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917B1 - 전력 · 직류신호 변환기 - Google Patents

전력 · 직류신호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917B1
KR810000917B1 KR7701582A KR770001582A KR810000917B1 KR 810000917 B1 KR810000917 B1 KR 810000917B1 KR 7701582 A KR7701582 A KR 7701582A KR 770001582 A KR770001582 A KR 770001582A KR 810000917 B1 KR810000917 B1 KR 810000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current
integrator
puls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1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지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요고가와 쇼오소오
가부시기가이샤 요고가와덴기세이사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고가와 쇼오소오, 가부시기가이샤 요고가와덴기세이사구쇼 filed Critical 요고가와 쇼오소오
Priority to KR7701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력·직류신호 변환기
제1도는 본 발명의 변환기의 원리적 접속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변환기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구체적인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변환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각각 본 발명의 변환기의 실시예를 표시한 회로도.
본 발명은, 전력을 이에 대응된 직류신호로 변환하도록 한 전력·직류신호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력·직류신호 변환기는, 펄스폭 변조방식을 사용한 시분할 증배기를 사용해서 전력라인에 있어서의 전압과 전류를 곱셈하여, 그 결과의 평균치를 구하으므로서, 전력을 이에 대응된 직류신호로 변환하도록 한 것으로, 회로구성을 IC화하고, 그위에 소형, 경량, 저가격의 전력·직류신호 변환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력·직류신호 변환기의 원리를 표시한 블록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PL이 그 변환기로, 부하 LO가 접속된 전력라인의 전압 V가 부여됨과 동시에, 전력라인의 전류 A가 변류기 CT를 통해서 부여되는 입력회로 IP와 펄스폭 변조기 PWM 및 스케이팅 증폭기 SAA도 이루어진 것으로, 변환기 PL의 출력은 지시계 M에 의해서 지시된다.
또한, RE는 전압 V를 받아서, 이것을 직류의 전압 ±VC의 전압을 얻는 정류회로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력변환기중의 단상의 전력을 이에 대응된 직류신호로 변환하는 실시예에의 회로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P1, P2는 제1도에 표시한 전력라인의 전압 V가 부여되는 단자, IS, IL은 전력라인의 전류 A가 부여되는 단자, RE는 ±VC의 전압을 얻는 정류회로이다.
또한, 이 정류회로는 별도로 전원트랜스를 설치하고, 이 전원트랜스로부터 얻도록 하여도 된다.
PWM은 펄스폭 변조기로, 적분기(積分器) IG와 비교기 COM로 구성되어 있다.
적분기 IG는 증폭기 Ai과 입력저항 Ri 및 귀환콘덴서 Ci로 이루어 졌으며, 또 비교기 COM은 입력저항 RC1과 귀환저항 RC2및 C-MOS(콤프레멘탈리 MOM)의 낸드게이트 NG1과 낸드게이트 NG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낸드게이트 NG1에는 상기 정류회로 RE로 얻은 ±VC 볼트의 전압이 전원으로서 부여되어 있다.
이 비교기는 귀환저항 RC2의 작용에 의해서 자기이력(hysteresis) 특성을 갖는 것이다.
전력라인에 있어서의 전압 V가 인가되는 단자 P1은 적분기 IG의 입력저항 Ri에 접속되고, IG의 출력단을 비교기 COM의 입력저항 RC1에 접속되어 있다.
RF는 귀환저항이고, 적분기 IG의 가산입력단과 비교기 COM의 출력판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CT는 변류기, IP는 입력회로, SA는 스케이링증폭기, M은 가동코일형 지시계기, AS는 애널로그 스위치이다.
변류기 CT의 1차측은 전력라인의 전류 A가 부여되는 단자 IS, IL에 접속되고, 2차측은 입력회로 IP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IP의 출력단은 애널로그 스위치 AS, 스케이링증폭기 SA를 통하여 지시계 M에 접속되어 있다.
G1, G2, G3, G4는 각각 한쌍의 다이오우드가 서로 역방향으로 병렬접속된 회로이고, G1, G2는 인펄스입력에 대하여 적분기 IG, 입력회로 IP의 각 증폭기의 입력을 보호하고, G3은 입력인펄스에 대하여 애널로그 스위치 AS를 보호하며, 또, G4는 지시계 Ms을 보호한다.
애널로그 스위치 AS는 비교기 COM을 구성하는 낸드케이트 NG2의 출력신호e2에 의해서 그 도통이 제어되고, e2가 "1"인때 도통하고, "0"인때 차단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변환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지금 펄스폭 변조기 PWM을 구성하는 적분기 IG의 출력단, 비교기 COM을 구성하는 낸드게이트 NG1의 입력단, NG2의 출력단의 전위를 도시와 같이 각각 e0, e1, e2의 파형은 제3a,b,c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된다.
e2는 c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Es로 표시되는 구형파전압이 되고, 이 구형파전압은 저항 RF을 지나서 적분기 IG1의 임력단에 귀환된다.
즉, 적분기 IG는 피측정전압 V에 따라서 저항 Ri를 흐르는 전류 iV와 귀환전압 ±Es에 따라서 귀환저항 RF를 흐르는 전류를 가산 적분한다.
정상적인 동작상태에 있어서는 과변조가 되지않게 livl<lifl로 선택되어 있으므로, 적분기 IG가 iV와-if를 적분하고 있는 기간, IG의 출력전압 e0는 제3a도의 T1기간에 표시함과 같이 일정한 경사로 증가한다.
그리고, 이 T1의 기간중 전압 e1은 저항 Rc1과 Rc2의 비로 정해지는 경사로 제3b도로 표시함과 같이 상승하고, 그 전압이 낸드게이트 NG1의 최소전압 Vs에 도달되면 낸드게이트 NG2위 출력전압 e2가 "1"의 레벨이 되어서 급격히 상승한다.
적분기 1G의 출력전압 e0의 상승은 Rc1, Rc2, Vc, Vs를 정해지는 값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그후, 적분기 IG는 iV와 정(正)의 귀환전압 +Es에 따른 전류 +if를 가산 적분한다.
이때문에, 적분기 IG의 출력 e0는 3a도의 T2기간에서 표시함과 같이 T1의 기간보다 급격한 경사로 하강한다.
적분기 IG의 출력전압 e0가 부(負)의 방향으로 항하기 시작하면 전압 e1도 내리고, 그 값이 Vs가 되면 e1을 급격히 하강한다. 이와 같은 제3b도에 표시한 파형의 전압 e1이 낸드게이트 NG1에 가해지므로, 낸드게이트 NG2의 출력단의 전압 e2는 제3c도와 같이 ±Es로 표시되는 구형파 전압이 된다.
이와 같이, 적분기 IG의 입력단에는 T1의 기간 입력전압 V와 귀환전압 -Es와의 합이 주어지고, 또 T2의 기간에는 입력전압 V와 귀환전압 +Es와의 합이 주어진다.
즉, 적분기 IG는 그것에 주어지는 전압의 합이 0 이 되도록 구동된다.
이 때문에,
T1+=T2로 하면,
Figure kpo00001
의 식이 성립된다. 따라서,
Figure kpo00002
로 되고, 비교기 COM의 출력펄스 e2의 펄스폭은 전력라인에서 입력되는 전압 V의 크기에 비례해서 변조되게 된다.
한편, 단자 1S, 1L에서 주어지는 전력라인의 전류 A는 변류기 CT에 위해 소정의 값으로 변환되고, 입력회로 IP를 거쳐 에널로그 스위치 AS에 부여된다.
애널로그 스위치 AS는 펄스폭 변조기 PWM을 구성하는 비교기 COM의 출력 e2에 의해서 그 도통이 제어되는 것이므로, 애널로그스위치 AS의 입력측에 공급되는 전류는 펄스폭 변조기의 출력신호의 의해서 단속(斷續)되고, 스케이링 증폭기 SA의 출력측에는 다음식(3)으로 표시되는 전압 E0가 꺼내진다.
Figure kpo00003
(2)식과 (3)식에서
Figure kpo00004
로 된다.
(4)식에 있어서, Es는 일정하므로, Eo는 V와 I의 곱, 즉, 전력라인에 있어서의 전력 W에 대응된 전압이 된다.
이 전압 Eo는 스케이링 증폭기 SA로 스케이링 됨과 동시에 그 평균치가 취해지고, 이 평균치전류 Im은 지시계 M으로 지시된다. 지시계 M의 지시치는 전력 W이다.
스케이링 증폭기 SA는 정격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스케이링 및 증폭을 행한다.
스케이링 증폭기 SA의 귀환저항 R2는 가변저항으로 되어 있으며, 스케이링은 그 가변저항 R2의 값을 바꾸고, 즉 증폭도를 바꾸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직류신호 변환기는 IC에 의해 구성할 수가 있으므로, 소형, 경량, 저가격의 변환기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지만, 그외에 ①, 선택하는 부품이 없어 고정밀도의 것이 된다. ②, 배선공수와 조정공수가 적게 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케이링 증폭기 SA를 설치하고 그 스케이링 저항 R2를 조정하므로서, 각종의 정격을 스톡 생산할 수 있는 이점에 있다.
또, 각 증폭기에 다이오우드로 구성된 보호회로를 설치하였으므로, 입력인펄스에 강한 변화기를 얻을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제4도 3상 3선식의 전력·직류신호 변환기의 실시예를 표시한 회로도이다.
P1, P2, P3은 3상의 전력라인에 있어서의 전압단자, 1S, 1L, 3S, 3L은 각각 전류단자이다.
PWM1, PWM2는 각각 제1도에서 설명한 펄스폭 변환기와 동일구성의 펄스폭 변조기로, PWM2의 입력단은 전압단자 P1에 접속되고, PWM2의 입력단은 전압단자 P3에 접속되어 있다.
IP1, IP2는 각각 입력회로이고, IP1은 변류기 CT1를 통과하여 전류단자 1S, 1L에 접속되고, IP2의 입력단은 변류기 CT2를 통과하여 전류단자 3S,3L에 접속되어 있다.
AS1, AS2는 각각 애널로그 스위치이고, AS1에는 전류단자 1S, 1L에서 주어지는 전류 A1이, AS2에는 전류단자 3S, 3L에서 주어지는 전류 A3이 각각 공급되어 있다.
애널로그 스위치 AS1, AS2은 각각 펄스폭 변조기 PWM1, PWM2의 출력에 의해서 단속(斷續)되며, 스케이링 증폭기 SA의 출력단에는 제4식으로 표시한 전력을 가산한 전압 Eow, 즉
Figure kpo00005
가 얻어진다.
이 3상 3선식의 전력에 대응된 전압 Eow은 지시계기 M에 의해서 지시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관한 3상 3선식의 두효전력을 이에 대응된 직류신호로 변환하는 실시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 제5도의 회로에 있어서, 단자 P2를 저항 RP를 통하여 공통으로 접속해서 의사중성점을 만들었을 경우, V3=V31-V23, V1=V12-V31로 되고, 완전 평형전압에서는 V3은 V12에 대하여 π/2위상이 앞서고, V1은 V23에 대하여 π/2위상이 앞선다.
따라서, V1을 전력라인에 있어서의 제1상의 전류 A1과 곱셈하고, V3을 제3상의 전류 A3과 곱셈하면, 스케이링 증폭기 SA의 출력단에는 3상 3선식에 있어서의 무효전력(VAR)에 대응된 직류신호 Eoa가 얻어진다.
이 직류전압은 지시계 M으로 지시된다.
전압과 전류의 곱셈은 펄스폭 변조기PWM1, PWM2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펄스폭 변조기 PWM1, PWM2의 구성은 제2도에서 설명한 펄스폭 변조기 PWM과 동일구성이므로, 그 재성명은 생략한다.
제6도는 3상 4선식의 전력기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제6도에 있어서 Po는 중성점이다.
펄스폭 변조기 PWM1에는 단자 P1, P2에서 인가되는 전압 V1, V2가 가해지고, PWM2에는 단자 P2와 P3에 인가하는 전압 V2와 V3이 가해진다.
펄스폭 변조기 PWM1은 V1, V2와 전류단자 1L, 1S, 2S, 2L에 공급되는 전류 A1, A2를 곱셈하고, 또 펄스폭 변조기 PWM2는 V2, V3과 전류단자 2S, 2L, 3S, 3L에 공급되는 전류 A2, A3과를 곱셈한다.
이 곱셈결과는 스케이링 증폭기 SA에 의해서 평균화되고, 그 출력전압 Eot는 지시계 M에 의해서 지시된다.
펄스폭 변조기 PWM1, PWM2의 곱셈원리는 제2도에서 설명한 경우와 똑같다.
이와 같은 제4도 내지 제6도의 변환기는 제2도의 단상전력·직류신호 변환기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인 작용효과를 가진 3상 3선식의 전력, 3상 3선식 무효전력 및 3상 4선식의 전력을 각각 이에 대응된 직류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변환기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1)

  1. 그 입력단에 다이오우드로 구성된 보호회로(G1)를 가진 적분기(1G)와 자기이력 특성을 가진 비교기(COM)로 이루어진 펄스폭 변조기(PWM)와, 그 귀환회로에 가변저항기(R2)를 가진 증폭기로 된 스케이링 증폭기(SA)를 구비하고, 전력라인에 있어서의 전압(V)과 변류기(CT)에 의해서 꺼내어지는 전력라인에 있어서의 전류(A)를 상기 펄스폭 변조기(PWM)로 곱셈하고, 그 곱셈결과를 스케이링 증폭기(SA)를 통하여 꺼낼 수 있도록 한 전력·직류신호 변환기.
KR7701582A 1977-07-07 1977-07-07 전력 · 직류신호 변환기 KR81000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582A KR810000917B1 (ko) 1977-07-07 1977-07-07 전력 · 직류신호 변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582A KR810000917B1 (ko) 1977-07-07 1977-07-07 전력 · 직류신호 변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917B1 true KR810000917B1 (ko) 1981-08-19

Family

ID=1920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1582A KR810000917B1 (ko) 1977-07-07 1977-07-07 전력 · 직류신호 변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91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5463A (en) Electronic watt and/or watthour measuring circuit having active load terminated current sensor for sensing current and providing automatic zero-offset of current sensor DC offset error potentials
US4996637A (en) Electrical converter utilizing switched uni-directional and bi-directional energy sources
US4099227A (en) Sensor circuit
JP3221828B2 (ja) 電力変換方法及び電力変換装置
GB2160722A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A2069896A1 (en) Uninterrupted power supply system having improved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KR830006980A (ko) 역율조정기(力率調整器)
GB1571562A (en) Control circuit for an inductive load
US4092592A (en) Electronic kWh meter having virtual ground isolation
US4131847A (en) Device for measuring active and/or reactive component of AC current or AC power
US54502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MS current approximation
WO1990002441A1 (en) Regulated transformer rectifier unit
JP2661933B2 (ja) インバータの出力トランスの1次巻線を流れる電流の直流分の測定回路
US4055803A (en) Combined watt and var transducer
KR810000917B1 (ko) 전력 · 직류신호 변환기
US4145652A (en) Electric power to DC signal converter
US4092590A (en) Electronic three-phase four-wire system watt-hour meter
JPS57180395A (en) Voltage controller for inverter
US3988660A (en) Circuit for rectifying a three-phase alternating signal
EP0565656A1 (en) Ac/dc converter fault detector
US3622861A (en) Frequency changer
RU2054677C1 (ru) Счетчик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SU1188717A1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питани
JPS5911274B2 (ja) 無整流子電動機の制御装置
JPS62168063A (ja) 電力及び無効電力測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