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752B1 - 물분사 직조기의 위사필라멘트 전진방법 - Google Patents

물분사 직조기의 위사필라멘트 전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752B1
KR810001752B1 KR7800416A KR780000416A KR810001752B1 KR 810001752 B1 KR810001752 B1 KR 810001752B1 KR 7800416 A KR7800416 A KR 7800416A KR 780000416 A KR780000416 A KR 780000416A KR 810001752 B1 KR810001752 B1 KR 810001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weft
water
weft filamen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넬리어 조셉레네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네레택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네레택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riority to KR7800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분사 직조기의 위사필라멘트 전진방법
제1도는 개량된 물분사 직조기 일부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물분사 장치의 부품을 나타낸 설명도.
제3도는 위사필라멘트를 공급하는 공급시스템 및 저장장치를 나타낸 설명도.
제4도는 개량된 본 발명의 위사필라멘트 공급장치를 구비한 직조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물 반송부(搬送部)에 대하여 위사필라멘트가 직조기를 횡단하여 공급될 때 위사필라멘트의 전진 동작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직조기의 사시도로서, 물분사 직조기를 개량하기 위하여 제거해야할 부품을 실선으로 나타낸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들로 이루어진 개량된 직조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유체 또는 액체 분사직조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 본 발명은 통상 물분사 직조기로 알려진 액체 분사직조기에 있어서 위사필라멘트 저장장치와, 일정길이의 위사필라멘트를 개구(shed)를 횡단하여 공급 및 전진시키는 장치와, 경사필라멘트의 개구에 삽입될 위사필라멘트의 공급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직조기 구조의 개량은 종래의 셔틀(shuttle)형 직조기 대신 소위 "유체" 직조기에 집중되고 있는데, 이러한 액체 분사직조기는 일정한 길이의 위사필라멘트를 경사개구를 횡단하여 추진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셔틀 대신에 물과 같은 유체의 흐름을 이용한다. 유체 분사직조기는 종래의 셔틀형 직조기에 비해 몇가지 장점이 있는데, 예를들면 보다 빠른 작동속도, 직조기의 작동 면적당의 장치의 간단화 및 장치의 보다 높은 신뢰성등이 있다.
유체분사 직조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1972년 1월 4일자로 발행된 "북(셔틀)이 없는 직조기를 위한 위사 측정 및 보류장치" 란 제명의 카나다특허 제889,669호와 1975년 8월 5일에 발행된 "유체 분사직조기의 위사 선택기구"란 제명의 카나다 특허 제972,257호등이 있다.
상기예 및 일반적인 당해 분야에서는 상업성있는 유체 분사직조기의 개발의 열환으로 낡은 셔틀 직조기의 대치품으로서 또는 제조라인의 증가를 위한 새로운 구입품으로서의 새로운 제직장치의 구조 및 제작에 집중하여 왔다.
본 발명자가 아는 바로는 현존하는 셔틀형 직조기를 만족스러운 방법으로 액체직조기로 변환시킨 적당한 변환장치는 없었으며, 따라서 유체분사 직조기의 이점을 얻기위하여 직물 제조업자는 현존하는 직조기를 변환하는 것에 비해 보다 많은 경비가 드는 새로운 장치를 구입하여야만 했다. 유체 분사직조기 원리를 기초로한 새로운 구조로서 위사필라멘트를 개구안으로 삽입하여 공급하는 방식에 관하여 매우 다양한 안(案)이 제기되었는데, 셔틀형의 재래식 직조기와 새로운 액체분사직조기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위사필라멘트의 공급에 있으며 , 이제까지 개발된 제안에는 여러 가지 기술을 통하여 위사필라멘트를 한번에 또는 여러번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이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시스템내에 압축공기식 또는 전기적 부품을 사용하는데 , 전기적 부품을 이용한 위입 장치의 대표적 예로는 펄스 변환회로에 의해 조절되는 솔레노이드(Solenoid) 밸브를 사용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높은 습도에 대하여 전기 부품에 감도가 있다는 점에 문제가 있으며 , 이 높은 습도는 실의 윤활성 및 정전기 제거 등의 목적을 위하여 제직공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신뢰면에서 볼 때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와 유사한 전기부품들은 종래의 셔틀형 직조기보다 안정성이 없을 뿐 아니라 셔틀형 직조기에 사용된 통상적 기계부품보다 수명이 짧기 때문에 직기업계에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종래의 셔틀형 직조기에 반하여 액체 분사직조기의 이용에서는 고속동작으로 인하여 보다 정교한 부품, 특히 액체 시스템의 동작 타이밍(timing) 및 지속시간을 조정하는 조정장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액체 시스템은 위사필라멘트 삽입장치에 관련된 여러 가지 부품에 대하여 정확한 조절을 요구한다는 것은 이미 주지된 바로서, 특히 공지된 액체 분사직조기의 정밀조정에 있어서 한가지 난점은 위사필라멘트의 파지(gripping)장치에 대한 정밀조정에 있다. 파지장치는 경사개구에 삽입될 소정길이의 위사필라멘트를 방출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며 , 액체 분사직조기 시스템의 구동축에 부착 또는 작동할 수 있게 연결된 회전캠에 의하여 조절되는 파지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운전중에 파지장치의 방출지속시간에 관하여 흔히 문제점이 발생하였는데 , 이 방출지속시간은 상기한 캠구조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서 그 시간이 변하게 되면 직물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공지된 유체나 액체 분사직조기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은 위사필라멘트를 경사 개구속에 삽입하기 전에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저장장치의 형태에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 저장장치는 액체 분사직조기에서 대단히 중요하며 공지된 구조의 단점을 제거하기 위해 개량된 저장장치를 제공하려는 여러 가지 제안들이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유체 분사직조기용 위사필라멘트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저장장치는 저장실을 포함하는데 , 이 저장실은 저부벽에 의하여 1쌍의 측벽을 서로 연결하여 긴 위사필라멘트 저장공동(空洞)을 형성하고 있으며 , 상기 저장실의 양 측벽간에는 1쌍의 개방단이 설치되고 , 또 저장실을 따라 개방된 정부(頂部)가 설치되어 저장공동으로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 상기한 일 개방단은 압축 공기분사에 의하여 삽입되는 루우프 모양의 위사필라멘트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액체 분사직조기를 이용한 제직과정에서 위사필라멘트를 저장하는 방법은 대개 다음과 같은 단계, 즉 상기한 바와같은 구조의 저장실을 설치하여 위사필라멜트를 제1안내구멍(eyelet)을 통하여 주입시킨 후, 이 안내구멍에 공기를 분사시켜 위사필라멘트가 저장실내에서 뒤엉키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제2안내구멍을 통하여 인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한 제1 및 제2안내구멍은 저장실의 일 개방단에 배치되어 있으며, 저장식의 최대폭은 상기한 구멍직경의 10배에 달한다.
저장장치는 공기를 저장장치내에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과, 위사필라멘트가 공급원에서 저장장치로 공급될 때 통과하게 되는 구멍과 연관되어 작동한다.
저장장치에 있는 양측벽간의 최대폭은 구멍직경의 10배에 해당하며, 바람직하게는 그 최대폭이 구멍직경의 4 ∼10배가 되는 것이 적당하고, 측벽의 길이는 저장장치내에 저장되는 필라멘트 길이의 5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직도중에 경사필라멘트를 횡단하여 위사필라멘트를 전진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 방법은 가압액체원과 자유선단(free leadng end)을 가진 일정길이의 위사필라멘트를 준비한 후, 소정량의 가압액체를 흐름상태로하여(이 액체흐름의 선단은 위사필라멘트의 자유선단을 계합한다) 이 액체의 흐름을 대향하는 경사필라멘트 사이로 향하게한 다음, 위사필라멘트가 경사필라멘트의 폭을 횡단하기전에 상기 가압액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액체의 소정량은, 위사필라멘트가 경사필라멘트의 폭을 횡단하기 전에 가압액체의 흐름이 차단되더라도 소정길이의 위사필라멘트의 폭을 가로질러 끌어 당기기에 충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서 소정량의 가압액체는 위사필라멘트의 선단이 경사필라멘트의 폭을 횡단하여 이동한 거리의 30∼80%정도, 바람직하게는 25∼60%정도의 위치에서 중단되는 것이 적당하다.
위사필라멘트는 연속한 길이의 필라멘트재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위사필라멘트 전진방법에는 위사필라멘트가 실제로 경사필라멘트의 폭을 횡단한 후에 연속 필라멘트재로부터 (경사필라멘트의 폭보다 길게)위사필라멘트를 절단하내는 과정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제직장치내에는 경사필라멘트를 가로질러 위사필라멘트를 전진시키는 장치가 설치된다. 이 장치의 구성은 가압액체원과, 상기 가압액체원을 흐름상태로 개구를 횡단하여 분사시키는 노즐장치와, 자유선단을 가진 일정 길이의 위사필라멘트가 상기 가압액체원에 유기적으로 작동함으로써 가압액체의 흐름이 필라멘트의 선단을 계합할 수 있도록 한 위사필라멘트 공급장치와, 소정량의 가압액체를 개구를 횡단하는 흐름형태로 제공하기 위해 가압액체원을 작동시키는 장치와, 위사필라멘트가 개구를 횡단하기전에 상기 가압액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장치등으로 이뤄진다.
또한 본 발명은 위입(filling)부품, 북침운동(pack motion)부품, 평행운동(parallel motion)부품, 위입운동(filling motion)부품 및 레이운동(lay motion)부품으로 구성되는 종래의 직조기를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여 종래의 직조기로부터 위입부품, 북침운동부품, 평행운동부품, 위입운동부품 및 레이운동부품이 제거되는 대신 액체 분사시스템이 장착되는 한편, 위사필라멘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이 설치되고 , 또 변형된 직조기에 유기적으로 동작하는 액체 분사시스템의 작동장치가 설치된다. 상기한 액체 분사시스템은 경사필라멘트를 횡단하여 위사필라멘트를 전진시키는 장치로 구성되는데 , 이 위사필라멘트 전진장치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액체의 흐름을 간헐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장치은 적당한 가압액체원과, 입구부로 액체가 유입될 수 있게 하는 밸브장치를 포함한다. 이 밸브는 대개 일방향 트립밸브(one-way trip valve)이다. 가압액체원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위사필라멘트 공급시스템에 사용되는 액체원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필요하다면 공급시스템과 유기적으로 동작하는 별개의 액체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체 시스템의 여러 가지 부품들을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모든 시스템에 대해 공동 가압 액체원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며, 단일 가압액체 시스템은 2개 이상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소요부품 개수를 줄여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파지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액체 시스템을 통해 액체를 간헐적으로 흘려주는밸브장치의 작동은 직조기의 운동과 관련하여 일어나는데, 이 작동장치는 직조기의 바디 아암(reed arm)의 운동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작동장치는 바디아암의 운동과, 파지 시스템을 통하여 액체를 간헐적으로 흘려주는 밸브에 기계적으로 협동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도시된 위사필라멘트 저장장치(20)는 한쌍의 대향측벽(22)를 가진 , 길이가 긴 U자형 부재로 구성되며 , 각 측벽은 일반적으로 연속평면으로 되어 있다. 측벽(22)은 저장장치(20)의 저부쪽으로 갈수록 약간 안으로 경사져서 측벽(22)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의 저벽(24)과 상호 연결됨으로써 측벽(22)과 저벽(24)사이에 공동(空洞)을 형성된다. 측벽(22)의 상부 사이의 정부(頂部)가 개방되어 있는 것처럼 저장장치(20)의 양단부도 개방되어 있다.
양측벽(22)과 저벽(24)사이에 형성된 공동은 일정한 길이의 위사필라멘트를 수용하는 저장영역을 이루며, 이 저장영역은 길이가 긴 연속형태로 되었다.
한편, 일정길이의 위사필라멘트를 공기의 기류에 편승시키는 장치를 저장장치에 관련하여 동작시키기 위해서 압축공기 제어밸브(26)를 설치하고 있는데, 이 밸브는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28)을 포함하여 가압공기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취부판(30)은 밸브(26)를 직조기의 프레임부재(F)에 고정시키는데 동시에 , 그 안에 한쌍의 구멍(32),(34)을 포함한다. 이 2개의 구멍은 위사필라멘트를 안내하는 "눈(目)"역할을 하며,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노즐(28)은 상부 구멍(32)과 일렬로 위치하여 공기를 이 구멍을 통하여 분사시킨다.
노즐(28)은 구멍(32)으로부터 약간 떨어져서 위사필라멘트를 저장장치에 송출할 수 있는 좁은 틈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위사필라멘트 저장장치를 제작할 때 장치의 폭, 즉 양 측벽(22)사이의 폭은 공기의 흐름이 통과하는 구멍(32) 개구의 10배 이하가 되어야 한다. 만일 폭이 이보다 크게 되면 공기흐름이 정상적인 흐름이 되지 않으므로 위사필라멘트가 엉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구멍(32)은 상방으로
Figure kpo00001
인치간의 개구(opening)를 갖는데 이 구멍은 보통
Figure kpo00002
인치정도이므로 양 측벽(22)간의 폭은 최대 1인치가 된다. 양 측벽사이의 가장 적당한 폭은 구멍(32)의 개구의 4 ∼10배이다.
공기분사에 사용될 압력은 상당히 변화시킬 수 있으나, 350∼1750g/cm2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압력이 클 때에는 공기흐름에 의하여 위사필라멘트에 가해지는 저항 너쿠 크므로 위사팔라멘트를 개구(shed)를 횡단하여 적당히 송출할 수 없게 된다. 위사필라멘트에 가해지는 저항은 필라멘트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아주 높은 압력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1750g/cm2이하의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의 압력은 필라멘트의 강도에 따라 조절하여야 하며, 특히 약한 필라멘트에 대해서는 낮은 공기압력을 사용해야 한다.
저장장치의 길이는 개구에 주입하고자 하는 필라멘트 길이의 50% 정도가 되어야 하는데, 특히 필라멘트는 저장장치의 단부를 넘어 연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필라멘트가 단부를 넘어 연장되면 필라멘트가 공기중에 나부끼어 고리를 만들거나 꼬여져 저장장치의 측벽과 엉킬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은 스핀들(spindle)이나 보빈(bobbin)형태로 된 위사필라멘트나 방사(紡絲)의 공급원(50)를 포함한다. 위사필라멘트의 보빈(50)은 적당한 방법에 의하여 직조기에 부착되고 , 연속적 길이로된 위사필라멘트 재료(51)는 보빈(50)으로부터 끊임없이 길게 인출된다. 필라멘트 재료(51)가 어떻게 보빈(50)으로부터 인출되느냐에 따라서 한세트 또는 그 이상의 유도장치(52),(54)가 저장시스템으로 이동해가는 필라멘트 재료의 통로에서 이 필라멘트의 재료를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이 유도장치의 위치 및 특성은 유도장치를 적당한 곳에 위치시키는 종래의 취부장치의 방편에 준하고 있다.
필라멘트 재료는 실장력장치(56)를 통과하게 되는데 , 이 장치도 당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실장력장치는 필라멘트 재료의 공급원과 길이 측장(測長)장치(이후에 설명됨)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위사필라멘트에 지속적으로 장력을 가해주면서 위사필라멘트의 길이가 계속적으로 측정되도록 한다.
직조기의 프레임부재(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된 측장장치(58)는 소정량의 필라멘트 재료를 위사 저장장치에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이 측장장치(58)는 종래 공지된 것이나 본 발명에 의한 것중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여기에는 회전식 드럼(drum)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드럼의 표면(62) 상방으로 돌출한 1쌍의 측벽(60)은 드럼의 표면(62)에 대하여 요부를 형성하여 이 둘레에 위시필라멘트가 1회 또는 수회 감겨지도록 한다. 측장드럼(58)의 직조기의 동작속도와 관련된 어떤 적당한 장치에 의하여 구동되거나 또는 직조기의 구동에 동기적으로 구동되는데, 이를 위하여 직조기의 구동시스템에 적당한 구동시스템이 연결될 수 있다. 드럼(58)의 둘레에는 필라멘트 재료가 수회 감겨지는데, 드럼의 회전수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양의 필라멘트 재료가 후속동작을 위하여 분배된다. 또한 드럼기 표면(62)상에서 필라멘트 재료를 분리하기 위하여 드럼(58)에 관련되어 동작하는 안내핑거(guide finger)(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제1∼3도에 도시된 위사필라멘트 삽입 및 파지(gripping)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일방향 트립밸브(one-way trip valve)(63)에는 가압공기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작동관계로 접속되는 도입구(65)와, 노즐(69) 및 파지장치(70)에 각각 접속되는 배출구(67),(68)가 구비되어 있다. 파지장치(70)는 저장장치(20)와 노즐(제4도의 11)사이에 위치한다(이 상태는 도시되지 않음). 밸브(63)는 구동 바디 아암(driving reed arm)(73)에 고정된 돌출부(lobe)(71)에 의하여 작동되는데 , 구동 바디 아암(73)은 바디 (74)가 완전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 마다 바디(74)에 부착된다. 복귀행정중에는 밸브가 작동하지 않는다. 나사(75)는 타이밍과 지속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파지장치(70)의 하우징(76)에는 비교적 작은 원통형 방(77)이 함입되어 있는데, 이 안에는 피스톤이 내장되어 있다. 피스톤(78)의 외측부에 형성된 파지플랜지(flange)(79)는 브라켓트(82)에 지탱된 스프링(81)에 의하여 하우징(76)의 벽면(80)에 밀착되고 있다.
체크밸브(83)는 방(77)의 상측에 위치하여 밸브(63)와 연결되어 있다. 방(77)은 도관(85)을 통하여 제어 니들(needle)밸브(84)에 연결되어 있으며, 배출구(86)는 밸브(84)에 접속되어 있다. 위사필라멘트(51)는 파지플랜지(79)와 하우징의 벽면(80)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안에 피스톤을 가진 방은 단지 사용될 수 있는 부품형태의 일예에 불과하며 , 다른 형태의 이동식 밀봉체(密封體 : seal)나 액체작동기로 사용될 수 있다.
제4도와 5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직조기는 제1도∼제3도의 장치를 포함한 것이다. 제4도에는 위사필라멘트(51)가 노즐(11)에서 분사되어 개구를 횡단하는 이동경로를 따라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 보여지고 있으며, 이의 동작원리를 제5도에 보다 상세하게 예시하였다.
제5도의 상부에 도시된 위사필라멘트는 방출액체 또는 물에 의하여 추진 이동되기 직전에 정지하여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이 위사필라멘트의 선단부는 자체중량에 의하여 꼬리(tail)처럼 처져있다.
꼬리의 길이는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노즐에서 나온 필라멘트(51)의 돌출부분이 1∼5cm정도가 되도록 조정하면 좋다. 동작 싸이클이 개시되면 , 물이 필라멘트를 포함한 노즐을 통하여 방출되는데 , 이때 필라멘트는 물과의 마찰에 의하여 계합됨으로써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구를 횡단하여 추진 이동된다. 물 또는 액체가 노즐로부터 방출되는 초기단계에서 물의 선단부분은 노즐로부터 나올 때 공기 저항으로 인하여 방울로 깨어져서 제5B도에서와 같이 "분무(spary)"를 형성한다. 역시 제5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단꼬리는 물과 계합되어 직선적으로 퍼지기 시작한다.
제5C도를 참조하면 꼬리는 필라멘트의 잔여분분과 같이 직선적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 초기 분무다음의 물줄기는 이와같이 필라멘트(51)를 일반적으로 선형 배열로 운반 및 추진시킨다.
제5D도에는 필라멘트가 개구를 횡단하여 추진되는 초기단계에서 물반송부와 함께 분사되고 있는 모습이 보여지고 있는데 , 이 시점에서 선단꼬리는 실제로 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S로 표시된 초기분무는 필라멘트를 따라 더욱 길게 퍼져있고 이 뒤에는 물줄기가 수반되고 있다.
제5E도에서, 물의 장입(裝入)이 중지하였을 때 물은 필라멘트(51)의 둘레에 일반적으로 원통형 줄기(104)를 형성한다. 초기 분무는 아직 필라멘트와 함께 수평상태로 이동하고 있으며 , 필라멘트는 경사필라멘트(22) 사이의 개구안으로 선형평면을 유지하고 있다. 물의 장입이 종료된 제5F도 및 제5G도를 보면 , 물은 필라멘트의 선단부분을 완전히 개구를 가로질러 이동시키는 동시에 필라멘트(51)의 나머지 부분을 개구안으로 인입시키고 있다. 물줄기가 개구안으로 진행될 때 물은 발산되기도 하지만 , 이 물의 양은 필라멘트(51)를 필라멘트가 주입되는 개구의 지점의 반대쪽까지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양이다.
제5G도에는 필라멘트의 선단이 이동경로의 종점에 도착하여 후술하는 적당한 장치에 계합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5A도∼5G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은 초기에 필라멘트(51)를 충분히 계합하여 그 둘레에 물줄기를 형성함으로써 필라멘트의 선단을 이송하는 동시에 필라멘트의 후단을 개구안으로 인입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단지 필라멘트의 선단부분에 만장입된 물이 둘러 쌓이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장입되는 물의 양은 개구에 걸쳐 측정하여 볼 때 필라멘트 길이의 20∼80%에 해당하는 양의 제공되어야 한다.
보다 많은 양의 물이 흐르게 되면 장입되는 물의 선단부분의 속도가 공기저항에 의해 늦어지는 한편 , 후단부분의 물이 선단부분의 물을 밀어내게 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부적당한 필라멘트의 배열(laying)이 생기게되어 필라멘트에 역효과를 가져온다. 물의 양은 물줄기까지 합하여 필라멘트 길이의 20∼60%정도(필라멘트의 선단에서부터 측정하였을 때)가 적당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45% 정도가 가장 적합하고 , 이러한 범위에서 우수한 필라멘트의 배열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한 장점은 공정 및 장치가 3.5∼4.9kg/cm2정도의 비교적 낮은 압력이 급수 시스템을 사용하여 조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압의 크기는 필라멘트 재료의 형태, 필라멘트 직경, 필라멘트가 이동해가는 개구의 폭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직경이 큰 필라멘트에 대하여 8.75∼14kg/cm2의 수압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염두해야할 사항은 물이 필라멘트의 선단부분에만 가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 어떤 경우에는 물에 첨가물을 넣어서 물이 필라펜트에 더욱 양호하게 부착되게 함으로써 물줄기의 이동에 대한 필라멘트의 저항이 감소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첨가물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공정 및 장치를 사용할때 분산되는 물의 용량은 필라멘트의 섬도(denier)를 포함한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변한다.
대개 물의 용량은 1위입(衛入 : pic kup)당 0.6∼2cc이고, 특히 0.8∼1.5cc가 적당하며 , 보다 만족스러운 결과는 1위입당 0.8∼1.2cc를 사용할때 얻어짐을 알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을 개구안으로 인입시키는 과정에서 물을 사용하여 필라멘트를 적당히 배열함으로써 종래의 물분사에 관한 제안이 안고있는 제반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6도 및 7도를 참조하면 , 본 발명에 따르는 물분사 시스템(제7도)으로 변환될 수 있는 대표적인 종래의 직조기(제6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6도에서, 종래의 직조기에 관련되는 동시에 제7도에 도시된 개량 직조기에 포함되는 부품들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제거되는 부품들은 제6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종래의 직조기는 당해 분야에서 주지된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라 변형 또는 제거되는 주요 부품만을 설명하고자 한다. 참조번호 200은 피크 아암(pick arm)(202), 감잡이쇠 (strap)(204), 픽커스틱(picker stick)(206), 피크축(pick shaft)(208), 피크캠(pick cam)(210), 북실공급장치(shuttle supply means)(212), 및 경사 정지탐지기(214)를 포함한 평행운동 부품들을 표시한다. 픽커스틱(206)과 관련하여 작동하는 우측레이(lay)부분(216), 북(218), 중심 포오크 위사운동장치(220), 레이빔(lay beam)(222), 위사캠(224), 피크캠(226), 위사캠 및 피크캠과 관련하여 작동하는 위사연동장치(filling linkage)(228), 정지로드(knock-off rod)(230), 및 좌측제어부분(232)등은 종래의 대표적 부품이다. 마찬가지로 단일 포오크 위사공급장치(single fork filler)(238) 푸쉬로드(240), 피크축(242) 및 크랭크축(244)등도 종래의 부품들이다.
제6도에 도시된 상기 부품들은 본 발명에 따라 종래의 직조기로부터 제거됨으로써 북직조기로부터 위입 시스템, 실의보빈, 북침운동, 평행운동, 위임운동 및 레이운동등이 완전히 제거된다.
이러한 부품들은 본 발명의 물분사 시스템에는 필요치 않다. 제7도에는 제6도의 종래 시스템이 변형된 직조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을 사용하여 물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위입동작에 적합하도록 변형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구유(through)과 같은 물저장장치(250)가 적당한 프레임 부재를 통하여 장치의 프레임에 부착되었고 , 위사필라멘트의 선단을 받아서 저장하는 장치가 이 물통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입구부(252)가 도관(254)을 통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위사필라멘트가 개구를 횡단하여 돌입될 때 , 위사필라멘트의 선단은 진공 시스템에 접근하여 계합됨으로써, 직조작업의 다음 단계를 위하여 보유된다. 레이 빔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캠(256)이 캠축에 첨가되었고 , 직조된 직물의 단(端)을 자르도록 한쌍의 절단기(256)가 부착되어 있다.
이 절단장치는 종래 공지된 기계적 절단기 또는 전기가열식 절단기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변환시스템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 변직(selvaging)장치(262)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장치는 1977년 4월 11일자로 출원된 본 발명자의 선출원(미국출원번호 786,596호)에 명세된 것이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 위사필라멘트를 공급하는 제1∼3도의 부품들이 장착되면 종래 시스템을 물분자 시스템으로 변환하는 작업의 완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공정은 50∼300섬도(denier)의 천연 및 합성필라멘트에 사용하여 만족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필라멘트가 비교적 직선적으로 인입되므로 위사필라멘트의 레이가 정확하게 조절되어 양질의 제품이 제조되며, 또 제한된 양의 물을 사용하므로 보다 경제적인 작동을 행할 수 있고 , 본 발명의 부품들을 종래의 것에 비해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경제적 이고, 적은 수량의 부품들을 이용하므로 현존하는 직조기를 본 발명의 물분사 직조기로 변환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부가적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여러 가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

  1. 제직도중에 경사필라멘트의 개구를 횡단하여 위사필라멘트를 전진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가압액체원과 자유선단(free leading end)을 가진 일정길이의 위사필라멘트를 준비한 후, 소정량의 가압액체를 흐름상태로하여(이 액체흐름의 선단은 상기 위사필라멘트의 자유선단을 계합한다) 이 액체의 흐름을 대향하는 경사필라멘트 사이로 향하게 하고 위사필라멘트가 경사필라멘트의 폭을 횡단하기 전에 상기 가압액체의 방출을 중단하는 과정으로 이뤄지며, 위사필라멘트가 경사필라멘트의 폭을 횡단하기 전에 가압액체의 방출이 중단되더라도 상기 가압액체의 소정량은 위사필라멘트를 경사필라멘트의 폭을 횡단하여 충분히 인입시킬 수 있는 양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분사 직조기의 위사필라멘트 전진방법.
KR7800416A 1978-02-20 1978-02-20 물분사 직조기의 위사필라멘트 전진방법 KR810001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416A KR810001752B1 (ko) 1978-02-20 1978-02-20 물분사 직조기의 위사필라멘트 전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416A KR810001752B1 (ko) 1978-02-20 1978-02-20 물분사 직조기의 위사필라멘트 전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752B1 true KR810001752B1 (ko) 1981-11-11

Family

ID=1920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416A KR810001752B1 (ko) 1978-02-20 1978-02-20 물분사 직조기의 위사필라멘트 전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75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4435A (en) Weft storage means for fluid jet loom
KR100516487B1 (ko) 직조 방적사를 삽입하는 방법 및, 방적사 공급 장치
US3378040A (en) Weft control means in a gripper loom
US3256914A (en) Weaving method and pneumatic loom
US3693668A (en) Pneumatic weft delivery means for shuttleless looms
US3750716A (en) Apparatus for supplying weft yarns
KR810001752B1 (ko) 물분사 직조기의 위사필라멘트 전진방법
US3280853A (en) Filling furnishing mechanism
US44100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neumatic insertion of a weft thread in the shuttle of a multi-feed weaving loom
JPH0447053B2 (ko)
US2654399A (en) Filling motion for shuttleless looms
US3124164A (en) Shuttle and heddle drive mechanism for
US3734143A (en) Measuring and length determining means for weft yarn in shuttleless looms
US3487436A (en) Weft thread cutting arrangement
IE44332B1 (en) Weaving loom comprising a pneumatically operated storage device for the weft yarn.
US3989069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weft tension in traveling-wave shedding looms
US2960117A (en) Weft inserting device for looms
EP0315235B1 (en) Method for preparing a weft thread on weaving machines, and weaving machines which use this method
CA1110522A (en) Water jet loom
US2954056A (en) Weaving machine
US4544001A (en) Weft yarn into the shed of a weaving machine
US1102110A (en) Loom.
US3851677A (en) Shuttle loom
US4553570A (en) Process for the insertion in the form of a loop of a weft yarn in the shed of a weaving machine and weaving machine equipped with a device for carrying out this process
US3447574A (en) Weft-gripper for shuttleless l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