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800B1 - 착염광개시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착염광개시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800B1
KR810001800B1 KR7900352A KR790000352A KR810001800B1 KR 810001800 B1 KR810001800 B1 KR 810001800B1 KR 7900352 A KR7900352 A KR 7900352A KR 790000352 A KR790000352 A KR 790000352A KR 810001800 B1 KR810001800 B1 KR 810001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complex salt
hydroxyl
useful
photoinit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헨리 스미스 죠오지
마아틴 오로프손 피이터
Original Assignee
죠온 엠 피트브라도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죠온 엠 피트브라도,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퍼니 filed Critical 죠온 엠 피트브라도
Priority to KR7900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8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착염광개시제조성물
본 발명은 광(光)중합 가능한(즉 광경화 가능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와 같은 조성물에 유용한 착염 광개시제(光開始劑)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착염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광경화(光硬化) 가능한 에폭시드 조성물의 일부에 대하여 서술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조성물은 많은 곳에 사용할 수 있는, 즉 목재, 금속, 판지, 바닥타일, 석판인쇄판, 인쇄잉크, 기판납땜 마스크 등의 보호피복재로서 상업적 용도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보호피복제(被覆劑)는 빛에 노출이 될때에 빨리 광경화될 수 있는 약 0.1에서 3밀(mil)(즉, 0.002mm에서 0.08mm)의 얇은 필름이 대표적이다.
상기에 서술한 조성물들은 100% 고체로 되어있다(즉, 휘발성의 미 반응성 용매는 함유하지 않음).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성물은 에너지를 소모시키는 까스 건조로와 공기오염을 제거시키는데에 있어서 주로 중요한 작용을 가지고 있다.
얇은 필름이나 피복형태로서, 즉 전자부품의 갭슈울포장, 보강프라스틱, 볼록판인쇄판, 오토바디(Auto body) 보수 및 봉함제 등 경화 가능한 조성물의 많은 곳에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용도에 있어서는 조성물은 0.5인치 (약 1.3cm)나 이 이상의 두께까지 빨리 경화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상기에 서술된 광경화 가능한 조성물들은 상기 두께의 경화능력을 나타낼 수 없음이 알려져 왔다.
본 발명에 의하며는 다음과 같은 구조식을 가지는 트리아릴 설포늄 착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kpo00001
여기에는 X는 불소원자 또는 수산기이고, R1, R2, R3및 R4는 각각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중에서 선택된다. 이들 착염들은 에폭시드 조성물을 두꺼운 필름의 두께까지(즉0.5인치까지(약 1.3cm))중합시키는데에 있어서 광개시제로서 유효하다는 것을 유연히 발견해 내었다.
본 발명의 신규인 트리아릴설포늄 착염들의 구조식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Figure kpo00002
여기에서 X는 불소원자 또는 수산기이고, R1, R2, R3및 R4는 각각 수소원자, 저급알킬기(즉, 탄소원자수가 약 4이하)
알콕시기(탄소원자수를 약 4이하 포함하는) 또는 할로겐 원자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본 발명의 광중합 가능한 조성물들은 에폭시드 단량체 및 상기에 서술된 소량의 트리아릴설포늄 착염으로 구성된다. 함유되어야 할 착염의 특정량은 경화시킬 피복의 두께, 피복물을 경화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빛의 강도, 피복이 입혀질 기질의 종류, 함유되는 단량체의 종류 및 피복물을 빛에 노출시킬 때의 피복을 가열시키는 정도 여하에 따라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착염의 함량은 에폭시드 단량체의 중량에 대하여 0.02중량%에서 1.5중량%의 양이며, 약 0.03에서 1.25중량%의 함량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서술된 신구착염들은 에폭시드 조성물의 두꺼운 필름이나 피복을 경화시키는 데에 유용하며, 에폭시드 조성물의 보통 얇은 필름을 경화시키는 데에 있어서도 유용하다. 조성물중 염의 농도와 이 조성물이 빛의 강도에 노출될때에 중합되거나 경화되는 두께와의 사이에는 역상관(逆相關)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유용한 에폭시 함유 물질들은 개환(開環)됨으로서 중합이 가능한 옥시란(Oxirane) 환 (즉,
Figure kpo00003
) 가지는 모든 유기화합물들이다. 상기 물질들은 널리 에폭시드라고 불리어지며, 단량체의 에폭시 화합물과 중합형의 에폭시드가 있고,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일 수 있다. 이들 물질들은 일반으로 대개 1분자에 1개 이상의 중합 가능한 에폭시기(바람직하게는 1분자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며 중합한 에폭시드류에는 말단 에폭시기를 갖는 선형 중합체(즉,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골격 옥시란 단위를 갖는 중합체(즉 폴리부타디엔폴리에폭시드) 및 매달린 에폭시기를 갖는 중합체(즉 메타크릴산글리시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있다. 에폭시를 함유하는 물질의 분자량은 에서 약100,000이상일 수도 있다. 여러가지 종류의 에폭시 함유물질의 혼합물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가 있다.
유용한 에폭시 함유 물질로는 3,4-에폭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4-에폭시-2-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2-메틸시 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및 비스(3,4-에폭시-6-메틸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로서 대표되는 에폭시-시클로헥산 카르복실레이트와 같은 시클로헥센 옥사이드기를 함유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성질을 갖는 유용한 에폭시드류에 관한 보다 상세한 목록이 미합중국 특허 제3,117,099호에 서술되어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실시에 특히 유용한 에폭시 함유 물질들은 다음 구조식을 가지는 글리시딜 에테르 단량체류가 있다.
Figure kpo00004
여기에는 R'는 알킬기 또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며, n는 1에서 6의 정수이다. 실시예들은 다가(多價)페놀을 과잉의 클로로히드린, 이를테면 에피클로로히드린(즉 2,2-비스-(2,3-에폭시프로폭시페놀) 프로판의 디글리시딜에테르)으로 반응시켜 얻어지는 다가페놀의 글리시딜에테르류이다.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는 이 종류의 에폭시드 실시예들이 미합중국 특허 제3,018,262호 및 1976년 미국, 뉴욕시, 맥그로힐 출판사에서 출판된 Lee and Neville 저서의 "에폭시수지의 핸드북"에 서술되어 있다.
상업적으로 유용한 많은 에폭시 함유물질들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에폭시드류에는 옥타데실렌 옥사이드 에피클로로히드란, 스티렌옥사이드 비닐시클로헥센옥사이드, 글리시돌, 메타크릴산글리시딜,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 (즉 쉘화학공업사의 상표명, "EPON 828", "EPON 1004" 및 "EPON 1010", 다우화학공업사의 상표명 "DER-331", DER-332" 및 "DER-334") 비닐시클로헥센디옥사이드(즉 유니온카바이드 공업사의 "ERL-4206"),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센카르복실레이트(즉, 유니온카바이드 공업사의 "ERL-4221"),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메틸-시클로헥센카르복실레이트(즉 유니온카바이드공업사 제품 "ERL-4201"), 비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디레이트(즉, 유니온카바이트 공업사의 "ERL-4298"), 비스(23-에폭시-시클로펜틸)에테르(즉, 유니온 카바이트 공업사의 "ERL-0400"), 폴리프로피렌글리콜로개질된 지방족 에폭시(즉, 유니온 카바이드 공업사의 "ERL-4050" 및 ERL-4052"), 디펜텐옥사이드(즉, 유니온 카바이드 공업사의 "ERL-4269"), 에폭시드화된 폴리부타디엔(즉 FMC 공업사의 "oxiron2001"), 에폭기능기를 함유하는 실리콘수지, 에폭시 실란(즉, 유니온 카바이드 공업사의 제품으로 상업적으로 유용한 β-(34-에폭시 시클로헥실)에틸트리 메톡시 실란 및 (γ글리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방염(防炎) 에폭시수지(즉, 다우화학공업사의 브롬화한 비스페놀형의 유용한 에폭시 수지인 "DER-580"),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즉 시바-게이기사의 "Araldite RD-2"), 페놀 포롬 알데히드 노보라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즉, 다우화학 공업사의"DEN-431" 및 DEN-438") - 레조로시노올 디글리시딜에테르(즉, 포퍼즈 공업사의 "Kopoxite")가 있다.
본 발명의 에폭시드 조성물류로서는 에폭시드와 공중합이 가능한 수산기를 함유하는 물질로 포함될 수가 있으며, 수산기를 함유하는 유용한 물질은 수산기 관능기를 적어도 1개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을 가지는 모든 액상 및 고상물질일 수가 있다. 또 수산기를 함유하는 유기물질은 다른 "활성있는 수소원자"를 갖지 않으며, 이 "활성있는 수소원자"라는 용어는 본 기술에 있어서는 잘 알려진 용어로 본 기술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활성있는 수소원자"는 1927년에 출판된 J.Am 화학협회, 제49권의 318p에서 Zerewitinoff씨가 서술한 방법으로 측정하는 활성있는 수소원자를 의미한다. 물론 수산기를 함유하는 물질은 열이나 광에 의하여 분해되어 불안정한 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다. 즉 이 물질은 약 100℃ 이하의 온도 또는 광공중합 가능한 조성물을 얻기위해 이상적인 경화 조건을 실시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활성 광선 존재하에에 분해되거나 휘발성분을 방출하지 않는다.
유기물질은 2개 이상의 제1차 또는 제2차 지방족 수산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수산기는 비방향족 탄소원자와 직접 결합된다). 수산기는 말단에 위치되거나 중합체로부터 매달려진다. 수산기를 함유하는 유기물질의 분자량(즉, 평균분자량수)은 아주 작은 수 (즉, 62)에서 아주 큰 수(즉, 20000이상)일 수 있다. 수산기를 함유하는 물질의 당량(즉, 평균당량수)은 약 31에서 5000범위가 바람직하다. 당량이 더 높은 것을 사용하며는 공중합의 속도 및 양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수산기 관능기를 1개 갖는 적당한 유기물질의 비교 실시예들은 알칸올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코올의 모노알킬에테르류, 알킬렌 글리코올의 모노알킬에테르류 및 기타 본 기술에 알려진 것이 있다.
단량체 폴리히드록시 유기물질의 유용한 비교실시 예들로는 알킬렌 글리코올류(즉, 1,2-에탄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2-에틸-1,6-헥산디올, 빅스 (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1,18-디히드록시옥타데칸, 3클로로-1,2-프로판디올), 폴리히드록시알칸류(즉, 글리세린, 트리메틸롤에탄, 펜타에리스리톨, 소르비톨) 및 기타 N,N-비스(히드록시에틸)벤즈아미드, 2-부틴-1,4-디오올 4,4'-비스(히드록스메틸)디페닐 에테르 피마자유등과 같은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류가 있다.
중합한 수산기 함유물질의 유용한 비교실시예들로서는 폴리옥신 에틸렌과 폴리옥신프로피렌 글리코올류 및 당량이 디오올의 100에서 500이거나 트리오올의 70에서 3300에 상당하며 분자량이 200에서 10,000인 트리오올류, 즉 여러가지 분자량을 갖는 풀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코올류, 말단기 수산기인 폴리에스테르류와 말단이 수산기인 폴리락톤류 및 말단이 수산기인 폴리알카디엔 류가 있다.
상업적으로 유용하고 사용 가능한 수산기 함유 물질로는 쿠오커오트즈회사 제품의 "Polymeg
Figure kpo00005
" 계열인 폴리 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코올류, 즉, "Polymeg" 650, 1000 및 2000과 위안도 트화학공업사 제품의 계열인 제2차 수산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테트로올류, 즉, "pep" 450, 550 및 650광 유니온 카바이드공업사 제품인 "PcP" 계열의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오올류 즉, "pcp" 0200, 0210, 0230, 0240, 0300과 로옴앤드 하아스회사 제품인 "Paraplex U-148"와 모베이화학 공업사 제품의 "Multron
Figure kpo00006
" 계열인 포화폴리에스테르폴리오올류 즉, "Multron" R-2, R-12A, R-16, R-18, R-38, R-68 및 R-74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수산기 함유 유기물질양은 수산기 함유물질과 에폭시드와의 상용성(相溶性) 수산기 함유물질의 당량과 관능기, 경화된 최종 조성물의 바람직한 물리적 성질 및 바람직한 광경화 속도등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화된다.
일반적으로 본 조성 물에 수산기 함유물질양을 증가시키며는 경화된 제품은 방충성(防衝性) 기질에 대한 접착력, 유연성 및 경화시의 감소된 수축력 등에 개량된 효과가 나타나며, 또한 경도, 인장강도 및 용매내성 등이 점차로 감소되는 현상이 있다.
1관능기 및 다관능기를 두가지 모두 갖는 수산기 함유물질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바람직한 효과를 주며 1관능기의 수산기 함유물질을 사용하며는 낮은 점도, 용매를 함유하지 않는 피막 조성물을 제공하는데에 있어서 특히 효과가 있지마는, 다관능기의 수산기 함유물질을 사용하며 많은 용도에 있어서 아주 바람직하다. 2보다 훨씬 작은 관능기(즉, 1에서 1,5)와 에폭시 1당량당 약 0.4보다 더 많은 당량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유기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내부강도 및 인장강도가 낮아 용매 공격을 받기 쉬운 경화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어서 여러 용도에 부적당하다. 이 경향은 수산기를 함유하는 물질의 당량을 증가시키며는 더욱 더 현저하여 진다. 따라서 1관능기 수산기 함유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약 250보다 훨씬 적은 당량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관능기 수산기 함유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떤 양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경화된 조성물의 소망하는 특성에 따라 이 양은 좌우된다. 이를테면 에폭시 당량에 대한 수산기 함유물질의 당량 비율은 약 0.001/1에서 10/1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수산기 함유물질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를테면 2이상의 다관능기 수산기 물질의 혼합물이나 1이상의 1관능기 수산기 물질과 다관능기 수산기 물질과의 혼합물 등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착염은 문헌에 서술되어 있는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이를테면, 1906년에 출판된 J, 화학협회, 696p에서 Smiles and Le Rossignol씨가 서술한 제조방법을 약간 수정하여 광범위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07
이를테면, 바람직한 제품을 직접 제조하는 유용한 하나의 기술은 다음과 같다.
환류냉각기가 장치된 100ml 플라스크에 20.2g의 디페닐설폭사이드 20.5g의 디페닐-설폭사이드 및 19.9g의 5산화인을 가하여 생기는 혼합물을 증기욕(浴)상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2500ml의 교반된 열탕(熱湯)에 조금씩 따라 붓는다. 약간 탁한 용액을 차게 방치한 다음, 소량의 불용성 기름으로 경사조각을 행하고 거름보조제 상(床)에서 여과를 행한다. 맑은 여액에 25.9g의 분말상의 NaSbF6를 가한다. 생성물을 점성 오일로서 여별하고, 수층을 경사조작한다. 유층을 400ml의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킨 다음에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며는 하기 구조식을 갖는 수율이 44%인 화합물 26.7g을 얻는다.
Figure kpo00008
이소프로판올에서 재결정하며는 융검이 118-119℃인 분석적으로 분수한 물질이 얻어지며, 순수한 물질의 분석치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9
이 조작에 디페닐설폭사이드 및 디페닐설파이드를 적당히 치환하며는 바람직한 치환유도체가 얻어진다.
미합중국 특허 제2,807,648호에 서술된 조작 방법에 의한 바람직하고 보다 더 경제적인 염화물 제조방법이 있다.
상기 특허 1 및 10의 실시예에서 출발물질로서 벤젠을 사용하며는 상기 특허에 서술된 결과와는 반대로 놀라웁게도 염화아릴 설포늄의 혼합물이 생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 혼합물은 55% 높은 농도를 갖는 이상적인 염을 함유한다.
Figure kpo00010
이 혼합물 중에는 다른 성분으로
Figure kpo00011
3S
Figure kpo00012
Cl
Figure kpo00013
및 (R
Figure kpo00014
)3S
Figure kpo00015
Cl
Figure kpo00016
이 있다.
여기에서 R는 수소원자 및 염소원자이다. 이 혼합물을 여기에서는 Ar3SCl로 나타낸다. 상기 특허중 실시예 10의 다음 조작방법으로 Ar3SCl의 수용액이 얻어지며 이 혼합물의 농도를 분석방법에 의해 측정한 다음에 여분의 물로 희석하며는 25중량% 용액이 얻어진다. 25%Ar3SCl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여기에 등몰(等 mole)의 NaSbF6나 KSbF6의 고체성분을 분말 증기 상태로서 교반하면서 가한다. 석출되는 생성물을 여과하고 건조하며는 염화물로부터 정량적 수율을 얻을 수가 있다.
Figure kpo00017
상기 화합물 및 Ar3SSbF5OH의 상당염을 제조하는데는, 수중에서 NaSbF6을 먼저 용해시킨다. NaSbF6는 자연 가수분해되어 NaSbF5OH 및 HF로 된다. 다음에 이용액을 상기 실시예들 중 염화물 수용액에 가한다. 적의 흡수분광법을 사용하며는 SbF6및 SbF5OH를 쉽게 구별할 수 있으며, SbF6및 SbF5OH의 SbF대 흡수는 655cm-1및 630cm-1에서 각각 일어난다.
Figure kpo00018
생성 혼합물 중에 함유된 상기 화합물의 양은 UV 흡수로서 쉽게 측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염화에틸렌으로 308mm에서 최대 흡수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으며, 흡광계수는 41.0이다.
상기 조작으로 만들어지는 종래 혼합물의 흡광계수는 평균 약 19.6이다. 따라서 소망하는 제품의 농도는 48%이다. 이 혼합물을 실시예들에서는 Ar3SSbF6로 나타내고 광개시활성이 양호하다.
조성물의 노출에 앞서서 또는 조성물의 노출시에 본 발명의 광개시제를 사용하여 소량의 광을 가하며는, 에폭시드단량체의 경화속도가 상당히 증가되는데, AsF6BF4또는 PF6에 상당하는 할로겐화 금속 착염을 사용할 경우에는 경화속도가 증가되지 않는다. 일광전등과 같은 강도가 작은 UV 전등은 열도 방출하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하며는 효과적이다. 열이 설포늄염을 광분해하여 생기는 HSbF6에 의해서 에폭시드 중합 속도를 가속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AsF6PF6또는 BF4산들로서는 이러한 현상이 생기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광중합 가능한 조성물을 두꺼운 필름이나 피막이 요구되는 용도에 사용하며는 아주 적합하다.
이를테면, 이들 조성물류는 포팅(Potting)용 포팅수지 전자부품밀봉제나 캡슈울포장, 광학렌즈, 공업봉함제, 오토바디 및 보우트보수, 금형, 완충제, 섬유보강프라스틱, 보호피복제, 패칭(Patching)제 등과 같은 특정용도를 가지고 있다.
광중합 가능한 조성물류중에 50% 이상의 여러가지 첨가제(즉, 실리카, 활석, 유리기포, 녹말, 미세분말상의 고무등, 윤활제, 점도조절제, 접합제, 미(微) 섬유등을 함유시킬 수 있으며 이들을 함유시키며는 종종 유리할때가 있다. 광중합 가능한 조성물류를 여러가지 기질 즉, 프라스틱, 금속, 목재, 콘크리트, 유리, 종이, 도자기등에 사용할 수 있다.
스펙트럼의 자외부(즉, 1840A에서 4000A내의 활성방사를 방출하는 어떤 방사원(源)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노출시켜도 광중합 반응이 일어난다. 적당한 방사원으로서는 수은증기방전, 전등, 탄소아아크, 크세논, 일광등이 있다. 노출량은 광개시제의 농도 단량체의 화학구조 및 당량, 피막의 두께, 기질의 종류, 전등의 강도 및 사용된 기질이나 피막이 흡수하는 열의 량과 같은 인자에 따라 좌우된다.
[실시예 1-8]
다음 실시예들은 두꺼운 필름을 경화시키는 데에 있어서, 설포늄 광개시제의 양이온 효과를 서술한 것이다. 하기 제1표에 수록한 0.1비율의 설포늄염들과 100비율의 방향족 글리시딜 에테르에폭시드 단량체 DER-332 (다우 화학공업사 제품)를 함유하는 용액들을 조제하고, 각 용액들의 무게를 단 후에 각 용액들을 흑색 고무틀에 넣어 두께가 200밀인 샘플을 얻었다. 이 틀을 275와트의 General Electric Sunlamp로부터 4인치(10cm) 아래에 두고서, 제1표에 기록된대로 노출시킨 후에 아세톤에 함침시키고 공기로 건조시켰다. 다음에 두께를 측정하여 제1표에 기록하였다.
[표 1]
Figure kpo00019
[실시예 9-18]
다음 실시예들은 두꺼운 필름을 경화시키는 데에 있어서 설포늄광개시제의 음이온 부분의 효과를 서술한 것이다. 하기 제2표에 수록한 0.1비율의 설포늄염들과 100비율의 에폭시드 "ERL-4221"(유니온 카바이드 공업사제품)을 함유하는 용액들을 조제하고, 각 용액들의 무게를 칭량하여 각 용액들을 흑색 고무틀에 넣어 두께가 200밀(0.5cm)인 샘플을 얻었다. 이틀을 275와트의 General Electric Sunlamp로부터 4인치(10cm)아래에 두고서, 각 샘플을 4분 및 5분동안 노출시켰다. 경화된 다음에 샘플을 꺼내어 아세톤에 함침시키고 20분동안 교반한 뒤에 꺼내어 공기로 건조시켰다. 다음에 두께를 측정하여 제2표에 기록하였다.
[표 2]
Figure kpo00020
[실시예 19-24]
본 발명의 광개시는 고무상 제품을 얻기 위한 지방족 글리시딜 에테르의 두꺼운 피막을 경화시키는 데에 사용할 수도 있다. 중량%농도로서 표시한 다음의 설포늄염들을 에폭시드 단량체 "DER-736"(다우 화학공업사 제품)에 용해시키고 4 5분간 노출시켰다. 고무틀에 넣고 이틀을 275와트의 General Electric Sunlamp로부터 4인치(10cm) 아래에 노출시켰다.
이것을 아세톤에 함침시킨 후에 경화된 제품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Figure kpo00021
[실시예 25-35]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광개시제를 사용하여 광경화한 두께 500밀(12.7mm)의 제조 및 종전 기술의 광개시제를 사용했을 경우 효능이 없는 것을 서술한 것이다. 에폭시드 단량체 에폴리오올을 배합하여 제조한 경화된 피막은 공업 밀봉제로서 유용한 탄성중합체의 두꺼운 필름이 얻어진다.
50비율의 ERL-4221 및 50비율이 폴리에틸렌 글리코올 400으로 된 모(母)용액을 제조하고, 하기에 중량농도로 표시한 광개시제를 20비율의 이 모용액에 가하였다. 각 샘플들을 500밀(12.7mm)깊이의 고무틀에 붓고 275와트의 General Electric Sunlamp로부터 4인치(10cm)아래에 노출시켰다. 하기표는 이들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22
PF6AsF6및 BF6에 상당하는 염들은 어떤 현저한 특징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Claims (1)

  1. 에폭시드 관능기를 갖는 유기물질과 하기 구조식의 유효한 양의 착염으로 구성되는 광중합 가능한 조성물.
    Figure kpo00023
    여기에서 X는 불소원자 또는 수산기이며, R1, R2, R3, 및 R4는 각각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원자 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KR7900352A 1979-02-07 1979-02-07 착염광개시제조성물 KR810001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352A KR810001800B1 (ko) 1979-02-07 1979-02-07 착염광개시제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352A KR810001800B1 (ko) 1979-02-07 1979-02-07 착염광개시제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800B1 true KR810001800B1 (ko) 1981-11-14

Family

ID=19210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352A KR810001800B1 (ko) 1979-02-07 1979-02-07 착염광개시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80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1951A (en) Complex salt photoinitiator
US4173476A (en) Complex salt photoinitiator
US4256828A (en) Photocopolymerizable compositions based on epoxy and hydroxyl-containing organic materials
US4310469A (en) Diaryliodonium salts
US4394403A (en)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s
US4069055A (en) Photocurable epoxy compositions containing group Va onium salts
US4058401A (en) Photocurable compositions containing group via aromatic onium salts
US4175963A (en) Method of exposing and curing an epoxy composition containing an aromatic onium salt
US4175972A (en) Curable epoxy compositions containing aromatic onium salts and hydroxy compounds
US4058400A (en) Cationically polymerizable compositions containing group VIa onium salts
US4139385A (en) Coating method and composition using cationic photoinitiators polythio components and polyolefin components
US4442197A (en) Photocurable compositions
US6777460B2 (en) Curing agents for cationically curable compositions
JP2679586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
US4378277A (en) Photopolymerizable epoxy-containing compositions
US4264703A (en) Cationically polymerizable compositions containing photodecomposable aromatic iodonium salts
JPS6125722B2 (ko)
GB2074595A (en) Photoinitiator catalyst compositions
GB1578674A (en) Coating method
DE3902114A1 (de) Strahlungsempfindliche, ethylenisch ungesaettigte, copolymerisierbare sulfoniumsalz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4582886A (en) Heat curable epoxy resin compositions and epoxy resin curing agents
US4175973A (en) Curable compositions
US4115295A (en) Polymerizable compositions containing highly fluorinated aliphatic sulfonyl protonic acid catalyst
EP0143121A2 (en) Low viscosity adducts of a polycaprolactone polyol and a polyepoxide
JPH0689109B2 (ja) 光重合性脂環式エポキシ組成物の硬化促進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