form austenite steel. These elements also include nickel and manganese (up to a certain level) copper and nitrogen, which simplify corrosion resistance. Austenitic steels have greater availability than ferritic and marsite steels because of their general blendability, including ease of welding, excellent strength and general corrosion resistance.

본 발명의 합금은 개량된 가열 작업성의 특징이 있다. 이러한 개량은 합금이 완전한 아우스테나이트이고 대단히 낮은 유황 함량을 갖임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낮은 유황 함량은 새륨칼슘 및 망간의 첨가를 통하여 얻을 수 있으며 합금은 통상의 강철 제조함유물 및 가능한 어떤 시그마 또는 치(chi) 사에 따라 페라이트의 흔적(대개 1-2%)만을 갖일 때 본 발명의 한계 내에 속하는 아우스테나이트로 간주한다.The allo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mproved heating workability. This improvement can be obtained by the alloy being fully austenite and having a very low sulfur content. Low sulfur conten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addition of calcium and manganese and the alloy is present only when the alloy has only traces of ferrite (usually 1-2%), depending on conventional steel preparations and any possible sigma or chi yarns. It is regarded as austenite within the limits of.

합금의 어떤 실시에는 용접을 포함한 용도상에 특히 적당한 부가적인 특징이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화학적 조성은 질소에 대한 합금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충분한 양의 원소와 특히 충분한 양의 망간을 포함하도록 주의하여 평형시킨다.Some implementations of alloys have additional features that are particularly suitable for applications including weld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is carefully balanced to include a sufficient amount of element and especially a sufficient amount of manganese to increase the solubility of the alloy in nitrogen.

많은 종래의 합금들은 본 명세서와 어떤 유사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상이점이 있다. 종래의 발명으로는 미국 특허 2,553,330호, 2,894,833호, 3,171,738호, 3,311,511호; 3,561,953호 : 3,598,574호 : 3,726,668호 : 3,854,935호, 26,903 및 28,972와 미국 명세서 일련 번호 571,460(1975년 4월 25일에 출원)등이 있는데 이러한 특허들은 본 명세서의 합금을 기술한 바 없다. 종래의 특허 중 어느 것도 본 발명 합금에 특별한 배합성을 제공하는 상승 효과를 가진 원소들의 배합을 기술한 것이 없다.Many conventional alloy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despite having some similarities to this specification. Conventional inventions include US Pat. Nos. 2,553,330, 2,894,833, 3,171,738, 3,311,511; 3,561,953: 3,598,574: 3,726,668: 3,854,935, 26,903 and 28,972, and US specification serial number 571,460 (filed April 25, 1975), which do not describe the alloys herein. None of the prior patents describe the combination of elements with synergistic effects that give particular alloying properties to the alloy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배합성을 주는 상승 효과를 가진 원소들의 배합으로 된 아우스테나이트 강철을 제공한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ustenitic steels in the combination of elements with synergistic effects giving the desired compoundability.

본 발명의 합금은 염소이온에 대한 후술한 내점식성을 가진 가열작업가능 아우스테나이트 강철로서 이것은 중량으로 19-23%의 크롬; 5-16%의 닉켈; 3-5%의 모리브덴; 2.5-15%의 망간, 0.01% 이상의 유황; 세륨, 칼슘 및 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한 0.1% 이상의 한 원소; 0.2%-용해도 한계끼의 질소 0.1%의 탄소; 0.1% 이상의 시리콘; 0.3% 이상의 동; 1% 이상의 코루비움, 0.3% 이상의 바나듐, 0.3 이상의 티타니움로 구성시켜 철과 평형시킨 것이다.The allo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able austenite steel with the corrosion resistance described below for chlorine ions, which is 19-23% chromium by weight; 5-16% Nickel; 3-5% molybdenum; 2.5-15% manganese, at least 0.01% sulfur; At least 0.1% of one element selected from cerium, calcium and magnesium; 0.2% -solubility limit of 0.1% carbon of nitrogen; At least 0.1% silicon; At least 0.3% copper; It is composed of 1% or more corrubium, 0.3% or more vanadium, 0.3 or more titanium and equilibrated with iron.

크롬, 모리브덴 및 시리콘은 페라이트 원소들이며 크롬은 내점식성 뿐만 아니라 산화 및 일반적 내식성을 위하여 첨가되는데 크롬의 적당한 준위는 19.5-22%이다. 모리브덴은 염소이온에 대한 충분한 저항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3%의 준위까지 존재하여야 하며 이때 합금은 실온하에 72시간 동안 10% 염화제2철과 90% 증류스 라버 밴드 실험에서 10,000 중 1부 이하의 중량 손실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모리브덴의 적당한 준위는 4.5%이다. 시리콘은 합금의 용융에 도음을 주며 시리콘의 준위는 시리콘이 페라이트제이트로 0.75%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며 그 이상이 되면 함금의 유동성이 너무 커져서 용접을 방해한다.Chromium, molybdenum and silicon are ferrite elements and chromium is added not only for corrosion resistance but also for oxidation and general corrosion resistance. The suitable level of chromium is 19.5-22%. Molybdenum should be present at a level of at least 3% to provide sufficient resistance to chlorine ions, with the alloy being part of 10,000 in 10% ferric chloride and 90% distilled rubber band experiments at room temperature for 72 hours. It has the characteristics which show the following weight loss. The proper level of molybdenum is 4.5%. The silicon helps to melt the alloy, and the silicon level is appropriate to keep the silicon less than 0.75% with ferrite jade, and if it is more than that, the fluidity of the alloy becomes too large to prevent welding.

본 발명의 합금이 아우스텐나이트이기 때문에 크롬, 모리브덴, 시리콘 및 크름비움 같은 임의 원소들의 페라이트 효과는 아우스텐나이트 원소들에 의하여 상쇄시켜야 한다. 본 발명합금의 아우스테나이트 원소들은 닉던, 망간(어떤 준위까지) 동, 질소 및 탄소이다. 아스테나이트제로서 작용하는데 부가하여 닉켈, 질소 및 망간은 합금의 성질에 기여한다. 닉켈은 합금의 충격 강도를 증가시키며 일반적으로 적어도 8%의 양이 존재하여야 하며 닉켈의 보다 적당한 준위는 9-13%이다. 질소는 합금에 강도를 제공하며 내점식성을 강화시킨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0.2-0.38%의 양이 존재하며 특히 0.23-0.33%의 준위가 적당하다. 망간은 질소에 대한 합금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며 용접용도에 적당하도록 한다. 만일 합금을 용접시키고자 한다면 질소에 대한 망간의 비는 적어도 특히 25가 적당하다. 망간 준위는 일반적으로 7.5%를 초과하며 8-13.5%가 적당하다. 탄소는 용접염의 영향을 받는 대역에 내부식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0.08% 이하를 유지하여야 적당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탄소는 코룸비움, 바나디움 및 티타니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안정화 원소들이 첨가와 협동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적어도 0.1%이 하나가 그 이상의 상기 원소들을 포함한다. 황산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합금은 3% 이상의 동을 포함하며 실시예에 포함된 동으 일반적으로 적어도 1%의 동을 갖는다.Since the allo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ustenite, the ferrite effect of arbitrary elements such as chromium, molybdenum, silicon and chromium should be offset by the austenite elements. The austenitic elements of the allo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iddon, manganese (up to some level) copper, nitrogen and carbon. In addition to acting as an austenitic agent, nickel, nitrogen and manganese contribute to the properties of the alloy. Nickel increases the impact strength of the alloy and generally should be present in an amount of at least 8% and the more appropriate level of nickel is 9-13%. Nitrogen provides strength to the alloy and enhances corrosion resistance. This is generally present in an amount of 0.2-0.38%, with a level of 0.23-0.33% being particularly suitable. Manganese increases the solubility of the alloy in nitrogen and makes it suitable for welding purposes. If the alloy is to be welded the ratio of manganese to nitrogen is at least 25 in particular. Manganese levels generally exceed 7.5% and 8-13.5% are appropriate. Carbon provides corrosion resistance in zones affected by weld salts and should be maintained at 0.08% or less. In another embodiment, carbon cooperates with the addition of stabilizing element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rium, vanadium and titanium. This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0.1% one or more of the above elem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sulfuric acid the alloy comprises at least 3% copper and the copper included in the examples generally has at least 1% copper.

본 발명 합금의 가열 작업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황은 0.01% 이하의 준위 특히 0.007%의 최대치를 유지한다. 낮은 유황은 세륨, 칼슘 및 마그네슘의 첨가를 통하여 수득되는데 본 발명 내의 합금은 일반적으로 0.01-0.1%의 상기 원소를 특히 0.014-0.1%을 포함한다. 세륨첨가는 미쉬메탈의 첨가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유황 준위를 감소시키는데 부가하여 세륨, 칼슘 및 마그네슘은 변 체크를 증가시키는 냉각단축을 감소시킨다고 생각된다.In order to increase the heating workability of the alloy of the invention, sulfur maintains a level below 0.01%, in particular a maximum of 0.007%. Low sulfur is obtained through the addition of cerium, calcium and magnesium, wherein the alloys i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comprise 0.01-0.1% of these elements, in particular 0.014-0.1%. Cerium addition is achieved through the addition of mischmetal, and in addition to reducing the sulfur level, cerium, calcium and magnesium are thought to reduce the cooling shortening which increases fecal check.

변 및 구퉁이의 균열 및 퍄열을 포함한 변 체크는 가연 작업 범위의 냉각 종결시 나쁜 연성으로부터 결과되는 가열작업상의 결합이다.Side checks, including cracks and heat in edges and corners, are a combination of heating operations resulting from poor ductility at the end of cooling of the combustible working range.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여러가지 형태를 설명한 것이다.The following examples illustrate various forms of the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두개의 합금(합금 A와 B)를 1121℃에서 소둔하여 실온하에서 72시간 동안 10% 염화제2철과 90% 증류수 라버 밴드시험을 실시한다. 합금의 화학적 조성은 표 1에 표시되었다.Two alloys (alloys A and B) were annealed at 1121 ° C and subjected to a 10% ferric chloride and 90% distilled water Rover band test at room temperature for 72 hour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alloy is shown in Table 1.

[표 1]TABLE 1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1

각 합금의 3가지 시료(A1, A2및 B의 B2및 B3들에 대한 라베 밴드 시험을 실시한 결과가 표 2에 표시하였다.Table 2 shows the results of a Lave band test on three samples of each alloy (A 1 , A 2 and B B 2 and B 3 ).

[표 2]TABLE 2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2

표 2로부터 합금 A 시료들은 3일간의 염화제2철 라버밴드 시험에서 10.000 중 1부 이하의 중량 감소를 가이며 합금 A의 시료들은 10.000 중 1부 이상의 상단한 감소를 일으켰다. 합금 A 시료들은 본 발명의 화학적 요구를 만족시키는 반면 합금 B의 시료들은 만족시키지 못한다. 합금 A 시료들은 3%를 초과하는 모리브덴 함량을 갖는 반면 합금 B의 시료에 대하여서는 3% 이하를 포함한다.From Table 2, alloy A samples had a weight loss of less than 1 part in 10.000 in a three-day ferric chloride labband test, while samples of alloy A produc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more than 1 part in 10.000. Alloy A samples meet the chemical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lloy B samples do not. Alloy A samples have a molybdenum content of more than 3% while containing less than 3% for samples of Alloy B.

[실시예 2]Example 2

두개의 합금(합금 C와 D)를 10초 내에 1238℃호 가열하고 1분간 방치한 다음 초당 -95℃로서 시험온도로 냉각하여 1초간 방치한 후 가열 작업범위가 저단에서 관찰된 전성을 결정하는 바와 같이 그리볼시험을 실시한다. 합금들의 화학적 성분들은 표3에서 표시되였다.The two alloys (alloys C and D) were heated at 1238 ° C within 10 seconds, left for 1 minute, then cooled to -95 ° C per second at the test temperature, and then left for 1 second to determine the malleability observed at the lower end. Perform the Griball test as shown. The chemical components of the alloys are shown in Table 3.

[표 3]TABLE 3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3

그리볼시험의 결과를 표 4에 수록하였다.The results of the Griball test are listed in Table 4.

[표 4]TABLE 4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4

표 4로부터 합금 C의 가열 작업성은 합금의 것보다 우수하다. 고도 합금 C는 본 발명의 화학적 요구를 만족시키는 반면 합금는 만족시키지 못한다. 합금 D는 0.01% 이하의 유황 함량을 갖이는 반면 합금은 0.01%를 초과하는 유황 함량을 갖는다.From Table 4, the heating workability of alloy C is superior to that of alloy. High alloy C satisfies the chemical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lloys do not. Alloy D has a sulfur content of less than 0.01%, while alloys have a sulfur content of greater than 0.01%.

특정 실시예와 관련시켜 기술한 본 발명의 신규 원리는 여러가지 다른 변형 및 용융이 있을 수 있는데 이들도 기술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한정됨이 없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한다.The novel principle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specific embodiments are susceptible to many other variations and meltings, which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but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

제조된 강철이 실온에서 72시간의 10% 염화 제2철과 90% 증류수 라버 밴드 시험에서 10.000 중 1부 이하의 중량감소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는 중량으로 19-23%의 크롬, 1-16%의 닉켈 3-5%의 모리브덴, 2.5-15% 망간 0.01%까지의 유황; 세륨, 칼슘 및 마그네슘으로 선택한 0.01%까지의 한 원소, 용해도를 제한하기 위한 0.2%. 질소, 1%까지의 시리콘, 3%까지의 동, 1%까지의 코름비움, 0.3까지의 바나듐, 0.3%까지의 티타니움 및 남어지의 철로 구성된 염소 이온에 대한 우수한 내점식성내 틈부식성을 가진 가열 작업성 아우스테나이트 스텐레스 강철.The steel produced is characterized by a weight loss of less than 1 part in 10.000 in a 10% ferric chloride and 90% distilled water rubber band test at room temperature for 19-23% chromium, 1-16% Nickel 3-5% molybdenum, 2.5-15% manganese up to 0.01% sulfur; One element up to 0.01% selected from cerium, calcium and magnesium, 0.2% to limit solubility.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to chlorine ions consisting of nitrogen, up to 1% silicon, up to 3% copper, up to 1% corbicum, up to 0.3 vanadium, up to 0.3% titanium and up to 0.3% iron Workability austenitic stainless steel.
KR7702951A 1977-12-17 1977-12-17 Austenite stainless steel KR8100018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951A KR810001803B1 (en) 1977-12-17 1977-12-17 Austenite stainless st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951A KR810001803B1 (en) 1977-12-17 1977-12-17 Austenite stainless ste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803B1 true KR810001803B1 (en) 1981-11-14

Family

ID=1920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951A KR810001803B1 (en) 1977-12-17 1977-12-17 Austenite stainless ste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803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9966A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4086085A (en) Austenitic iron alloys
US3337331A (en) Corrosion resistant steel alloy
JPS6256556A (en) High nitrogent content duplex stainless steel having high corrosion resistance and good structural stability and its use
NO177604B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4421557A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4102677A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JPH11293405A (en) High hardness high corrosion resistance stainless steel
JPS6048582B2 (en) Stainless steel for razor blades with high heat treatment hardness
JPH09195007A (en) Chromium-manganese-nitrogen base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KR810001803B1 (en) Austenite stainless steel
JPS5940901B2 (en) Corrosion-resistant austenitic stainless steel
JPS6221857B2 (en)
JPH0643626B2 (e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for oil country tubular goods
JPH07138708A (en) Austenitic steel good in high temperature strength and hot workability
JPS5914099B2 (e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hot workability and local corrosion resistance
JPH0830247B2 (en) Austenitic steel with excellent high temperature strength
US3029171A (en) Age hardening of stainless steels with niobium silicides
KR100215727B1 (en) Super duplex stainless steel with high wear-resistance
JPS62267454A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superior creep strength
USRE29313E (en) Pitting corrosion resistant austenite stainless steel
JPS6033185B2 (en) High corrosion fatigue strength duplex stainless steel
GB2128632A (en) Stainless steel
RU2039122C1 (en) Corrosion-resistant austenite steel
KR100263770B1 (en) A ferrite stainless steel with a good local action resistance and restraing of sigma ph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6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