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504B1 - 부호 자물쇠 - Google Patents

부호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504B1
KR810000504B1 KR770003026A KR770003026A KR810000504B1 KR 810000504 B1 KR810000504 B1 KR 810000504B1 KR 770003026 A KR770003026 A KR 770003026A KR 770003026 A KR770003026 A KR 770003026A KR 810000504 B1 KR810000504 B1 KR 810000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bolt member
lock
bolt
clas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0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코 라즈로
Original Assignee
안소니 비. 마라노
프레스토 로크 컴페니(월터 키드 엔드 컴페니 인코오포레이티드의 자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소니 비. 마라노, 프레스토 로크 컴페니(월터 키드 엔드 컴페니 인코오포레이티드의 자회사) filed Critical 안소니 비. 마라노
Priority to KR77000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50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호 자물쇠
제1도는 서류 가방에 취부된 자물쇠와 고리가 서로 맞물려 있는 것을 나타내는 서류가방 일부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에 따라 취해진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3-3에 따라 취해진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조합에서 벗어난 상태"의 자물쇠를 보여주는 제3도와 유사한 도면.
제5도는 자물쇠의 배면도.
제6도는 명확한 예시를 위해 전면 판 및 걸쇠 부재를 제거하여 나타낸 부호 자물쇠의 평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선 7-7에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8도는 볼트 부재의 평면도.
제9도는 볼트 부재의 측면도.
제10도는 걸쇠부재의 평면도.
제11도는 걸쇠부재의 측면도.
제12도는 다이얼들중 하나의 측면도.
제13도는 슬리이브들중 하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부호 자물쇠(combination lock), 특히 서류 가방등에 사용하기 위한 부호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부호 자물쇠는 수하물 및 소형 서류 가방을 잠그는데 흔히 사용된다. 미국 특허 제3,416,338호에 기술된 부호 자물쇠는 상당히 성공적으로 상업화 되었다. 그러나, 그런 타입의 부호 자물쇠에서 그 자물쇠가 수화물 및 소형 서류가방(attache case)에 사용될때는 회전다이얼상의 표시를 읽는 것이 자연스러웁지만 서류가방(brief case)에 사용될때는 불편하고 부자연스러운 점이 있다.
수화물 가방 및 소형서류 가방에서는, 경첩 부분들중 하나에 고리가 취부되고 다른 하나에는 자물쇠가 취부되어, 가방이 닫혀있을때, 표시부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읽도록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중국과 일본을 제외하고는 자연스러운 독법이다. 서류가방(브리프 케이스)에의 적용의 경우에는, 고리가 가방의 일측에 연결된 가요성 부재에 달려 있고 가방의 타측에 취부된 자물쇠와 협동한다. 전술한 특허의 부호 자물쇠에서, 걸쇠부재는 다이얼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 또는 다이얼의 측면에 수직인 면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서류가방의 경우에는 다이얼상의 표시가 수평으로 부터 90°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반드시 옆으로 읽어야 한다. 그 특허에 기술된 부호 자물쇠는 서류 가방에 사용할 경우 다이얼의 표시를 90°재배치함으로써 그 표시가 수직위치에서 읽을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표시를 읽는 것은 서구에서 교육을 받은 사람에게는 자연스럽지 못하다.
한편, 미국 특허 제3,800,571호에는, 걸쇠부재와 협동하는 축선회 가능한 볼트 부재와 관련하여 걸쇠부재와 맞물리도록 고리가 배치된 부호 자물쇠가 기술되어 있다. 그 볼트 부재의 위치는 자물쇠의 "조합된 상태(on combination)"와 "조합이 풀린 상태(off combination)"를 위해 다이얼과 관련된 슬리이브 수단의 위치에 따라 정해진다. 그 볼트부재 및 걸쇠부재는 자물쇠의 "조합이 풀린상태"에서 결합되도록 조립되며, 그 걸쇠부재는 다이얼로부터 종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다. 이러한 부호 자물쇠는 서류가방 등에 적합치 못하다는 점, 다이얼의 표시가 적합하게 배향되어 있지 않는다는 점, 다이얼상의 표시의 방향을 변경한다 하여도 적합한 상태로 될 수 없다는 점에서 전술한 특허의 자물쇠와 같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자물쇠가 서류가방등에 설치될때, 표시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수직으로 되게한 점에서 특히 서류가방등에 사용하는데 적합하게 된 개선된 부호 자물쇠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호 자물쇠는, 샤프트, 표시가 나타나 있는 다이얼, 플랜지와 평편한 부분을 가지고 있고 샤프트 상의 각 다이얼을 위한 슬리이브수단, 슬리이브수단 근처까지 연장하여 있는 다이얼들을 가진 슬로트부(付) 볼트부재, 그 볼트부재를 축선회가능하게 장착하는 수단, 슬리이브 수단에 대해 볼트부재를 압압하는 탄성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샤프트의 종축에 수직인 면, 또는 표시가 있는 다이얼의 원주에 수직인 면에서 접동 가능하게 걸쇠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 걸쇠부재는 고리와 결합하는 고정 위치와 풀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플랜지가 볼트부재에 계합하고 그 볼트부재에 작용하는 탄성 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볼트부재를 축선회시킬때(조합이 풀린상태), 걸쇠부재가 "풀린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볼트부재와 걸쇠부재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슬리이브 수단상의 평편한 부분이 볼트부재와 맞물려 있을때(조합상태), 걸쇠부재가 볼트부재를 우회하고 그 걸쇠부재가 "풀린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수단이 걸쇠부재에 의해 제공된다.
그 걸쇠부재는 자물쇠의 여러 부분, 특히 볼트부재와 관련되어 있어 걸쇠부재가 볼트부재 상에 가로놓여 있는다. 그리하여, 자물쇠가 간결하게 되고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예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부호 자물쇠 A는 고리 B와 협동하며, 일반적으로 그 부호 자물쇠 A는 전면판 C, 틀 D, 샤프트(shaft) E, 다이얼 F, 슬리이브(sleeve) 수단 G, 볼트부재 H, 볼트부재상에 작용하는 탄성수단 I, 걸쇠(latch)부재 J, 걸쇠부재상에 작용하여 그 걸쇠부재를 고정 위치로 압압하는 탄성수단 K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면판 C에는 다수의 슬로트(slot) 20이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 E는 다이얼 F가 슬로트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전면판과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각 다이얼의 슬리이브 수단 G가 그 샤프트상에 장착되어 있다. 제3,4 및 1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슬리이브 수단은 플랜지부분 22 및 평면부분 24를 가지고 있다.
제2도 및 8도에서, 볼트부재 H에는 다수의 슬로트 26이 설치되어 다이얼 F가 그 슬로트를 통해 연장될 수 있게 한다. 볼트 부재는 슬리이브 수단 G에 인접히 배치되며 샤프트 E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축상에서 회전하도록 축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볼트 부재를 축선회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수단이 볼트부재의 일측부를 따라 연장하여 있다. 틀 D는 샤프트 E에 장착된 다이얼 F 및 슬리이브 수단 G, 볼트부재 H 및 걸쇠부재 J등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틀은 전면판 C에 연결되어 있다.
볼트부재 H는 탄성수단I(제7도)에 계합되어 있어 그 탄성 수단이 슬리이브 수단 G에 그 볼트부재를 압압하도록 작용한다.
걸쇠부재 J는 사프트 E의 종축에 수직인 면에서 접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그 걸쇠부재는 부호가 표시되어 있는 다이얼의 외주에 대해 수직인 면 또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한 이동은, 고정 위치에서의 걸쇠부재가 실선으로 도시되고 풀린 위치의 걸쇠부재가 점선으로 도시된 제3도로 부터 명백해 질것이다.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걸쇠부재는 전면판밑과 볼트부재 H 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볼트부재 H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리이브 수단 G의 플랜지 22가 탄성 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볼트부재에 계합하여 축선회시킬때 걸쇠부재가 풀린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걸쇠부재 J는, 평편한 부분 24가 볼트부재와 계합할때 볼트부재 H를 우회하게 하며 걸쇠부재가 풀린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작동은 제3도에 도시한 걸쇠부재의 실선 위치와 점선위치를 비교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슬로트가 파여진 볼트부재 H에는 그의 일측부를 따라 1쌍의 트러니온(trunnion) 28(제8도)이 설치되어 있다. 그 트러니온은 1쌍의 브라켓트 L(제3도 및 6도)에 형성된 개구 30(제3 및 4도)내에 축지되어 있다. 그 브라켓트는 돌출부 32가 개구 34를 통해 연장하여 틀의 하측 36에 밀착하여 틀 D내에 각각 취부되어 있다. 각 브라켓트 L의 측부들은 브르켓트의 상부에 가까이 돌출부 38을 설치함으로써 적소에 취부되며 그 돌출부 38은 틀의 측부 40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연장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브라켓트L에는 샤프트E의 단부를 지지하는 개구 42가 설치되어 있다. 트러니온을 가진 측부를 따라, 볼트부재H에는 압축스프링I의 일단부내에 수응되는 돌출부 44가 제공되어 있고, 그 스프링의 반대측 단부는 틀 D의 트러니온 28이 위치된 측부 또는 볼트부재가 피봇트된 측부에 반대측의 볼트부재의 연부 46은 걸쇠부재J와 협동하여 걸쇠부재의 이동을 방지하거나, 또는 "조합이 풀린상태(제4도)"일때 자물쇠가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제10 및 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부재J는 중앙개구 58을 형성하는 평행한 제1 및 제2 측면 웨브 50 및 52와 평행한 제1 및 제2단부 웨브 54 및 56을 가진 일반적으로 장방형의 부재로 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 F는 개구 58을 통해 연장하여 있고, 연장부 60은 고리 B와 협동하기 위해 제1 웨브 54로부터 연장하여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에는 걸쇠부재의 연장부 60가 수용되는 개구 62가 설치되어 있다. 당김버튼 M이 제2웨브 56에 연결되어 있어 걸쇠부재가 걸린 상태로부터 풀린상태로 이동가능하게 한다. 걸쇠부재(및 당김버튼)는 와권 스프링 형태의 탄성수단 K에 의해 걸린상태에 평시 유지되어 있는다.
그 당김 버튼 M은 걸쇠부재에 연결되어 있어 걸쇠부재를 전면판 C의 하측에 밀착 보지하며, 이것은, 전면판의 개구 64(제3도)와 걸쇠부재의 단부 웨브 56의 개구 66을 통해 연장되는 연결 스터드(stud)(도시되지 않음)를 당김버튼에 설치하고 그 연결스터드의 단부위에 구부려 당김버튼을 걸쇠부재에 취부함으로써 달성 된다.
제1,3 및 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당김버튼 M은 전면판상에 노출되어 손으로 잡고 걸쇠부재 J를 접동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걸쇠부재에는 와권 스프링 K을 설치하기 위한 돌출부 68(제10도)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스프링의 일단은 걸쇠부재에 지탱되어 있고 타단은 틀에 지탱되어 있다. 걸쇠부재는 제3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고리에는 걸림위치로 스프링 K에 의해 평시 바이어스(bias) 되어 있는다. 그 걸쇠부재는 걸림 위치와 풀린 위치 사이에서의 접동이동을 위해 그의 측부가 브라켓트 L에 의해 안내된다.
자물쇠가 "조합상태"에 있을 때, 즉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편한 부분 24가 볼트부재 H와 접하도록 전체 슬리이브 수단이 배치될 때 걸쇠부재의 연장부 60은 고리 B의 개구 6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그러한 이동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재 H, 또는 그의 전방연부 46은 볼트부재를 우회시키고 걸쇠부재가 풀린 위치 즉 걸쇠부재의 점선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걸쇠부재에 의해 제공된 수단과 정렬되어 있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notch) 70이 걸쇠부재로 부터 연장하는 돌출부 72에 설치되어 있고, 그 돌출부는 단부 웨브 54에 가까이 측면 웨브들중 하나의 웨브의 하측에 매달려 있다.
노치를 포함하는 하나의 돌출부로도 충분하지만, 제10도 및 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균형 및 견고성을 위해 1쌍의 돌출부 및 노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물쇠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합이 풀린 상태"일때, 볼트부재 H 또는 전방 연부 46은 돌출부 72의 부분 74와 정렬하여 걸쇠부재가 풀린 상태로 되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자물쇠를 잠근다.
전술한 샤프트, 다이얼, 슬리이브수단, 볼트부재, 걸쇠부재, 볼트부재 및 걸쇠부재를 위한 탄성수단, 브라켓트 등은 서로 연결된 전면판 C와 틀 D 사이에 둘러싸여 있다. 전면판 C는 개구 71을 가지고 있어 개구 62를 가진 고리상의 돌출부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틀 D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벽 73을 가지고 있고, 그 벽에는 전면판과 틀이 연결될 때 개구 71과 정렬되는 개구 75가 설치되어 있다. 그 틀과 전면판은 개구 71의 연부에서 전면판상에 형성된 탱(tang)과 같은 적당한 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슬리이브 수단 G를 각개 다이얼 F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해당한다. 그러한 경우, 조립은 공장에서 이루어진다.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슬리이브 수단이 각 다이얼로부터 분리된 슬리이브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이얼에 제거 가능하게 맞춰지는 분리된 슬리이브에 있어서는 제2도애 도시된 바와같이 레버 O가 취부되는 샤프트 E의 단부 주위에는 스프링N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N은 각각의 슬리이브가 단부와 단부가 접하는 식으로 유지되도록 작용하고, 축 E상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고 틀 D의 개구 76을 통해 연장하는 레버 O는 스프링 N의 힘에 대항하여 회전되고 압압되어 슬리이브를 각개 다이얼로부터 이탈시켜 부호의 선택된 조합에 따라 다이얼을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슬리이브 수단이 다이얼에 맞춰지는 각개 슬리이브의 형태로 된 경우 볼트 부재 H에는 레버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 78이 설치된다.
슬리이브 수단과 다이얼이 분리되어 협동하는 요소로 된 경우에는 그들 요소들은 전술한 미국특허 제3,416,33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및 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다이얼 F는 중앙개구 80을 가지고 있고, 그 개구를 통해 슬리이브 G의 몸체부 82가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연장하여 있다(제2도). 그 슬리이브는 샤프트 E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중앙축공 84를 가지고 있고, 그의 일단에서 각 슬리이브에는 다이얼의 중앙 개구보다 큰 직경의 플랜지 22가 설치되어 있다. 슬리이브의 플랜지부(付) 단부에는 평편한 부분 24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와 슬리이브 몸체부의 접합부에는 멈춤쇠(detent) 86이 제공되어 있다. 각 다이얼의 일측부에는 멈춤쇠 수용 요홈부 88이 개구 80의 원주상에 설치되어 있고, 다이얼의 외측 원주상의 각 숫자에 하나의 요홈부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홈부 88은 다이얼의 측벽내로 단지 부분적으로만 연장하여 있고, 멈춤쇠 86을 수용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어 슬리이브의 다이얼이 서로 맞물리게 된다.
스프링 P는 다이얼과 협동하여 다이얼이 원주상의 선택된 위치에 이탈 가능하게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의 도시된 형태에서는 3개의 다이얼에 3개의 슬리이브가 있고, 3개의 다이얼의 각각에 10개의 표시, 즉 숫자가 표시되어 있어 1000가지의 다른 조합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시된 바람직한 형태의 부호 자물쇠에, 전술한 미국특허 제3,416,338호에 기재된바와 같은 인디케이터(indicator)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슬리이브에는 제2도 및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 D의 개구 92와 정렬되는 필러(feeler) 수단 90이 제공되어 있다. 슬리이브상의 슬로트, 즉 필러 수단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볼트부재에 노치 94(제8도)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부호 자물쇠는 특히 서류 가방 등에 사용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다. 그러한 사용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고, 그 도면에서 자물쇠 A가 가방의 한쪽에 취부되고 가방의 다른쪽에 연결된 플랩(flap) 100에 고리 B가 취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자물쇠는 가방의 측면 104에 봉착(逢着)되는 보강 패드 102에 취부된다. 워서(washer) 105(제3도)가 전면판 C의 아래에 설치된다. 가방에의 자물쇠의 연결은 전면판C의 모서리에 설치된 구멍 106을 통해 리벳트 108을 박고 그 리벳트를 구부리는 것과 같은 적당한 방법으로 행해진다. 리벳트 108의 단부는 가죽조각으로 덮힌다. 또한, 자물쇠의 후면에는 플랩이 설치되어 있어, 그것을 들고 레버 0(제2 및 5도)에 의하여 조합을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가방의 패드 및 벽에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어 그러한 조작이 가능하다. 고리에도 리벳트 110이 통과하는 그멍이 설치되어 있고 그리하여 리벳트 110 이플랩 100을 관통하여 고리와 플랩을 연결한다. 다이얼상의 표시가 세로로 되어 있고 정상적으로 용이하게 읽을 수 있다는 것을 제1도로 부터 알수 있을 것이다.
가방을 열기 위해서는 다이얼이 "조합된 상태"에 있을 때, 당김버튼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만하면 된다.

Claims (1)

  1. 부호가 표시된 다이얼과 조립되고 플랜지와 평편한 부분을 가진 슬리이브 수단이 샤프트상에 설치되고, 다이얼이 배치되는 슬로트가 형성된 볼트 부재가 슬리이브 수단에 인접히 설치되고, 또한, 볼트부재를 슬리이브 수단에 압압하는 탄성수단과, 접동자재한 걸쇠부재가 설치된 부호 자물쇠에 있어서, 걸쇠부재(J)가 고리(B)와 맛물리는 고정위치와 풀림위치사이에서 샤프트(E)의 종축에 수직인 면에서 접동(摺動) 자재하게 볼트부재(H)에 중첩하여 걸쇠부재(J)가 설치되고, 플랜지(22)가 볼트부재(H)에 계합하고 탄성수단(I)의 힘에 대항하여 그 볼트부재를 회동시킨때 걸쇠부재(J)가 풀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부재(H)와 함께 작동하는 돌출부(72)가 걸쇠부재(J)에 설치되고, 또한, 평편한 부분(24)이 볼트부재(H)와 계합하여 있을때 걸쇠부재(J)가 풀림위치로 이동하도록 노치(70)이 걸쇠부재(J)의 돌출부(72)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자물쇠.
KR770003026A 1977-12-24 1977-12-24 부호 자물쇠 KR810000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3026A KR810000504B1 (ko) 1977-12-24 1977-12-24 부호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3026A KR810000504B1 (ko) 1977-12-24 1977-12-24 부호 자물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504B1 true KR810000504B1 (ko) 1981-05-20

Family

ID=1920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03026A KR810000504B1 (ko) 1977-12-24 1977-12-24 부호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50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72357A (en) Combination lock
US6517129B1 (en) Lock device for an electronic appliance
US4123923A (en) Combination lock
US4350375A (en) Double-slider zipper latching device
US4366684A (en) Latching device for apertured members
US6279362B1 (en) Belt clip assembly
US2399302A (en) Combined latch and lock
GB2090905A (en) Latches for suitcases etc
US4383425A (en) Safety device for combination locks
ES485643A1 (es) Una cerradura de combinacion
JPS5921419B2 (ja) 組合せ錠用ダイヤル割出バネ
GB2080394A (en) Permutation lock
KR810000504B1 (ko) 부호 자물쇠
GB2080395A (en) Permutation lock
EP0409979A1 (en) STAPLES.
US3434314A (en) Drawbolt latching device with combination locking mechanism
US4761974A (en) Combination lock for luggage cases
US4624492A (en) Door locking and restraining mechanism
GB1494445A (en) Holder for a door
US2759753A (en) Adjustable keeper for a closure fastener
US2144047A (en) Permutation lock
USRE29897E (en) Latching device
US4858969A (en) Door latch assembly
US2217079A (en) Window stay
US4848111A (en) Locking device for cases, such as briefcases and the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