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830Y1 - 구멍탄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구멍탄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830Y1
KR810000830Y1 KR2019800001054U KR800001054U KR810000830Y1 KR 810000830 Y1 KR810000830 Y1 KR 810000830Y1 KR 2019800001054 U KR2019800001054 U KR 2019800001054U KR 800001054 U KR800001054 U KR 800001054U KR 810000830 Y1 KR810000830 Y1 KR 810000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hole
plate
coal
re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1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훈
박광원
김재현
김영천
우주만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이주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이주천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19800001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8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8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9/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secondary air for completing combustion of fuel 
    • F23L9/04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secondary air for completing combustion of fuel  by discharging the air beyond the fire, i.e. nearer the smoke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22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with various types of fume after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5/00Combustion apparatus with arrangements for burning uncombusted material from primary combustion
    • F23B5/04Combustion apparatus with arrangements for burning uncombusted material from primary combustion in separate combustion chamber; on separate g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bustion Of Fluid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멍탄 연소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전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조립하여 내부를 설명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본 고안은 구멍탄 아궁이 및 난방용 연소기구로 사용하는 구멍탄 연소장치로서 연소중 연탄에서 발생하는 유해성이 큰 일산화탄소를 최종적으로 2차 연소 시키기 위한 실용신안공보부\ 제411호 공고번호 79-1100의 개량형 구멍탄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나온 구멍탄 연소기는 2차 및 3차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일산화탄소의 희석효과 및 재연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연소기와 재연소기의 부분으로 별도로 분리되어 있어 실용화시 단편적인 효과밖에 기대할 수 없었으며, 또한 실제로 연소기나 재연소기 하나만으로는 CO가스 발생량을 안전선 이하로 전혀 줄일 수 없었다. 그리고 종래의 구멍탄 덮개형 재연소기구는 덮개 내부에 설치한 연탄가스 및 화력의 체류 지연을 위한 격판 구성이 여러 가지 형태로 되었으며, 그 구조가 복잡하고 또 CO가스 재연소를 위한 외부의 차가운 2차 공기유입을 덮개 하주연의 재연소실에 직접 취입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차거운 2차 공기가 구멍탄 연소가스의 열을 저온화 시키며 또한 구멍탄 연소가스와의 혼합이 잘되지 않고 연소가스의 기류중에 별도의 유로를 따라 온돌로 유입되게 되어 재연소의 효율이 낮고 또 재연소가 되기도 전에 열기가 온돌로 유도되거나 재연소기의 하주변으로 2차 공기가 유입되도록 되어있어 실제로 통기력이 거의 없어 차거운 2차 공기가 덮개형 재연소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반대로 유입로를 따라 구멍탄 가스가 방출되기 때문에 연소가스중의 일산화탄소 함량이 아직까지 안전선 이하로 감소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구멍탄을 갈아 넣거나 연소통의 공기구멍을 닫았을 때에는 더욱 재연소의 효율이 낮은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그와같은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구멍탄 연소기와 CO 가스 재연소기를 하나로 결합하여 그 성능을 향상시킨 구멍탄 연소장치로서 구멍탄 연소장치의 연소통의 외벽으로 방출 손실되는 열을 이용하여 예열실에서 예열한 2차공기를 구멍탄 연소통의 상부 연소실에 취입되게 함과 동시에 연소실의 열기가 재연소기의 상, 하 지그자그형으로 통과 배열되면서 확산 재연소할 수 있게 재연소기를 설치하여 여기서 재연소된 열기는 배열 공간부로 하강되었다가 외통의 배열관으로 배출하도록 함으로서 구멍탄 연소실의 고온 유지와 예열실에서 예열한 2차 공기의 적절한 유입으로 재연소기 내부에 형성된 상하판의 원형간곡판으로 이루어진 상하 지그자그형 재연소실에서의 예열된 2차 공기와 구멍탄 연소가스가 와류 및 확산현상에 의해 잘 혼합되어 재연소가 효율적이어서 구멍탄 연소가스중 CO 가스의 전환율이 매우 우수하고 또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제독효율이 높아 이용가치가 크고 생산성이 높은 구멍탄 연소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고안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구조와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통(1) 내에 구멍탄 연소통(2)을 설치하여 받침원판(3)에 상치하고 외통(1) 상위에 뚜껑(4)울 덮게된 통상의 연소장치에 있어서, 외통(1)과 연소통(2)의 일측사이에 2차 공기 예열실(5)을 구획 형성하여 하부기공(6)에서 취입된 공기가 예열실(5)에서 500℃ 이상으로 예열되면서 연소통(2) 상부내벽에 천공한 2차 공기 취입공(6′)을 통해 연소실(10) 내로 유입되게 하고 연소통(2) 상부 내면에는 재치턱(7)을 형성하여서 하판(11) 중앙에 통상의 집열분화구(12)와 내저면에 원형간극판(13)을 형성하고 상판(11′)하부에 원형간극판(13′)을 이중으로 형성하여 상하판(11)(11′)을 상호 결합하여서 그 원형간극판(13)(13′) 사이에 상하 지그자그형 재연소실(14)(14′)을 구성한 재연소기(15)를 상치하였다.
그 상, 하 지그자그형 재연소실(14)(14′)은 상,하판(11)(11′)의 원형간극판(13)(13′) 사이에 형성된 지지돌기(16)에 의하여 받쳐지도록 결합 형성하고 재연소기(15)는 일산화탄소의 전환측 매제가 삽입 주설하거나 내면에 도포 형성한다.
구멍탄 연소통(2)과 외통(1) 사이에는 2차 공기 예열실(5)을 제외한 별도의 배열공간부(17)를 형성하여서 열기가 배열공간부(17)로 하향되었다가 연소통(2)의 외벽으로 방출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통기력이 향상되어서 외통(1) 일측의 하부에 천공한 배열공(18)으로 배열되어서 외통(1)에 밀착 형성한 배열관(19)으로 배열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0은 구멍탄 연소통(2)의 1차 공기유입구, 21은 구멍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구멍탄 연소통(2)내에 구멍탄(21)을 넣은 다음 재치턱(7)에 재연소기(15)를 재치시키고 외통(1) 상위에 뚜껑(4)을 덮어 연소케되는데 본 고안은 구멍탄(21) 연소에 필요한 1차공기는 공기유입구(20)을 통해 구멍탄(21) 상부로 상승되어서 구멍탄의 연소화력이 연소실(10)로 상승될 시에는 기공(6)으로 취입된 2차공기가 예열실(5)에서 500℃ 이상으로 예열되어 통기력이 증강된 상승기류를 타고 연소통(2) 상부 2차 공기 취입공(6′)을 통해 연소실(10)에 취입케 되고 또 재연소기(15)의 하판(11) 중앙에 형성된 집열분화구(12)로 구멍탄 연소가스와 예열된 2차 공기가 화력과 동시에 집열 통과하면서 상, 하판(11)(11′)의 내면에 형성된 원형간극판(13)(13′)으로 구성된 상, 하 지그자그형 재연소실(14)(14′)에서 사방으로 점차 넓게 확산되며, 이 재연소실(14)의 굴곡부위에서 와류 및 확산현상이 일어나 예열된 2차 공기와의 혼합이 충분히 일어나며, 또 하판(11) 밑의 연소실(10) 및 구멍탄 연소부위의 방사열에 의해 고열부위가 이루어지므로 구멍탄가스 중 CO 가스가 충분히 재연소케 된다. 이때 미반응한 CO 가스는 접촉면적이 점차 넓어지게 구성되어 있는 원형간극판(13)(13′)과 접촉하면서 재연소에 필요한 체류시간이 충분히 연장되므로 인하여 원형의 재연소기(15) 내의 중심부에서부터 점차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2차 공기의 확산 및 혼합효과가 증대되어 통과되면서 재연소를 촉진하게 되므로 CO 가스의 함량이 안전선 이히로 재연소되는 효과가 있고, 또 연소실(14)(14′)에서 화력은 구멍탄(21) 연소열의 복사, 고온부인 연소실(10)에 연소통(20)과 외통(1) 사이에 구획형성된 예열실(5)의 예열공기가 취입공(6′)으로 취입케되므로 열 전달 및 CO 가스의 재연소에 의해 최대로 강하게 발열케되므로 재연소반응이 잘 이루어져서 미반응 CO 가스의 제독효율의 향상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렇게 연소된 열기는 외통(1)과 연소통(2) 사이에 형성된 배열공간부(17)로 하향되었다가 연소통(2)의 외벽으로 방출되는 열에 의해 배기가스가 가열되어 통기력이 증강되어서 외통(1)의 측면 및 하부에 천공된 배열공(18)을 통해 배열관(19)으로 배열되어서 온돌에 진입케되므로 안전한 온돌난방을 이용할 수가 있으며 취사시에는 뚜껑(4)을 열고 재연소기(15) 상부에 솔을 올려놓으면 가열된 상판(11′)은 물론 주연부로 화력이 강하게 올라오므로 취사에도 지장없이 이용이 가능한 것이며 재연소기(15)의 구성은 집열분화구(12)와 원형간극판(13)(13′)으로된 상, 하판(11)(11′)의 결합으로 된 것이어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한 이점도 있다.

Claims (1)

  1. 구멍탄 연소통(2) 상부에 예열실(5)의 2차 공기 취입공(6′)을 천공한 위에 재치턱(7)을 형성하여 하판(11) 중앙에 집열분화구(12)와 원형간극판(13)을 형성하여 상판(11″) 하부에 원형간극판(13′)을 형성한 상하판(11)(11′)을 결합한 재연소기(15)를 재치하여 원형간극판(13)(13′) 사이에 재연소실(14)(14′)을 형성하여서된 구멍탄 연소장치.
KR2019800001054U 1980-02-21 1980-02-21 구멍탄 연소장치 KR810000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1054U KR810000830Y1 (ko) 1980-02-21 1980-02-21 구멍탄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1054U KR810000830Y1 (ko) 1980-02-21 1980-02-21 구멍탄 연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830Y1 true KR810000830Y1 (ko) 1981-07-02

Family

ID=1921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1054U KR810000830Y1 (ko) 1980-02-21 1980-02-21 구멍탄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8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3785A (en) Wood stove having catalytic converter
DE3684686D1 (de) Pyrolysereaktoren zur herstellung von gaskraftstoffen.
US3237679A (en) Radiant burner with vented burner surface
US4646712A (en) Solid fuel heating appliances
RU2619434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жигания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US4479921A (en) Solid fuel heating appliance and combustor apparatus therefor
RU258720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жигания
US4630553A (en) Dual stage combustion furnace
US4484530A (en) Dual stage combustion furnace
US4731017A (en) Radiation heating apparatus
US1978517A (en) Gas burner
US4510918A (en) Woodburning heating apparatus
RU173717U1 (ru) Отопительная печь
KR810000830Y1 (ko) 구멍탄 연소장치
RU92004470A (ru) Кольцевая секционная печь
US4473059A (en) Wood burning stove
JPS60155813A (ja) 金属およびセラミツク物体のラツカを除去する装置
US5201307A (en) Insulated firebox for swimming pool or spa heaters for reduction of smoke or odor
KR850700154A (ko) 고체 연료용 난방장치
GB1500494A (en) Pyroscrubber
EP0254321A3 (en) Stove for solid fuel
RU2005958C1 (ru) Печь для сжига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х видов топлива
CN109268878A (zh) 炉灶
KR900002673Y1 (ko) 구멍탄 가스제독 보온덮개
RU206434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жигания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