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147B1 - 외과용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외과용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147B1
KR810001147B1 KR7801222A KR780001222A KR810001147B1 KR 810001147 B1 KR810001147 B1 KR 810001147B1 KR 7801222 A KR7801222 A KR 7801222A KR 780001222 A KR780001222 A KR 780001222A KR 810001147 B1 KR810001147 B1 KR 810001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temperature
stirring
minutes
glyco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1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오만 로우전세이프트 마이클
랜싱 웹 리차아드
Original Assignee
죤 제이 헤이간
아메리칸 사이아나밋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제이 헤이간, 아메리칸 사이아나밋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죤 제이 헤이간
Priority to KR7801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외과용품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합성 폴리에스텔 외과용품의 제조방법과, 이 방법으로 제조된 제품 및 그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분야에서 합성 외고용품의 제조에 랙타이드 폴리에스텔을 사용한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여러가지 폴리에스텔의 특성을 변조시킴에 공단량체를 종종 사용하여 왔다.폴리에스텔을 형성하는 통상의 중합방법은 적당한 환상 랙타이드의 개환 중합에 의한 것이다. 공중합체가 제조되는 경우 일개의 랙타이드는 다른 한개의 랙타이드와 공중합된다. 다른 환상물징이 공단량체로써 적당히 사용된다.
이들 환상물질에는 락톤과,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화합물이 포함된다.
유용한 중합 및 후-처리방법과 함께 외과용품의 제조과정이 본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다. 제조되는 외과용품에는 흡수성 및 비-흡수성 제품이 포함된다.
중합반응이 순차적으로 즉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개환중합을 통하여 공중합체의 랙타이드폴리에스텔이 형성되는 중합반응 과정을 관련 사용함으로써 합성 폴리에스텔 외과용품이 이롭게 제조된다는 것이 금번 발견되었다. 이것은 사용되는 공단량체를 계속 가하여 공중 합쇄를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중합과정을 단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치수가 안정되고 높은 결정성의 즉 높게 배향된 분자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중합체 능(能)의 통상적인 정도의 간섭에 당면하기 전에, 제조된 외과용품의 생체내 특성을 광범위하게 변조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 방법은 중합과정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공단량체를 사용하여 둘 또는 그 이상의 단계로 이용할 수 있다. 한단계 또는 그 이상의 단계에서 두개의 단량체는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요구에 따라서 각 단계에서 상이한 촉매를 사용한다.
순차적으로 공단량체를 가함으로써 동일한 용기내에서 연속적인 증합을 수행하는 것이 대체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요구에 따라서는 그 이상의 화학반응에 대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합체 일부를 제조, 사용하여 선택적인 상이한 반응용기내에서 폴리에스텔을 형성케 할 수 있으며, 이것도 역시 본 발명의 이점을 갖고 있으며 본 발명 범위에 속한다.
외과용품을 제조함에 사용하기 적당한 2종의 랙타이드는 L(-)랙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이다. 이들은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기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을 순차적인 중합과정에서 함께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2-케트-1,4-디옥산과 다음에 기술하는 화합물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과 같이 통상적으로 함께 사용되는 기타의 환상 공단량체도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랙타이드와 공중합시키기 위한 공단량체의 하나로써 사용된다. 즉
Figure kpo00001
-푸로피오락톤, 테트라메틸글리콜라이드, -
Figure kpo00002
부티로락톤, 감마부티로락톤, 델라-발레로락톤, 잎실론-카프로락톤, 피발로락톤과
Figure kpo00003
-하이드록시부틸산의 중간 분자의 환상 에스텔,
Figure kpo00004
-하이드록시 이소부틸산,
Figure kpo00005
-하이드록시발레린산,
Figure kpo00006
-하이드록시이소발레린산,
Figure kpo00007
-하이드록시이소발레린산, α-하이드록시카프로인산,
Figure kpo00008
-하이드록시-
Figure kpo00009
-에틸부틸산,
Figure kpo00010
-하이드록시이소카프로인산,
Figure kpo00011
-하이드록시-
Figure kpo00012
메틸 발레린산,
Figure kpo00013
-하이드록시헵타노인산,
Figure kpo00014
-하이드록시옥타노인산,
Figure kpo00015
-하이드록시데카노인산,
Figure kpo00016
-하이드록시미리스틴산,
Figure kpo00017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Figure kpo00018
-하이드록시리그노세린산,
Figure kpo00019
,
Figure kpo00020
-디에틸푸로피오락톤, 에틸렌카보네이트, 2,5-디케토몰폴라인, 에틸렌옥살레이트, 6,8-디옥사바이싸이클로[3,2,1]-옥탄-7-온, 디살리칠라이드, 트리옥산, 3-메틸-1,4-디옥산-2,5-디온, 3,5-디메틸-1,4-디옥산-2-은 등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용도의 하나는 무균의 가흡수성 합성 외과용품(특히 봉합선)의 제조에 관련하는 것으로, 이때 글리콜라이드가 폴리에스텔 제조에 있어서 주요 랙타이드 공단량체로서 이용된다. 본 분야의 현재의 상태를 상세한 흡수기구와 분자수준에 대한 고분자의 상세한 구조가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은 정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랙타이드(특히 L(-)랙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를 순차적으로 공중합시키는 것에 관련된다. L(-)랙타이드, 글리콜라이드 및 L(-)랙타이드를 각각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공중합시킴으로써 3-블럭 구조가 형성된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형성된 폴리에스텔은 글리콜라이드 중합체쇄의 양단 대부분에 유산(乳酸)단위를 갖는다.
AB 및 ABA형의 폴리(스티렌-b-부타디엔)(PSB)로 잘 알려져 있는 통상 세부류의 형태학적 단위, 즉 구상(球狀),봉상(棒狀)(즉 원통형) 및 판상(坂狀)이 출현되는 폴리에스텔단위에 있어서 부타디엔 단위에 대하여 80/20으로 나타났으며, 구상의 영역은 전자현미경사진에 의해서 관찰되었다.
비교적 큰양의 부타디엔 단위와 더불어 몰비가 감소함에 따라 미세형상 분류의 스티렌 단위 모형내의 구상부타디엔 단위로부터 스티렌 단위 모형내의 봉상 부타디엔 단위로 교체되며, 다음에 교호되는 판상의 단위로 교체된다. 부타디엔이 대부분을 차지할때까지 몰비가 더욱 감소하는 경우 스티렌 단위는 처음에 부타디엔 단위 모형내에 있어서 원통형, 즉 봉상의 미세형 분류로써 존재하고, 그후 몰비가 더욱 감소함ㅓ에 따라 스티렌단위는 부타디엔 단위 모형내에서 구상으로써 존재한다. 이에 관하여는 M. Matsuo, S 및 H. Asai, Polymer, 10권 79페이지(1967년도)를 참조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을 실제화시킴에 따라 가흡수성 봉합선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L(-)랙타이드 부분과 같이 비활성 단일중합체의 단량체부분 소량이 글리클라이드 단위쇄의 일단 또는 양단에 결합되는 폴리에스텔을 이용하게 된다. 안정된 부분이 비교적 소량으로 이용되며, 이에 따라 미세형 분류의 형태는 예컨데 글리클라이드 단위 모형내에 있어서 봉상의 L(-)랙타이드 단위로써. 모든 어둑 바람직하게는 글리클라이드단위내의 구상영역의 L(-)랙타이드 단위로써 존재한다고 생각된다.
외과용품은 위에서 기술한 폴리에스텔과 함께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과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텔로 부터 제조된다. 이오아 유사하게, 생성되는 외과용품도 통상의 방법으로 이용된다.
다음의 실시에는 본 발명을 실시함에 유용한 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특별히 지시하지 않는한 모든 부와 백분율은 중량에 의한 것이다
실시예1-2
Sncl21 H2O의 에텔용액을 10mg/ml의 라우릴 알콜을 함유하는 라우릴알콜의 에텔용액과 함께 만들었다. 상기 용액의 충분한 양을 두개의 중합반응관에 가하여, 용제가 제거되었을때 20.0g의 L(-)랙타이드 단량체에 대한 촉매와 라우질 알콜의 최종중량이 다음표 I와 같이 되도록 하였다.
[표 1]
Figure kpo00021
용제가 제거 된후 20.0g의 L(-)랙타이드를 각개 시험관에 가하였다. 시험관을 모두 전공으로 하고, 전공하에서 봉하였다. 다음에 이들을 24시간 동안 1800C의 유욕에 위치시켰다. 유욕에서 꺼네어 실온에서 냉각시켰다. 시험관을 열어서 wiley분쇄기로 중합체를 분쇄하여 20-멧쉬 스크린을 통과하게 한다음 500C,0.1mmHg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켰다. 시험관 1과 2로 부터 나온 중합체는 86%및 전환율로써 형성되었고, 각각 0.33과 0.27의 I,V를 가지고 있었다. 중합체로의 전환백분율은 건조후의 중합체 중량을 건조전의 중합체 중향으로 제하여서 얻었다. I. V는 30℃에서 측정한, 100ml의 헥사클로로아세톤에 건조된 중합체 0.5g을 녹인 용액의 고유 점도를 뜻한다.
고반모우터에 부착된 유리측과 테플론.
Figure kpo00022
(Dupont CO.wilmington, Delaware, U.S.A.)패를 교반기가 장치되고 알곤 실린더에 연결된 개스주입관이 부착된 100ml의 3구 환저 플래스크에 I,V가 0.33인 상기 폴리 L(-)랙타이드 7.0g을 가하였다. 이 플래스크를 알곤 깨스로 15분간 세척하였다. 이와 같은 깨스세척은 중합반응 과정중 계속시켰다. 이 플래스크를 1900C의 유욕에 위치시켰다. 반응기 내용물은 15분 내에 180±2℃에 도달되었다. 교반하면서 3.5g의 글리콜라이드를 가하고, 교반을 계속하면서 반응기 내용물의 온도가 180±20C에 30분간 유지되도록 유욕온도를 조절하였다. 다음에 30분간 반응기내용물의 온도가 200±20C에 도달되도록 유욕온도를 상승시켰다. 후에 나머지 글리콜라이드 31.5g을 가하고 교반을 계속하면서 반응기 내용물의 온도가 1.5시간동안 220±2℃에 유지되도록하였다. 이때 유욕은 제거하고 교반을 중지한다음 알곤세척하에 반응기 내용물이 대략 실온으로 되게 방치하였다. 다음에 알곤세척을 중지하였다. 유리플래스크를 부수고 중합체를 꺼내어 wiley 분쇄기로 분쇄하여 20멧쉬스크린을 통과하게 하였다. 3.0g의 분쇄된 중합체를 우선 600C60ml의 핵사플로로아세톤의 3.2수화물(HFAS)에 용해시켜서 피하주입용의 섬유상 쉬이트를 제조하였다. 600ml의 메타놀을 교반하면서 상기 용액을 적가하여 중합체를 침전시켰다. 여과로 중합체로 수집하여, 잔유하는 불소화된 용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2일간 soxhlet추출기에서 아세톤으로 추출하였다. 다음에 500C,0.1mmHg의 진공노(oven)에서 중합체를 하룻밤 건조시켰다. 중합체의 수율은 95%이었다. HFAS의 I.V는 0.77이었다. NMR로 측정한 중합체쇄내의 유산단위의 물%는 8.8이었다. 미분열분해기(D.T.A)에서 관찰한 흡열절정치로 부터 측정한 용점은 2180C이었다.
두번째 2-단계 동중합체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유리측과, 교반모우터에 부착된 테플론패들 교반기가 장비되고 알곤실린더에 연결된 개스 주입관을 갖는 100ml3구 환저 플래스크에 I.V가 0.27인 폴리L(-)랙타이드 4.0g을 교반하면서 가하였다. 이것을 15분간 알곤깨스로 세척하였다. 이와같은 알곤깨스세척은 다음의 중합반응증 계속하였다. 이 플래스크를 1900C 의 유욕에 위치시켰다. 반응기 내용물의 온도가 15분후 180±20C에 도달되었다. 다음에 3.6g의 글리콜라이드를 교반하면서 가하고 유욕온도를 조정하여 반응기 내용물의 온도가 30분간 180±20C에 유지되도록 하고 교반을 계속하였다. 다음에 유욕에 온도를 상상시켜서 반응기간 말단 30분간 반응기 내용물의 온도가 220±20C에 도달 되게하였다. 다음에 31.4g의 글리콜라이드를 가하고 교반을 계속하면서 반응기내용물의 온도를 220±20C에 1.5시간동안 유지시켰다. 이때 유욕을 제거하고 교반을 중지한다음 알곤세척하에서 반응기 내용물을 대략 실온까지 냉각되게 방치시켰다. 다음에 깨스세척을 중지하였다. 유리플래스크를 부수고 중합체를 꺼내어 wiley분쇄기에서 분쇄시켜 20멧쉬 스크린을 통과하게 하였다. 이중합체 3.0g을 600C의 60mlHFAS에 용해시키고 600ml의 메타놀에 이 용액을 적가하여 중합체를 침전시켰다. 중합체를 여과로 수집하고 soxlet 추출기에서 2일간 아세톤으로 추출하였다. 다음에 500C,0.1mmHg의 노에서 중합체를 진공건조시켰다. 중합체의 수율은 95%이었다. HFAS내의 I.V는 0.82였다. NMR로 측정한 중합체내 유산단위의 물 %는 5.9이었다. D.T.A장치에서 관찰한 흡열 절정치로 측정한 결과 용점은 2190C이었다.
[실시예 3]
99%의 전환율로 형성되고 I.V가 0.5이고 1.2mg의 Sncl2,2H2O와 7.5mg의 라우릴 알콜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풀리 L(-)랙타이드 시료를 제조하였다. 교반모우터에 부착된 유리측과 테플론패들 교반기와, 알골실린더에 부착된 개스주입관이 장비된 100ml의 환저플래스크에 10.0g의 폴리 L(-)택타이드를 장입시켰다. 이것을 알곤깨스로 15분간 세척하였다. 이 알곤 세척은 다음 중합반응중 계속하였다. 이 플래스크를 1900C의 유욕에 위치시켰다. 반응기 내용물은 15분후 180±20C에 도달되었다. 다음에 교반하면서 2g의 글리콜라이드를 가하고, 계속 교반하면서 유욕의 온도를 조정하여 반응기 내용물의 온도를 30분간 180±200C 유지시켰다. 다음에 유욕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반응말기 30분간을 반응기 내용물의 온도가 220±20C 되게하였다. 다음에 18.0g의 글리클라이드를 가하고, 계속 교반하면서 반응기 내용물의 온도를 1.5시간동안 220±20C유지시켰다. 이때 유욕을 제거하고 교반을 중지한 다음 알곤세척하에서 반응기내용물의 온도가 대략 실온까지 되게 방치하였다. 다음에 알곤세척을 중지하였다. 유리플래스크를 부수고 중합체를 wiley분쇄기에서 분쇄시켜 20-멧쉬스크린에 통과되게 하였다.
이 중합체 20.0g을 600C,400ml의 HFAS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교반하의 메타놀 4000ml에 적가하여 이 중합체를 침전시켰다. 중합체를 여과로 수집하고 soxhlet 추출기내에서 2일간아세톤으로 추출하였다.
다음에 50˚C, 0.1mmHg의 진공노에서 이 중합체를 하룻밤 건조시켰다. 중합체의 수율은 72%이었다.
HFAS내의 I.V는 0.60이었다. 중합체내의 유산 단위의 물 %는 NMR로 측정했을 때 33이었다. D.T.A장치에서 관찰한 흡열절장치로 부터 측정하였을 때 융점이 219˚C이었다.
[실시예 4]
교반 모우터에 부착된 유리축과 테플론 패들교반기 및 알곤실린더에 부착된 개스주입관이 장치된 100ml의 3구 환전 플래스크에, 200˚C에서의 가열기간을 1.5시간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하게 제조한 I.V 0.29인 플리 L(-)랙타이드 60.g을 가하였다. 이 플래스크를 알곤으로 15분간 세척하였다.
이알곤 세척은 다음의 중합반응증 계속하였다. 이 플래스크를 200˚C의 유욕내에 위치시키고 반응기 내용물의 온도가 200±2˚C에 달할때까지 유욕온도를 상승시켰다. 이러한 온도상승을 15분내에 수행하였다.
다음에 교반하면서 48.0g의 글리콜라이드를 가하고 반응기 내용물의 온도가 225±2˚C가 될때까지 유욕의 온도를 상승시켰다. 이 온도상승을 30분내에 수행도하였다. 이 온도에서 교반을 1.5시간동안 계속하였다.
다음에 6.0g의 L(-)랙타이드를 가하고(반응기 내용물을 교반하면서)이 온도에서 1.5시간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이때 유욕을 제거하고 교반을 중지한다음 알곤세척하에 반응기 내용물을 대략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다음에 깨스척을 증지하고, 유니플래스크를 부순다음 중합체를 꺼내어 wiley 분쇄기에서 분쇄시켜 20멧쉬스크린에 통과되도록 하였다. 이증합체 5.0g을 100ml의 HFAS에 용해시키고, 1000ml의 메타놀을 교반하면서 상기 용액을 적가하고 중합체를 침전시켰다. 여과로 증합체를 수집하고, soxhlet 추출기에서 2일간 아세톤으로 추출시켰다. 이증합체는 50˚C, 0.1mmHg의 진공노에서 건조시켰다. 중합체의 수율은 82%이었다. HFAS내의 I.V는 0.81이었다. NMR로 측정했을 때 중합체쇄내의 유산단위 몰%는 11.2었다. D.T.A장치내에서 흡열절정치로부터 측정한 융점은 2.6˚C이었다.
[실시예 5]
교반모우터에 부착된 유리측과 테플론 패들 및 알곤실린더에 부착된 개스주입관을 갖는 100ml의 3구 환저 플래스크에 I.V 가 0.42인 4.5g의 폴리(잎실론-카프로락톤)을 가하였다. 폴리(잎실론-카프로락톤)중합체는, 8.0mg의 SnCl22H2O와 500mg의 라우릴 알콜을 사용하고 L(-)랙타이드대신에 잎실론-카프로락톤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같이 제조하였다. 이플레스크를 1분간 알곤으로 세척하였다. 알곤세척은 다음의 중합반응중 계속유지하였다. 이플레스크를 190˚C의 유욕에 위치시키고 반응내용물이 15분후 180±2˚C에 도달하게 하였다. 교반하면서 1.35g의 글리콜라이드를 가하고, 교반을 계속하면서 반응내용물의 온도가 180±2˚C에 30분간 유지되도록 유욕온도를 조정하였다. 다음에 30분간 반응기 내용물의 온도가 220±2˚C가 되도록 유욕의 온도를 상승시켰다. 교반하면서 12.15g의 글리콜라이드를 가하고, 교반을 계속하면서 반응기 내용물의 온도를 220±2˚C에 유지시켰다. 이때 유욕을 제거하고 교반을 중지한다음 알곤세척하에 반응기 내용물이 온도가 대략 실온까지 냉각되도록 방치시켰다. 다음에 알곤세척을 중지하고, 유리플래스크를 부순다음 중합체를 꺼내어 wiley분쇄기로 분쇄하여 20-멧쉬 스크린을 통과하도록 하였다. 4.0g의 상기 중합체를 60˚C의 HFAS 80ml에 용해시키고, 이용액을 1000ml의 메타놀에 교반하면서 적가하여 중합체를 침전시켰다. 여과로 중합체를 수집하고, soxhlet추출기내에서 2일간 아세톤으로 추출하였다. 다음에 중합체를 0.1mmHg 50˚C의 노에서 하룻밤 진공건조시켰다. 중합체의 수율은 73%이었다. HFAS내의 I.V는 0.77이었다. NMR로 측정한 중합체내의 잎실론-하이드록시 카프로인산단위의 몰 %는 12.3이었다. 이것은 12.1중량 %의 카르로락톤 단위에 상응한다. D.T.A. 장치에서의 흡열절정치로부터 측정한 융점은 218˚C이었다.
[실시예 6]
교반모우터에 부착된 유리축과 테플론패들 및 알곤실린더에 부착된 개스주입관이 장비된 100ml의 3구환저 플레스크에 I.V가 0.34인 7.0g의 폴리(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를 가하였다. 폴리(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는 L(-)랙타이드 대신에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를 사용하고, 4.0mg의 SnCl2.H2O를 250mg의 라우릴 알콜과 함께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제조하였다. 이 플래스크를 알곤 깨스로 15분간 세척하였다. 알곤세척은 다음의 중합반응중 계속유지 하였다. 플래스크를 190˚C의 유욕에 위치시켰다. 반응기 내용물은 15분후 180±2˚C에 도달하였다.
다음에 교반하면서 3.5g의 글리콜라이드를 가하고, 교반을 계속하면서 반응기 내용물의 온도가 180±2˚C에 유지되도록 유욕온도를 조정하였다. 다음에 반응말기 30분간 반응기 내용물의 온도가 220±2˚C에 유지되도록 유욕의 온도를 상승시켰다. 그후 31.5g의 글리콜라이드를 교반하면서 가하고 계속 교반하면서 반응기 내용물의 온도를 1.5시간동안 220±2˚C에 유지시켰다. 이때 유욕을 제거하고 교반을 중지한 다음 알곤 세척하에 반응기내용물이 대략 실온까지 냉각되도록 방치하였다. 다음에 알곤세척을 중지하고, 유리플레스크를 부순다음 중합체를 제거하여 wiley분쇄기에서 분쇄시켜 20-멧쉬 스크린을 통과하도록 하였다.
이중합체는 5.0g을 60˚C HFAS 100ml에 용해시키고 1000ml의 메타놀을 교반하면서 상기 용액을 적가하여 중합체를 침전시켰다. 여과로 중합체를 수집하고 soxhlet추출기에서 2일간 아세톤으로 추출하였다. 이 중합체를 50˚C, 0.1mmHg의 진공노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중합체의 수율은 86%이었고, HFAS내에서의 I.V는 0.64이었다. NMR로 측정했을 때 중합체쇄내의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부터 유도한 단위의 몰%는 16.4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14.7중량%의 트리메틸카보네이트 단위에 상응한다. D.T.A에서의 흡열절정치로부터 측정한 융점은 218˚C이었다.
[실시예 7]
L(-)랙타이드(1612g), SnCl22H2O(0.204g)과 라우릴 알콜(4.77g)dmf 140˚C로 예열된 교반되는 반응기에 가하였다. 질소분위기하에 교반하면서 반응물을 30분간에 걸쳐 200˚C로 가열한다음 이온도에 2시간 유지시켰다.
반응기를 50mmHg로 진공화시키고, 반응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하였으며, 이동안 혼합물의 온도는 180˚C로 하강되었다.
반응기에 질소를 도입시켜 대기압으로 회복시키고, 5분간에 걸쳐 온도를 200˚C로 상승시켰다. 100˚C로 예열된 용융 글리콜라이드(5198g)를 가하고, 온도를 15분간에 걸쳐 225˚C로 상승시키고 이온도에 20분간 더 유지시켰다.
반응기내용물을 꺼내어 실온으로 냉각된 다음 중합체 덩어리를 부수었다. 다음에, 중합체를 분쇄시키고 중합체의 방적과 점도 측정전에 모든 휘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140˚C에서 11시간동안 8-10mmHg로 진공건조시켰다.
HFAS의 0.5%용액으로 30˚C에서 측정했을 때 중합체의 교유점도는 1.14이었다. 완성된 중합체내의 유산단위의 몰%는 NMR에 의하여 20.3%fh 측정되었다. 고온단계의 편광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한 생성물의 응용범위는 215-223.5˚C이었다.
건조된 중합체의 일부를 약 230˚C에서 조작되는 소형연속 압출기의 공급효퍼에 가하였다. 압출기는 60밀의 원통형 구공과 길이, 직경비율이 4 : 1인 금행이 장비되어 있는 것이었다. 압출물을 물로 급냉시키고 매분 44피이트로 수집하였다. 다음에 이것을 고온공기 연신기내에서 55˚C 원래길이의 4.5배 만큼 연신시켰다. 1.05의 I.V를 갖는 글리콜라이드의 시료를 압출시켜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한다음 상기 공중합체 섬유와 함께 3시간동안 135˚C에서 1mmHg의 압력으로 후처리하였다.
직경이 2.45밀인 공중합체 섬유는 높은 공단량체 함유량(20.3%)에도 불구하고 가속강도보유 시험에 있어서 이외의 인장-강도 보유성(34,600 p.s.i)와 대단히 우수한 최초 인장강도(96,5000 p.s.i)를 갖고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직경이 2.10밀인 단일중합체 섬유의 최초강도는 140,000 p.s.i. 이었고 가속시험에서 보유된 대응물의 강도는 25,300 p.s.i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공중합체 폴리에스텔은 배향전 용융상태에서 구형의 영역을 갖는 미세형 분류이며 이때 유산단위로 구성되는 쇄부분을 글리콜산단위 모형으로 그 자체가 중첩되어 있는 것이 그특징이라고 생각된다. 이와같은 미세형 분류는 L(-)랙타이드의 몰%가 약 25%까지 범위로 중합체쇄에 통합되는 경우에 존재한다고 생각된다. 유산단위의 원통형 영역은 유산단위의 약 25-40%로 우세하게 존재한다고 여겨진다. 이것은 L(-)랙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와 다음에 L(-)랙타이드를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중합시킨 결과로 폴리에스텔쇄의 양단에 유산단위가 우세한 경우와 유사하다.
용융상태에서 영역의 기하학은 추론적인 것이지만, 중합체의 형상분류나 침전존재의 확실성은 이들의 융점을 균일 중합체 주성분의 융점과 비교함으로써 실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바람직한 외과용품은 랙타이드 폴리에스텔로부터 제조된 무균의 가흡수성 합성 외과 봉합선으로, 상기 폴리에스텔은 글리콜라이드 단위 모형내 L(-)랙타이드 단위의 원통형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형 영역을 갖는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용되는 폴리에스텔은 상기 한바의 상대적인 양의 글리콜라이드단위와 L(-)랙타이드 단위를 가질 수 있다.
봉합선은 무균의 외과용바늘과 봉합선과의 조합물의 형태로도 될 수 있다. 통상의 봉합선 구조와 살균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섬조나 다섬조의 편복 폴리에스텔 방사를 봉합용 바늘 기부내로 크림핑 시킨다음 바늘달린 봉합선을 산화에틸렌과 같은 유독제를 사용하여 살균한다. L(-)랙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를 순차적으로 민속적으로 중합시켜 형성한 폴리에스텔을 여기에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외과용품은 혈관을 동여매는 경우과 같이 생조직을 고정, 이식시킴으로써 치료과정중 원하는 위치와 상호관계로 생조직을 보유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사용하기에 일반적으로 유용하나, 바늘이 달린 봉합선은 통상적인 봉합기술을 이용하여 상처의 연부를 함께 꿰맴으로써 생조직의 상처를 봉하는 특히 적합하다.
[실시예 8]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30g), SnCl22H2O (3.3mg) 및 라우릴알콜(0.133g)을 질소기류하에153˚C로 예열처리하고 교반한 반응기에 가했다. 온도는 30동안에 180˚C로 증가하였다.
그 온도에서 다시 30분간 교반한 후에 2.5g시료를 추출하고 글리콜라이드 (17g)을 가했다. 온도는 30분동안에 223˚C로 증가하였다. 이 온도에서 45분간 혼합물을 교반하고 글리코리드(153g)을 더 가했다. 교반은 이 중합체가 방출되는 온도에서 한시간 동안 계속되었다. 중합체는 냉각되고 10멧쉬의 스크린을 통과할만큼 미세하게 분쇄된 후 140˚C(0.25mmHg)에서 48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2.5g의 180˚C에서 취거된 폴리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시료를 메틸렌 클로라이드 내에서 용해하였다. 용액은 메타놀에 적하하여 침전된 중합체를 수집하여 40˚C(0.25mmHg)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생성된 단일중합체의 H.F.A.S내의 I.V는 1.32 (30˚C, 0.5%용액)이었다.
최종 공중합체의 I.V는 0.81이었다. 공중합체내의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단위의 농도는 NMR분석으로 17몰% 또는 15중량%였다. 비색분석에 의하면 유리전이온도는 32˚C이며 용융흡열의 최대지는 216˚C에서 발견되었다.
[실시예 9]
실시예 8의 공중합체는 4대 1의 길이대 직경비를 가지는 30ml 모세관을 통과하여 0.51bs/hr의 속도로 230˚C의 온도에서 압출되었다. 압출물은 실온의 수냉각욕을 통과하여 200ft/min의 속도로 보빈위에 수집되었다. 압출물은 다음 40˚C에 10ft/min의 속도로 고온의 공기실을 통과하여 연신율 5.2×로 연신되어 USP크기 6/10범위에 해당하는 단일필라멘트를 형성하게 된다.
연신된 섬유의 물리적 성질 : | 결절강도 : 78600 psi
직선인장강도 : 98600psi | 모듈러스 : 1300000 psi
직선인장강파괴신도 : 35% | 직경 : 0.096mm
[실시예 10]
실시예 9의 단일필라멘트 시료를 쥐에게 피하주입시켜서 21일 후 제거하여 직선인장강도를 인스트론사의 1125형 시험기로 측정하였다. 시료는 평균적으로 최초의 직선인장강도의 45%를 보유하였다.
[실시예 11]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20g), SnCl22H2O (4mg)와 라우릴알콜(0.199g)을 140˚C로 예열하여 교반한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반온혼합물은 이 온도에서 질소기류하에서 두시간 교반하여 50mmHg의 진공이 30분간 유지되었다. 진공은 질소와 함께 방출되고 140˚C로 예열한 글리콜라이드가 질소의 흐름하에 첨가된다. 반응기는 30분 이상 220˚C로 가열되어 다시 45분 동안 중합체가 방출되는 220-222˚C에서 유지되었다. 중합체는 냉각되고 작은 조각으로 절단되어 130˚C(1mmHg)에서 24시간 건조되었다.
헥사플루오로아세톤(HPAS)0.5%용액 내에서 30˚C에서 측정된 중합체의 I.V는 0.86이었다. 공중합체내의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단위의 농도는 NMR에 의하면 9몰%였다. 이 수치는 8중량%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단위에 해당된다. 시차비색분석으로 유리전이온도가 37˚C인 것을 발견하였으며 용융점위는 196-225˚C였고 용융흡열의 최대치는 221˚C였으며 용융열은 17.6Cal/g이였다. 이어서 중합체일부(130g)는 2ft2/hr의 질소유동하에 180˚C (0.2mmHg)에서 3일간 열처리되었다. 최종생성물은 120g의 중량으로 0.96의 I.V와 8.3몰%(7.4중량%)의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단위를 가졌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의 공중합체는 230˚C이 온도에서 4 : 1의 길이대 직경비를 가지는 60mil 모세관을 통과하여 압출되었다. 압출물은 실온에서 수냉각 욕을 통과하여 50ft/min의 속도로 보빈위에 수집되었다. 다음 압출물은 50˚C의 고열공기실을 지나서 8X로 연신되었다.
연신된 섬유의 물리적 성질 :
직선인장강 : 71500 psi
직선인장파괴신도 : 31%
결절강도 : 54400 psi
모듈러스 : 1280000 psi
직경 : 0.164mm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합성의 가흡수성 공중합 랙타이드 폴리에스텔로 형성된 무균의 외과용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합반응중 공단량체를 순차적으로 가함으로써 개량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품의 제조방법.
KR7801222A 1978-04-25 1978-04-25 외과용품의 제조방법 KR810001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1222A KR810001147B1 (ko) 1978-04-25 1978-04-25 외과용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1222A KR810001147B1 (ko) 1978-04-25 1978-04-25 외과용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147B1 true KR810001147B1 (ko) 1981-09-22

Family

ID=1920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1222A KR810001147B1 (ko) 1978-04-25 1978-04-25 외과용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14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28231A (en) Sequentially polymerizable block lactide copolyesters and surgical articles thereof
US4243775A (en) Synthetic polyester surgical articles
US4300565A (en) Synthetic polyester surgical articles
Kimura et al. Preparation of block copoly (ester-ether) comprising poly (L-lactide) and poly (oxypropylene) and degradation of its fibre in vitro and in vivo
CA1205235A (en) Poly(glycolic acid)/poly(alkylene glycol)block copolym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093792A (en) Bioresorbable copolymers
JP2986509B2 (ja) 変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2714454B2 (ja) 生体吸収性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4716570B2 (ja) 吸収性ポリマー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外科用物品
Cerral et al. Block copolymers of L-lactide and poly (ethylene glycol) for biomedical applications
CA1224600A (en) SURGICAL ARTICLES OF COPOLYMERS OF GLYCOLIDE AND .epsilon.- CAPROLACTONE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US20110015737A1 (en) Adhesion-preventing film
CN1166505A (zh) 可吸收的6,6-二烃基-1,4-二氧杂环庚烷-2-酮及其环状二聚物的共聚物和混合物
Hiljanen‐Vainio et al. Properties of ϵ‐caprolactone/DL‐lactide (ϵ‐CL/DL‐LA) copolymers with a minor ϵ‐CL content
JPH04103146U (ja) 合成コポリマー外科用物品
NO771902L (no) Vanligvis fast, bioabsorberbart, hydrolysebart, polymert reaksjonsprodukt, samt fremgangsm}te for fremstilling av et slikt
JPH03502651A (ja) 反復カーボネート単位を含むホモポリマーおよびコポリマーから製造された医療用具
KR100288103B1 (ko) 폴리에테르가 그라프트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Lee et al.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BA Block Copoly (ester-ethers) Comprising Poly (L-lactide)(A) and Poly (oxypropylene-co-oxyethylene)(B)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KR810001147B1 (ko) 외과용품의 제조방법
EP0611133B1 (en) Process of preparing an absorbable polymer
CN101519494A (zh) 高分子量聚吗啉-2,5-二酮衍生物的制备方法及共聚物的制备方法
CN113881021B (zh) 三元共聚物、缝合线及其制备方法、应用
DE2850824C2 (de) Chirurgische Gegenständ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Bezwada et al. Poly (p-Dioxanone) and its copoly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