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813B1 - Method of preparing polyisocyamate that has circular foams - Google Patents

Method of preparing polyisocyamate that has circular foa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813B1
KR810000813B1 KR7502308A KR750002308A KR810000813B1 KR 810000813 B1 KR810000813 B1 KR 810000813B1 KR 7502308 A KR7502308 A KR 7502308A KR 750002308 A KR750002308 A KR 750002308A KR 810000813 B1 KR810000813 B1 KR 810000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mold
foams
bubb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23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히로시 고마다
구니야쯔 나까무라
료오이찌 미야가끼
Original Assignee
히로시 고마다
니혼 소프란 가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고마다, 니혼 소프란 가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시 고마다
Priority to KR7502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8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813B1/en

Links

Images

Abstract

Polyisocyanate foams prepd. in a mold having a foam height detector and retreatable side walls have isotropic bubbling properties. As X and Y direction of four parts in mold container can be moved freely, bubbles of foam can be transformed into isotropic foams without pressing around foams. So the bubbling pressure of the foams in a mold is lowered to prepare polyurethane foams with isotropic mechanical properties.

Description

등방성(等方性)기포를 갖는 폴리이소시안네이트계 발포체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polyisocyanate-based foam having isotropic foam

제1도는 종래 발포체의 자유상승방향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ventional foam in the free rising direction.

제2도는 본 발명 발포체의 자유상승방향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free rising direction of the foa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한 발포용기의 외부주형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mold of the foam container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내부주형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mold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저판(底板)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plate which is an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기포가 완성된 후 내부주형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mold after the bubble is completed.

제7도는 기포조성물이 주입되기전 내부주형의 위치를 표시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inner mold before the bubble composition is injected.

제8도는 내부주형을 외부주형에 놓은 위치를 표시한 평면도.8 is a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 where the inner mold is placed on the outer mold.

제9도는 내부주형과 외부주형을 기포조성물의 주입직전에 설치한 위치를 표시한 일부 단면도.9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the inner mold and the outer mold are installed just before the injection of the bubble composition.

제10도, 제11도 및 제12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조 순서에 따른 공정도.10, 11 and 12 are each a process chart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sequ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3도 및 제14도는 각각 본 발명에 사용되는 주형의 변형예를 표시한 사시도.13 and 14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mol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15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주형의 변형예를 표시한 평면개략도.Fig. 15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mol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기포방향과 규격상의 안정성에 관계없이 모든 방향에서 물리적 성질이 균일한 등방성(等方性)기포를 갖는 폴리이소시안네이트계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isocyanate-based foam having isotropic bubbles having uniform physical properties in all directions regardless of bubble direction and stability in specification.

종래에 폴리우레탄계 발포체의 성형방법과 장치는 공지되어 있으며, 여러분야에 응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과 장치에 의하여 성형된 발포체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긴 직경을 갖는 타원형 기포를 갖는다. 그리고 기포방향에 따른 변형하는 폴리우레탄의 상이한 물리적 성질도 역시 기포구조에 관계가 있다.Conventionally, molding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olyurethane-based foams are known and have been applied to everyone. Foams molded by these conventional methods and apparatus have, as is well known, oval bubbles typically having long diameters. And the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urethanes deforming along the bubble direction are also related to the bubble structure.

그래서 이와 같은 기포상구조물의 변형에 관하여 각종연구, 즉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등방성 기포상구조로 되게 성형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연구를 행하였는바, 그 결과는 예컨대 미국 특허 제3,249,486호 및 일본 특허출원 제28,781,1973호에 발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발표된 방법에서는 발포체의 주형용기에 뚜껑을 장치하거나 또는 발포체의 상면을 압박하는 평판재를 배치하여서 이에 의해 발포체의 상부를 강제로 압박하여 발포체를 용기의 내벽방향에 연재되게 함으로서 등방성 기포를 형성하고 전체 주형용기에 가해지는 발포압력을 자연적으로 커지게 해서 주형용기의 구조에 대한 문제와 주형제거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되어 있다.Therefore, various studies on the deformation of such a bubble-like structure, that is,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polyurethane foam into an isotropic bubble-like structure have been conducted. The results are, for example, US Patent No. 3,249,486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8,781,1973. However, in the method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a cap is placed in the foam container of the foam or a flat plate material is pressed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foam, thereby forcibly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oam so that the foam extends in the inner wal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y forming a bubble and naturally increasing the foaming pressure applied to the entire mold container, it i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mold container structure and the problem of mold removal.

본 발명의 목적은 기포구조가 특히 등방성기포로 개량된 폴리이소시안네이트 발포체의 신규 제조방법과 장치를 제공함에 있는바, 본 발명에 의하면 발포체를 간편한 경량의 주형용기로서 단시간의 주형제거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발포체를 어느 방향으로든지 팽창되게 할 수 있고 또 발포체의 상부에 보지 판재를 놓지않고 소정의 위치에서 팽창시에 상승높이 또는 발포속도에 따라 또는 탐지장치의 조작에 따라 기포를 한방향(이후 "X"방향이라 칭함) 또는 두 방향(이후 "X" 및 "Y"방향이라 칭함)으로 팽창되게 하여 모두가 상술한 자유상승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게 끔 주형을 전개하여서 이에 의해 기포구조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ve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isocyanate foam in which the bubble structure is particularly improved with isotropic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can be produced by a simple lightweight mold container for short mold removal. It is possible to make the foam expand in any direction and to expand the bubble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rising height or the foaming speed or the operation of the detection device when expanding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placing the holding plat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am. By expanding the mold so that it expands in two direc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XX and YY directions) so that all are perpendicular to the above-mentioned free rising direction, thereby freeing the bubble structure. Can be changed to

본 명세서에서 "폴리이소시안네이트 발포체"라 함은 발포체 제품의 기초물질로서 이소시안네이트 발포체, 폴리카로보디이미드 발포체 등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주로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하여 설명코져 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polyisocyanate foam” refers to isocyanate foam, polycarbodiimide foam, or the like as a base material of a foam produc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describes the polyurethane foam.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방성 기포를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주형을 X 및 Y방향으로 전개하여 제조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경질 또는 반경질에 관계없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바, 즉 기포조성물을 혼합하여 교반하면 수초내지 수분내에 크림상태로 기포가 형성되기 시작하며, 이와 같이 된 조성물은 점차적으로 점성이 증대해져서 소위 이동없는 상태로 되며,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발포체의 표면에 손을 대어도 발포체가 수분 내지 수십분내에 더 이상 달라붙지 않게 되고, 이후 수초 내지 수분내에 기포공정이 완료된다. 이 때 발포체의 기포형성은 발포체가 크림상태로부터 이동없는 상태로 되었을 당시에 측정하지만, 발포체 용적은 수%밖에 증대되지 않으므로 발포체가 이동없느 ㄴ상태로부터 완성제품으로 되었을 당시에 측정해도 별로 영향은 없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urethane foam having an isotropic bubble can be produced by developing the mold in the X and Y directions,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In general, the polyurethane foam can be prepared by the following method irrespective of the rigidity or the radius, that is, when the foam composition is mixed and stirred, bubbles are formed in the cream state within a few seconds to several minutes. The gradual increase in viscosity leads to a so-called non-moving state, and when such a state is reached, the foam does not stick any more in minutes to several tens of minutes even after touching the surface of the foam, and then the bubble process is completed within a few seconds to several minutes. . In this case, the foaming of the foam is measured at the time when the foam is not moved from the cream state, but the volume of the foam is increased only a few%, so even when the foam is made from the state without moving the finished product is not affected much.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기포 조성물이 이동없는 상태로 되기 전에 기포조성물이 유동성을 가졌을 당시에 발포체의 기포형성을 변경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주형용기의 4군데의 X 및 Y 방향이 자유자재로 되게 하여서 기포를 형성하는 발포체주위에 압력이 거의 가해지지 않도록 발포체의 기포를 변형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주형용기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발포제가 유동성을 가지므로 이때 발포체의 기포압력이 아주 낮아져서 기포조성물의 반량으로 된다.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rtant to change the foaming of the foam when the foam composition has fluidity before the foam composition is in a non-moving state, and for this purpose, the four X and Y directions of the mold container are freely changed. The foam bubbles are deformed so that little pressure is applied around the foam forming the bubbles. In this case, since the upper part of the mold container is open and the foaming agent has fluidity as described above, the bubble pressure of the foam is very low, which is half of the foam composition.

이 결과 주형의 4군데를 간편한 지그(jig)로 거의 자유자재로 되게 하여서 등방성 기포로 형성된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등방성기포를 갖는 발포체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포체와 거의 유사한 외관을 갖지만 그보다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며 극히 단시간내에 제조할 수 있어서 생산능률이 향상된다.As a result, the polyurethane foam formed from the isotropic bubbles can be easily produced by making four places of the mold almost free with a simple jig. As described above, the foam having the isotropic foam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almost the same appearance as the foam produc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but has better physical properties and can be produced in a very short time, thereby improving production efficiency.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발포체는 규격상의 안정성이 좋으며, 따라서 사용목적에 따라 발포체의 비중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중이 감소될 수 있고 주형제거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서 이에 의해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발포체의 기포를 거의 완전하게 등방성 기포형태로 제조할 수 있게 된 동기는 기포공정, 즉 기포발생을 축방향으로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으로 양자의 기포형성방향을 적당히 조정하여 행할 수 있다는 근거에 입각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효과적인 수단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The foam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ood stability on the specification, and thus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oa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Therefore, the specific gravity can be reduced and the mold removal time can be shortened,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In this specification, the motivation for producing the foam of the foam in the form of almost completely isotropic foam is based on the reason that the foaming process, i.e., foaming can be perform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both foaming direc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well as in the axial direction. As a result, they found an effective means for this.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주형외에 사용되는 이중주형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 외부주형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그러나 외부주형의 사용도 역시 본 발명에 물론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below, a double mold is shown which is used in addition to the essential mold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outer mold is not essential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use of an external mold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기포모양은 Z방향에 비하여 X 및 Y방향에서 팽창이 불충분하므로 Z방향에서 주축을 갖는 타원형이다.As shown in FIG. 1, the normal bubble shape is elliptical having a major axis in the Z direction because the expansion is insufficient in the X and Y directions compared to the Z direc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포체의 등방성 기포의 모양을 표시한 것으로서, 이 경우 X 및 Y 방향에서의 팽창과 동일한 수준이다.Figure 2 shows the shape of the isotropic bubbles of the foam produc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is case the same level of expansion in the X and Y directions.

제3도는 외부주형(A)의 일예를 표시한 것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주형(B)의 일예를 표시한 것이다. (이후 내부주형이라 칭함), 제4도에서 부호(3)는 측벽을 표시하고, 제5도에서 부호(4)는 저판을 표시한다. 외부주형(A)은 측판(1)이 외향으로 예컨대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외부주형의 내측에는 후술한 내부주형(B)을 용이하게 놓을 수 있고 또 제거할 수 있는 로울러 콘베어(2)가 설치된다.FIG. 3 shows an example of the outer mold A, and FIG. 4 shows an example of the essential mold B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ner mold), reference numeral 3 in FIG. 4 denotes a side wall, and reference numeral 4 in FIG. 5 denotes a bottom plate. The outer mold (A) is formed so that the side plate (1) can be opened outward, for exampl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the drawing, the inner mold (B) can be easily placed and removed inside the outer mold (roller) Conveyor 2 is installed.

또 한편, 내부주형(B)은 측벽(3)과 저판(4)을 갖는 본체로 형성되고, 측벽(3)은 제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절첩가능하고 축소가능하며, 저판(4)은 돌출된 격자(5)를 갖는다. 이 격자(5)는 본체가 절첩되어 축소될 때 개열된 저부와 일치한다. 즉, 기포조성물이 누출되지 않게 제7도의 상태로 된다. 본체가 절첩되어 축소된 구조의 경우 각 측벽은 제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경첩구(7)와 상호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mold B is formed of a body having a side wall 3 and a bottom plate 4, the side wall 3 is collapsible and collapsible as shown in FIG. 4, and the bottom plate 4 protrudes. Has a grating 5. This grating 5 coincides with the cleaved bottom when the body is folded and shrunk. That is, it will be in the state of FIG. 7 so that a bubble composition may not leak. In the case of the collapsed structure of the main body, each side wall is fixed to the hinge 7 as shown in FIG.

제6도에서 참조부호(8)는 기포공정이 끝난 후에 내부주형(B)의 측벽(7)을 해체하여 이것을 제조된 발포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금속제 기구이다.In FIG. 6, reference numeral 8 denotes a metal mechanism capable of dismantling the side wall 7 of the inner mold B after the bubble process is completed and removing it from the manufactured foam.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내부주형(B)은 외부주형(A)에 놓여졌을 때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절첩되어 축소된다. 내부주형이 외부주형에 놓여진 상태는 제8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분에 기포조성물을 주입, 보지하기 위한 공간(a)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도면에서 화살표방향으로 표시된 거리를 갖는 공간(b)이 형성되며, 이것은 발포체기포를 등방성으로 되게 하는데 필요하다. 이와 같이 연결하는 경우, 등방성 기포의 형성 및 내부주형(B)의 개열과 수축작용의 입장에서 볼 때, 중심공간(a)이 제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공간면적중 1/3-1/4의 면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적합하다.When the inner mold B having such a structure is placed on the outer mold A, the inner mold B is folded and reduced in the state shown in FIG. In the state where the inner mold is placed on the outer mold, as shown in FIG. 8, a space (a) is formed for injecting and holding the bubble composition in the central portion, and a space (b) having a distance indicated therei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the figure. ) Is formed, which is necessary to make the foam bubbles isotropic. In this connec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formation of isotropic bubbles and the cleavage and contraction of the inner mold B, the central space a is represented by 1 / 3-1 / 4 of the space area as shown in FIG. It is desirable and suitable to have an area.

제9도는 상술한 외부주형(A)과 내부주형(B)의 양자를 사용하여 기포조작을 행하기 위한 장치의 구조를 표시한 것이다. 여기서, 쿳숀재료(9)는 약 5-10mm의 두께를 가지며 저판(4)에 예비적으로 점착되고, 이 저판(4)위에 격자(5)가 고정된다. 주형제거 페이퍼(10)는 내부주형(B)의 반복사용이 편리하게끔 측벽(3)과 저판(4)에 덮여진다. 측벽(3)과 저판(4)으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재료로서는 예컨데 약 15mm의 두께를 갖는 합판과 강도가 같은 금속판이 있다. 격자(5)의 두께는 5mm정도이면 충분하다.FIG. 9 shows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bubble operation using both the outer mold A and the inner mold B described above. Here, the cushion material 9 has a thickness of about 5-10 mm and is preliminarily adhered to the bottom plate 4, and the lattice 5 is fixed on the bottom plate 4. The mold removal paper 10 is covered on the side wall 3 and the bottom plate 4 to facilitate the repeated use of the inner mold B. Suitable materials for use as the side wall 3 and the bottom plate 4 include, for example, metal plates having the same strength as plywood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5 mm. The thickness of the grating 5 is enough to be about 5 mm.

이외에 제9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보지 판(12')은 내부주형(B)의 측벽(3)의 외측에 접촉되게 설치하며 주형전개수단(12)은 작동되어서 개열방향으로 내부주형(B)을 전개 및 이동하기 위한 시간을 알려준다. 주형 전개수단(12)은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외부주형(A)의 측부를 관통해서 고정되지만 외부주형(A)은 주형 전개수단을 지지할 수 있는 보조프레임일 뿐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retaining plate 12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3 of the inner mold B, and the mold developing means 12 is operated to open the inner mold B in the cleavage direction. It tells you the time to deploy and move. The mold deployment means 12 is fixed through the side of the outer mold A as shown in the figure, but the outer mold A is only an auxiliary frame capable of supporting the mold deployment means.

이 수단은 유압시스템 또는 스크류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 있다. 주형 전개수단(12)의 작용은 제한 스윗치와 같은 접촉탐지식 높이 탐지수단(11)에 접속된다. 높이 탐지수단은 주입공간(a)위의 특정위치에 배치된 발포체 표면의 높이를 탐지하는데 사용되고, 그 작용에 의하여 측방(3)이 개열되며 외향으로 즉 X 및 Y방향으로 절첩되지 않는다. 탐지수단(11)은 주형 전개수단(12)에 연결되고 주형 전개수단(12)은 내부주형(B)을 자동적으로 전개하는 작용을 하도록 하며, 내부주형(B)은 피보트식으로 회전되게 하든가 상하로 움직이게 하여 발포체가 경화된 후에 즉시로 제거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means can also be used for hydraulic systems or screw systems. The action of the mold deployment means 12 is connected to a contact detection height detection means 11, such as a limit switch. The height detecting means is used to detect the height of the foam surface arranged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injection space a, and by its action the side 3 is cleaved and not folded outwards, ie in the X and Y directions. The detection means 11 is connected to the mold deployment means 12 and the mold deployment means 12 serves to automatically deploy the inner mold B, and the inner mold B is pivotally rotated or not. It is desirable to design it to move up and down so that the foam can be removed immediately after curing.

본 발명의 방법은 이와 같이 설계된 외부주형(A)과 내부주형(B)을 사용하면 달성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using the outer mold (A) and the inner mold (B) thus designed.

본 발명을 등방성 기포를 갖는 폴리우레탄계 발포체의 제법에 관련시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0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최종용적의 공간을 채우기에 충분한 양으로 폴리우레탄계 기포조성물을 혼합, 교반하여 공간(a)에 주입하면 수초 내지 수분후에 곧 이와 같이 혼합된 조성물은 크림상태로 발포되기 시작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oduction of polyurethane-based foams having isotropic bubbles as follows. First, as shown in FIG. 10, the polyurethane-based foam composition is mixed, stirred, and injected into the space (a) in an amount sufficient to fill the space of the final volume as shown in FIG. The composition then begins to foam in the cream.

발포체는 공간(a)위에 위치된 재한 스윗치와 같은 탐지수단(11)의 높이로 팽창되기 시작한다. 이단계는 통상의 발포체 제법과 특별히 다르지 않으며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기포는 타원형이며, 이때 액상 조성물은 유동성을 갖는다.The foam begins to expand to the height of the detection means 11, such as the limit switch located above the space a. This step is not particularly different from conventional foam formulations and the bubbles thus formed are elliptical, where the liquid composition is fluid.

제1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발포체가 탐지수단(11)의 높이로 팽창되었을 때 주형 전개수단(12)은 외향으로 활동(滑動)하고, 이에 따라 내부주형(B)의 측벽(3)이 개열되어 X 및 Y 방향으로 점차 절첩되지 않고 이때 탐지수단(11)에 의해 발포체의 높이를 탐지하여 이것을 균일하게 보지하므로 Z방향에서 미리 발포된 것은 호상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그 기포가 X 및 Y 방향으로 변형되며, 이와 동시에 발포체의 기포는 등방성으로 형성되기 시작한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foam is expanded to the height of the detecting means 11, the mold deploying means 12 moves outwards, whereby the side wall 3 of the inner mold B is cleaved. Since the height of the foam is detected by the detecting means 11 and held uniformly at this time, since the foam is pre-foamed in the Z direction, the bubble is in the X and Y directions as indicated by the arc. At the same time the bubbles of the foam begin to form isotropically.

X 및 Y방향에서의 발포는 측벽(3)이 제6도(제12도 비교)의 상태로 될 때까지 계속 진행된다. 따라서 발포체가 육안으로 외관을 식별하여 더이상 발포되지 않는 상태로 되었을 때 발포체를 최종 제품으로서 주형으로부터 제거한다.Foaming in the X and Y directions continues until the side wall 3 is in the state of FIG. 6 (compare FIG. 12). Thus, when the foam visually identifies its appearance and no longer foams, the foam is removed from the mold as a final product.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발포체 제품은 X 및 방향에서의 연속발포가 높이 탐지수단에 연결된 주형전개수단의 자동작동에 의해 일어나므로 모든 방향에서 거의 등방성 기포로 형성되고 균일한 물리적 성질을 갖은 발포체로서 얻어질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product is obtained as a foam having almost uniform isotropic bubbles in all directions and having uniform physical properties since continuous foaming in X and directions is caused by automatic operation of the mold spreading means connected to the height detecting means. Can lose.

더욱이, 발포압력이 측면에서 발포체 자체에 가해지기가 어려우므로 발포체의 주형제거시간이 상당히 단축될 수 있다. 이점에서 통상의 발포체는 발포공정이 끝난후에 실온에서 20-60분간 주형용기내에 방치해 두지 않으면 발포체 측면에 생기는 내부응력 때문에 발포체를 주형으로부터 제거할 때 파손되었다.Moreover, since the foaming pressure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foam itself from the side, the mold removal time of the foam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In this regard, conventional foams are broken when the foams are removed from the molds due to internal stresses on the foam sides if they are not left in the mold containers for 20-6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after the foaming process.

이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하면 발포가 끝난 후 1분 또는 2분내에 주형제거를 행하여도 발포체는 파손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요하는 발포용기의 수는 통상방법의 용기수에 비하여 1/10이하로 줄일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잇점이다.In contr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mold is removed within one or two minutes after the foaming is completed, the foam does not break. Therefore, the number of foam containers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duced to 1/10 or less than the number of containers in the conventional method, which is an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하는 주형으로서는 제4도 및 제8도에 표시된 것 외에 다른 주형, 예컨대 벨로우(bellow) 측벽을 갖는 주형(제13도 및 제14도 참조) 또는 4모서리가 절첩가능한 주형(제15도 참조)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형 전개수단은 4곳의 모서리에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이 방법은 선(21)과 (23)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주형이 수축되었을 때 기포조성물을 주형에 주입한 다음, Z방향에서 높이 탐지수단(11)(도면에는 없음)의 작동에 따라 X 및 Y 방향에서 소망하는 위치(선 22, 24로 표시되어 있음)로 주형을 전개하여서 이에 의해 등방성 기포를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을 수 있다.As a mold for use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olds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s. 4 and 8, such as molds having bellow sidewalls (see Figs. 13 and 14) or molds which can be folded at four corners ( (See also FIG. 15).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mold deployment means at four corners, and this method, as indicated by lines 21 and 23, injects the foam composition into the mold when the mold is contracted, and then in the Z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eight detecting means 11 (not shown), the mold can be developed to a desired position in the X and Y directions (indicated by lines 22 and 24) to thereby obtain a polyurethane foam having isotropic bubbles. have.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우선 5종의 기포조성물("A")을 다음과 같은 처방에 따라 조제하였다.First, five bubble compositions (조 A ")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escription.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1

다음, 상기의 각 "A"용액에 프레폴리머(Prepolymer)(슈크로스폴리에테르 이소시안네이트) 130부를 가하고, 각 혼합물을 혼합하여 비중이 상이한 5종의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5종의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대한 물리적 성질의 비교실험결과는 다음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다. 다음표 1에서 No.1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폴리우레탄 발포체이고, No.2-No.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체이다. 샘플용 발포체의 크기는 500×1000×2000mm이다.Next, 130 parts of a prepolymer (sucrose polyether isocyanate) was added to each of the XA solutions, and each mixture was mixed to prepare five kinds of polyurethane foams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Comparative results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ve polyurethane foams thus prepared are shown in Table 1 below. In Table 1, No. 1 is a polyurethane foam prepared by a conventional method, and No. 2-No. 5 is a polyurethane foam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for the sample is 500 × 1000 × 2000 mm.

[표 1]TABLE 1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3

[실시예 2]Example 2

우선 조성물용액을 다음과 같은 처방에 따라 조제하였다.First, the composition solu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escription.

폴리에테르(방향족계열 : OH수치 380) 30부30 parts of polyether (aromatic series: OH level 380)

폴리에테르(슈크로스계열 : OH수치 450) 70부70 parts of polyether (sucrose series: OH value 450)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4

다음, 상기 조성물용액에 프레폴리머(슈크로스-폴리에테르 이소시안네이트) 162부를 혼합, 교반하여 통상의 방법과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2종의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대한 물리적 성질의 비교실험 결과는 다음 표 2에 표시된 바와 같다.Next, 162 parts of a prepolymer (suscrose-polyether isocyanate) was mixed and stirred in the composition solution to prepare a polyurethane foam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ative results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wo polyurethane foams thus prepared are shown in Table 2 below.

[표 2]TABLE 2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6

상기 표 1 및 표 2로부터 주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보다 Z방향 및 X와 Y방향의 양 방향에서 거의 동일하게 우수한 물리적 성질을 갖는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방성 기포를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ables 1 and 2 above, the polyurethane foams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ve almost identical physical properties in both the Z and X and Y directions than those produced by conventional methods. Has That is,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t turns out that the polyurethane foam which has an isotropic bubble can be obtained.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는 발포체가 방향에서 특정한 높이로 상승할 때에만 작동하는 탐지수단에 따라 주형을 X 및 Y방향으로 전개하여 등방성 기포를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법에 관해서 설명한 것이다.Embodiments 1 and 2 describe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urethane foam having isotropic bubbles by deploying the mold in the X and Y directions according to a detection means that works only when the foam rises to a specific height in the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에서처럼 발포압력에 의지하지 않고, Z방향에서의 자유상승 높이에 따라 X 및 Y방향으로 주형을 전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포조성물의 발포속도에 따라 주형 전개수단을 적극적으로 작동시켜 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변형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in developing the mold in the X and Y directions according to the free rising height in the Z direction, without resorting to the foaming pressure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ctively operating the mold deployment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foaming rate of the foam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예컨대, 주형 전개수단은 팽창개시와 동시에 개시하든가 또는 팽창개시후 좀 지나서 개시하는 상승높이 탐지수단에 따라 작동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는 달리 탐지수단은 발포체가 Z방향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팽창하고, 이에따라 주형전개수단이 작동할 때에 상승한다. 탐지수단은 방향에서 소정의 높이 까지 도달할 후 상승을 중지한다. 상술한 높이탐지수단(11)이 발포체 표면과 접촉될 때에는 주형 전개수단(12)을 계속 작동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주형의 측벽(13)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팽창점에서 완전히 개열되기보다는 내측으로 약간 굴곡된 상태로 되게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mold deployment means may be activated in accordance with the elevation height detecting means which starts at the same time as the initiation of the expansion or begins shortly after the initiation of the expansion. In this case, unlike the above, the detection means rises when the foam expands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Z direction, and thus the mold development means is activated. The detection means stops climbing after reaching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direction. When the above-described height detecting means 11 is in contact with the foam surface, it is possible to keep the mold developing means 12 in operation. The sidewall 13 of the mold may also be left slightly curved inward rather than completely cleaved at the final point of expansion, as shown in FIG.

더욱이, 주형 전개수단은 Z방향에서의 상승높이에 따라 팽창이 예비시험을 기초로 하여 측정된 조건하에서 개시된 후 독자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모두가 프로그램 제어시스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술한 방법보다 정확성이 뒤떨어지지만 주형 전개수단이 Z방향에서 상승높이를 직접탐지하여 작동한다. 환경온도, 습도 및 기포조성물의 품질을 적당히 제어하면 소망하는 기포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Moreover, the mold deploying means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after the expansion is started under the conditions measured on the basis of the preliminary test according to the elevation height in the Z direction, and all can be operated by the program control system as necessary. This method is inferior in accuracy to that described above, but the mold deployment means operates by directly detecting the elevation in the Z direction. Appropriate control of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humidity and the quality of the bubble composition can provide the desired bubble structure.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발포체는 밀도가 낮으며, 계량된 물리적 성질, 특히 고도의 규격 안정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발포체는 절연재료로서 적당하며, 전연시공을 경제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외에 발포체는 판재, 입방체 및 둥근아크형 등과 같은 절연재료의 형태로 취할 수 있으며, 종이, 플라스틱 쉬이트, 합판, 석면, 금속박층등과 같은 기타 표면재료를 발포체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완제품은 대단히 유용하며 절연 공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된다.The foams produc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ve a low density and have a metered physical property, in particular a high degree of specification stability. Therefore, the foam 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as an insulating material, and it is possible to economically perform all-round construction. In addition, the foam may take the form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plate, a cube, a round arc, or the like, and other surface materials such as paper, plastic sheet, plywood, asbestos, metal foil layer, etc. may be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oam. The finished product thus obtained is thus very useful and widely used in the insulation industry.

Claims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포 조성물이 소정의 위치에서 팽창시에 상승높이 또는 발포속도에 따라 기포를 한방향 또는 두방향으로 팽창되게 하여 이들 방향의 모두가 자유상승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게끔 기포를 전개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방성 기포를 갖는 폴리이소시안네이트계 발포체의 제조방법.As described above in the text and as shown in the drawings, when the bubble composition expand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bubble expands in one or two directions depending on the rising height or the foaming speed so that all of these directions are perpendicular to the free rising direction.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isocyanate-based foam having an isotropic bub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ubble is developed so as to form a bubble.
KR7502308A 1975-10-27 1975-10-27 Method of preparing polyisocyamate that has circular foams KR8100008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308A KR810000813B1 (en) 1975-10-27 1975-10-27 Method of preparing polyisocyamate that has circular foa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308A KR810000813B1 (en) 1975-10-27 1975-10-27 Method of preparing polyisocyamate that has circular foa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813B1 true KR810000813B1 (en) 1981-07-08

Family

ID=1920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2308A KR810000813B1 (en) 1975-10-27 1975-10-27 Method of preparing polyisocyamate that has circular foa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813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91873A (en) Molding cellular polyurethane plastics
EP1027198B1 (en) Vent device, vented mold and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article
WO2001015882A8 (en) Production method for thermoplastic resin foam, molding mold therefor and thermoplastic resin foam
JPH0533129B2 (en)
US4014967A (en) Method and mold for the discontinuous production of foam plastic parts
KR810000813B1 (en) Method of preparing polyisocyamate that has circular foams
DE60209181D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oam moldings
TW200942395A (en)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part and molding tool therefor
CA23776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plastic hollow bodies which are at least partially filled with foamed material
CA1048699A (en) Polyisocyanate foam having isotropic cells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N112976235B (en) Processing technology of bubble concrete building block
US4160074A (en) Polyisocyanate foam having isotropic cell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same
KR101095248B1 (en) Gas exhaust apparatus of foaming mould
US3111365A (en) Process for molding a uniform polymethane foam in a closed mold
KR101891682B1 (en) Apparatus for making inner trims for vehicles
PT1208955E (en) Injection moulding with variable cavity for making corks
KR100364999B1 (en) Process for polyurethan foam core having open cell
JPH05309665A (en) Manufacture of expanded polyurethane molded article and molding equipment
RU1804393C (en) Method of producing articles on base of polystyrene foam
JPH07266366A (en) Molding of highly foamed synthetic resin material
JPS60105505A (en) Preparation of integrally blow-molded piece
JPS593875Y2 (en) Molding mold for foamed synthetic resin
SU421510A1 (en) FORMING INSTALLATION FOR THE MANUFACTURE OF EMPTY PRODUCTS
JPS593874Y2 (en) Molding mold for foamed synthetic resin
JPH06198674A (en) Manufacture of heat insulating d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