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776Y1 - 마이콤 세탁기 - Google Patents

마이콤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776Y1
KR810001776Y1 KR2019800003619U KR800003619U KR810001776Y1 KR 810001776 Y1 KR810001776 Y1 KR 810001776Y1 KR 2019800003619 U KR2019800003619 U KR 2019800003619U KR 800003619 U KR800003619 U KR 800003619U KR 810001776 Y1 KR810001776 Y1 KR 810001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rocessor
signal
washing machine
power
tri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3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00003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7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7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이콤 세탁기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스위치 장치동작 표시판의 평면도.
본 고안은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를 응용한 세탁기로서 제어감지부의 상태신호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신호를 각각의 표시부와 동작부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세탁기의 제어기능을 개선하고 에러표시 및 경보등의 각종 다양한 세탁기의 기능을 추가시킨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응용한 세탁기는 기계적인 종전의 시스템을 단지 전자식으로 바꾼 것이므로 세탁코스가 피세탁물에 적용하도록 다양하지 못하고 급수 및 배수의 동작불량시나 세탁기 사용도중의 기타 에러(error)를 감지하여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제어감지부에 연결된 각각의 공정표시램프에다, 공정시간을 표기하여 식별이 간단하게 한 디지털 표시부를 각각 연결시키고, 모우터구동부와, 경보 발신부가 연결된 마이크로 프로세서 사이에, 보상회로부와 옵터카폴러(optocovpler)부를 연결시키고, 급수 및 배수시나 언밸런스(vubalance)시의 에러를 센서(sensor)에서 감지하여 상태신호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신호를 각각의 파트부에 제공함으로 경보신호를 발하게 하는 동시에 자동수정도 되게 한 마이콤 세탁기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전공정 시간의 표시 내지 남은 공정시간 및 에러를 표시하는 디지털 표시부(ㄱ)와, 각 공정에 따라 점등되는 공정표시램프(ㄴ)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부(ㄷ)로 구성되는 표시부(가)와, 각 제어 스위치(SW×5)와 에러를 감지하는 센서(sensor)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스터(Q1)으로 구성하는 제어 감지부(나)와,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보상 회로부(다)와 마이크로 프로세서(MIC) 및 IC, IC1, IC2를 외부 전원과 회로적으로 분리토록 다이오드(D2)의 발광신호를 포터트랜지스터(Q5)로 수광되도록 한 옵트카플러부(ㄹ)와, 트랜지스터(Q5)×5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온, 오프되는 트랜지스터(Q2)×5, 다이오드(D1)×5 및 트라이악(TD1, TD2, TD3, TD4, TD5)가 모터(M)와 솔레노이드(SO)로 구성되는 구동부(라)에 연결되고, 공정완료시 전원을 오프시키고 이상시에는 이를 보호하도록 트라이악(TD2), 저항(R2), 콘덴서(C2), 바리스터(B) 및 푸시온(pushon)스위치(S1)로 구성되는 전원 제어부(마)와, 공정완료 및 에러시에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인버터(IC3)와 트랜지스터(Q3)(Q4)를 스피커에 연결시키어 된 경고음 발생부(바)가 구성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의 각 단자에 연결된 것이다.
그리고 세탁물의 각종 처리 및 제어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에 프로그램 기억된 것을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키(SW 키)의 스위칭 조작에 의하여서 순차적으로 각 공정이 처리되는 것으로 음량조절 및 수위조절 스위치를 제외하고는 모두 푸쉬 스위치를 장착한 마이콤 세탁기로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세탁을 하고저 할때 먼저 초기 전원을 공급하는 푸시온(push on)스위치(S1)를 누름으로 전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여(손으로 누를때 ON이 되고, 손을 떼면 off된다)전원이 공급되는 순간, 트라이악(TD2)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단자(P2)로 나오는 제어신호(P2×5 중 P2)가 저전위 상태가 되고 인버터 IC(IC1)에서 고전위 상태가 되어 옵터 카플러(ㄹ)을 구동시키고 다이오드(D1)를 통하여 트라이악(TD2)의 게이트에 공급되므로 동작중 전원이 계속 공급되고, 공정완료시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트라이악(TD2)의 게이트에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아 트라이악이 동작치 않으므로 자동으로 전원공급이 중단되도록 된다.
따라서 세탁기의 전원이 공급될 시에는 각부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자동적으로 표준코오스가 선택되도록 프로그램이 되어 있어 공정순서와 공정시간의 시간표시가 디지털 표시부(ㄱ)에 표시되고, 공정표시램프(ㄴ) 및 코오스 선택 램프가 표준쪽에 켜지게 된다.
이때에 바리스터(B)와 콘덴서(C2) 및 저항(R2)는 트라이악을 보호하기 또 외부에서 들어오는 서어지(svrge)전압을 흡수하여 트라이악(TD2)이 자동으로 "턴온"되는 것을 방지한다.
만약 다른 코오스나 일부분의 공정 및 시간을 변경시키고저 할 때에는 스위치 키(SW 키)들의 조작으로 세탁공정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세탁 중에도 일시 정지 키(도면에 생략되어 있으나 SW키 중 하나)를 누르면 일시 정지되어 다른 조작키를 눌러 공정 및 시간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미 프로그램이 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스타트키(SW 키)를 누름으로 수조에 급수가 시작이 되고 동시에 시간 표시판(ㄱ)에는 전체 세탁공정이 합산된 전체 시간의 수치가 표시되고 공정이 계속되면 전체 시간에서 흐르는 시간이 감산된 카운터를 시작한다.
급수시에는 센서(sensor)의 구조는 물이 들어와 선택된 급수량의 급수가 되면 수조에 연결된 파이프의 공기가 수압에 의하여 압축되어 압축력에 따라 내부 스위치가 붙음으로 정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고, 배수시에도 이와 역작용을 함으로서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세탁물이 한쪽으로 쏠릴때나 심한 진동이 생겨 세탁기의 이동이 생기는 등의 언밸런스시에는 상기와 같은 언밸런스센스에 의해 이상 상태가 감지되는 것이다.
또 급수 및 배수에 이상이 생겨 마이크로 프로세서상에 셋트(set)된 시간내에 급수 또는 배수의 완료가 안되어 이상이 생길때는 상기 센서(sensor)의 스위치 상태에서 에터가 체크된 정보에 의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 펄스의 에러상태 신호를 내어 보낸다.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PB단자에서 나오는 상기의 상태신호는 표시구동부(ㄷ)를 통해 디지털 시간표시판(ㄱ)에 공급되어 왼쪽에 "-"표시를 잠시 나타낸 후 오른쪽에는 프로세서의 제어신호에 의해 "E"자가 표시되도록 하여 이를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눈의 잔상을 이용하여 "-E"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언밸런스 시에도 상기 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신호에 의해 시간표시판에 두 번까지 언밸런스 시에는 "E"가 나타나며 경보가 울리고 자동 수정을 한다.
만약 3번째까지 언밸런스가 될 때에는 "vE"가 나타나며 경보가 울려 사용자의 조치를 기다린다.
상기 경보신호는 프로세서의 P1단자를 통해 나간 저상태 신호가 인버터 IC(IC3)에서 고전위 신호가 되어 트랜지스터(Q3)(Q4)를 반복으로 동작시킴으로 스피커에 단속음이 울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에러가 발생되거나 세탁 종료시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P2,P2'단자를 통하여 나간 상태신호는 모두 고전위(High)상태가 되는 신호로서시스템 reset 보상회로(1,2)를 통하여 인버터(IC1)에서 저전위(Low)상태신호가 되어 발광 다이오드(D2)가 발광치 못하게 되어 옵트카플러(ㄹ)가 동작치 못하며 따라서 트라이악(TD2)의 게이트에 제어신호를 보내 주지 않음으로 트라이악이 부동작을 하고 모터(M)와 솔레노이드(S.O)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음으로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또한 사용중에 수조의 도어가 열리면 모든 표시램프(ㄴ)가 꺼지고 상기와 동일하게 경보신호가 울리면서 도어를 닫기를 기다린다.
이때 도어를 닫으면 제조공정할 수 있는 것으로, 급수 및 배수와 언밸런스에 이상이 있을 때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의 상태신호에 의해 에러를 시간표시판(ㄱ)에 표시하고 경보음을 내어 동작이 중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에러의 요인을 제거하여 주었을 시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단자(점선으로 표시된 P2)에서는 Low상태신호가 나와 인버터(IC1)를 지나 High상태로 되므로 옵트카플러가 동작하여 트라이악의 게이트에 신호를 보내줌으로 트라이악이 동작하여 모터(M)및 솔레노이드(SO)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정상동작을 하는 것이다.
즉 정상동작되는 배수시에는 점선으로 도시된 P2의 배수를 위한 핀의 Low신호가 되므로 인버터를 지나 High상태로 변하여 트라이악(TD5)에 연결된 배수 솔레노이드의 단자(W/D)에 전원이 통전되어 작동함에 의하여 배수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정상 배수가 끝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세탁물에 묻어 있는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트라이악(TD1,TD3)의 전원을 각각 통전하므로 얼마간 모러를 간헐적으로 돌리고 물을 뿜어 빨래를 적신 후에 모터를 간헐적으로 돌려 거품을 제거하고 최종 헹굼시에 표백제와 정전방지제의 투입시간을 경보부에서 귀뚜라미소리로서 울려 알려준다.
세탁기의 정상 가동시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단자에 신호가 보상회로부(다)와 옵트카플러(ㄹ)를 통하여 증폭되어 트라이악(TD1)전원이 공급되어 모터(M)와 솔레노이드(S.O)가 정상 동작되는 것인데, 이때 보상 회로부(다)는 시스템 reset보상회로(1,2)로서 초기 전원 공급시에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단자에서 나오는 신호가 Low상태로 되어 모터 및 솔레노이드가 동작되는 오동작을 막기 위해 전원을 온 시키는 순간 High상태로 만들어 주어 시스템의 오동작을 막는 것이다.
그리고 공지의 옵트카플러(ㄹ)부 회로는 발광 다이오드(D2)의 광도가 수광되도록 대치 위치에 포터 트랜지스터(Q5)를 설치시킨 것으로, 전원이 발광 다이오드를 통하여 빛을 발할때 포토 트랜지스터가 그 빛을 받아 동작을 하는 것으로, 발광 다이오드의 전원이 오프시에는 동작을 못하도록 되어서 옵트카플러(ㄹ)를 사이에 둔 앞 회로의 IC와 뒤 회로의 모터와 솔레노이드의 기전력이 큰 유기전압을 회로적으로 차단하여 IC 및 프로세서(MIC)를 보호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모든 세탁공정이 끝나면 P2'의 전원 차단 해당핀에서 동작시에는 Low상태신호가 나오던 것이 High상태신호로 바뀌고 인버터에 의해 Low상태가 되어 옵트카플러가 동작 차단됨으로 트라이악(TD2)의 게이트에 신호를 보내주지 못하여 트라이악(TD2)가 동작치 못하여 전원이 차단된다.
즉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작동을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신호에 의하므로 세탁기의 제어기능을 개선하고 급수 및 배수와 언밸런스시의 경보등의 에터표시 및 각종 다양한 기능인 거품 제거와 표백제 및 정전 방지제 투입시간을 알리는 세탁기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고, 집적회로와 외부 전원 회로를 분리하여 안정성을 높인 마이콤 세탁기인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세탁기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에 제어감지부(나)로 연결된 각각의 공정표시램프(ㄴ)에는 공정시간 및 에러를 표시한 디지털 표시부(ㄱ)를 각각 연결하고 푸쉬온 스위치(S1)와 바리스터(B)와 저항(R2)에 연결된 콘덴서(C2)와 트라이악(TD2)을 병렬로 연결시킨 전원 제어부(마)가 다이오드(D1)에 연결되며, IC2와 보상회로(1)(2) 및 인버터(IC1)로 구성된 보상회로부(다)들 사이에 회로적으로 분리되도록 옵트카플러부(ㄹ)를 장설시키어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콤 세탁기.
KR2019800003619U 1980-06-05 1980-06-05 마이콤 세탁기 KR810001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3619U KR810001776Y1 (ko) 1980-06-05 1980-06-05 마이콤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3619U KR810001776Y1 (ko) 1980-06-05 1980-06-05 마이콤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776Y1 true KR810001776Y1 (ko) 1981-10-27

Family

ID=1921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3619U KR810001776Y1 (ko) 1980-06-05 1980-06-05 마이콤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7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10001776Y1 (ko) 마이콤 세탁기
DE59403154D1 (de) Kraftfahrzeug mit Rückfahrsicherung
JPH05137882A (ja) 自動洗濯装置
KR970001338B1 (ko) 세탁기의 키보드 눌림 표시장치
KR930019905A (ko) 세탁기 수위감지 센서의 고장 검출방법
JPS596525Y2 (ja) カセット・リバ−ス機の録音表示装置
KR890006905A (ko) 세탁기의 고장 체크방법 및 장치
KR940008453Y1 (ko) 식기 건조기
JP3095454B2 (ja) 洗濯機
KR950005969Y1 (ko) 감광액 감지장치
KR910007454B1 (ko) 차량 후진시의 경보 장치
JPH067439Y2 (ja) 警報装置
KR200358086Y1 (ko) 서로 다른 방식의 안전사고 방지용 센서출력 처리를 위한장치
KR19980061637A (ko) 공기방울 세탁기의 버블제어장치
KR920021780A (ko) 전자동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950004182Y1 (ko) 캔 자동판매기의 솔레노이드 동작 검출회로
KR920000283Y1 (ko) 액면제어기의 수위 경보장치
KR950001565A (ko) 담배 자동판매기
KR910001143Y1 (ko) 자동 전원스위치의 동작표시부가 내장된 집적회로
JP2542814B2 (ja) 蓄積回路を有する2信号型煙感知器
KR900007589Y1 (ko) 세탁물의 꼬임방지 회로
KR960025182A (ko) 피엘씨(plc)의 릴레이 수명 감지방법 및 그 장치
KR900002808Y1 (ko) 동전 투입식 타이머 회로 장치
KR970002771A (ko) 자동판매기의 오동작 방지회로
JP2584678Y2 (ja) 戸締り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1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