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002B1 - 전동공구(電動工具)의 회전력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동공구(電動工具)의 회전력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002B1
KR810001002B1 KR7701408A KR770001408A KR810001002B1 KR 810001002 B1 KR810001002 B1 KR 810001002B1 KR 7701408 A KR7701408 A KR 7701408A KR 770001408 A KR770001408 A KR 770001408A KR 810001002 B1 KR810001002 B1 KR 810001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am
output shaft
switch
fixed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1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쓰소오 이께다
이꾸오 기다가와
Original Assignee
우에노 히로미쓰
오리무삑구 쓰리구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노 히로미쓰, 오리무삑구 쓰리구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노 히로미쓰
Priority to KR7701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7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ally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동공구(電動工具)의 회전력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부절결 종단 정면도.
제2도는 체착고정 종료한 때의 상태를 표시하는 일부종단 정면도.
제3도는 내지 제12도는 요부의 확대도로서, 제3도는 동력전달시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설정 회전력에 도달하였을 때의 확대 단면도.
제5도는 고정캠과 출력축과의 연결이 차단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6)-(6)선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7)-(7)선 단면도
제8도는 가동캠의 단면도.
제9도는 동 측면도.
제10도는 고정캠의 정면도.
제11도는 동 좌측면도.
제12도는 동 우측면도.
제13도는 내지 제24도는 타의 실시예를 표시하며,
제13도는 동력전달시의 확대 단면도.
제14도는 설정 회전력에 도달한 때의 단면도.
제15도는 고정캠과 출력축과의 연결이 차단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
제16도는 제13도의 (16)-(16)선 단면도.
제17도는 제14도의 (17)-(17)선 단면도.
제18도는 가동캠의 단면도.
제19도는 동 측면도.
제20도는 고정캠의 정면도.
제21도는 동 좌측면도.
제22도는 동 우측면도.
제23도는 회전통의 일부절결 정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24)-(24)선 단면도.
제25도는 전기회로도.
제26도는 코오드레스 방식으로 하였을 때의 전기 제어 회로도.
제27도는 교류전원을 사용하였을 때의 타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 제어회로도.
제28도는 설정 회전력과 모우터 관성의 관계도.
본 발명은 전동공구, 예컨데 전동 드라이버 등의 회전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전력 제어장치로서는 트랜스를 사용한 전기적인 것이 있으나 이 트랜스 사용에 의한 회전력 제어의 경우는 전원 전압의 고저에 의한 회전력 설정에 있어서 전압에 모우터의 회전수까지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되어 조립라인에 있어서의 나사(SCREW)체결부착 종료시간의 지연을 초래하는 등의 결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기적인 회전력 제어로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설치한 전류가 흐른 순간 전류를 단절하는 것과 같은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에 있어서는 모우터의 연속 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발열 등에 의한 자력 감소작용이 일어나서 전류의 변동이 생기게 된다.
그 때문에 전류 값이 오르며 설정한 전류값과 회전력과의 사이에 미묘한 변화가 생긴다.
또 설정된 회전력 즉 전류 값을 트랜지스터에 의하여 감지하는 경우, 그 감지하는 시간에 변동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회전력을 검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1차 전압은 반드시 변동되며 그 변동은 2차전압에까지 영향되어 모우터의 회전력이 변동이 생기게 되는 결함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회전력 설정을 나선 스프링의 탄발력에 따라서 행하며 그 설정된 회전력 보다도 큰 외력(부하)이 공구에 작용될 때 모우터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가 차단되어 분성력에 의한 체결을 방지하고 그리고 체결종료시의 충격, 반동을 해소하여 확실한 나사체결 작업을 행할 수 있는 회전력 제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a)는 하우징으로서 내부에는 모우터(1), 모우터(1)와 전원과의 사이의 회로를 개폐하는 스윗치(2)를 수납함과 아울러 전기한 모우터(1)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기(3)를 접속하고 그 감속기(3)의 출력축(3')에 고정 캠(4)을 계탈 자재하게 취부한다.
고정 캠(4)은 원통상으로 형성하고, 그 1측단(가동캠과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테이퍼가 형성된 기립부분(5)를 돌출 형성하고 그 기립부분(5)상호간에는 후기하는 가동 캠(8)과의 연결을 맡아보는 보올(9)이 감합하는 요부(6)를 형성한다.
또한 고정 캠(4)의 출력축(3')이 감합한 내측주면에는 출력축(3')축에 장착한 보올(10)이 감입 계합하는 요구(7)를 형성하고 보올(10)이 출력출(3')과 고정 캠의 양자간에 걸쳐서 위치할 때, 고정캠(4)은 출력축(3')과 일체로 회전하고 보올(10)이 고정캠(4)의 요구(7)에서 이탈되었을때 출력축(3')의 회전이 고정캠(4)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가동 캠(8)은 전기한 고정 캠(4)을 감입하는 바닥이 있는 통체로 하고, 그 전면 중앙에 취부 구멍(11)을 가지고 있는 보스부(12)를 돌설하여 공구(도면에선는 프라스 드라이버)(b)를 접속지승한 샤프트(13)를 감합함과 아울러, 전기한 취부구멍(11)의 내주면에는 샤프트(13)의 후부주면에 각설한 스프라인(13')이 감합하는 스프라인을 각설 형성한다.
또 가동 캠(8)의 보스부(12)를 돌설한 측과는 반대측의 저면, 즉 전기한 고정 캠(4)과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고정 캠(4)의 기립부분(5)과 대응시켜서, 보올(9)을 돌출시켜서 취부하고 그 보올(9)이 고정 캠(4)의 요부(6)에 감입계합하였을 때, 고정 캠(4)의 회전이 가동 캠(8)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가동 캠(8)의 취부구멍(11)에 감착 계합한 샤프트(13)는 그 선단을 하우징(a)의 전단에 나사부착한 조절나사 덮개(14)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시키며 그 돌출단부에 공구(b)를 착탈자재하게 접속지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동 캠(8)의 저면 중앙에는 돌출간(15)을 후방으로 향하여 돌출설치하며 그 돌출간(15)에 슬리이브(16)를 접동 가능한 모양으로 취부함과 아울러 돌출간(15)의 선단에는 확대두부(15')를 돌출 설치하여 슬리이브(16)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17)은 코일 스프링으로서 가동 캠(8)의 저면과 슬리이브(16)의 단면과의 사이에 걸쳐서 탄압 끼워넣고 항상 슬리이브(16)를 돌출간(15)의 개방단부쪽으로 밀어 제치고 그것에 의하여 출력축(3')에 장착된 보올(10)을 향상 상부로 들어올려서 고정 캠(4)의 요구(7)에 감입계합한 상태를 보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가동 캠(8)과 조절나사 덮개(14)와의 사이에 나선 스프링(18)을 탄압 수납하고 가동 캠(8)을 고정 캠(4)에 압압 접촉시킴과 아울러 조절나서 덮개(14)의 체착고정을 조절함에 의하여 나선스프링(18)의 압압력을 적당하게 조절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가동 캠(8)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모우터(1)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전기 회로에 대하여 설명하면 (19)는 가동 캠(8)의 측근에 설치한 신호발신 스윗치이며 그 가동 캠(8)의 전방에의 이동에 따라서 신호발신 스윗치(19)의 스윗치가 ON으로 되게 하며 그 것에 의하여 펄스상 출력이 나와서 모우터(1)의 구동이 정지된다.
신호발신 스윗치(19)와 모우터(1)와의 전기 결선은 제25도와 같으며
(20)은 DC 릴레이 (27)은 정역 체환 회로
(21)은 AC 릴레이 (28)은 전원(직류 전원)레규레이터
(22)는 저항 (29) 및 (31)은 DC 릴레이 (20)의 상개 접점
(23)은 정류기 (30)은 DC 릴레이 (20)의 상패 접점
(24)는 트랜스 (32)는 AC 릴레이 (21)의 체환 접점
(25)는 다이오드 (33)은 AC 릴레이 (21)의 상패 접점
(26)은 위상 제어회로 (49)는 AC 릴레이 (21)의 상개 접점이다.
따라서 신호발신 스윗치(19)의 작동에 따라서 DC 릴레이(20)가 동작하여 회전력 설정신호를 자기보전하고 DC 릴레이(20)의 상패접점(30)에 의하여 위상제어회로(26)의 게이트가 열리며 모우터(1)에의 공급전압(전원)을 단절한다.
또한 AC 릴레이(21)가 동작하여 자기 보전하는 동시에 모우터 회로(직류회로)를 열고, AC 릴레이(21)의 체환접점(22)에서 양극단을 단락시켜서 발전 제동작용에 따라서 모우터(1)는 순식간에 정지한다.
전기한 AC릴레이(21)가 동작하면 AC릴레이(21)의 상패접점(33)에 의하여 DC 릴레이(20)의 자기보전을 재설정하고 다음 차례의 검출동작에 대응시킨다.
그리고 하우징(a)에 취부하고 있는 스윗치(2)를 계속 조작하고 있는 동안 AC 릴레이(21)의 자기 보전을 유지하므로 모우터(1)는 정지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스윗치(2)의 동작을 해제하면 AC 릴레이(21)가 해제되며, 자기 보전은 해제되어서 1 싸이클의 동작을 완료하는 것이며 재차 스윗치(2)를 ON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한 바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다음에 회전력 제어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스윗치 조작레버(2')를 조작하여 스윗치(2)를 ON의 상태로 하고, 모우터(1)를 작동 시킨다.
모우터(1)의 회전은 감속기(3)의 출력축(3')에 계합된 고정 캠(4)에 나선 스프링(18)의 탄발력에 따라서 압접된 가동 캠(8)을 개재하여 샤프트(13)로 전달되며, 샤프트(13)에 접속지승된 공구(b)로 전달된다. (제3도 참조)
여기에서 공구(b)에 나선 스프링(18)의 설정 압압력 보다도 큰 외력(모우터의 최고 회저력보다는 작다)이 작용하면 공구(b)를 지승한 샤프트(13)는 회전을 정지하나 모우터(1)는 외력보다도 큰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우터의 출력축(3')에 계합 일체화된 고정 캠(4)은 회전을 계속한다.
따라서 샤프트(13)에 스프라인의 계합에 의하여 스러스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캠(8)은 회전을 정지한 상태로서 고정 캠(4)의 회전에 따라서 고정 캠(4)의 기립부분(5)만큼만 앞쪽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가동 캠(8)의 전방에의 이동에 따라서 그 가동 캠(8)이 측근에 설치된 신호발신 스윗치(19)의 스윗치가 ON으로 되어서 신호를 발신하여 모우터(1)의 회전은 순식간에 정지한다.
이 때에 출력측(3')고 고정 캠(4)을 계합 일체화시킨 보올(10)은 가동 캠(8)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서 그 가동 캠(8)과 일체의 돌출간(15)도 전방으로 이동하여 보올(10)에서 이반하고 그것에 따라서 보올(10)은 출력측(3')쪽으로 떨어져 들어가고 고정 캠(4)의 요구(7)에서 해제되어서 출력축(3')와 고정 캠(4)와의 동력전달은 단절된다 (제4도 참조).
출력축(3')과 고정 캠(4)과의 계합이 단절되면 고정 캠(4)은 출력축(3')데 대하여 자유의 상태로 된다.
그뿐 아니라 나선 스프링(18)의 탄발력에 의하여 가동 캠(8)은 후방(도면에서는 바른쪽)으로 압등되며, 가동 캠(8)에 설치되어 있는 보올(9)은 고정 요부(6)까지 이동한다.
이때에 고정 캠(4)은 출력축(3')에 대하여 자유의 상태로 있기 때문에 나선 스프링(18)의 탄발력에 의하여 회전 시켜진다.
따라서 출력축(3')에 장착된 보올(10)은 고정 캠(4)의 요구(7)에서 벗어나서 있기 때문에 출력축(3')의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며, 그 보올(10)은 코일 스프링(17)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슬리이브(16)를 앞쪽으로 밀어제치며, 모우터(1)의 정지 및 고정 캠(4)과 가동 캠(8)과의 이탈상태는 스윗치(2)를 ON으로 할 때까지 계속된다 (제5도 참조)
그리고 슬리이브(16)는 코일 스프링(17)의 탄발작용에 따라서 후방(오른쪽)으로 압압되며, 또한 보올(10)도 다시 슬리이브(16)의 압압접촉 작용에 따라서 상부로 떠올려 가려고 하고 있다.
그런데 스윗치(2)를 재차 ON으로 하면 모우터(1)는 회전하고 그것에 따라서 출력축(3')도 회전하는 바 그 출력축(3')이 1회전하면 출력축(3')에 장착된 보올(10)과 고종 캠(4)의 요구(7)가 합치하며 이것에 의하여 보올(10)을 코일 스프링(17)의 탄발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압압되는 슬리이브(16)의 이동에 수반하여 윗쪽으로 압압 상승되어서 요구(7)에 감입계합 한다.
따라서 출력축(3')과 고정 캠(4)은 계합 일치화하고 출력축(3')과 일체로 회전하며 그 회전력은 가동캠(8)으로 전달된다.
이상은 출력축(3')에 장착된 보올(10)과 고정캠(cam)(4)의 요구(7)와에 의한 휴지기구를 비치한 클러치 기구로서, 이는 모우터의 제동능력이 출력축(3')의 1회전이내에서 정지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모우터의 제동능력이 그 이하인 경우, 즉 출력축(3')의 1회전이내에서 정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3도 내지 제23도에 표시하는 유성기어 기구를 사용한 휴지기구를 구비하는 클러치 기구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하 그 클러치 기구에 대하여 설명하면 표시한 실시예에서 표시된 부재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 표현한다.
출력축(3')과 고정 캠(4)과의 계합은 출력축(3')에 장착한 보올(10)이 고정 캠(4)에 천설한 창구멍(34)에 감합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하는 바, 고정 캠(4)의 외측에는 회전통(35)을 회전자재하게 취부함과 아울러, 그 회전통(35)의 내측주면에 내치치차(35)를 형성하고, 그 내치치차(36)에 고정 캠(4)측에 축착한 치차(37)를 치합시키고 치차(37)는 출력축(3')의 외측주면에 형성한 치차(38)에 치합시킨다.
또 회전통(35)의 내측면에는 오목한 부분(39)을 요설하며 그 오목한 부분(39)과 전기한 고정캠(4)의 창구멍(34)에 걸쳐서 계합판(40)을 상하 접동자재하게 감합 장착한다.
따라서 동력 전달시 출력축(3')과 고정 캠(4)과는 보올(10)에 의하여 계합 일체로 됨과 아울러 고정 캠(4)과 회전통(35)과는 계합핀(40)에 의하여 계합 일체로 되며 출력축(3')의 회전에 수반하여 고정캠(4)의 회전은 전기 표시한 실시예의 클러치 기구와 동일하게 자동 캠(8)쪽에 전달된다(제13도 참조).
여기서 공구에 나선 스프링(18)에 설정 압압력보다도 큰 외력((모우터의 최고 회전력보다는 작다)이 작용하면, 공구(b)를 지승한 샤프트(13)는 회전을 정지하나 출력축(3')에 계합 일체화한 고정 캠(4)은 회전을 계속하며 그 것에 따라서 가동 캠(8)은 전기 표시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전방으로 이동하여 신호발신 스윗치(19)를 작동시켜 모우터(1)의 구동이 정지하며 출력축(3')과 고정 캠(4)과의 계합은 단절된다(제14도 참조).
그후 가동 캠(8)은 나선 스프링(18)의 탄발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밀려가며, 제15도에 표시한 상태로 되는 바, 이 상태는 재차 스윗치(2)를 ON 할 때까지 보전된다.
스윗치(2)를 ON하면 출력축(3')은 구동 회전하고 그것에 따라서 회전통(35)은 치차(38), 치차(37) 및 회전통(35)의 내치치차(36)이 교합관계에 따라서 출력축(3')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고정캠(4)의 창구멍(34)과 회전통(35)의 오목한 부분(39)이 합치하였을 때, 코일 스프링(17)의 탄발력에 의하여 슬리이브(16)가 후방(오른쪽 방향)으로 밀려가며, 그것에 의하여 보올(10) 및 계합핀(40)은 각각 상부로 압압 상승되며, 출력축(3')과 고정 캠(4) 및 회전통(35)은 일체적으로 계합되어 출력축(3')의 회전이 가동 캠(8)으로 전달 가능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출력축(3')에 설치한 치차(38)와 회전통(35)의 내치치차(36)와의 칫수의 비에 따라서 출력축(3')의 회전에 대하여 회전통(35)의 회전수를 임의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즉 고정 캠(4)과 가동 캠(8)과에 의한 클러치가 차단된 시점에서 출력축(3')이 2회전 혹은 3회전 하였을 때에 재차클러치가 결합되는 것으로 되며, 그것에 따라서 출력축(3')이 즉각 정치하지 않드라도 완전히 체착고정 완료한 나사 또는 볼트 등을 재차체착고정하는 것과 같은 결점을 확실히 해소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는 교류전원을 사용한 회저력 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직류전원에 의한 코오드레스방식의전동 공구의 회전력 제어장치에도 응용된다.
이하 그 제어장치의 전기제어 회로에 관하여 설명하면 전기 표시 실시예에 기계적 동작에 따라서 신호발신 스윗치(19)가 동작시켜지면 DC릴레이(44)가 동작하고 그 접점(45)에 의하여 DC 릴레이(46)를 작동시킨다.
DC릴레이(46)이 동작하면 그 접점(47)에 의하여 자기 보전함과 동시에 모우터 회로를 열고, 접점(48)으로서 양극단을 단락 시켜서, 발전 제동작용에 따라서 순간적으로 정지 시킨다.
그리고 하우징(a)에 취부되어 있는 스윗치(2)를 계속 동작하고 있는 동안 DC릴레이(48)가 자기 보전을 유지하므로 모우터(1)는 정지상태를 계속 보전한다.
스윗치(2)의 동작을 풀어놓으면 DC 릴레이(46)가 해제되며 1싸이클의 동작을 완료한다.
또한 재차 스윗치(2)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하여 전회와 동일한 동작을 반복할 수가 있다.
또 접점(45)은 DC 릴레이(44)의 상개접점, 접점(47)은 DC 릴레이(46)의 상개접점, 접점(48)은 DC 릴레이(46)의 체환 접점이다.
또한 제27도는 교류전원을 사용한 회전력 제어장치의 전기회로의 타실시예로서, 먼저 전원 스위치(MSW)를 넣어 드라이버 본체에 설치한 조작레버(2')를 조작하여 조작 스윗치(2)를 ON으로하면 모우터(1)는 정류기(SR1)와 검출 릴레이(50)의 체환 접점(32)과 검출 릴레이(50)의 상패접점(1-b)을 통하여 전력이 공급되어서 구동하고 체착고정을 개시한다.
또 이때에 제어용 전원 정류기(SR2)의 출력이 저항(R3)을 통하여 콘덴서(CO)를 충전하고 제어소자(SCR)의 게이트에 회전력 검출신호가 부여될 때까지 제어소자(SCR)는 대기상태에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체착 고정이 진행하여 소요의 설정한 회전력에 달하면 전술한 기계적 동작에 따라서 신호발신 스윗치(19)가 동작하여 신호를 제어소자(SCR)의 게이트에 부여한다.
제어소자(SCR)는 게이트 신호가 오면 ON으로 되나, 이때에 검출 릴레이(50)가 동작할 때의 동작전류를 콘덴서(CO)에 의하여 보충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검출 릴레이(50)는 동작할 수가 있다.
또 제어소자(SCR)는 게이트 신호가 없어져도 자기보전을 유지하나 제어용 전원 정류기(SR2)의 출력은 전파 정류 때문에 "ON" 전압점인 때에 제어소자(SCR)는 자기보전을 단절하게 되는 바 콘덴서(CO)에 의하여 그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어소자(SCR)가 ON으로 되면 검출 릴레이(50)이 동작하며 그 상패접점(1-b)에 의하여 AC입력 전원을 단절하고 출력용 정류기(SR1)의 출력을 "0"으로하여 모우터(1)에 가하여지는 전압을 없게 한다.
또 전기한 검출 릴레이(50)의 체환 접점(32)에 의하여 모우터(1)는 제동용저항(R5)을 통하여 단자사이를 단락하는 회로가 형성되어 급격하게 제동작용이 일어나서 모우터(1)는 순식간에 정지하게 되며 모우터(1)의 관성력(동력)을 흡수하고 있다
또한 전기한 신호발신 스윗치(19)가 동작한 시점에서 클러치 기구가 작동하여 모우터 출력축과 동력전달축을 분리하고 동력전달을 차단하고 있다.
여기서 일반으로 체착 회전력이 설정 조정 되느라고 동력의 전달을 차단하지 아니하면 모우터가 가지고 있는 관성력이 자연 소멸되는 시간(So)에 대응한 회전력(To)로 이행하여 버려서 결국 설정 회전력(Tk)보다 높은 회전력으로 체착고정이 행하여져 버린다.
그런데 본 발명과 같이 동력전달 차단을 행하면 관성력과 무관계로 설정 회전력 차단후에 있어서의 모우터(1)의 불필요한 관성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순간적으로 정지 제등을 행하고 흡수한다(제28도 참조).
순간적으로 정지한 모우터(1)는 정지상태를 계속하며 작업이 종료하며, 조작레버(2)를 복귀하는 것에 의하여 제어용 전원정류기( SR2)의 출력이 없어지며, 지금까지 자기보전을 계속하고 있던 제어소자(SCR) 및 검출 릴레이(50)가 보전에서 해제되므로 모우터(1)도 정지상태인 체로 원래의 평상상태로 된다.
재차 조작래버(2')를 조작하면, 전기한 바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제27도중 (C2)는 상폐접점(1-b)의 접점보호용 콘덴서, (R4)는 채환접점(32)의 접점보호용 저항, (27)은 정역채환 스윗치이다.
또한 신호발신 스윗치(19)는 리이드 스윗치, 무접점형 스윗치(예컨데 호울 IC등을 사용한 것)등으로 체환하여도 동일한 작동이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이므로 설정한 회전력에 달하였을 때 모우터 회전은 정지함과 동시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도 차단되며 따라서 관성력에 의하여 과도하게 체착고정 한다고 하는 결점을 해소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설정한 회전력에 도달할 때까지 나선 스포링은 압축하게 되어 1종의 댐퍼체(緩衝體)로서 작용하여 비스 혹은 볼트, 낫트의 체착고정을 충격력 없이 설정된 회전력으로서 완전하게 체착고정할 수 있다.
또 채착 고정 완료함과 동시에 동력전달기구가 완전하게 차단되기 때문에 전동공구를 지지하고 있는 작업자에게 반력은 전연 작용하지 아니하며, 종래의 공구에 비교하여 피로의 정도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고정캠과 가동캠에 의한 클러치 기구는 정회전시에만 작용하기 때문에 나사 체착고정의 실패, 나사 세우기 불량에 의한 조여넣음 부족의 경우, 나사의 제거에는 모우터가 가지고 있는 전회전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되며, 나사제거를 간편하며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설정회전력의 조절은 나선 스프링의 압축량에 의하여 행하기 때문에 설정 회전력의 변경이 대단히 용이함과 아울러 설정한 회전력의 보전도 확실히 행 할 수 있다.
따라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호발신 스윗치가 작동하여 스윗치를 오프로 한 경우 전기회로에 의한 브레이크가 작동함과 아울러 캠과 휴지기구에 의하여 고속 회전에 있어서도 관성력에 의하여 두 번 조여진다는 위험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한 가동-작업-정지까지의 단축할 수 있어 대단히 편리한 것이다.

Claims (1)

  1. 모우터의 출력축 선단에 고정캠을 계탈 자재하게 취부하고 공구를 접속 지승한 샤프트 후단에는 전기한 고정캠과 서로 대향하여 접합하는 가동캠을 축방향에 따라서 마찰 접촉동작 자재하게 함과 아울러, 그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취부하고 그 가동캠은 압압력 조정가능한 나선스프링의 압압력에 따라서 전기한 고정캠에 압착시키고 또다시 그 고정캠은 공구에 나선스프링의 설정 압압력보다도 큰 외력(부하)이 작용한 때 가동캠을 전방에 이동시키고, 그 가동캠의 이동범위 내에는 신호발신 스윗치를 설치함과 그 신호발신 스윗치는 조작 스윗치 ON의 상태에 있어서 모우터의 전원을 끊음과 동시에 모우터의 단자간을 단락시키고, 조작스윗치가 OFF로 될 때까지 그 상태를 보전하여 회로에 접속하고, 또한 모우터와 공구간에 동력전달이 차단되는 장치를 가짐과 동시에 그 장치를 구성하는 감속기의 출력축과 고정캠과의 사이에는 모우터의 제동능력에 알맞는 휴지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의 회전력 제어장치.
KR7701408A 1977-06-16 1977-06-16 전동공구(電動工具)의 회전력 제어장치 KR810001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408A KR810001002B1 (ko) 1977-06-16 1977-06-16 전동공구(電動工具)의 회전력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408A KR810001002B1 (ko) 1977-06-16 1977-06-16 전동공구(電動工具)의 회전력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002B1 true KR810001002B1 (ko) 1981-08-29

Family

ID=19204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1408A KR810001002B1 (ko) 1977-06-16 1977-06-16 전동공구(電動工具)의 회전력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00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8555A (en) Torque control device for an electrically-driven tool
US4231270A (en) Electrically driven fastening appliance
US5203242A (en) Power tool for two-step tightening of screw joints
US4615371A (en) Awning with resilient motor coupling
JP4721535B2 (ja) 電動回転工具
US5778989A (en) Screw driving tool
EP0525911B1 (en) Transmission for electrically driven tool
US7878090B2 (en) Handheld power tool, in particular a power drill or screwdriver
JPS6336881B2 (ko)
US20060032648A1 (en) Power screwdriver
US6404310B1 (en) Magnet switch having metal-molded resinous switch cover
US6166454A (en) Battery disconnection system
JP2983124B2 (ja) トルクコントロールレンチにおけるねじ締付作業の管理方法
KR810001002B1 (ko) 전동공구(電動工具)의 회전력 제어장치
US4610231A (en) Start safety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162639A (en) Load indicating nut wrench
EP0356519B1 (en) Reversible engine
US9808919B2 (en) Handheld screwing apparatus
EP0922854B1 (en) A starting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200069707A (ko) 페일 세이프 장치
GB2341985A (en) Battery disconnection system
CN211466180U (zh) 电动螺丝刀开关装置及电动螺丝刀
JPH0464811B2 (ko)
JPS6214337Y2 (ko)
US20220381362A1 (en) Valve control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