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503B1 - 자 물 쇠 - Google Patents

자 물 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503B1
KR810000503B1 KR770000697A KR770000697A KR810000503B1 KR 810000503 B1 KR810000503 B1 KR 810000503B1 KR 770000697 A KR770000697 A KR 770000697A KR 770000697 A KR770000697 A KR 770000697A KR 810000503 B1 KR810000503 B1 KR 810000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rame
lock
engagement shaft
clas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0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로오 카고우라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오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오,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to KR77000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50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물쇠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2도는 그 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작동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내부 구조를 콤팩트(compact)하고, 부재를 유닛화하여 부착 조립이 간단한 자물쇠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자물쇠(1)은 문, 창틀 등의 테(2) 내부에 설치된 걸쇠 볼트부재(3)과 테(2) 양쪽에 있는 자물쇠, 열쇠 부재(4,5)로 되어 있다.
걸쇠 볼트 부재(3)는 걸쇠 볼트 지지테(6), 계합축(7), 걸쇠 볼트(8) 및 스프링(9)으로 되어 있다.
걸쇠 볼트 지지테(6)는 단면 홈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부 양단에는 나사공이 있는 플렌지부(6a)가 형성되어 있다. 걸쇠 볼트 지지테(6) 양측부에는 구멍(10),(10)이 있고 걸쇠 볼트 지지테(6) 내에 배치된 걸쇠 볼트(8)와 일체로 된 각통상의 계합축(7)의 양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계합축(7) 내부에는 스페어핀(11)이 접동가능케 삽입되어 있다. 걸쇠 볼트 지지테(6)의 저부와 걸쇠 볼트(8)와의 간격내에는 스프링(9)이 개장되어 있다.
테(2)의 한쪽의 자물쇠, 열쇠부재(4)는 제1고정본체(12), 제1조작부재(13) 및 제1각봉(14)으로 된다.
제1고정본체(12)의 중앙부에는 구멍(12a)이, 또 구멍(12a)의 상하에는 나사공(12b)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구멍(12a)의 일방측으로부터 제1조작부재(13)의 돌출부(13a)가 유감(遊嵌)되며 이 부분에 회전 가능케 부착되어 있다. 구멍(12a)의 타방측, 즉 테(2)측에는 통상체(15)가 설치되어 있다.
제1조작부재(13)의 돌출부(13a)의 중앙부에는 각혈(16)이 있고 각혈(16)에는 통상체(15)를 관통하고 그 선단이 통상체(15)에서 돌출하는 단면 방형인 제1각봉(14)이 진퇴자재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제1각봉(14)은 제1고정부재(12)를 뒤로 하여, 제1각봉(14) 외주에 설치된 스프링(17)에 의해 테(2)측에 부세된다.
제1각봉(14)의 선단부는 제3도에 표시하는 대로 계합축내로 삽입되고 스페어핀(11)은 이 제1각봉(14)선단에 일단이 당접하고 타단은 계합측(7)의 자물쇠, 열쇠부재(5) 축단부와 면일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테(2) 타측의 자물쇠, 열쇠부재(5)는 제2고정본체(18), 제2조작부재(24) 및 제2각봉(25)으로 되어 있다.
제2고정본체(18)는 플렌지부(21)와 그 양측에 있는 통상부(22)(23)로 된다.
플렌지부(21) 중앙에는 구멍(21a)이, 또 그 상하에는 나사공(21b)(21b)이 각각 있으며, 구멍(21a) 양측부에는 통상부(22)(23)가 있고, 전체적으로 통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부분에 제2각봉(25)이 내장되며, 제2각봉(25) 선단은 통상부(22)에서 돌출하고 기단(基端)에는 제2조작부재(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조작부재(24)는 제2고정본체(18)에 진퇴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2조작 부재(24) 중앙에는 원형혈(24a)이 있고, 원형혈(24a)에는 통상부(23) 단부가 삽입되고, 제2조작부재(24)는 통상부(23)로 진퇴 및 회전이 가능케 부착되어 있다.
제2각봉(25)은 원형혈(24a)의 중심부에 부착되고 통상부(23),(22)를 관통하고 그 선단부는 통상부(22)로 부터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제2각봉(25)의 선단은 스페어핀(11)에 당접하고 있고, 제2조작부재(24)를 테(2) 방향으로 밀어넣었을 때에 제4도에 표시하는대로 제2각봉(25)의 선단부는 계합축(7)에 삽입되며 스페어핀(11)과 제1각봉(14)을 압압하고, 제1각봉(14)이 계합축(7)으로 부터 이탈하게끔 되어 있다.
제2각봉(25)의 통상부(23) 위치에는 스프링(26)이 주설되고 제2각봉(25)을 제2조작부재(24)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사용에 있어서는 통상적인 자물쇠와 열쇠인 경우에는 제1조작부재(13)에 의하여 행한다.
비정상인 경우, 즉 제2조작부재(24)에 의한 자물쇠와 열쇠인 경우에는 제2조작부재(24)를 테(2) 방향으로 압압하고 제2각봉 (25)의 선단부를 계합축(7)에 삽입하고, 제1각봉(14)을 계합축(7)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리고 제2조작부재(24)를 90도 회전시켜서 잠그고 열고한다.
이때, 제1조작부재(13)가 안에서 잠겼을 때에도 제2조작부재(24)로 잠그고 열 수가 있다.
또 테(2) 양쪽에는 자물쇠, 열쇠부재(4)(5) 어느 하나만을 만들어도 좋고, 또 자물쇠, 열쇠부재(4,5) 어느 하나만을 테(2) 한쪽에 만들어도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 스페어핀(11)을 계합축(7) 내에 삽입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되며 제1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서 잠겼거나 열린 상태에 관계없이 제2조작부재에 의하여 잠그거나 여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걸쇠 볼트에 대하여 제1조작부재의 움직임과 제2조작부재의 움직임이 연동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조작이 매우 가볍다.
또 걸쇠 볼트부재와 자물쇠 열쇠 부재는 각각 콤팩트하게 유닛화되어 있기 때문에 테에 부착할 때 각각 별도로 할 수 있고 테의 절결부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며 부착이 매우 용이할 뿐아니라 좌우가 맞지 않는 테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부재가 유닛화되어 있어서 테의 한쪽편에만 자물쇠 열쇠 부재를 만들거나, 테 양쪽에 구성이 동일한 자물쇠 열쇠 부재를 만들 수가 있어서 여러가지 사용용도에 따라 쓰일 수가 있다.
그 위에 제2조작부재를 고층 건물의 창용 자물쇠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재가 났을 때 실내에 있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해 유리창을 깨뜨리고 안에 들어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리 파편으로 생기는 위험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테(2) 내부에 설치한 걸쇠 볼트 지지테(6)에 지지된 각 통상의 계합축(7) 외주에 계합축과 일체가 된 걸쇠 볼트(8)가 설치되고 전기한 테의 한쪽에 설치된 고정본체(12,18) 내로 조작부재(13,24)가 유감되고, 그 조작부재 내에는 테측으로 돌출하여 각봉(14,25)이 설치되고 이 각봉은 전기한 계합축에 계합가능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KR770000697A 1977-03-22 1977-03-22 자 물 쇠 KR810000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0697A KR810000503B1 (ko) 1977-03-22 1977-03-22 자 물 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0697A KR810000503B1 (ko) 1977-03-22 1977-03-22 자 물 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503B1 true KR810000503B1 (ko) 1981-05-20

Family

ID=1920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00697A KR810000503B1 (ko) 1977-03-22 1977-03-22 자 물 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50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4465A (en) Lock mechanism
JP3504321B2 (ja) 窓又はドアの掘込形伝動装置
JP3354710B2 (ja) ドア錠
KR100746016B1 (ko) 방충 방범용 접이식 현관 내문
JPS5938470A (ja) 引戸又は窓用の留め具
US3035432A (en) Door latch and lock mechanism
US3563069A (en) Safety lock for doors
US5590922A (en) Security device
JPH0227075A (ja) 施錠金具
US4028917A (en) Key retaining cylinder for a lock
KR810000503B1 (ko) 자 물 쇠
US4418951A (en) Rotary latch for screen door
US5934719A (en) External lock assembly for sliding doors and the like cooperating with a tubular frame mounted element
GB2280698A (en) Lining profiles for door or window
GB2150972A (en) Espagnolette operating mechanism
PT869243E (pt) Ferragem para batente deslizante
GB2090626A (en) Lock release mechanisms
JPH022852Y2 (ko)
US3321229A (en) Locking mechanism
CN111434872A (zh) 锁组件
KR920004867Y1 (ko) 도어록의 비상 해정장치
GB2304368A (en) External lock assembly for sliding doors and the like
JPH0516372Y2 (ko)
JPS5829244Y2 (ja) 引違い戸の補助錠
JPH0233571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