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790Y1 - 110v, 220v 겸용 자동 전환 전원회로 - Google Patents

110v, 220v 겸용 자동 전환 전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790Y1
KR810000790Y1 KR2019800000325U KR800000325U KR810000790Y1 KR 810000790 Y1 KR810000790 Y1 KR 810000790Y1 KR 2019800000325 U KR2019800000325 U KR 2019800000325U KR 800000325 U KR800000325 U KR 800000325U KR 810000790 Y1 KR810000790 Y1 KR 810000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diode
potential
capacitor
ta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0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00000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7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790Y1/ko

Links

Landscapes

  • Rectifier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10V, 220V 겸용 자동 전환 전원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각 노우드(node) 점외 전압 파형로.
본 고안은 110V 및 220V의 전압을 겸용함에 있어, 전환 스위치를 사용치 않고 자동으로 스위칭 할 수 있는 전원회로에 관한 것으로, 1차측 탭이 두개이고, 2차측 탭이 양파 정류할 수 있게 중간됨이 나온 트랜스의 1차측에 220V 전원이 걸리면 다이오드 및 브리지 다이오드를 통하여 양파 정류를 하게 하고, 110V 전원이 걸리면 브리지 다이오드를 통하여 정류되게 한 후 제너 다이오드 및 지연소자에 의하여 110V 및 220V의 입력시에 각 실리콘 제어정류 소자를 각각 트리거 시키므로서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게 한 전원 회로인 것이다.
종래에는 트랜스의 1차측에 110V 탭 및 220V 탭을 사용하여 전환 스위치로 전환하여 110V, 220V를 겸용하였으나 전환 스위치의 위치 및 배선문제가 있고 특히 일반 소비자들이 이 전환 스위치를 전환하지 못하여 110V 지역이 220V로 승압되면 다시 220V로 전환해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결점을 감안하여 1차측 탭이 두개이고, 2차측 탭에 양파 정류할 수 있게 중간탭이 나온 트랜스에 2차측 탭의 양단에 브리지 다이오드를 연결시키어 콘덴서 및 실리콘 제어정류 소자를 접속시키고, 2차측의 중간탭에 다이오드와 콘덴서 및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를 접속시키어 각 실리콘 제어정류 소자의 게이트 단자 사이에 제너 다이오드 및 지연소자인 저항 및 콘덴서를 연결시켜 110V 및 220V의 입력시에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전환 스위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110V시에 220V의 탭을 눌러 두는 경우도 없을 뿐 아니라 효율적으로 부품을 이용할 수가 있고 스위칭시(처음 전원을 공급할 때)에만 스위칭 전류를 소비하므로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막을 수 있게끔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와 같이 1차측 탭이 두개이고, 2차측 탭에 양파 정류할 수 있게 중간탭이 나온 트랜스(1)에 있어 2차측 탭의 양단에 브리지 다이오드(3)를 연결시키어 콘덴서(5) 및 실리콘 제어정류소자(11)를 접속시키고, 2차측의 중간탭에 다이오드(2)와 콘덴서(4) 및 실리콘 제어정류소자(7)를 접속시키어 실리콘 제어정류소자(7)의 게이트 단자와 실리콘 제어정류소자(11)의 게이트 단자 사이에 제너다이오드(6), 지연회로인 저항(8)과 콘덴서(9) 다이오드(12) 및 저항(10)를 연결시켰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랜스(1)의 1차측에 전원이 공급될 때 트랜스(1)의 2차측의 각 노우드(node)점의 전압파형을 살펴보면 제2도에서와 같이 E점의 전압이 D점 전압보다 낮은 시간(위 전압 파형에서) 동안은 이 D점의 전위가 E의 전위에 비해서 정(+)의 전위가 인가되므로 다이오드(2)가 도통되어 콘덴서(4)에 정의전위를 인가시키고 E점의 전압이 D점의 전압보다 낮은 b시간 동안 다이오드(D4)에 의하여 접지를 통하여 콘덴서(4)에 부의 전위를 인가시키므로 콘덴서(4)는 충전되는 것으로 이 시간 동안(b시간) F점의 전위가 D점 전위보다 높으므로 다이오드(D3)는 “어프”(off) 상태가 된다.
따라서 F점의 전위가 D점보다 낮을 경우(a시간 동안)에는 E점의 전위는 D점의 전위보다 높고 D점의 전위가 F점의 전우보다 높으므로 다이오드(2)를 통하여 콘덴서(4)에 정의전위를 인가시키고, 다이오드(D3)를 통하여 부의전위를 콘덴서(4)에 인가시키므로 콘덴서(4)는 충전되어, a시간 동안은 다이오드(2)(D3)에 의하여 정류되고, b시간 동안은 다이오드(2)(D4)에 의하여 정류되므로서 양파 정류가 행하여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정류되어 110V 입력시에는 B점의 전위는가 되고, C점의 전위는 Vcd가 된다.
그리고 220V 입력시 트랜스(1)의 2차측 EF 탭의 피이크치 전압은 2Vcd가 되고 ED 탭의 피이크치 전압은 Vcd가 인가되는 것이다.
한번 트리거 되고 나면 계속 트리거 될 수 있게 하여 서어지 전압에 의한 단방향 실리콘 제어소자(7) 및 (11)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만일 110V 입력시 C점의 전위 및 220V 입력시 B점의 전위를 Vcd라 가정한다면, 110V 전원이 트랜스(1)의 1차측에 공급시 다이오드(2) 및 브리지 다이오드(3)을 통해 양파 정류된 전원은 콘덴서(4)에까지 되고 브리지 다이오드(3)를 통해 브리지 정류된 전원은 콘덴서(5)에 Vcd까지 충전된다.
이때 제너 다이오드(6)의 제너 전압을 2/3Vcd 정도로 설정해 두면 B점의 전위()는 제너 다이오드(6)에 설정된 제너 전위(2/3Vcd) 보다 낮아 단방향 실리콘 제어소자(7)은 오프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콘덴서(4)에 충전된 전원()은 저항(8)을 통하여 콘덴서(9)에 충전되고 이 충전된 전위가 실리콘 제어소자(11)의 트리거 전위 이상되어 저항(10)을 통하여 단 방향 실리콘 제어소자(11)을 트리거시킨다.
이때 단방향 실리콘 제어소자(11)가 트리거 되면 C점의 전위(Vcd)가 A점에 인가되는 것이다.
그리고 220V 전원이 트랜스(1)의 1차측에 공급하게 되면 트랜스(1) 2차측의 EF 탭의 피이크치가 2Vcd가 되면, 브리지 다이오드(3)에 의하여 정류되어 2Vcd가 콘덴서(5)에 충전되므로 C점의 전위는 2Vcd가 된다.
또 이때 B점은 다이오드(D3)(D4)(2)로 양파정류(Vcd)가 되어 콘덴서(4)는 Vcd까지 충전되고 콘덴서(5)는 2Vcd까지 충전된다.
따라서 제너다이오드(6)의 제너 전위를 2/3Vcd로 설정된 전위보다 B점의 전위(Vcd)가 높아 제너 다이오드(6)를 도통하여 단방향 실리콘 제어소자(7)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단방향 실리콘 제어소자(7)를 트리거 되고, 단방향 실리콘 제어소자(7)이 턴온 되면, B점의 전위 Vcd가 인가되는 것이다.
이때에 단방향 실리콘 소자(11)의 캐소우드와 게이트의 전위는 동전위가 되어 단방향 실리콘 소자(11)는 트리거되지 못하고, 저항(8)과 콘덴서(9)의 시정수 만큼 늦게 충전된 콘덴서(9)의 전위는 아주 미소할 뿐 아니라 단방향 실리콘 제어소자(7) 양단을 쇼트 상태로 볼 수 있으므로 트리거 지연회로(8, 9, 10)은 거의 오프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양파 정류와 브릿지 정류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저항(8)을 통하여 콘덴서(9)에 충전되는 시간 동안 제너 다이오드(6)가 입력전압이 설정된 전압으로 110V인지 220V인지를 감지하여 220V일 때는 양파 정류한 전원을 A점에 공급하고 110V일 때는 브릿지 정류한 전원을 A점에 공급하여 110V, 220V 겸용 자동 전환 전원회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110V, 220V 겸용인 일방 가전제품(텔레비죤, 라디오, 앰프) 등에 본 고안을 사용하면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측 탭이 두개이고, 2차측 탭이 양파 정류할 수 있게 중간 탭이 나온 트랜스(1)에 있어서, 2차측 탭의 양단에 브리지 다이오드(3)를 연결시키어 콘덴서(5) 및 실리콘 제어정류소자(11)을 접속시키고, 2차측의 중간탭에 다이오드(2)와 콘덴서(4) 및 실리콘 제어정류소자(7)을 접속시키어 실리콘 제어정류소자(7)의 게이트 단자와 실리콘 제어정류소자(11)의 게이트 단자 사이에 제너 다이오드(6) 및 제어회로인 저항(8)과 콘덴서(9)를 연결시키어 됨을 특징으로 하는 110V, 220V 겸용 자동 전환 전원회로.
KR2019800000325U 1980-01-19 1980-01-19 110v, 220v 겸용 자동 전환 전원회로 KR810000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325U KR810000790Y1 (ko) 1980-01-19 1980-01-19 110v, 220v 겸용 자동 전환 전원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325U KR810000790Y1 (ko) 1980-01-19 1980-01-19 110v, 220v 겸용 자동 전환 전원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790Y1 true KR810000790Y1 (ko) 1981-07-02

Family

ID=1921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0325U KR810000790Y1 (ko) 1980-01-19 1980-01-19 110v, 220v 겸용 자동 전환 전원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7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9702A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having constant output for a wide range of input voltage
US5282126A (en) Start circuit for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5637988A (en) Switching power supply attaining sinusoidal input current
US4949234A (en) High efficiency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US5168435A (en) Converter
US4219872A (en) Power supply
JPH0691747B2 (ja) スイッチモ−ド電力供給装置
CA2264437C (en) Voltage regulator circuit
US4593213A (en) Current-limited MOSFET switch
GB1433760A (en) Inrush current limiting circuit for ac-dc converter
JPS54137621A (en) Switching stabilized power circuit
JPH0866037A (ja) 電源装置
US4523265A (en) Process and device for eliminating the disturbances related to the fluctuations of the load in chopped power supplies
GB2121247A (en) Capacitive voltage dropper
KR810000790Y1 (ko) 110v, 220v 겸용 자동 전환 전원회로
GB857529A (en) Improvement in or relating to electric switching systems
US6046916A (en) High and low d.c. voltage power supply
JPH03872Y2 (ko)
JPS6118416B2 (ko)
KR920000346Y1 (ko) 110v/220v 자동전환용 정전압 회로
JPS6318962A (ja) スイツチング電源
CA1081322A (en) Emitter follower voltage controlled power supply
JPH0258860B2 (ko)
JPH01110060A (ja) 電源装置
JPS5842994B2 (ja) 水平発振回路の電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