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800Y1 - 철도 레일고정 클립 - Google Patents

철도 레일고정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800Y1
KR810000800Y1 KR2019800008329U KR800008329U KR810000800Y1 KR 810000800 Y1 KR810000800 Y1 KR 810000800Y1 KR 2019800008329 U KR2019800008329 U KR 2019800008329U KR 800008329 U KR800008329 U KR 800008329U KR 810000800 Y1 KR810000800 Y1 KR 810000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rail
horizontal plane
rail fastening
cl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8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암 밀러 데이빗드
Original Assignee
팬드롤 리미팃드
윌리암 죠오지 호우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팬드롤 리미팃드, 윌리암 죠오지 호우턴 filed Critical 팬드롤 리미팃드
Priority to KR2019800008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8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E01B9/303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the clip being a shaped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8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plastic or elastic deformation of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철도 레일고정 클립
제1도는 제2도의 화살표 I 방향에서 본 철도 레일고정 클립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II 방향에서 본 동일 클립의 정면도.
제3도는 동일 클립의 평면도.
제4-6도는 각각 제1-3도에 대응하는 반대쪽 클립의 도면.
제7도는 제1-3도의 클립이 점선으로 표시된 철도 레일고정 장치의 정면도.
제8도는 클립이 생략된 동일 장치의 측면도.
제9도는 클립이 생략된 동일 장치의 평면도.
철도 레일 고정 클립은 일반적으로 탄성 금속으로 된 봉을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가지에 거의 직선인 제1부분 및 제2, 제3, 제4, 제5부분을 포함하도록 굽혀서, 클립이 특정한 배열 상태에 있을 때 제1부분의 양쪽끝의 최저점이 하나의 동일 수평면상에 있고, 제3 및 제5부분의 최저점도 또 다른 동일 수평면상에 있으며, 제1부분과 제3부분 사이의 제2부분은 상승부분과 하강부분으로 되고, 클립을 위에서 보았을 때 제3부분과 제5부분은 제1부분의 측의 양쪽 맞은편에 나타나 보이며, 클립을 제1부분 양쪽끝의 최저점을 지나는 직선에 평행인 수평 방향으로 볼 때 제2부분의 상승부분은 대체로 수평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전의 철도 레일 고정 클립을 보다 값싸고 가벼운 한편 견고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종전의 실제로 사용되던 클립은 모두가 응력을 받기 전 상기 특정 배열 상태에서 제2부분의 상승 부분이 수평에 대해서 50°이상(대체로 약 60°정도)으로 경사지고 그 윗면의 최고점은 제4부분 윗면의 최고점보다 높게 되어 있고 대부분 그 제3부분이 직접, 혹은 전기 절연 부재를 거쳐서 레일 저면의 플랜지를 눌러주고, 제5부분은 클립의 제1부분이 삽입되도록 레일에 평행하게 정착부재내에 형성된 삽입구의 바깥쪽에 있는 고정면에 얹히게 되어 있다. 클립이 제 위치에 있을 때 그 제3부분의 제5부분에 대한 수직 위치가 변하는 소위 변형에 의하여 클립이 레일에 대하여 충분한 하향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하려면, 레일에 얹히는 제3부분의 일부와 제1부분 사이의 금속이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한편 이 부분의 곡률 반경은 응력이 평균 응력보다 훨씬 커지는 지역이 없도록 충분히 균일하게 해야 했다. 이러한 이유로 클립의 제2부분은 급경사로 높게 상승하도록 되어 있으나 최대 응력을 받기는 마찬가지여서 거의 대부분의 클립은 제2부분의 절단에 의해 파괴되어 왔다. 종전의 철도 레일고정 클립 중에도 제3부분이 레일의 저면 플랜지에 얹히도록 정방향으로 삽입하는 대신에 제5부분이 레일의 저면 플랜지에 얹히도록 거꾸로 삽입할 수도 있는 것들이 있었고 접합지점이나 교차지점 등에서와 같이 두개의 레일을 연결하는 경우 부득이 하여 실제로 클립을 거꾸로 끼우기도 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 이전에 보통의 철도레일에 거꾸로 삽입되도록 특별히 계획된 클립은 전혀 없었다.
이렇게 고안된 본 고안에 의하면 고응력이 발생하는 지역이 제1부분과 제2부분의 분기점으로부터 제5부분의 열린 끝쪽으로 연장된 부분에 보다 골고루 퍼짐으로써 제2부분은 안전한 상태로 보다 팽팽해지는 한편 길이도 짧게 되고 곡률 반경도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클립의 제2부분을 증전과 같이 높게 상승시킬 필요가 없고 상술한 바 있는 각도로 45°미만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클립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봉의 길이는 통상 직경의 20여배에서 18배 이하로 짧아질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립의 무게 및 가격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한편 제2부분의 상승부분이 축소됨에 따라 클립을 삽입할 때 해머(hammer) 작업이 종전보다 다소 불편할 것이 예상될 수도 있으나 이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압 피스톤에 의해 구동되는 레바장치를 사용하면 쉽게 극복될 수 있다.
제1-3도의 클립은 단면이 직경 2.00cm의 원형이고 길이가 28.cm인 탄성 강철봉을 구부려서 만든 것으로, 한쪽끝(A)에서 반대쪽 끝(B)으로 가면서 제1부분(1), 제2부분(2), 제3부분(3), 제4부분(4), 그리고 제5부분(5)을 포함하고 있다.
클립의 배열 상태를 보면 제2도의 윗쪽 수평면(D)은 제3 및 제5부분의 최저점(10, 11)을 포함하며 아랫쪽 수평면(C)은 제1부분 양쪽끝의 최저점(14, 15)을 포함한다. 제1부분이 제1도에서와 같이 완전히 직선인 경우에 그 최저점은 제1부분의 저면 전체가 된다. 제1부분의 최저점(14, 15)을 통과하는 직선(13)에 평행한 수평방향(화살표 II)으로 클립을 보면 제2부분은 제1부분으로부터 상승부분(2A)과 하강부분(2B)을 이루면서 제3부분에 이르며, 상승부분(2A)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는 상승부분 전체를 통하여 40°이하로서 35°정도로 되어 있다. 제1분의수 부직 상방에는 클립의 어느 부분도 통과하지 않으며 제2부분 윗면의 최고점은 제4부분 윗면의 최고점보다 낮다. 클립을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제3 및 제5부분은 제1부분의 측의 양쪽 맞은 편에 위치하며 클립은 e자를 거울로 본 모양으로 나타난다. 설명된 클립은 바닥이 평평하거나 바닥에 플랜지가 형성된 철도 레일이 한쪽에서 플랜지를 누르도록 되어 있다. 필요하다면 동일 방향으로 삽입되어 레일의 반대쪽 플랜랜지를 눌러주는 짝 클립이 제4-6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클립은 평면도에서 e자 모양으로 보이는 외에는 제1-3도의 클립과 동일하다.
제5부분의 아랫면에는 길이 4.4cm의 평면부(5A)가 있다. 제5부분은 새빨갛게 달구어진 채로 성형기구(shaping tool)에 의하여 압착될 평면부(5A)가 포함된 전체 길이를 통하여 이에 접촉하는 하부 지지부재(下部支持部材)에 지지됨으로써 그 최종 형태로 성형된다.
제7-9도에는 콘크리트 침목(23) 윗면(23A)의 고무패드(pad)(22)에 얹혀 있는 철도 레일의 플랜지(21)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왼쪽부분의 경우만 보이고 있으나 레일을 고정시키는 이와같은 장치는 레일 양쪽에 있으며, 여기에는 제1-3도의 클립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클립의 각 부분은 제7도에 표시되어 있다. 레일의 오른쪽에도 제1-3도의 클립이 있으나 반대 방향으로 삽입된다. 레일의 플랜지 끝에는 단면이 대체로 L자 모양인 주조나일론으로된 기다란 전기 절연체(24)가 놓이는데 이 절연체의 한쪽림(limb)(25)은 레일의 플랜지 위에 있어 그 위에 클립의 제5부분의 평면부(5A)가 얹히며, 이 평면부는 플랜지의 윗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절연체(24)의 다른쪽 림(26)은 함몰부(300를 포함하여 레일플랜지의 측면에 맞대어져 있다. 침목에는 가단주철로된 정착부재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정착부재는 침목의 윗면(23A)에 있는 평탄면(31), 침목의 아래로 뻗어있는 정착부분(32), 평탄면(31)으로부터 위로 뻗어 있으며 평면도에서 정방향으로 보이는 블럭(block) 부분(33), 이 블럭부분 바깥쪽 위의 오목면(34), 블럭(33) 내에서 단면이 원형이고 입구(35A)는 나팔관 모양인 삽입구(35)를 포함한다. 클립의 제1부분이 삽입구(35)에 삽입되면 이 삽입구의 지붕에 의하여 레일과 평행을 이루면서 삽입구(35) 안에 구속되며, 클립의 제3부분은 오목면(34)을 아랫쪽으로 누르게 된다. 블럭부분(33)은 그 일부가 절연체(24)의 함몰부(30)에 놓여 있어 클립이 제위치에 결합될 때 절연체(24)에 맞닿음으로써 절연체가 레일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정착부재의 정착부분(32)은 4면에 돌기(36)가 형성되어 있어 콘크리트 속에 고착되는데,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미리 삽입한다. 절연체(24)는 생략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클립의 제5부분이 레일 플렌지를 직접 누르게 된다. 클립은 제3부분이 절연체(24)를 통하여 또는 직접 레일플랜지를 누르고 제5부분이 정착부재의 오목면(34)을 누르도록 반대 방향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Claims (1)

  1. 탄성의 금속봉으로 되어 한쪽끝(A)에서 다른쪽 끝(B)으로 감에 따라 상기 한쪽끝에서 시작하여 직선이나 거의 직선인 다리를 이루는 제1부분(1)과 제2부분(2), 제3부분(3), 제4부분(4) 및 상기 다른쪽 끝에서 끝나는 제5부분(5)을 포함하며, 특정한 배치에 있을 때 상기 제1부분의 양쪽끝의 최저점(14, 15)이 하나의 동일 수평면상(C)에 놓이고 제3부분 및 제5부분의 최저점(10, 11)은 또 다른 동일 수평면상(D)에 놓이며, 상기 제2부분은 제1부분으로부터 제3부분쪽으로 상승부분(2A)과 하강부분(2B)으로 구성되고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3부분과 제5부분은 상기 제1부분의 측의 양쪽 맞은편에 나타나 보이는 철도 레일 고정클립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의 양쪽 끝 최저점을 지나는 직선에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2부분의 상승부분이 전체에 걸쳐서 수평에 대해 45°이하로 경사지고 상기 봉의 길이는 봉 직경의 18배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고정클립.
KR2019800008329U 1976-12-01 1980-12-24 철도 레일고정 클립 KR810000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8329U KR810000800Y1 (ko) 1976-12-01 1980-12-24 철도 레일고정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60002981 1976-12-01
KR2019800008329U KR810000800Y1 (ko) 1976-12-01 1980-12-24 철도 레일고정 클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60002981 Division 1976-12-01 1976-1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800Y1 true KR810000800Y1 (ko) 1981-07-02

Family

ID=2662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8329U KR810000800Y1 (ko) 1976-12-01 1980-12-24 철도 레일고정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8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735B1 (ko) * 2015-08-07 2016-03-28 (주)엘더스티앤엘 접지력이 향상된 레일체결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735B1 (ko) * 2015-08-07 2016-03-28 (주)엘더스티앤엘 접지력이 향상된 레일체결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1740B (fi) Jaernvaegsraelsfaesthake
US3658246A (en) Railway rail-fastening member and a railway rail and fastening arrangement incuding the member
EP0027839B1 (en) A rail clip holder
US4770343A (en) Resilient rail fixing device for track installations
ES447680A1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fabricar un sujetacarril.
US3690551A (en) Rail-fastening devices
KR810000800Y1 (ko) 철도 레일고정 클립
US4981264A (en) Device for fixing stock rails in railway switches as well as process for fixing stock rails by means of such device
US3004716A (en) Railway rail securing means
EA036462B1 (ru) Система и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для безболтового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дл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GB1271186A (en) A railway rail and fastening assembly
KR20130002150U (ko) 레일체결장치
US4284238A (en) Rail fasteners
JP4121573B2 (ja) 鉄道車両用スコッチ
US2446842A (en) Rail anchor
US4278204A (en) Rail clip
GB2100323A (en) Securing a railway rail to a base
CA1078800A (en) Railway sleeper and a railway rail-and-fastening assembly employing it
US2223865A (en) Rail brace
US2068667A (en) Rail straightening implement
GB2214545A (en) Rail fastening assembly
US3358926A (en) Rail anchor
SU1033009A3 (ru) Пружинна клемма безболтового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
US3368759A (en) Railway tracks
GB72290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ail fasten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