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621B1 - 검파회로(檢波回路) - Google Patents

검파회로(檢波回路)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621B1
KR810000621B1 KR740004199A KR740004199A KR810000621B1 KR 810000621 B1 KR810000621 B1 KR 810000621B1 KR 740004199 A KR740004199 A KR 740004199A KR 740004199 A KR740004199 A KR 740004199A KR 810000621 B1 KR810000621 B1 KR 810000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electrode
junction
emitter
semiconducto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04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다오 스즈기
Original Assignee
모리다 아끼오
쏘니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다 아끼오, 쏘니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다 아끼오
Priority to KR740004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62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Bipolar Transis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검파회로(檢波回路)
제1도, 제2도, 제3도, 제4도, 제5도, 제6도, 제8도, 제9도는 각기 본원 발명의 설명을 위한 구성도.
제7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검파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본원 발명은 AM수신기등에 사용하는 검파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규의 반도체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회로구성을 간단히 하여, 검파능률을 향상시키고, 또한 검파출력의 레벨을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설명에 앞서, 먼저 이 신규의 반도체소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트랜지스터의 특성평가의 패라미터의 하나가 되는 에미터 접지전류 증폭률 hFE는, 베이스 접지의 전류증폭률을
Figure kpo00001
라고 하면,
Figure kpo00002
로 주어지며, 이
Figure kpo00003
는,
Figure kpo00004
로 주어진다. 단
Figure kpo00005
*는 콜렉터 증폭률,
Figure kpo00006
는 베이스 수송효율,
Figure kpo00007
는 에미터 주입효율이다. 지금 NPN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주입효율
Figure kpo00008
에 대해서 생각하면,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으로 주어진다. 단 Jn은 에미터에서 베이스에 주입되는 전자(電子)에 의한 전류밀도, Jp는 베이스에서 에미터에 주입되는 효율에 의한 전류밀도이다.
여기서, Jn 및 Jp는 각기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이다.
여기서, Ln : 베이스중의 소수캐리어의 확산거리
Lp : 에미터중의 소수캐리어의 확산거리
Dn : 베이스중의 소수캐리어의 확산정수(擴散定數)
Dp : 에미터중의 소수캐리어의 확산정수
np : 베이스중의 평형상태에서의 소수캐리어농도
Pn : 에미터중의 평형상태에서의 소수캐리어농도
V : 에미터 접합에의 인가전압
K : 볼쯔만 정수
T : 온도
이다.
그리고, 에미터의 불순물 농도를 ND, 베이스의 불순물 농도를 NA라고 하면,
Figure kpo00013
치환할 수가 있고, 또 Ln은 베이스폭 W로 제한되며, Ln=W이기 때문에,
Figure kpo00014
로 된다. 또한, 확산정수, Dn, Dp는 캐리어의 이동도와 온도의 함수
Figure kpo00015
이며, 대충 일정한 것으로 간주된다.
상술한 각 식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에 있어 그 hFE를 올리자면,
Figure kpo00016
을 작게하면 된다.
그래서 통상적인 트랜지스터에 있어서는, 이
Figure kpo00017
를 작게하기 위하여 에미터의 불순물농도 ND를 충분히 크게하고 있다.
그런데, 에미터의 불순물농도를 충분히 크게 예컨대 1019atoms/㎤정도이상으로 하면, 격자결함(格子缺陷)이나 전위등이 발생하여 결정(結晶)의 완전성이 얻어지지 않으며, 또 에미터의 불순물농도가 높다는 것 자체에 의해서, 여기에 있어서의 베이스로부터 주입된 소수캐리어의 라이프타임
Figure kpo00018
p가 짧아지며,
Figure kpo00019
에서 이 소수캐리어, 즉 호울의 확산거리 LP가 작아진다. 따라서 (7)식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Figure kpo00020
를 그다지 작게할 수가 없으며, 주입효율
Figure kpo00021
을 어느정도 이상으로는 높일 수가 없다. 따라서 hFE는 그다지 크게할 수가 없다.
본원 출원인은 먼저 이와 같은 결점을 없앤 특수한 트랜지스터를 제안하였다. 이 특수한 트랜지스터는 종래의 트랜지스터와 같이, NPN형의 것과, PNP형의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NPN형의 것에 대하여 그 일례를 제1도 및 제2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NPN형의 것에서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도체기체 S에, N형의 제1도의 반도체영역(1)과, 이것에 접하는 P형의 제2의 반도체영역(2)과 다시 이것에 접하는 N형의 제3의 반도체영역(3)을 설치하고, 제1 및 제2의 영역(1) 및 (2)사이에 제1의 PN접합 JE를, 제2 및 제3의 영역(2) 및 (3)사이에 제2의 PN접합 JC,를 각기 형성한다.
그리고, 제1의 영역(1)내에는, 제1의 접합 JE에 대향해서 이 접합 JE로부터의 거리가 제2의 영역(2)에서 제1의 영역(1)에 주입되는 소수캐리어 즉 호울의 확산거리 LP보다도 작은 위치에 있어서, 이 소수캐리어 즉 호울의 에너지이상 적어도 열에너지 이상의 전위장벽을 형성한다. 도면의 예는, 제1의 영역(1)(1)의 불순물농도를 1015atoms/㎤이라고 하는 오오더(order)가 충분히 낮은 농도로 하는 동시에, 이 제1의 영역(1)내에 이와 같은 도전형 즉 N형으로 1019atoms/㎤ 오오더의 고불순물 농도의 영역(1a)을 형성하여, 영역(1)내에 L-H접합 JH를 형성함으로써 장벽을 형성하도록 한 경우이다.
제2의 영역(2)의 불순물농도는 1015∼1018atoms/㎤ 오오더로 선택하고, 또 제3의 영역(3)의 불순물농도는 1015atoms/㎣라고 하는 오오더가 충분히 낮은 농도로 한다.
그리고 제3의 영역(3)내에는 제2의 접합 Jc에서 소정(所定)간격을 같도록, 이것과 같은 도전형, 즉 N형의 고불순물농도영역(3a)을 형성한다. 이 영역(3a)의 농도도1019atoms/㎣ 오오더로 선정한다.
그리고, 제1의 영역(1)의 고불순물농도영역(1a)위에 제1의 전극(4E)을, 제2의 영역(2)위에 제2의 전극(4B)을, 제3의 영역(3)의 고불순물농도영역(3a)위에 제3의 전극(4C)을 각기 오오믹(ohmic)으로 피착하고, 이들 전극(4E),(4B) 및 (4C)에서 제1, 제2 및 제3의 단자 E,B 및 C를 각기 도출한다.
또한 (5)는 기체 S의 표면에 형성한 이산화규소(sio2)와 같은 절연층이다.
이 소자는, 트랜지스터로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 제1의 영역(1)을 에미터영역, 제2의 영역(2)을 베이스영역, 제3의 영역(3)을 콜렉터영역으로 하여, 에미터접합 JE에 순방향 바이어스를 부여하며, 콜렉터접합 Jc에 역방향 바이어스를 부여한다.
이와 같이 하면, 베이스영역, 즉 제2의 영역(2)에서 에미터영역, 즉 제1의 영역 (1)에 주입된 호울은, 이 에미터영역(1)의 불순물농도가 낮다는 것과 결정성이 좋다는 것등에 의하여 그 수명이 길어지며, 에미터영역(1)에 있어서의 호울의 확산거리 LP가 커진다. 따라서 (6)식 및 (3)식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에미터주입효율
Figure kpo00022
를 크게 할수 있도록 된다. 그러나, 이 확산거리 LP를 크게하여도 실제상, 이 주입된 호울이 기체 S의 표면에 달하여, 표면 재결합해 버리는 따위의 일이 있으면, 실질적으로 확산거리 LP는 커질 수가 없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에서는 전위장벽이 에미터접합에 대향해서 확산거리 LP보다 작은 위치에 형성되므로, 표면 재결합은 작아지며, 확산거리 LP는 충분히 크게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전위장벽이 형성됨으로써, 베이스영역(2)에서 에미터영역 (1)에 주입된 호울의 전류성분 JP를 작게하는 효과가 있다. 즉, 에미터영역(1)에 있어서 L-H접합 JH에서는 의(擬)휄미레벨의 차이 또는 빌트인 전장(電場)이 발생하여, 이것이 소수캐리어의 호울의 확산을 거역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이 레벨이 충분히 클 경우에는, 이 L-H접합 JH에서의, 호울의 농도구배(農度勾配)에 의한 확산전류와 빌트 인전장에 의한 드리프트 전류가 서로 소거되어 베이스에서 저 불순물농도의 에미터영역(1)을 통하여 주입되는 호울전류 JP를 작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 효과에 의해서 에미터접합 JE를 통과하는 전류성분중, 콜렉터영역(3)에 도달하는 전자전류의 비율이 높아지며, (3)식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에미터주입효율
Figure kpo00023
의 값은 커져서, hFE가 높아진다.
이 레벨차(전위장벽의 높이)는 호울의 에너지이상, 적어도 열에너지 이상이 아니면 안된다. 이 열에너지는 대충 kT에서 근사해지지만, 상술한 레벨차는 0.1eV이상일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포텐셜의 천이(遷移)영역에 있어서는, 호울의 확산거리 LP가 그 영역내에서 끝나서는 안된다. 즉 이천이영역의 폭보다 호울의 확산거리 LP가 클것이 요구된다. 도면과 같이 L-H 접합 JH를 형성할 경우에는, 고불순물농도영역(1a)의 불순물량 및 구배를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0.2eV의 전위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도의 예는, 제1의 영역(1)내에 고불순물농도의 영역(1a)을 설치하여, 전위장벽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제1의 영역(1)에, 제1의 접합 JE와 대향해서 PN접합 JS를 형성하는 P형의 부가영역(附加領域)(6)을 설치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PN접합 JS와 접합 JE와의 사이의 거리는, 제1의 영역(1)에 있어서의 소수캐리어의 확산거리 LP보다 작게한다.
이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 제1의 영역(1)에 주입된 호울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 확산거리가 크므로, 부가영역(6)에 유효하게 도달되며, 이 P형의 부가영역(6)에 흡수된다. 그리고 부가영역(6)이 전기적으로 떠있을 경우는, 그 전위는 호울의 증가에 의해서 상승하며, 이 영역(6)과 제1의 영역(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PN접합 JS는 대충 상승전압까지 순 바이어스되며, 호울이 제1의 영역(1)내에 재주입된다. 이것에 의해, 제1의 영역(1)의 부가영역(6) 근방의 호울의 농도가 올라간다. 따라서, 제1의 영역(1)의 접합 JE및 JS사이에 있어서의 호울에 농도분포는 한결같이 되어 구배는 완만하게 되고, 제2의 영역(2)에서 제1의 영역(1)에 확산전류 JP는 작아진다.
본원 발명회로에 사용하는 반도체소자의 하나의 예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도에 나타낸 특수한 트랜지스터의 부가영역(6)을 제어반도체 영역으로 하고, 이 제어영역(6)위에 부가전극(4G)을 오오믹으로 피착하여, 이것에 의해 단자 G를 도출한 것이다. 이 반도체소자를 제4도와 같은 기호로 나타낸다.
이러한 반도체소자에 있어서는 부가전극(4G)에 제1의 전극(4E)에 대하소정의 전위를 공급함으로써 이 반도체소자의 전류증폭률 hFE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도에 있어서 반도체소자(10)의 부가전극(4G)과, 제1의 전극 즉 에미터전극(4E)과의 사이에 가변전류전압원(11)을 접속한다. 이 경우, 전압원(11)의 전압치는, 영에서 PN접합의 순방향 강하전압치 VBE까지의 사이에서 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회로에서, 전압원(11)의 전압치를 PN접합의 순방향 강하전압치 VBE로 할 경우는, 동작상태에서는 부가전극(4G), 즉 제어영역(6)의 전위는 베이스전위와 같아지므로, 제2도와 같이 제어영역(6)이 전기적으로 떠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제어영역(6)에서 에미터영역(1)내에 호울이 재주입되며, 베이스영역(2)에서 에미터영역(1)에의 확산전류 JP가 작아지므로 hFE는 높아진다. 이것에 반하여 전압원(11)의 전압치를 부가전극(4G)의 전위가 베이스전위보다 낮아지는 값으로 할 경우는, 예를 들어 전압치를 영으로 하여 부가전극(4G)의 전위를 에미터와 같은 전위로 할 경우는, 제어영역(6)은 상술한 것과는 다른 작용을 한다. 즉, 이 경우, 베이스영역(2)에서 에미터영역(1)내에 주입된 호울은 제어영역(6)중에 흡입(吸入)되며, 이 때문에 에미터영역( 1)의 접합 JS근방의 부분이 호울의 농도는 매우 낮아진다. 따라서 에미터영역(1)내의 호울의 농도구배가 급준(急峻)하게 되고, 베이스영역(2)에서 에미터영역 (1)에의 확산전류 JP는 커져서, hFE가 작아진다.
제6도는 이들의 경우를 비교해서 나타낸 것으로서, 곡선(12)은 부가전극(4G)의 전위가 베이스전위와 같을 경우이며, 곡선(13)은 에미터전위와 같은 경우로서, 부가전극(4G)의 전위가베이스 전위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의 콜렉터전류 IC가 0.1mA일때의 hFE를 1로 하여, 콜렉터전류 IC와 hFE의 비율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부가전극(4G)의 전위가 에미터전위와 같을 경우는, 베이스전위와 같은 경우에 비해서 hFE가 약 한자릿수
Figure kpo00024
낮다는 것을 알수 있다.
그리고 부간전극(4G)에 주어지는 전위를 베이스전위와 같은 전위에서 에미터전위와 같은 전위까지의 범위로 바꿈으로써, hFE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 본원 발명회로에 사용하는 반도체소자로서의, 제3도의 구성의 것에 있어서, P형의 제어반도체영역(6)중에 다시 N형의 제2의 제어반도체영역을 설치한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이들 두개의 제어영역 사이에 가변저항기나 가변전압원을 접속하여, 각각을 에미터영역(1)에 대하여 전기적(電氣的)으로 뜨게할때는, hFE를 제6도의 곡선 (12)의 상태에서, 곡선(12) 및 (13)의 대충 중간의 상태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 즉, 가변저항기의 저항치가 크든지, 양 제어영역사이에 PN접합의 순방향 강하전압에 해당하는 순방향전압이 주어질때에는 hFE가 높으며, 가변저항기의 저항치가 작든지, 양 제어영역사이에 PN접합의 순방향 강하전압이하의 전압이 주어질 때에는 hFE가 낮다.
또한, 내측의 제2의 제어영역과, 에미터영역(1)의 고불순물농도영역(1a)과의 사이의 반도체표면상에, 절연층(5)을 통하여 게이트전극을 설치하고, 이 게이트전극에 부여하는 전압을 바꾸는 것에 의해서도 hFE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회로에 사용되는 반도체소자는 제3도에 나타낸 것과 각 영역의 도전형을 반대로 하는 PNP형의 것이라도 좋다.
본원 발명에 의한 감파회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반도체소자를 사용한다.
다음에, 제7도, 제8도 및 제9도에 의거하여 본원 발명에 의한 검파회로의 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도에 있어서, 반도체소자(10)의 에미터전극(4E)과 부가전극(4G)과의 사이에 진폭변조(振幅變調)된 입력신호가 공급되는 입력신호원(14)을 접속하고, 이 입력신호원(14)과 에미터전극(4E)과의 접속점을 저항기(15a) 및 콘덴서(15b)의 병렬회로를 통하여 접지하며, 제3전극 즉 콜렉터전극(4C)을 저항기(16)를 통하여, 소정의 직류전압이 공급되는 전원단자(17)에 접속하여, 전원단자(17), 저항기(18), 가변저항기 (19) 및 저항기(20)의 직렬회로를 통하여 접지하고, 가변저항기(19)의 접동자(19a)를 반도체소자(10)의 제2전극 즉 베이스전극(4B)에 접속하며, 다시 콜렉터전극(4C)에서 적분(積分)회로(21)를 통하여 출력단자(22)를 도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원 발명에 의한 검파회로에 의하면, 반도체소자(10)의 특성으로서, 에미터전극(4E)과 부가전극(4G) 과의 사이에 인가되는 신호원(14)의 신호전압VS가 VS
Figure kpo00025
O일때에는 에미터 접지전류증폭률 hFE가 작고 일정하며, O<VS<VBE(VB E는 PN접합의 순방향 강하전압치)의 범위에서 신호전압 VS의 값에 응하여 에미터접지전류 증폭률 hFE가 변화하고, VS
Figure kpo00026
VBE에 있어서는 에미터 접지전류 증폭률 hFE는 크며 일정하게 되고, 또한 부가전극(4G)에서 전류가 주입되어서 베이스전극(4B)에 공급되는 베이스전류 iB에 중첩된다.
지금, 신호전압 VS로서, 제8도 곡선(2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신호를 입력신호원 (14)에 공급한다. 이 제8도에 있어서 직선(24) 및 (25)는 각기 영(零) 레벨 및 접합의 순방향 강하전압(VBE) 레벨이다.
이러한 경우, 먼저 VS
Figure kpo00027
O의 범위에서는 에미터 접지전류 증폭률 hFE가 작고 일정하며, 베이스전류 iB도 일정하므로, 콜렉터전극(4C)에 얻더지는 콜렉터전류 iC도 일정해진다.
다음에 O<VS<VBE의 범위에서는 에미터접지전류 증폭률 hFE가 신호전압 VS의 변화에 응해서 변화하며, 콜렉터전류 iC는 신호전압 VS의 변화에 대응한 것으로 된다. 또한 VS
Figure kpo00028
VBE의 범위에서는, 에미터접지전류 증폭률 hFE는 크고 일정하며, 베이스전류 iB에 대해 신호전압 VS에 대응한 부가전극 전류 iG가 중첩되고, 콜렉터전류 IC=hFE(iB+iG)로 되어 콜렉터전류 iC는 신호전압 VS의 변화에 대응한 것으로 된다.
여기서, 신호전압 VS의 최소 레벨을 PN접합의 순방향 전압강하치 VBE보다 크게함으로써 콜렉터전극(4C)에는 제9도 곡선(2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입력신호의 정(正)의 반 사이클에 비례한 신호를 얻고, 이 신호를 적분회로(21)를 통함으로써 출력단자 (22)에는 곡선(26)의 엔벨로우프인파선(27)과 같은 검파신호가 얻어진다.
또한, 가변저항기(19)의 접동자(19a)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반도체소자(10)의 베이스전위를 바꿀수가 있다. 따라서 에컨대 베이스 전위를 높임으로써 PN접합의 순방향 전압강하치 VBE의 레벨(25)이 상승하여, 콜렉터전극(4C)에 얻어지는 신호의 레벨이 커지고, 검파출력의 레벨을 바꿀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한 검파회로에 의하면 출력단자(22)에 검파출력을 얻을수가 있으며, 이 출력신호는 입력신호에 대해서 hFE배(倍)로 되어 있으므로, 커다란 출력신호로서 얻어져서, 검파능률이 좋은 검파회로를 얻을 수 있다.
또, 가변저항기(19)의 접동자(19a)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검파출력의 레벨을 바꾸어서, 검파회로의 이득을 바꿀 수가 있으며, 볼륨회로를 동시에 구성할 수 있으므로, 회로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의한 검파회로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원 발명의 정신을 이탈함이 없이 그밖에 여러 종류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도의 도전형의 제1 반도체영역 (1)과, 이 제1 반도체영역(1)과 접합면을 형성하여 접하는 제2의 도전형의 제2 반도체영역(2)과, 이 제2 반도체영역(2)과 접합면을 형성하여 접하는 제1의 도전형의 제3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1 반도체영역(1)에 접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영역(1)(2)이의 접합에 대향하며, 이 접합에서의 거리가 상기 제1 반도체영역(1)내의 소수캐리어의 확산거리보다 작은 위치에 배설되며, 상기 제1 반도체영역(1)과 접합면을 형성하여 접하는 제2의 도전형의 제어반도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반도체영역(1)(2)(3)에서 각기 도출된 제1, 제2 및 제3 전극(4E), (4B), (4C) 및 상기 제어영역에서 도출된 부가전극(附加電極)(4G)을 갖는 반도체소자(10)를 사용하며, 상기 제1전극(4E)과 상기 부가전극(4G)과의 사이에 지폭변조(振幅變調)된 입력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3전극(4C)에서 적분회로(積分回路)(21)를 통하여 검파출력을 취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파회로.
KR740004199A 1974-12-04 1974-12-04 검파회로(檢波回路) KR810000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4199A KR810000621B1 (ko) 1974-12-04 1974-12-04 검파회로(檢波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4199A KR810000621B1 (ko) 1974-12-04 1974-12-04 검파회로(檢波回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621B1 true KR810000621B1 (ko) 1981-06-07

Family

ID=1920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4199A KR810000621B1 (ko) 1974-12-04 1974-12-04 검파회로(檢波回路)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62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44864A (en) Solid state field effect device
US4040081A (en) Alternating current control circuits
US4032961A (en) Gate modulated bipolar transistor
US3976951A (en) Gain control circuits utilizing a novel semiconductor device
US4032953A (en) Sensing circuits
US3980900A (en) Multipurpose switching circuits utilizing a novel semiconductor device
US4010486A (en) Sensing circuits
KR810000621B1 (ko) 검파회로(檢波回路)
US4032958A (en) Semiconductor device
US3585462A (en) Semiconductive magnetic transducer
US4042944A (en) Monostable multivibrator
US4032956A (en) Transistor circuit
US3988692A (en) Gain control circuits
US3955154A (en) Oscillator circuit
US4012643A (en) Noise elimination circuit
KR100463367B1 (ko) 반도체장치
CA1051982A (en) Inverter stage in an integrated injection logic
US3686684A (en) Semiconductor circuits
KR810000722Y1 (ko) 차동형 전류앰프
US3955107A (en) Phase switching device
KR790001562B1 (ko) 슈미트 회로
KR820001528B1 (ko) 반도체 회로의 온도 보상 회로
US4040075A (en) Frequency converter
KR790001225B1 (ko) 다단 증폭회로(多段增幅回路)
KR790001223B1 (ko) 노이즈 제거회로(除去回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