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736B1 - 헨트리아콘타 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헨트리아콘타 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736B1
KR810000736B1 KR7700627A KR770000627A KR810000736B1 KR 810000736 B1 KR810000736 B1 KR 810000736B1 KR 7700627 A KR7700627 A KR 7700627A KR 770000627 A KR770000627 A KR 770000627A KR 810000736 B1 KR810000736 B1 KR 810000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s
boc
gly
thr
as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오 리 초
Original Assignee
쿠르트 내셀보슈, 한스 슈튀크린
에프 호프만-라 롯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르트 내셀보슈, 한스 슈튀크린, 에프 호프만-라 롯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르트 내셀보슈, 한스 슈튀크린
Priority to KR770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736B1/ko

Links

Landscapes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헨트리아콘타 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탐닉성이 없는 강력한 진통제로 유효한 다음 구조식(I)인 헨트리아 콘타 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구조식에서 R1은 Ile(이소루이신) 또는 Val(발린)이고 R2는 His(히스티딘) 또는 Tyr(티로신)이고 R3는 Gln(글루타민) 또는 Glu(글루타민산)이다.
특히 다음 구조식(Ia)인 헨트리아콘타 펩타이드가 좋다.
Figure kpo00002
본 명세서에서는 이후로 편리를 도모키 위해 헨트리아콘타 헵타이드를 β-엔도핀(endorphin)으로 명명키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구조식(I)인 헨트리아콘타펩타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a) 기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천연원료로부터 이러한 화합물을 분리해내거나, 또는 b) 통상의 고체 상태의 펩타이드 합성법에 의해 이러한 화합물을 합성하여 제조한다.
천연 원료로 부터의 β-엔도핀의 분리는 통상의 기지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이러한 물질을 위한 바람직한 천연 원료는 소의 뇌하수체, 바람직하기로는 낙타의 뇌하수체이다. 이리하여 예를 들면 낙타의 뇌하수체 전부를 산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획분 D를 얻고 이를 그후 카복시메틸-세루로즈 컬럼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참조에 성분 N으로 기술된 것을 얻는다.
[참조 : Li et al., Biochemistry 14, 947(1975)]. 성분 N을 기지의 겔 여과법과 전기영동법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원하는 β-엔도핀을 얻는다. 천연원료로부터 얻은 β-엔도핀의 아미노 산의 함량과 펩타이드의 연결 순서의 확인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트립신과 서브틸리신(subtilisin)에 의한 소화 분해방법을 사용하여 정제된 성분 N로부터 얻은 β-엔도핀을 효소적으로 소화 분해시켜 할 수 있다. 그 후에 소화 분해물을 높은 전압으로 전기 영동하며 페이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한다. 전개하여 닌히드린으로 점을 발색시켜 보면 트립신에 의한 소화 분해물은 점이 열한개로 나타나고 서브틸리신에 의한 소화 분해물은 점이 열개로 나타난다. 점을 용출해내고 아미노산의 함량은 작동 분석기로 측정하는 반면 아미노산 연결 순서는 단실-에드만(dansy-Edman)방법에 의해 결정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β-엔도핀이 상기와 같은 아미노산 함량과 연결 순서를 갖는 헨트리아콘타 펩타이드임을 결정하게 된다.
β-엔도핀의 합성은 기지의 방법인 고상(固狀)합성법에 의해 진행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제법은 β-엔도핀의 -COO말단기를 나타내는 아미노 그룹이 보호된 글루타민을 통상의 고상 펩타이드 합성법에 따라 1-2%디벤질 벤젠으로 교차-연결(cross-linked)된 벤즈하이드릴아민 폴리스티렌과 같은 수지와 커플링시킨다. 그후에 아미노를 보호시킨 그룹을 선택적 사용된 보호 그룹의 성질에 따라 적당한 시약을 사용하여 분해 제거한다. 구체적인 바람직한 방법은 아미노 보호그룹으로 33급-부틸옥시카보닐(Boc)그룹을 사용하는 것이고 이 경우 분해제로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중의 50%트리플루오로 아세틴 산이 선택적으로 좋다.
분해시킨 후 글루타민-수지를 아미노가 보호된 글라이신, 바람직하기로는 N-Boc-글라이신,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미리 제조한 N-Boc-글라이신의 대칭형 무수물로 글루타민의 유리 아미노 그룹과 글라이신의 카복실 그룹 사이에 펩타이드 결합을 생성키 위해 기지의 방법에 따라 처리한다.
보호된 아미노산의 미리 제조한 대칭형 무수물로의 보호기 제거 및 커플링의 단계는 β-엔도핀의 연결 순위에 따라 나머지 아미노 산에 대해서도 반복해준다. α-아미노 그룹을 보호하는 것 외에도 몇몇 아미노 산은 측쇄를 차단하는 그룹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사용된 이러한 아미노산과 그 차단시키는 그룹은 다음과 같다 :
Glu(OBzl), Ser(Bzl), Lys(oBr-z), Tyr(oBr-z)와 His(Boc)
상기에서 OBr-z는 0-브로모벤질옥시카보닐이고 Bzl은 벤질이며 Boc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다.
합성은 다음과 같은 보호된 헨트리아콘타 펩타이드를 소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수지에 커플링하여 완결시킨다.
Boc-Tyr(oBr z)-Gly-Gly-Phe-Met-Thr-Ser-(Bzl)-Glu(OBzl)-Lys(oBr-z)-Ser(Bzl)-Gln-Thr--Pro-Leu-Val-Thn-Leu-Lys(oBr z)-Asn-Ala-Ile-Ile-Lys(oBr z)-Asn-Ala-His(Boc)-Lzs(oBr z)-Lys(oBr-z)-Gly-Gln-
Figure kpo00003
oBr z-Bzl과 Boc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고
Figure kpo00004
은 스티렌 1%디비닐벤젠 중합체이다.
펩타이드와 수지가 커플링된 것을 액체불화수소로 처리하여 보호된 모든 그룹을 분해함과 동시에 분해시켜 원하는 β-엔도핀을 제조한다.
β-엔도핀이 β-리포트로핀(lipotropin)호르몬의 61-91번 자기와 같은 아미노산 연결순서를 갖음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호르몬에 비해서 β-엔도핀의 지방질 분해작용은 매우 낮다. 그러나, β-엔도핀은 탁월한 아편항진 작용을 갖으며 이리하여 이것은 강력하며 탐닉성이 없는 진통제로 유효하다. 합성한 β-엔도핀과 천연의 β-엔도핀은 물리적 및 생물학적 성질이 같다.
구조식(I)인 β-엔도핀의 동족체는 돼지와 인체의 호르몬으로부터 얻는 상응하는 β-리포트로핀의 아미노 연결 순서와 일치하다. 이것은 편리한대로 β-엔도핀의 제조에서 기술한 것과 유사한 통상의 고상펩타이드 합성법에 의해 아미노 산을 적당히 교대시켜 치환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라 화합물은 약학적 무독한 담체 물질을 함유한 활성성분을 직접 또는 서방출케 하는 약학적 제제로 하여 약제로써 사용할 수 있다. 이 담체 물질에는 경구, 피하 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물, 제라틴, 아라비아 검, 유당, 전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식용유, 폴리알킬렌글라이콜, 석유 젤리등과 같은 불활성인 유기 또는 무기 담체물질이 있다. 약학적 제제는 고형제제(예; 정제, 당의정, 좌제 또는 캡술제) 또는 반고형 제제(연고제) 또는 액체 제제(예; 액제, 현택제 또는 유제)로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약학적 제제에는 멸균시키거나 또는 보존제, 안정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또는 삼투압을 조절키 위한 염 또는 완충 용액이 되게하는 물질과 같은 첨가 물질을 함유시킬 수 있다.
전신 투여를 위한 약학적 제제의 경우에 5-750mg/kg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매 투여시마다 투여할 수 있다. 약학적 제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통상의 약학적 제제에서 사용하며 치료를 위한 투여에 적합한 무독성인 고체 및/또는 액체 담체물질(예; 상기에서 언급한 담체물질임)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원하는 약학적 제형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1]
천연 β-엔도핀의 분리
총 500개의 낙타 뇌하수체를 참조의 방법에 따라 산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획분을 얻는다.
[참조 : Li etal., Biohemistry 14, 947(1979)]. 획분 D를 카복시메틸-세루로즈 컬럼으로 크로마토 그래피하여 66mg의 성분 N를 얻고 이를 0.1N초산이 들어 있는 세파덱스 G-25(미세입자) 컬럼으로 겔 여과한다.
6개의 획분을 동결 건조시킨 후에 다음과 같은 양을 얻는다 :
A=10mg; B=7mg; C=11mg; D=13mg; E=2mg와 F=7mg 획분 C는 pH 3.7인 피리딘-초산완충용액 [피리딘/초산/물=4 : 40/1150(V/V)]중의 와트만 No.3MM페이퍼로 460V에서 2시간동안 제조용을 위한 전기 영동을 하여 더욱 정제한다. 중요한 띠는 0.1N초산으로 용출시키고 동결 건조시켜 7.5mg의 순수한 생성물을 얻는다. 이 물질의 NH2-말단을 분석하면 말단 그룹으로는 단지 티로신이다. 아미노산 분석은 참조이 방법에 따라 자동 분석기를 사용하여 순수한 생성물의 시료에 대해 실시한다.
[참조 : Spackman et al., Anal. Chem. 30, 1190(158)]. 생성물의 아미노산·조정상태에 관한 결과는 표1과 같다.
참조의 방법에 따라 종이에 정색 시험한 결과 트립토판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참조 : Smith, Nature 171, 43(1953)]
[표 1]
Figure kpo00005
a) 산 가수분해는 110˚에서 24시간동안 6N염산으로 실시한다.
b) 2개의 아스파라긴
c) 하개의 글루타민산과 2개의 글루타민의 합계
d) 72시간동안 가수분해한 결과 2개의 잔기가 있음을 보임.
[실시예 2]
천연 β-엔도핀의 구조결정
실시예 1의 생성물의 효소에 의한 분해 소화반응을 1mg의 펩타이드와 0.02mg의 트립신 또는 0.05mg의 서브틸리신으로 37℃에서 pH 8.0인 완충용액(0.2M암모늄 아세테이트)중에서 트립신인 경우에는 8시간동안 서브틸리신의 경우에는 1시간동안 실시한다. 소화물을 테이퍼 크로마토그래피[부탄올/초산/물=4/1/5(V/V)]하고 이어서 pH 2.0인 용액(개미산(88%)/초산/물=218/63/719(V/V)]중에서 1.5시간동안 200V의 전압에서 고전압 전기영동을 실시한다. 에탄올중의 1%닌히드린으로 전기 영동시킨 판에 분무하여 20시간동안 암실에서 현상시킨다. 점을 잘라내어 0.1N수산화암모늄으로 용출시킨다. 용출액을 아미노산을 위한 데시케이터에서 건조시킨 후 분석한다. 아미노산 분석은 참조에 따라 실시한다.
[참조 : Spackman et al., 상동]
펩타이드의 아미노산의 연결 순서는 참조에 기술된 에드만 법에 의해 결정한다. [참조 : Li et al., Arch. Biochem. Biophys. 141, 705(1970)] Asp/Asn(아스파르틴산/아스파라긴)과 Glu/Gln(글루타민산/글루타민)의 결정은 참조에 따라 pH 6.7에서 종이 전기 영동을 실시해 보아야 그 이동도에 의해서 알아낸다. [참고‥offord, Nature 211, 591(1966)].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 표 2와 표 3과 같다.
[표 2]
Figure kpo00006
a) 72시간동안 가수분해시키는 T7과 S7을 제외하고 110℃에서 24시간동안 6N염산으로 가부순해시킨 가수분해물로부터 얻은 결과임.
[표 3]
Figure kpo00007
a) 아미노산 분석 결과인 표 2 참조.
b) →, 단실-에르만 법.
β-엔도핀의 반응순서는 실시예 1의 표 1과 본 실시예의 표 2와 표 3에 제시한 데이터에 의해 유추해 낸다. 표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아르기닌, 시스틴과 트립토판은 성분 N-획분 C에는 없다. 덧붙여서 이 물질에는 각각 단 한 개의 히스티딘, 글루타민 산, 발린, 메티오닌과 티로신이 있다. NH2-말단 잔기가 티로신이기 때문에 트립신성 펩타이드 T8는 NH2-말단에 놓여 있음에 틀림없다. 서브틸리신성 펩타이드 S9의 아미노산과 NH2-말단데이터(표 2)로부터 T8이 T8에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유사하게 S7은 T9과 T7을 겹치게 할 수도 있다.
펩타이드 T6은 COOH-말단인 글루타민산은 있고 리진은 없으며 이는 COOH-말단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펩타이드 T5는 Lys-Lys 연결을 가능성을 시사에 주며 이는 T1과 T3(표 2와 3)에 의해 확인된 것이다. 펩타이드 T1은 역시 T3와 T5를 연결시켜 준다. 이리하여 트립신성 펩타이드의 배열은 T8→T9→T7→T3→T5로 결정할 수 있으며 성분 N-화분 C(β-엔도핀)의 완전한 아미노산 연결 순서는 헨트리아콘타 펩타이드를 위해 전에 명시한 대로이다.
[실시예 3]
β-엔도핀의 고상 합성
Nα-BOC-α-벤질-γ-글루타밀 벤즈하이드릴아민 수지
α-벤질 Nα-3급-부틸옥시카보닐 글루타메이트를 벤즈하이드릴아민 수지에 부가시키는 것은 그의 대칭형 무수물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g당 0.38밀리몰의 유리아민을 함유한 2.5g의 벤즈하이드릴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지 시료를 메틸렌클로라이드중의 5%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EA)으로 중화시키고 메틸렌클로라이드중의 3당량의 대칭형 무수물로 45분간 처리한다. 메틸렌 클로라이드중의 5ml의 5% DIEA를 그후에 가하고 다시 10분간 더 반응시킨다. 반응을 여과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로 30ml씩 3회, 무수 알코올로 3ml씩 3회 세척하여 종료시킨다. 동량의 대칭형 무수물로 수지를 다시 처리한 후 진공상태에서 1시간동안 오산화인으로 건조시킨다. 반응의 종결은 기신(Gisin)시험을 하여 확인한다. 시료를 프로피온산/12N염산으로 가수분해한 후 아미노산 분석은 g당 0.23밀리몰의 Gln에 상응하는 피크를 갖는다(68%분해). 글루타민으로써 HF로 분해된 생성물 1-부탄올/초산/물(4/1/1, V/V)와 1-부탄올/피리딘/초산/물(6/6/1.2/4/6, V/V)로 박층크로마토그래피하여 확인한다.
Boc-아미노산의 대칭형 무수물
Boc-아미노산과 N-N'-다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 1)와의 반응은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 6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중의 1.9밀리몰의 Boc-아미노산을 0℃로 냉각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중의 1.6ml의 0.6M의 DCCI와 혼합해 준다. 20분간 0℃에서 교반해준 후 디사이클로헥실우레아를 25℃에서 여과하여 제거하고 2.4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세척해준다. 여액을 곧 커플링반응에 이용한다.
보호된 β-엔도핀 벤즈하이드릴아민 수지
바로 상기에서 기술된 수지를 다음과 같은 합성법에 적용시킨다.
1) 15ml씩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3회 세척하고;
2) 15분동안 메틸렌 클로라이드중의 50%트리플루오로아세틴산으로 Boc그룹을 제거하고;
3) 15ml씩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2회 세척하고;
4) 메틸렌 클로라이드중의 15ml씩의 50%디옥산으로 2회 세척하고;
5) 15ml씩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2회 세척하고;
6) 15ml씩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중의 5%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으로 5분간 진탕해주고;
7) 15ml씩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6회 세척하고;
8) 미리 제조한 Boc-아미노산의 대칭형 무수물 용액을 가하고 30분간 진탕해주고;
9) 메틸렌 클로라이드중의 5%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0당량을 가하고 또 20분간 진탕해주고;
10) 15ml씩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3회 세척하고
11) 15ml씩의 무수 에탄올로 3회 세척한다.
상기 방법을 다음 N-보호아미노 산에 대해 반복 실시한다 :
Boc-Gly, Boc-Lys(oBr-Z), Boc-Lys(oBr-Z), Boc-His(Boc), Boc-Ala, Boc-Asn, Boc-Lys(oBr-Z), Boc-Ile, Boc-Ile, Boc-Ala, Boc-Asn,* Boc-Lys(oBr-Z), Boc-phe, Boc-Leu, Boc-Thr, Boc-Val, Boc-Leu, Boc-pro, Boc-Thr, Boc-Gln, Boc Ser(Bzl), Boc-Lys(oBr-Z), Boc-Glu(OBzl), Boc-Ser(Bzl), Boc-Thr, Boc-Met, Boc-phe, Boc-Gly, Boc-Gly와 Boc-Tyr(oBr-Z)
*Asn(아스파라긴)을 도입시킨 후 펩타이드 수지를 건조하고 (수득량 : 4.7g) 나머지부분(400mg)은 제거한다. 펩타이드 수지 잔류물을 그후에 나머지 잔류 잔기를 혼합하여 2가지 점만 제외하곤 같은 방법을 적용시켜 처리한다. 메틸렌 클로라이드중의 5% DIEA로 2번 처리하는 것은 중화와 무수물 커플링의 두번째 단계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고 트리플루오로에탄올을 20%농도가 되게 가해준다.
β-엔도핀
0.6g의 보호된 β-엔도핀 수지 시료에서 Boc-그룹을 제거키 위해서 보호기 제거반응 및 중화반응르 실시한다. 그후에 건조된 수지를 1시간동안 0℃에서 1.8ml의 아니솔과 15ml의 액체 불화 수소중에서 교반해 준다. 불화 수소를 질소 기류로 제거하고 기름 잔사물질을 15ml씩의 에틸아세테이트로 2회 세척해 준다. 펩타이드를 수지로부터 15ml씩의 50%초산으로 3회 추출하고 여액을 합하여 진공상태하에서 소량(3-5ml)으로 증발시키고 0.5초산중의 세파덱스(G-10(2×25cm컬럼)으로 겔 여과한다. 피크(280mm에서 검지)가 검지되며 동결 건조하여 110mg을 얻는다. 이 물질을 그후에 카복시메틸-세루로즈로 크로마토 그래피해준다. 주된 피크(280mm에서 검지)
물질을 분리하여 66mg의 물질을 얻는다. 또한, 이 물질을 세파덱스 G-50으로 분배적 크로마토그래피를 하여 정제한다. 주된 피크 폴린-로우리(Folin-Lowry)에 의해 감지(Rf=0.21)로 나타나는 물질을 분리하여 매우 정제가 잘된 52mg의 β-엔도핀(출발물질인 수지를 기준하고 수율은 19.6%임)을 얻는다.
n-부탄올/피리딘/초산/물(15/10/3/12, V/V)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된 물질(50㎍)은 Rf치가 0.35인 한점으로(닌히드린으로 발색검지)나타난다. 종이 전기 영동하여 합성시킨 β-엔도핀(50㎍의 시료)은 pH3.7과 6.9에서 각각 Rf치(리진에 대한 상대치)가 0.65와 0.42인 단일점으로 나타난다. 역시 정제된 물질(100mg)의 겔상 전기영동은 1시간동안 pH 4.5에서 단일 띠로 나타난다. 시료(1mg)를 역시 5%폴리아크릴아마이드겔로 전기 영동시킨다.
단지 한 개의 단일 띠(12%트리클로로아세틴산으로 침전시켜 검지)가 약 PI 10.0에서 검지된다. 산 가수분해후의 아미노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Lys 5.2, His 0.9, Asp 2.2, Thr 3.0, Ser 2.1, Glu 2.1, Pro 1.1, Gly 3.0, Ala 2.1, Val 1.1, Met 0.9, Ile 1.5, Leu 2.2, Tyr 1.0, Phe 2.2
완전히 효소로 분해(처음에는 트립신과 케모트립신, 그후에 류신 아미노 펩티데이즈로 분해 소화)시킨 후의 아미노 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Lys 3.0, His 1.0, Tpr 3.2, (ser, Asn, Gln) 3.2, Glu 1.1, Pro 0.9, Gly 3.0, Ala 2.1, Val 1.0, Met 1.2, Ile 2.0, Leu 2.1, Tyr 1.1 Phe 1.8
[실시예 4]
β-엔도핀의 생물학적 작용
천연 β-엔도핀의 아편 항진작용은 모르못트의 뇌막을 사용하여 참조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참조 : Simon et al., Proc. Nat. Acad. Sci, 70, 1947(1977)].
[표 4]
Figure kpo00008
a) 입체 특이성적인 결합에 대한 저해백분율을 평균치±표준오차(4회 측정)
b) 노르모르핀에 대한 상대강도; 342%
(300-392와 λ=0.044에서 95%신리한계를 갖임)
상기 표로부터 β-엔도핀은 강력한 아편항진작용을 갖임을 볼 수 있으며 그 강도는 일몰을 기준해 볼 때 노르모프핀보다 3.42배이다.
천연 β-엔도핀의 지방질 분해작용을 참조의 방법에 따라 토끼의 지방 세포에 대해 소의 β-리포트로핀 호르몬의 작용과 비교해 본다. [참조 : Li et al., Arch. Biochem, Biophys 169, 669(1975)]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표 5와 같다.
[표 5]
Figure kpo00009
a) 시간당, 세포당 생성된 글리세롤의 마이크로몰임.
3회측정, 수치는 평균치±표준오차임.
[실시예 5]
돼지의 β-리포트로핀의 연결 순위와 유사한 β-엔도핀의 동족체
2번째 Boc-Ile아미노산을 Boc-val으로 치환하는 전만 달리하여 실시예 3의 방법을 반복하여 다음과 같은 돼지의 β-리포트로핀의 상응하는 부위의 아미노산 연결 순서를 갖는 β-엔도핀의 동족체를 제조한다.
H-Tyr-Gly-Gly-Phe-Met-Thr-Ser-Glu-Lys-Ser-Gln-Thr-Pro-Leu-Val-Thr-Leu-Phe-Lys-Asn-Ala-Ile-Val-Lys-Asn-His-Lys-Lys-Gly-Gln-OH
[실시예 6]
인체의 β-리포트로핀의 연결 순위와 유사한 β-엔도핀의 동족체
사용된 카복실 말단그룹이 Boc-Glu(Bzl)이고 Boc-His(Boc)가 Boc-Thr(oBr-z)로 치환된 점만을 달리하여 실시예 3의 방법을 반복하여 인체의 β-리포트로핀의 상응하는 부위와 일치하는 다음과 같은 아미노 산 연결 순서를 갖는 β-엔도핀의 동족제츨 제조한다.
H-Tyr-Gly-Gly-Phe-Met-Thr-Ser-Glu-Lys-Ser-Gln-Thr-Pro-Leu-Val-Thr-Leu-Phe-Lys-Asn-Ala-Ile-Ile-Lys-Asn-Als-Tyr-Lys-Gly-Glu-OH
[실시예 7]
비경구용 재제
증류스에 용해시킨 β-엔도핀의 멸균용액을 멸균된 앰플에 충진하거나 바이알 당 50mg의 펩타이드를 바이알에 충진하다. 그 후에 용기를 건조되고 멸균된 고체물질인 생성물이 되게 하기 위해 동결 건조시킨다. β-엔도핀에 등작액인 생리식염수를 가하여 주사제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 항목은 본 발명을 상술하는 것이다.
1. 다음과 같은 연결 순서를 갖는 헨트리아콘타 펩타이드를 제조함을 특징으로하는 청구범위에 따른 제법.
H-Tyr-Gly-Gly-Phe-Met-Thr-Ser-Glu-Lys-Ser-Gln-Thr-Pro-Leu-Val-Thr-Leu-Phe-Lys-Asn-Ala-Ile-Ile-Lys-Asn-Als-Tyr-Lys-Gly-Gln-OH
2. 뇌하수체를 산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획분 D를 얻고 이 추출물을 카복시메틸-세루로즈 컬럼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하고 성분 N은 겔 여과와 전기 영동법과 같은 기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다음과 같은 연결순서를 갖는 헨트리아콘타펩타이드를 낙타의 뇌하수체로부터 분리해냄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에 따른 제법.
H-Tyr-Gly-Gly-Phe-Met-Thr-Ser-Glu-Lys-Ser-Gln-Thr-Pro-Leu-Val-Thr-Leu-Phe-Lys-Asn-Ala-Ile-Ile-Lys-Asn-Als-Tyr-Lys-Gly-Gln-OH
3. 액체 불화수소로 처리하여 다음 구조식을 갖는 공중합체에 커플링된 보호된 펩타이드중의 모든 펩타이드의 보호 그룹을 분해함과 동시에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수지로부터 커플링된 펩타이드를 통상의 고상 펩타이드 합성법의 마직막 단계에서 분해해냄을 특징으로하는 청구범위에 따른 제법.
Boc-Tyr-(oBrZ)-Gly-Gly-Phe-Met-Thr-Ser(Bzl)-Glu(OBzl)-Lys(OBr-Z)-Ser(Bzl)-Gln-Thr-Pro-Leu-Val-Thr-Leu-Phe-Lys(oBr-Z)-Asn-Ala-Ile-Lys-(oBr-Z)-Asn-Ala-His(Boc)-Lys(oBr-z)-Lys(oBr-Z)-Gly-Gln-OH
상기구조식에서 oBr-Z는 o-브로모벤질옥시카보닐이고, Bzl은 벤질이고, Boc은 3급-부틸옥시카보닐이고,
Figure kpo00010
은 스티렌-디비닐벤젠 공합체수지이다.
4. 다음 연결 순위를 갖는 헨트리아콘타펩타이드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법.
H-Tyr-Gly-Gly-Phe-Met-Thr-Ser-Glu-Lys-Ser-Gln-Thr-Pro-Leu-Val-Thr-Leu-Phe-Lys-Asn-Ala-Ile-Ile-Lys-Asn-Ala-Tyr-Lys-Lys-Gly-Glu-OH (Ib)
5. 다음 반응 순서를 갖는 헨트리아콘타펩타이드
H-Tyr-Gly-Gly-Phe-Met-Thr-Ser-Glu-Lys-Ser-Gln-Thr-Pro-Leu-Val-Thr-Leu-Phe-Lys-Asn-Ala-Ile-Ile-Lys-Asn-Ala-Tyr-Lys-Gly-Glu-OH (Ib)
6. 다음 반응 순서를 갖는 합성하여 제조한 헨트리아콘펩타이드
H-Tyr-Gly-Gly-Phe-Met-Thr-Ser-Glu-Lys-Ser-Gln-Thr-Pro-Leu-Val-Thr-Leu-Phe-Lys-Asn-Ala-Ile-Ile-Lys-Asn-Ala-Tyr-Lys-Gly-Glu-OH (Ib)

Claims (1)

  1. 다음과 같은 결합 순서의 헨트리아콘타 펩타이드를 제조함에 있어 기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천연원료로부터 다음 화합물을 분리해내거나 또는 통상의 고상 펩타이드 합성법에 의해 다음 화합물을 합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헨트리아콘타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H-Tyr-Gly-Gly-Phe-Met-Thr-Ser-Glu-Lys-Ser-Gln-Thr-Pro-Leu-Val-Thr-Leu-Phe-Lys-Asn-Asm-Ala-Ile-R1-Lys-Asn-Ala-R2-LYs-Lys-Gly-R3-OH
    상기 일반식에서 R1은 Ille(이소루이신) 또는 Val(발린)이고, R2는 His(히스티딘) 또는 Tyr(티로신)이고, R3은 Gln(글루타민) 또는 Glu(글루타민산)이다.
KR7700627A 1977-03-16 1977-03-16 헨트리아콘타 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10000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627A KR810000736B1 (ko) 1977-03-16 1977-03-16 헨트리아콘타 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627A KR810000736B1 (ko) 1977-03-16 1977-03-16 헨트리아콘타 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736B1 true KR810000736B1 (ko) 1981-06-27

Family

ID=1920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627A KR810000736B1 (ko) 1977-03-16 1977-03-16 헨트리아콘타 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73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2602A (en) Untriakontapeptide with opiate activity
Goldstein et al. Thymosin alpha1: isolation and sequence analysis of an immunologically active thymic polypeptide.
FI92325C (fi) Menetelmä tymopentiinianalogien valmistamiseksi
Maerki et al. Total solid-phase synthesis of porcine gut gastrin releasing peptide (GRP), a mammalian bombesin
FI87080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grf -analoger.
Folkers et al. Synthesis and activities of neurotensin, and its acid and amide analogs: possible natural occurrence of [Gln4]-neurotensin.
US4081434A (en) Novel analogs of β-endorphin
Nicolas et al. Solid phase synthesis of somatostatin-28 II. A new biologically active octacosapeptide from anglerfish pancreatic islets
US4293455A (en) N.sup.α -Desacetylthymosinα1 and process
Li et al. β‐endorphin: isolation, amino acid sequence and synthesis of the hormone from horse pituitary glands
US5112808A (en) Alkylated hormone-releasing peptides and method of treatig mammals therewith
Leukart et al. Synthesis of angiotensins, bradykinins and substance P octapeptides in which the residues Phe and Tyr have been replaced with car and of [Car1, Leu5]‐enkephalin
Cody et al. Cyclic melanotropins. 5. Importance of the C-terminal tripeptide (Lys-Pro-Val)
EP0315687A1 (en) (N-ALPHA-ACYL, 8-GLYCIN, DES-19-LEUCIN) CALCITONIN.
EP0307860B1 (en) Cyclic GRF-analogs
KR810000736B1 (ko) 헨트리아콘타 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TZOUGRAKI et al. SYNTHESIS OF HUMAN β‐ENDORPHIN IN SOLUTION USING BENZYL‐TYPE SIDE CHAIN PROTECTIVE GROUPS
US4264492A (en) Enkephalin-like compounds in bovine adrenal medulla
CA1108122A (en) Protected coupled hentriakontapeptide intermediates
US4959352A (en) Cyclic growth hormone releasing factor analog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U613364B2 (en) Novel alkylated growth hormone-releasing peptides and method of treating mammals therewith
EP0297159A1 (en) [N-Acyl, 1,7-Di-Aline] calcitonins,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
EP0288058A2 (en) Analogs of (1,7-di-alanine, des-19-leucine) calcitonine
THURMAN et al. Thymosin al: Isolation and sequence analysis of an immunologically active thymic polypeptide
Merrifield et al. N α-Desacetylthymosinα 1 and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