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307Y1 - 밀봉형(密封型) 전지의 압력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밀봉형(密封型) 전지의 압력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307Y1
KR810000307Y1 KR2019810000821U KR810000821U KR810000307Y1 KR 810000307 Y1 KR810000307 Y1 KR 810000307Y1 KR 2019810000821 U KR2019810000821 U KR 2019810000821U KR 810000821 U KR810000821 U KR 810000821U KR 810000307 Y1 KR810000307 Y1 KR 810000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end cap
battery
envelop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0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비 아이져크
Original Assignee
이에스비 인코포레이티드
엘리노 엠. 피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스비 인코포레이티드, 엘리노 엠. 피플스 filed Critical 이에스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2019810000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3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Y02E60/12

Landscapes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밀봉형(密封型) 전지의 압력 배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실시한 밀봉형 알카리 전지의 단면도.
제2도는 다른 전지 구조의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하여 형성된 전지요소의 부분적 완성 단계도.
제4도는 전지 단부캡의 변형 구조도.
본 고안은 밀봉형 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봉된 전지 내에 과도의 압력이 발생한 때에 이를 배출시키기 위한 밀봉형 전지의 압력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봉형 전지는 통상 금속을 인장하여 비교적 깊은 관형태로 된 엔빌로우프(envelope)와, 이 엔빌로우프에 전해질을 충전한 후에 엔빌로우프를 폐쇄시키는 별개의 커버(cover) 혹은 단부 캡(cap)과, 세퍼레이터(separator) 및 전지의 종류에 따라 그외의 재료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루크란체(Leclanch) 전지 및 알카리(alkallene) 전지 모두 이와같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지는 여러가지 형상 및 크기로 제조되고, 있지만, 대부분 전지의 일반형은 회증전등용 베터리(battery)로서 보통 비교적 작은 원통형의 밀봉형 전지를 구성하고 있다.
물론 상기 형식의 밀봉형 전지는 무수히 많은 형식의 장치에 사용되어 많은 다른크기 및 용량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지의 구조는 간단하지 않고 절연능력 및 밀봉능력 양자에 관하여 엄격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전지의 구조는 경제적일뿐 아니라 전지의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방액(防液)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밀봉형 전지는 이론적으로 낮은 내압으로 동작하고, 그 내압은 대략기압(절대기압)을 초과하는 경우는 없으나 사용에 있어서 그 수치를 넘는 일이 때때로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과대전압의 일반적인 원인중 하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전지를 직렬 접속한 경우에 부주의로 전지를 역전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정확히 배열된 전지의 전위가 역전된 전지의 전위를 압도하여 역전된 전지를 급속히 충전시킨다. 이때에 전지의 전해질은 가스 방출을 하게되고, 이 가스는 전지의 내용물에 의하여 재흡수되는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발생한다. 그 결과 전지내에서 압력이 급속히 상승하고, 이것을 배출하지 않으면 전지를 파열시켜 전지의 전해질을 방출하고, 아마도 전지외피를 손상시키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서 보통 밀봉형 전지에 통기(通氣)기구 혹은 압력 배출기구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압력배출기구는 통상 과압상태에서 전지로 부터 소정의 통로를 따라서 가스를 방출시켜 전지가 파열되기 전에 가스 압력을 해제시키도록 되어 있다. 원칙적으로 압력해제 통기구를 설치하는 것은 간단하지만, 일반적으로 보급된 크기보다 작은 크기 및 저렴한 가격으로 되도록 적당한 통기기구를 설계하는 것은 어렵다.
이리하여 소형 밀봉형 전지에 사용하기 위한 압력배출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3가지가 개발되었다. 그 중 한가지는 스프링에 눌려진 벨브(valve)가 설계되고, 이 벨브는 가스배출 상태에서 극복할 수 있는 압력으로 스프링에 눌려져 있다가, 일시적으로 벨브를 열 개하는 방법이다. 다른 한 가지는 통기통로가 플라스틱와샤(washer)와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덮여져 있고, 이 탄성부재는 전지 내 외의 과도 압력에 따라서 일시 적으로 변형되어, 이것을 통기용 개구로 부터 강제적이 아니라 이것을 전지내에서 부터 도출시키는 방법이다.
마지막 한 가지는 작은 크기의 밀봉형 전지에 있어서 현재 보급되고 있는 것으로, 전지내에 약화시킨 부분 또는 격막(diaphragm)은 설치하여, 높은 압력이 발생시 이를 파괴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한 가지 형태로서 격막은 단순히 내압에 의하여 파열점까지 신장시키고, 또 다른 형태에서 격막은 외향으로 압압되고 뾰족한 철침 등으로 눌러, 이것이 격막을 파괴하여 가스를 도출시킨다.
이러한 방법은 작은 전지에 사용이 용이하며 미소화 시킬 수 있으므로 소형의 밀봉형 전지에 유리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혹은 다른 선행기술에 의한 장치는 최소형의 전지, 예를 들면 전지의 직경이 통상인치(1.27㎝)인 AA크기의 전지에 적용시키는 것이 극히 곤란하다.
네일(nail) 즉 중심전극은 여러조작에 견딜 수 있는 필요한 강성을 갖기 위하여 또 상부 전극 부재와 적절한 접촉을 위하여 그 직경을 대략 1/16인치(0.16㎝)로 한다.
더우기 다른 구조적 요소에 의하여 주어지는 제한을 고려하면, 통기를 위하여 남은 공간은 극히 작다. 또 전지의 크기가 극도로 적기 때문에, 복잡한 기구는 배제되고, 요구되는 극도의 정밀도 때문에 격막 등을 설치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더우기 전지의 축방향 단부에 의해 부여되는 표면적이 매우 작은 것에서는 격막을 사용하는 경우, 격막을 극히 작은 면적으로 할 필요가 있고, 이것은 그 치수의 임계적 성질을 더욱 제한시키고, 그 구조의 허용치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작은 밀봉형 전지에 개선된 압력 배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높게 요망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목적은 밀봉형 전지의 압력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여러가지 엄밀히 정해진 압력 범위에서 동작하고 또 경제적으로 적응될 수 있는 간단한 압력배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목적은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압력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은 넓은 범위의 압력에 걸쳐 통기가 가능하도록, 파라메타(parameter)를 간단힌 변경시킬 수 있는 통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을 간략히 서술하면, 상기 목적들은 전지의 전해질에 의한 부식에 대하여 저항성을 갖고, 낮은 크리이프(creep) 특성을 나타내는 탄성 프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단부 캡을 구비한 관 모양의 전지 엔빌로우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단부 캡은 한쌍의 통로를 형성하고, 그 한쪽은 전극과 밀착되고, 다른쪽은 단부 캡과 동일 혹은 다른 재료로 형성된 플러그(plug)가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에는 중공심부(中空芯部)가 형성되고, 이 심부의 치수는 플러그를 통로내에서 필요한 정도로 밀착되도록 선택된다. 이 통로의 최 외단은 플러그에 대하여 적절한 간격을 갖도록 그 위의 전지 구조물로 부터 간격을 형성하고 있다.
전지를 형성하는 바람직한 방법에 있어서, 단부캡은 이것을 수납하는 엔빌로우프의 입구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모울드 성형된 플러그는 단부 캡의 통기 통로내에서 소정의 깊이로 놓이고, 엔빌로우프에 전해질, 격리판 및 다른 필요한 재료가 충전된 후에, 단부 캡이 엔빌로우프의 입구에 압입되어 기밀하게 고착된다. 또 단부캡을 횡으로 압축시킴으로서 플러그와 통로의 벽간의 마찰 저항은 증대하여 플러그가 소정의 압력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부 캡의 횡방향의 압축이 없는 경우, 필요한 조임을 부여하기 위하여 플러그는 통로보다 더 크게 만들어진다.
하기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전지는 갤상태의 전해질 혼합물(12)을 내포하고, 이것은 세퍼레이터(14)에 의하여 돌러 쌓여 있다. 이 세퍼레이터(14)의 외측에 동심으로 제2의 혼합물(16)이 주입되고, 이 혼합물(16)은 보통 2산화망간 등으로 형성된다. 엔빌로우프(10)는 도전성으로 전지의 정극(正極)을 형성하고, 한편 중앙 전극(18)은 부극(負極)의 내측 부분을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한 전지는 AA 크기의 소형 전지로서, 이와 같은 전지는 통상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엔빌로우프(10)가 깊게 인장된 원통형 강관(鋼管)으로 구성되고, 또한 개구를 형성하여, 제작중에 여러가지 혼합물, 세퍼레이터 등이 투입된다. 전지의 입구는 대체적으로 평평한 단부캡(20)에 의해 패쇄되고 이것은 단부캡(20)의 축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주요한 기능을 갖는 요(凹)부(22) 위에 놓여진다. 중앙전극(18)의 상단에는 단부캡(20)의 상면을 횡절하여 놓여진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의 상부에 환상의 종이 와샤(24)가 설치되고, 이것은 외측의 캡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는 다른 전도성 부재로 부터 전지를 분리하는 절연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와샤(24)의 상부에는 금속 스트립(26)이 있고, 이것은 중앙에 구멍을 구비하고, 이 구멍의 주위는 후면으로 탄성의 치부(齒部)를 형성하고, 이 치부는 중앙전극(18)의 두부(頭部)를 눌러서 단단히 파지하고, 조합된 요소를 그 위치에 지지시키고, 더우기 중앙전극(18)의 두부로부터 외부 캡(28)으로 도전로를 형성한다.
외측 카버(30)는 엔빌로우프의 방면 구역의 주위에 배치되고, 절연슬립(32)에 따라서 상기 엔빌로우프로부터 격리되고, 이 절연슬립(32)의 예로서 종이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외측 카버(30)의 상단은 외부 캡(28)의 상부로 크립되고, 또 엔빌로우프(10)의 평평한 저면 주위에 크립되고, 전지의 다수의 요소를 확실하게 연결 지지한다.
전지의 압력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단부 캡(20)에는 통기 통로가(34) 설치되어 있다. 통로(34)내에는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36)가 배치되어 있다. 전지의 신속한 충전 혹은 그 외의 사정에 의한 전극의 방출에 의하여 전지내에 과량의 압력이 발생되면, 그 압력은 플러그(36)를 통로로부터 이동시킬 것이며, 플러그의 하단이 통로의 상단으로 제거될 때까지 플러그에 압력을 가한다. 그리하여 가스는 외부캡에 있는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도출하게 된다.
몇 종류의 전지에 있어서, 단부캡은 전지내에 취부 또는 그외의 수단에 의해 압력적으로 놓이지 않고 오히려 그 위치에 접착되어진다. 그와 같은 전지에 있어서, 플러그(36)는 통로내에 기밀하게 밀착 되도록 통로 보다도 충분히 큰 직경으로 제조된다. 그리고 플러그의 삽입 및 중공(中空) 심부의 깊이는 플러그를 제거하는 압력을 결정한다. 원칙적으로 단부 캡 내에서 제거될 플러그를 설치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하다. 그러나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작은 형식의 전지의 범위내에 그 사상을 실시하는 것은 상당히 큰 문제를 제기시킨다. 특히 예상되는 확실한 압력해제를 얻을 수 있도록 단부캡(20) 내에 플러그(36)를 설치하는 것은 디자인 설계에 큰 장애를 가져온다.
본 고안자는 탄성에 의하여 더우기 크리이프(creep)에 관하여 저항성 있는 프라스틱 재로의 단부캡(20)을 형성하고, 그 단부 캡을 엔빌로우프의 입구로 압착함으로써, 플러그(36)와 단부캡의 구멍 사이에 긴밀한 감합 관계를 얻은 수 있다는 것을 발견 하였다.
상기에서 크링이프(creep)라 하는 것은 한 번 압축되면 압축 상태를 유지하여 장시간에 걸쳐서 이완(弛緩)되지 않도록 탄성 재료의 지속하는 탄성 혹은 “셋트(set)”에 대한 저항을 의미한다. 몇 가지의 재료가 이들 표준을 만족하지만 그중 주요한 것을 플리설폰(polysulfone)이라는 것을 알았다. 플리설폰은 Udel p. 1700(유니온 카바이드 회사 제품)과 같은 몇 가지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플리설폰은 2,2 비스(4-히드록시페놀) 프로판의 나트륨염과 4,4-디클로 디페닐설폰간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된다.
자연적인 비변성 형태에 있어서 폴리설폰은 강도가 강한 열가소성으로, 이것은 안정됨과 동시에 자기 소화(宵火)성이다. 더우기 그 사용 목적에 따라서 적당한 것으로 폴리설폰은 탄성으로 비교적 높은 크리이프게수를 나타낸다.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폴리설폰외에 제네랄 일랙트릭사에 의하여 제조된 “노릴(NORYL)”이라는 상품명의 폴리페닐렌옥시드가 있다. 또 이와같은 적용에 유리충전 나일론 화합물도 유용하다. 마지막으로 그 사용 목적에 따라서 거의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폴리프로필렌이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비교적 값이 싸고,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지만 높은 온도에서는 낮은 크리이프 계수를 나타내고, 따라서 높은 온도 조건에서 사용되는 고급의 밀봉형 전지에는 만족하지 못한다.
다음 제2도는 밀봉형전지에 사용되는 단부캡(40)의 변형도이다. 종래 전극(42)은 감입관계로 단부캡(40)을 통하여 연장되어 기밀하게 방액 밀봉되어 있다.
중앙 전극의 상부는 외부 캡(44)을 지지하고, 특히, 알칼리 전지의 경우에 있어서는 부전극을 구성한다.
단부캡의 상면 주위에 요부 부분(46)이 형성되고, 그 표면을 통하여 환상 통(48)가 형성된다. 실제로, 이 통로(48)는 균일하고 비교적 정확한 형태로 형성하는데 있어서, 도시한 바와 가티 단부 캡을 사출 성형 장치에 의하여 모울드(mold)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았다.
제1도의 경우와 같이 플러그(50)는 통기통로(48) 내에 놓여진다. 본 고안은 실시하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플려그(50)와 통로(48)의 직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여 간격이나 간섭이 생기지 않게 한다.
그러나 기술의 정도 및 사용하는 장치가 2개의 직경을 정확히 동일하게 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으므로, 플러그의 직경을 통로의 직경보다 크게 하는 것이 그 역으로 하는 것 보다는 바람직하다.
이것은 단부 캡을 전지로 조립하기 전에 플러그(50)를 통로(48) 내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함이다. 본 고안 실시의 한가지 예로서, 플러그(50)는 단부캡(40)에 인접하는 홈에 형성되며 단 그 단부캡과 같은 모울드 구조중에 형성된다. 이들이 모울드로부터 제거하기 전에 플러그(50)는 가동 지편(指片) 등에 의하여 통로(48) 중에 소정의 깊이로 압입 되어진다.
이것은 이들 부분이 마찰 계합되면서 하등의 변형이나 접착없이, 모울드 성형 직후에 되어질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더우기 플러그(50)에 홈을 형성함으로서, 즉 플러그(50) 중에 공소(公所)(52)를 형성함으로서, 보다 정확히 예상 가능한 압력 해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은 특히 통로에 계합되는 플러그 주위의 부분이 플러그의 단단한 영역 주위의 부분보다 공소(52) 주위 부분에 한정되는 경우에 얻어진다.
통기통로(48)의 상단은 그 위에 있는 전지 구조체로 부터 간격을 갖도록 배치함으로서 적당한 틈새를 형성하여, 플러그를 통로의 상부 주위와 떨어지고, 포착된 가스의 도출을 허용할 수 있다. 그 예로서, 중앙전극(42)의 상부는 비교적 소경(小徑)으로 하여 플러그(50)의 직상부에 외부 캡이 놓이도록 한다.
제3도는 단부 캡의 다른 형태로서, 이것은 성형시의 형태로 압력 해제 플러그 또는 중앙 전극을 배치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였다.
단부캡(50′)을 사용하고 있는 전지의 형식으로 중앙전극(도시되지 않음)의 상부는 제1도의 중앙 전극과 아주 동일하며 비교적 큰 직경의 플랜지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52′)가 통로(54)의 상단과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로의 상방에 홈(56)이 형성되고 이것은 통로를 짧게 하는 효과를 갖고, 실제상단부 캡의 상면을 낮게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이 단부캡(50′)에는 전극이 압입되는 중앙구멍(60)의 저면을 횡절하여 파손 가능한 얇은 막(58)을 형성하여 이것이 중앙 전극측 주위에 밀착시키도록 한다.
플러그(52′)와 단부캡(50′)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것은 두께(t)의 얇은 판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구조체의 정확한 치수는 정해진 응용에 적합 하도록 변경 되어져야 하는데, 즉 전지의 크기, 구조형식 및 사용되는 재료의 성질에 따라서 어떠한 범위가 정해지나, 실험 결과 만족한 실시예로서 두께(t)는 대략 0.01㎜(0.004인치)로 된다.
모울드로부터 취출한 후 일체로 형성된 플러그(52′)는 하방으로 눌러 얇은 연결막을 파괴한다.
플러그는 소정의 거리만큼 통로(54)로 삽입하여, 그 경우에도 공소(公所)(62)의 깊이 보다도 얇게 삽입한다. 플러그와 통로의 사이의 간격이 영이고, 또 공소(62)에 따라서 부가적이 경(經) 방향의 탄성이 부여되면 플러그는 바라는 깊이까지 용이하게 삽입되고, 더우기 그 후의 제조 조작중에서 플러그는 바라는 위치에 지지된다.
제4도와 제3도와 약간 다른 형태로 형성된 단부 캡을 도시하였다. 전과 같이 플러그(72)는 단부캡(70)과 일체로 모울드 성형되고, 그 조립에서 두 부분이 두께(t)의 막에 의하여 연결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막은 플려그(72)의 최상부가 통로(74)의 최하부에 연결하도록 이들 요소를 형성하므로서, 보다 예측 가능한 통기해제 압력이 얻어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 이유는 플러그이 중심 영역만이 통로(74) 내에 놓이도록 플러그(72)를 도시한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압압할 때, 플러그의 최하단은 통로(74)의 거칠 거칠한 최하 주위로 부터 떨어진다는 사실에 기인되며, 이 거칠거칠한 영역은 연결막의 파괴에 의하여 생긴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제4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가 전지내압에 의하여 통로(74) 내로부터 압출된 때에 플러그가 거칠 거칠한 표면 혹은 파괴된 표면을 통과할 필요는 없다.
상기의 단부 캡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그 성형후, 단 밀봉형 전지에 조립되기 전에, 통기 플러그는 소정의 거리 만큼 대응하는 통로로 압압 된다. 플러그를 통로내로 삽입하는 량은 전지의 내부가 통기되도록 이탈시키는데 요하는 압력 범위를 결정하여 준다. 그리고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는 또다른 변수는 플러그의 탄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탄성은 플러그 중에 형성된 공소(公所) 영역 혹은 중심부의 깊이 또는 직경, 또는 이들 양자에 의하여 제어된다.
나일론과 같은 강재의 솔리드 플러그가 성공적으로 실험된 바 있지만 중공 성형된 중앙부에 의하여 탄성이 제공되면, 솔리드 플러그에서 요구되는 정도(精度) 보다도 약간 낮은 정도로서 플러그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중공 형성된 플러그 그 쪽이 바람직하다. 더우기 플러그 안에 중공부 혹은 코어를 설계하는 것은 설계자에게 다른 한 가지의 변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되어 이 변수는 용이하게 조작되어, 개개의 모울드 치수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플러그이 코어형은 그 상단 주위에 둥근 홈이 구비되어, 플러그 전체가 통로 안에 놓여지지만, 그 상단 주위 혹은 솔리드 부분의 주변은 통로의 벽에 계합되지 않는다.
전지의 엔빌로우프의 입구에 탄성의 단부 캡을 삽입하면, 전지의 크리핑에 의하여 혹은 단부캡과 엔빌로우프 사이의 간섭으로 인하여 단부캡에 대하여 가해지는 횡 방향의 압력은 실제적으로 통기 통로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았다.
이 현상은 플러그와 통로의벽 사이에 계합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따라서 플러그를 초기 삽입할 때에는 플러그와 구멍간에 근소한 마찰계합이 있으면 좋다는 것을 알았다.
이 마찰계합은 제조 조작중에 플러그를 단부 캡 내에 유지시키고, 최초로 플러그를 배치시키는데 비교적 작은 힘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플러그 및 단부캡의 변형 혹은 파손은 최소로 된다. 캡을 전지의 엔빌로우프중에 압출 감합시키므로, 플러그와 단부캡 사이의 계합에서 부가적인 결합이 얻어지면 이 부가적 결합은 통기 조립체를 전지내에 통상의 압력에 견디는데 요하는 부가적 저항력을 공급한다.
상기 설명서에와 같이 본 고안의 특징은 도시한 예에서의 특정한 세부적인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어떤 전지에 비원형의 횡단면의 관상 엔빌로우프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고, 혹은 특정의 전지 구조에 적합하도록 도시한 것과 다른 형태로 단부캡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서 이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다른 변형 혹은 응용을 생각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여러 종류의 변형 및 응용을 전부 포함시킨다.

Claims (1)

  1. 일단에 입구를 형성한 통상 관형태의 엔빌로우프(envelope)(10)와, 상기 엔빌로우프 내에 배치된 전해질(12)과, 상기 엔빌로우프의 내부를 밀봉하기 위해 엔빌로우프의 입구에 걸쳐 연장되고 내면과 외면을 갖는 단부캡(20)과, 상기 엔빌로우프 내로부터 가스를 도출하도록, 상기 단부캡(20)을 통해 연장된 통기통로(34)(48)(54)(74)와, 상기 통로내에 배치되고 폴리설폰으로 형성된 통상 원통형 플러그(36)(50)(52)(72)와, 상기 단부캡 위에 배치된 외부캡(28)(44)과, 상기 단부캡을 통하여 상기 전해질 내로 연장된 단자수단과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의 비압축 직경은 상기 통기 통로의 직경보다 크게하여 서로 압축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단부캡은 압축고정에 의해 산출된 압력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충분히 낮은 크리이프(creep) 특성을 나타내는 폴리설폰(polysulysulfone)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전지의 압력배출장치.
KR2019810000821U 1981-02-04 1981-02-04 밀봉형(密封型) 전지의 압력 배출장치 KR810000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0821U KR810000307Y1 (ko) 1981-02-04 1981-02-04 밀봉형(密封型) 전지의 압력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0821U KR810000307Y1 (ko) 1981-02-04 1981-02-04 밀봉형(密封型) 전지의 압력 배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70001644 Division 1977-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307Y1 true KR810000307Y1 (ko) 1981-04-11

Family

ID=1922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0821U KR810000307Y1 (ko) 1981-02-04 1981-02-04 밀봉형(密封型) 전지의 압력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3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948B1 (ko) * 2007-01-25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위 전지간 직렬 인터페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948B1 (ko) * 2007-01-25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위 전지간 직렬 인터페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31303A (en) Pressure vent for a sealed primary cell
US4075398A (en) Means of providing pressure relief to sealed galvanic cell
US5876868A (en) Battery sealing structure
US5750283A (en) Seal for electrochemical cell
US5227261A (en) Cylindrical electrochemical cells with a diaphragm seal
US3994749A (en) Vent valve for nickel-cadmium energy cells
US4020241A (en) Galvanic cell having a resealable vent closure
US4538025A (en) Anchoring apparatus for a capacitor
US3484301A (en) Electrical cell vent valve
CA1090875A (en) Galvanic cell having a high pressure vent closure
US5932371A (en) Snap-through gasket for galvanic cells
JP4080131B2 (ja) マンガン乾電池
KR810000307Y1 (ko) 밀봉형(密封型) 전지의 압력 배출장치
US3096216A (en) Valve for venting fluid
US20020110727A1 (en) End seal assembly for an alkaline cell
US4052533A (en) Pressure relief flapper vent valve for galvanic cells
US2934584A (en) Alkaline cell having controlled vents
US6146784A (en) Vent plug having an integal seal
JP3525473B2 (ja) 円筒形電池およびその製造法
US3986083A (en) Capacitor case cover disc seal and venting means
US4074023A (en) Primary dry cell with masked separator
US3904939A (en) Capacitor case seal and venting means
US7442467B2 (en) Sealed battery
EP0037121B1 (en) Improvements in alkaline cells
US3940287A (en) Primary dry cell with gas-venting passageway around the cathode m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