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260B1 - 피복 마분지 용기(coated paperboard container) - Google Patents

피복 마분지 용기(coated paperboard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260B1
KR810001260B1 KR7703121A KR770003121A KR810001260B1 KR 810001260 B1 KR810001260 B1 KR 810001260B1 KR 7703121 A KR7703121 A KR 7703121A KR 770003121 A KR770003121 A KR 770003121A KR 810001260 B1 KR810001260 B1 KR 810001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plate
pair
plate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워어드 리시이크시 라바아트
Original Assignee
노오마 아아르 태타아
엑-셀-오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오마 아아르 태타아, 엑-셀-오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오마 아아르 태타아
Priority to KR7703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복 마분지 용기(coated paperboard container)
제1도는 윗 덮개에 본 발명의 지붕 및 경사진 윗 밀폐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피복 마분지 용기의 전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용기 전개판으로부터 제조된 용기의 전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을 따라 취한 상면도이며, 본 발명의 경사진 윗 밀폐부를 보여준다.
제4도는 제2도의 선 4-4를 따라 취한 저면도이며, 제조된 용기의 아랫덮개를 보여준다.
제5도는 밀폐상태의 윗 덮개에 대한 사시도이다.
제6도 및 제7도는 각각 제5도의 선 6-6 및 7-7 을 따라 취한 경사진 윗 밀폐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8도는 열린 상태에 있어서 내용물을 붓게되어 있는 윗 덮개에 대한 사시도이다.
제9도는 제1도와 유사한 용기 전개도이며, 접착제 피복형태가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약간 다르다.
제10도는 제1도와 유사한 용기 전개도이며, 안쪽 접착부에 있는 선의 안쪽 접착부의 양쪽 단부 중간에 놓여 있다.
제11도는 제1도와 유사한 용기 전개도이며, 안쪽 접착부에 각각 한쌍의 선이있고, 이들 선중의 하나는 제1도의 구체형태에서와 같은 위치에 있으며 다른 하나는 제10도의 구체형태에서와 같은 위치에 있다.
제12도는 제1도와 유사한 용기 전개도이며, 안쪽 접착부에 폭의 비교적 넓은 선이있다.
제13도는 제1도와 유사한 용기 전개도이며 바깥 지붕판의 높이가 서로 다르다.
제14도는 제2도와 유사한 확대도이며 제13도의 용기 전개판으로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 부분에 경사진 윗 덮개가 달린 피복 마분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우유, 크림, 기타 낙농제품, 쥬우스등의 음료수에 대한 용기는 통상적으로 열 가소성 물질로 피복된 마분지로 제조해 왔다.이러한 용기의 한가지 형태에서는 윗 덮개에 접힌 박공 지붕이 있고 지붕 마룻대로부터 밀폐부가 수직으로 나와 있어서 용기의 내용물을 꺼낼때 꼭지를 형성하여 붓게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용기들을 쌓아 올리려면 윗 덮개의 밀폐부가 수직으로 나와 있기 때문에 층마다 분리대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윗 덮개의 형상때문에 생기는 공간으로 말미암아 이들 종래의 용기를 적재할때의 저장공간을 잃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의 윗 단부가 경사진 윗 덮개로 덮혀있는 개량된 피복마분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사진 윗 덮개는 접힌 박공지붕과 이를 밀폐시키는 경사진 윗 덮개부로 되어 있으며, 윗 밀폐부가 경사진 각도로 위 및 옆으로 나와 있어서 용기를 직접 쌓아 올릴수 있고 따라서 필요한 저장공간을 줄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피복 마분지 용기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하고 있다. 접힌 박공지붕은 몸체 옆판의 윗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붕에는 바깥 지붕판의 상기 옆판에 연결되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3각형의 앞 및 뒷 박공판은 몸체의 앞 및 뒷판에 각각 연결되며, 3각형의 안쪽 지붕판은 박공판을 바깥 지붕판에 연결시킨다. 앞판 근처의 3각형 꼭지부분은 앞 박공판 및 안쪽 지붕판과 더불어 내용물을 붓는 꼭지를 형성한다. 바깥 접착부는 각각 바깥 지붕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접힌 앞 및 뒤의 안쪽 접착부는 안쪽 지붕판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바깥접착부의 가장자리는 직선형이며 해당바깥 지붕판으로부터 간격을 이룬다. 상기 접힌 박공지붕에는 경사진 윗 밀폐부가 경사진 각도로 이루며 위 및 옆으로 나와 있고 또한 변형될 수 있어서, 용기를 쌓아 올릴때 필요한 저장공간을 줄일수 있다.
상기 윗 밀폐부는 박공판으로 형성되며, 경사진 모서리가 앞 및 뒷판으로부터 연장되어 교차한다. 제1옆벽근체의 경사진 모서리가 이루는 각도는 제2 옆벽 근처의 경사진 모서리가 이루는 각도보다 약간 더 크다. 제1바깥 접착부와 이 접착부에 지붕 마룻대를 중심으로 경사진 윗 밀폐부가 향한 쪽으로 연결된 바깥 지붕판과를 합한 높이는 제2 바깥 접착부와 이 접착부에 지붕 마릇대를 중심으로 반대쪽에 연결된 바같 지붕판과를 합한 높이보다 더 작으며, 따라서 상기 제1 바깥 접착부는 제2 바깥 접착부의 가장자리를 넘지 않는다. 상기 안쪽 접착부는 비대칭 V자형 가장자리를 하고 있어서 각각 정점을 형성하며, 바깥 접착부의 직선 가장자리 못 미쳐서 끝난다. 안쪽 접착부의 양쪽 단부는 또한 바깥 접착부에 연결된다. 각 안쪽 접착부에서 상기 제1 바깥 접착부에 연결되어 해당 안쪽 지붕판으로부터 나와 있는 단부의 길이는 제2 바깥 접착부에 연결되는 다른 한 단부의 길이보다 더 작아서, 경사진 윗 밀페부의 접힌 안쪽 접착부의 가장자리 부분은 경사진 방향에서 서로 함께 끝나며, 따라서 밀폐부를 따라 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여준다.
본 발명의 제반 목적, 특징 및 잇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형태를 표시한 첨부도면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열 가소성 물질로 피복된 도 1의 마분지 전개판(20)으로부터 도 2의 용기(22)가 제조된다. 용기(22)의 몸체(24)의 윗 단부는 본 발명의 구체형태인 경사진 윗 덮개(26)으로 덮혀있고, 아랫단부는 아랫덮개(28)로 덮혀있다. 도 2, 3 및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사진 윗 덮개(26)에는 접힌 박공지붕(30)이 있고, 경사진 윗 밀폐부(32)는 지붕 마룻대(A)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나와있다. 아랫덮개(28)은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정4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용기 몸체(24)의 아랫 단부를 막고 있다.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용기 전개판(20)에는 여러개의 선이 있으며, 이들 선을 따라 전개판을 접음으로써 용기 몸체(24), 경사진 윗 덮개(26), 그리고 아랫 덮개(28) 등을 제조한다.
전개판(20)의 위 및 아랫단부 중간에는 직4각형의 옆판(34)가 직4각형의 앞판(36)에 연결되고 앞판(36)은 또 하나의 옆판(38)에 연결된다. 뒷판(40)도 옆판(38)에 연결되고, 용기 제조시에 접착부(42)를 통해서 옆판(34)에 연결된다. 접착부(42)를 뒷판(40)에 부착시킬때는 열 압착방법으로 용기 전개판의 열 가소성 물진 피복을 서로 결합시킨다.
아랫덮개(28)은 용기의 몸체(24)를 제조한 다음에 여러개의 3각형 및 4각형판(43)-(50)을 접어서 결합하여 만든다. 용기 제조시에 접착부(42)의 아랫 단부(42a)는 판(50)에 부착시킨다. 3각형판(44) 및 (48)을 서로 안쪽으로 접으면, 3각형판(43),(45) 및 (47),(49)등이 당겨져서 중첩되며, 동시에 4각형판(46) 및 (50)도 안쪽으로 당겨져서 3각형판위에 중첩되어 아랫 덮개(28)을 형성한다.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아랫덮개(28)은 덧붙인 형태를 하고 있으며, 판(50)의 접착부(50a)는 덮개의 중심선 (B)를 넘어서 판(46)의 접착부(46a)아래까지 연장되어 있다. 아랫덮개(28)은 마분지의 단일층(a), 2중층(b), 3중층(c), 4중층(d) 등 여러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은 고주파수 진동 밀폐장치나 또는 통상의 열 밀폐 장치로 밀폐시킨다. 아랫덮개(28)은 덧붙이지 않은 형태로 만들수도 있으며, 이때는 판(50)이 중심선(B)에서 끝나게 된다.
도 1에 표시된 용기 전개판(20)으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 및 아랫덮개를 만들고, 이렇게 부분적으로 완성된 용기를 내용물로 채운 다음에, 경사진 윗 덮개(26)을 제조한다. 윗 덮개(26)의 지붕(30)에는 몸체 옆판(34)에 연결된 4각형의 바깥 지붕판(52), 몸체앞판(36)에 연결된 3각형의 앞 박공판(54), 몸체옆판(38)에 연결된 바깥 지붕판(56), 그리고 몸체 뒷판(40)에 연결된 3각형의 뒷 박공판(58)등이 있다. 3각형의 안쪽 지붕판(53) 및 (55)는 각각 3각형의 앞 박공판(54)를 바깥 지붕판의 꼭지부분(52a) 및 (56a)에 연결시킨다.
마찬가지로 3각형의 안쪽 지붕판(57) 및 (59)는 각각 3각형의 뒷 박공판(58)을 바깥지붕판(56)및 (52)에 연결시키며, 이때의 연결은 접착부(42)의 윗부분(42b)를 판(59)에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윗 덮개(26)의 경사진 윗 밀폐부(32)에서는, 4각형의 바깥 접착부(60)은 바깥 지붕판(52)로부터 나와서 안쪽 지붕판(53) 및 (55)의 안쪽 앞 접착부(62)에 연결된다. 경사진 윗 밀폐부(32)의 바깥 접착부(64)는 바깥 지붕판(56)으로부터 나와서 안쪽 접착부(62)와 안쪽 지붕판(57)및(59)의 안쪽 윗 접착부(66)에 연결된다. 용기 제조시 안쪽 접착부(66)은 접착부(42)의 윗 단부(42a)에 결합함으로써 바깥 접착부(60)에도 연결된다.
경사진 윗 덮개(26)을 제조하려면, 우선 용기 전개판을 튜우브 형태로 만들고 3각형의 박공판(54) 및 (58)을 서로 안쪽으로 접는다. 이렇게 접으면, 박공판(54) 및 (58)에 연결된 안쪽 지붕판(53), (55) 및 (57), (59)는 중첩되게 이동하며, 또한 바깥 지붕판(52)및 (56)도 아래로 당겨져서 경사를 이루어 함께 지붕 마룻대(A)를 형성하고, 이 지붕마룻대로부터 경사진 윗 밀폐부(32)가 나오게 된다.
도 3 및 8에 표시되어 있는 결합부(68)은 열 또는 고주파수 진동을 압착 작용과 함께 이용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밀폐시킨다. 도 6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각 결합부(68)은 바깥 접착부(60) 및 (64)를 서로 밀폐시킬뿐 아니라, 이들 바깥 접착부를 그 사이의 접힌 안쪽 접착부(66)에 부착시킨다.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안쪽 접착부(66)은 안쪽 지붕판(57) 및 (59)를 통하여 3각형의 뒷 박공판(58)에 연결된다.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바깥 접착부(60) 및 (64)도 결합부(68)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지만, 3각형의 앞 박공판(54)에 연결된 안쪽 접착부(62)와는 완전한 밀폐를 이루지 않고 안쪽 접착부(62)에 접착제(70)을 입히고 또한 바깥 접착부(60) 및 (64)에 접착제(72) 및 (74)를 입힘으로써 서로 부착시킨다. 접착제로는 왁스등 적당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꼭지(76)이 형성된 위치에서 도 5의 닫힌 상태로부터 도 6의 열린 상태로 윗 덮개(26)을 열수 있게 된다. 앞 박공판(54)와 여기에 연결된 안쪽 지붕판(53) 및 (55)는 바깥지붕판(52) 및 (56)의 꼭지부분(52a) 및 (56a) 바깥 접착부(60) 및 (64)의 앞부분, 그리고 앞쪽 앞 접착부(62)등과 더불어 꼭지를 형성하며, 이 꼭지를 통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붓게된다.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바깥 접착부(60) 및 (64)는 바깥 가장자리 (60a) 및 (64a)가 직선이다. 바깥 접착부(60)에서 바깥 지붕판(52)로부터 가장자리(60a)까지의 높이는 바깥접착부(64)에서 바깥 지붕판(56)으로부터 가장자리(64a)까지의 높이보다 크다. 바깥 지붕판(52) 및 (56)에서 몸체 옆판(34) 및 (38)로부터의 높이는 동일하며, 이들 판을 연결하는 선은 3각형 박공판(54) 및 (58)을 앞 및 뒷판(36) 및 (40)에 연결하는 선보다 약간 위에 있어서 잘 접을수 있게 한다.
판(56) 및 접착부(64)를 합한 높이는 판(52) 및 접착부(60)을 합한 높이보다 짧기 때문에, 이들 바깥 접착부는 도 2에서와 같이 경사방향으로 나오면서도 아랫접착부(64)가 윗 접착부(60)을 넘지않고 서로 함께 끝날수 있는 것이다.
3각형의 앞 및 뒷 박공판(54) 및 (58)이 도 1에 표시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경사진 윗 덮개(26)을 형성하기가 용이하다. 박공판(54)의 경사진 모서리(78) 및 (79)는 몸체 앞판(36)과 각도(54a) 및 (54b)를 이루며 교차점(80)에서 서로 만난다. 마찬가지로 3각형 박공판(58)의 경사진 모서리(82) 및 (83)도 몸체 뒷판(40)과 각도(58a) 및 (58b)를 형성하며 교차점(84)에서 만난다. 각도 (54a) 및 (58a)는 지붕마룻대(A)를 중심으로 경사진 윗 밀폐부(32)가 옆으로 나온 방향의 반대쪽에 놓이며, 반대쪽의 각도(54b) 및 (58b)보다 약간 작다. 각도(54a) 및 (58a)는 약 46°이고 각도(54b) 및 (58b)는 약 47°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의 차이는 윗 덮개를 더 잘 접을 수 있게 하고 또한 윗 밀폐부(32)를 수평에 대해 약 15°-45°의 바람직한 경사로 밀폐시킬수 있게 한다.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안쪽 접착부(62) 및 (66)의 가장자리 (62a) 및 (66a)는 둔한 V자형을 하고 있어서 정점(86) 및 (88)을 형성한다. 안쪽 접착부(62)의 양쪽 단부(90) 및 (92)는 접착제(72) 및 (74)에 의해서 바깥 접착부(10) 및 (64)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안쪽 접착부(66)의 양쪽 단부(94) 및 (96)은 각각 바깥 접착부(6) 및 (6)에 연결되며, 후자와의 연결은 윗 접착부의 단부(42b)에서 이루어진다.
안쪽 접착부(62)의 양쪽 단부 중간에는 선(98)이 정점(86)과 교차점(80)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안쪽 접착부(66)에도 선(100)이 정점(88)과 교차점(84)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경사진 윗 밀폐부(32)를 밀폐시킬때, 이들 안쪽 접촉부는 각각 선(98) 및 (100)을 따라 접음으로써, 도 6 및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바깥 접착부(60) 및 (64)사이에 놓이게 된다. 안쪽 접착부(62)의 단부(90)이 안쪽 지붕판(53)으로부터 나온 거리는 단부(92)가 안쪽 지붕판(55)로부터 나온 거리보다 약간 더 크다. 마찬가지로, 안쪽 접촉부(66)의 단부(96)이 안쪽 지붕판(59)로부터 나온 거리는 단부(94)가 지붕판(57)로부터 나온 거리보다 약간 더 크다. 안쪽 접착부(62) 및 (66)은 그들 단부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가장자리(62a) 및 (66a)는 비대칭 V자형을 이루고, 또한 각도(54a), (58a) 및 (54a), (58a)가 다르기 때문에 선(98) 및 (100)은 양쪽 단부의 중앙에 있지 않다. 경사진 윗 덮개(26)을 접어서 도 6 및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밀폐시킬 경우, 안쪽 접촉부의 양쪽 단부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각 안쪽 접착부의 접힌 가장자리가 서로 함께 끝나서 바깥 결합부(68)로부터 안쪽으로 균일한 공간을 형성하여 기울였을때 밀폐부가 새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70), (72) 및 (74)는 안쪽 앞접착부의 단부(90) 및 (92)에 못 미쳐서 끝나므로 액체 밀폐부의 형성을 확실하게 한다.
도 1-8에 표시된 바와 같은 용기(22)는 위로 쌓을수가 있으므로 저장 및 운반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용기를 쌓아 올리면, 경사진 윗 밀폐부(32)는 도 2의 실선 위치에서 점선위치로 아래로 변형하게 된다. 이러한 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경사진 윗 덮개(26)은 쌓은 용기층 사이에 쿳션효과를 주어서 누출없이 용기를 운반할 수 있게 한다. 수직 밀폐부로된 접힌 박공지붕 덮개와는 달리, 본 발명의 용기는 쌓은 용기층사이에 적재판을 쓸 필요가 없다.
도 9-13은 도 1과 유사한 부분도이며, 본 발명의 용기 전개판의 다른 구체형태를 표시한다. 이들 각 구체형태는 상술한 용기 전개판에 대응하는 판 및 부분을 갖고 있고, 또한 후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도 1-8의 용기에 대해서 상술한 설명이 이들 변형된 용기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도 9의 용기 전개판(20a)는 도 1의 용기 전개판(20)과 마찬가지로 마분지판으로 만들지만, 바깥 접착부(60) 및 (64)에 입힌 접착제의 형태가 다르다. 안쪽 접착부(62)에 입힌 접착제(70)은 상술한 구체형태에서와 동일하지만, 바깥 접착부에 입힌 접착제(72a) 및 (74a)는 안쪽 접착부의 접는 선(98)에 해당하는 위치를 지나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착제(72a) 및 (74a)를 더 길게 하면, 이러한 전개판으로 만든 용기의 꼭지는 열기가 약간 더 쉽게 된다.
도 10-12에 표시된 각 용기 전개판의 구체형태는 특히 비교적 큰 용기를 제조하는데 알맞도록 약간 변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박공판의 경사진 모서리가 이루는 각도(54a),(58a) 및 (54b)(58b)가 다르기 때문에 안쪽 접착부의 선(98) 및 (100)은 해당 안쪽 접착부의 중심선에 있지 않게 된다. 크기가 비교적 작은 용기에서는, 이렇게 중심선상에 있지 않다는 사실이 안쪽 접착부를 접어서 경사진 윗밀폐부를 만드는데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용기의 크기가 커질수록 안쪽 접착부의 접는선이 중심선상에 있지 않다는 사실은 더웅 중요하게 된다. 도 10-12에 표시된 각 구체형태는 이러한 효과를 다른 방법으로 지니고 있다.
도 10-12의 구체형태는 물론 도 13의 구체형태의 경우에도 도 1 또는 도 9의 구체형태에서와 같은 접착제 피복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림 10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전개판(20b)의 안쪽 접착부(62)및 (66)에 형성된 선(102) 및 (104)는 정점(86) 및 (88)로부터 교차점(80) 및 (84)의 바로 왼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들 선(102) 및 (104)는 안쪽 접착부의 양쪽 단부(90), (92) 및 (94), (96)사이의 중간에 위치한다. 접어서 경사진 윗 밀폐부를 만들때는 안쪽 접착부의 중심선을 따라 접게된다. 교차점(80) 및 (84)근처의 피복된 마분지판은 변형을 일으켜서 선(102) 및 (104)는 교차점(80) 및 (84)에 대하여 간격을 이루게 된다.
도 11에서는 용기 전개판(20c)의 안쪽 접착부(62) 및 (66)에 각각 한쌍의 접는 선(106) 및 (108)과 (110) 및 (112)가 형성되어 있다.
안쪽 접착부(62)의 선(106)은 교차점(80)과 만나지만, 선(108)은 선(106)으로부터 간격을 이루며 평행하게 정점(86)으로부터 양쪽 단부(90) 및 (92)의 중간으로 연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안쪽 접착부(60)의 선(110)은 교차점(84)와 만나지만 선(112)는 정점(88)로부터 선(110)에 평행하게 양쪽 단부(94) 및 (96)의 중간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개판(20c)를 접어서 경사진 윗 밀폐부를 만들때에는 선(108) 및 (112)는 각 안쪽 접착부의 양쪽 단부의 중간을 접는 중심선이 되지만, 선(106) 및 (110)은 교차점과 일렬로 배치되어 경사진 윗 밀폐부가 경사방향을 취할때 접착부가 박공판(54) 및 (58)에 대하여 접힐수 있도록한다.
도 12에서는 용기 전개판(20d)의 안쪽 접착부(62) 및 (66)에 각각 폭이 넓은 선(114) 및 (116)이 형성되어 있다. 선(114) 및 (116)의 각각의 폭은 한쌍의 평행한 선(118) 및 (120)의 간격과 동일하다. 선(118)은 안쪽 접착부의 교차점(80) 및 (84)을 통해 연장된다. 선(120)은 접착부(62) 및 (66)의 양쪽단부(90), (92) 및 (64), (96)의 중앙에 위치하여 정점(86) 및 (88)을 통해 연장된다. 전개판(20d)로 경사진 윗 밀폐부를 만들때는, 선(114) 및 (116)의 폭이 안쪽 접착부의 중심과 교차점 사이의 차이를 수용하게 된다.
도 13에 표시된 용기 전개판(20c)는 바깥 지붕판(56) 및 바깥 접착부(64)만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전개판과 동일한 구조를 하고 있다. 판 (56) 및 접착부(64)를 합한 높이는 판(52) 및 접착부(60)을 합한 높이보다 작지만, 판(56)도 판(52)보다 높이가 작다. 따라서 바깥 지붕판(56)과 바깥 접착부(64)를 연결하는 선(122)는 바깥 지붕판(52)와 바깥 접착부(60)을 연결하는 선(124)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따라서 용기의 경사진 윗 밀폐부를 더욱 잘 접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선의 위치는 경사진 윗 밀폐부(32)를 접어서 도 14의 경사진 위치로 만드는 것을 도우며, 다음에 밀폐를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형태에 대하여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분야에 숙련자라면 여러가지 변화를 가할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화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접힌 박공지붕이 몸체 옆판의 윗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붕에는 한쌍의 바깥 지붕판이 상기 옆판에 연결되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며, 3각형의 앞 및 뒷 박공판은 몸체의 앞 및 뒷판에 연결되고, 3각형의 한쌍의 안쪽 지붕판은 상기 한쌍의 박공판을 상기 한쌍의 바깥 지붕판에 연결시키며, 앞판 근처의 3각형의 꼭지 부분은 앞박공판 및 한쌍의 안쪽 지붕판과 더불어 내용물을 붓는 꼭지를 형성하고, 한쌍의 바깥 접착부는 각각 한쌍의 바깥 지붕판으로부터 연장되며, 접힌 앞 및 뒤의 안쪽 접착부는 상기 한쌍의 안쪽 지붕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한쌍의 바깥 접착부의 가장자리는 직선으로 해당 바깥 지붕판과 간격을 이루고 있는 피복 마분지 용기에서, 상기 접힌 박공지붕에는 경사진 윗 밀폐부가 경사 각도로 위 및 옆으로 나오고 또한 변형할 수 있어서 용기를 적재할 때 필요한 저장공간을 줄이고, 상기 경사진 윗 밀폐부는 한쌍의 박공판으로 형성되며 이들 박공판에는 각각 한쌍의 경사진 모서리가 앞 및 뒷판으로부터 연장되어 교차하고 상기 제1 옆판 근처의 경사진 모서리가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2 앞판근처의 경사진 모서리가 이루는 각도보다 약간 더 크며, 제1 바깥 접착부와 이 접착부에 지붕 마룻대를 중심으로 경사진 윗 밀폐부가 나온 방향으로 연결된 바깥 지붕판과의 합한 높이는 제2 바깥 접착부와 이 접착부에 지붕 마룻대를 중심으로 반대쪽에 연결된 바깥 지붕판과의 합한 높이보다 더 작아서 상기 제1바깥 접착부는 상기 제2 바깥 접착부의 직선 가장자리를 넘지 않고, 상기 한쌍의 안쪽 접착부에는 비대칭 V자형 가장자리가 있어서 각각 정점을 이루며 상기 바깥 접착부의 직선 가장자리에 못 미쳐서 끝나고, 상기 각 안쪽 접착부의 양쪽 단부는 상기 바깥 접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바깥 접착부에 연결된 각 안쪽 접착부의 단부의 해당 안쪽 지붕판으로부터의 거리는 상기 제2 바깥 접착부에 연결된 다른 단부의 해당 안쪽 지붕판으로부터의 거리보다 작아서 윗 밀폐부가 경사진 상태에 있을때 접힌 안쪽 접착부의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함께 끝나게 되어 밀폐부를 따라 누출이 일어날 가능성을 줄이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마분지용기.
KR7703121A 1977-12-31 1977-12-31 피복 마분지 용기(coated paperboard container) KR810001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3121A KR810001260B1 (ko) 1977-12-31 1977-12-31 피복 마분지 용기(coated paperboard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3121A KR810001260B1 (ko) 1977-12-31 1977-12-31 피복 마분지 용기(coated paperboard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260B1 true KR810001260B1 (ko) 1981-10-08

Family

ID=1920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3121A KR810001260B1 (ko) 1977-12-31 1977-12-31 피복 마분지 용기(coated paperboard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26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7016A (en) Beveled edge carton and blank therefor
US5531375A (en) Packaging container and blank for producing the same
EP0061464B1 (en) Container and blank therefor
US5482204A (en) Carton bottom sealer
GB2115787A (en) Container having a flat end closure
EP0197614A2 (en) Bottom design of packing containers
US4211357A (en) Container and blank for constructing same
US4206867A (en) Container and blank for constructing same
JPS60158039A (ja) 保護シール及び開封ストリップを有する容器及び該容器のための素材
JPH0669814B2 (ja) 液体容器の為の平頂端蓋
US3118586A (en) Container construction
JPS61502252A (ja) 厚紙容器の為の平頂端蓋を形成するための素材及び平頂の液体運搬用の厚紙容器
WO1999008939A1 (en) Tetrahedral top carton
US5851630A (en) Container and blank for "duckbill" elimination
US4214697A (en) Liquid gable top carton with integral carrying handle
US4394954A (en) Container and blank for constructing same
KR810001260B1 (ko) 피복 마분지 용기(coated paperboard container)
US5018660A (en) Container and blank for constructing same
US3341104A (en) Corrugated fiber board container for liquids
US5029713A (en) Flat top container
WO1981001127A1 (en) Container with foldable gable top,and blank for constructing same
US3944130A (en) Container and blank
US4558814A (en) Reinforcement for bottom major horizontal score line of container
JPH0330261Y2 (ko)
AU538752B2 (en) Container and blank for construct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