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247Y1 - 전기 용접기의 무부하 단전회로 - Google Patents

전기 용접기의 무부하 단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247Y1
KR810000247Y1 KR790007069U KR790007069U KR810000247Y1 KR 810000247 Y1 KR810000247 Y1 KR 810000247Y1 KR 790007069 U KR790007069 U KR 790007069U KR 790007069 U KR790007069 U KR 790007069U KR 810000247 Y1 KR810000247 Y1 KR 810000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cr
transformer
loa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07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태
Original Assignee
김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태 filed Critical 김준태
Priority to KR790007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2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247Y1/ko

Links

Landscapes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용접기의 무부하 단전회로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회로도.
본 고안은 전기용접기의 무부하 단전회로에 관한것으로, 용접봉이 피용접물에 접촉되는 순간에 마그넷트 스위치가 동작하여 주트랜스의 1차측에 전원이 인가되게 하고, 용접봉이 피용접물에서 떨어지는 순간에 주트랜스의 전원을 차단시키게 하므로서 전기용접기의 무부하 전력 손실을 방지하고 무부하시 외부접촉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용접기는 용접을 하지않는 무부하시에도 주트랜스에는 항상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가 지속되게 되므로서 주트랜스의 자체 전력소모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이 손실되는 비경제적인 결함이 있었을뿐만 아니라, 용접회로에 항상 높은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서 누전이나 감전사고가 발생할수 있는 위험성이 뒤따르게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제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주트랜스가 병열로 연결된 보조트랜스 1차측에 마그네트 스위치와 직렬로 SCR을 접속하고, SCR을 용접봉이 피용접물에 접촉하는 순간에 트리거되게하여 마그네트 스위치를 동작시켜 주트랜스의 1차측에 전원을 공급되게하고, 무부하시에는 SCR이 소거되어 주트랜스 1차측의 전원선로를 개방되게하여 전기용접기의 무부하 전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 접촉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 트랜스(T1) 1차측과 병열로 접속된 보조트랜스(T2)의 1차측에 SCR1과 마그넷트 스위치(M.S)를 직렬로 접속한 스위치 회로부(A)를 접속하고, 보조트랜스(R2)의 2차측(T2-a)에 단안정 말티바이브레이터(1)를 연결하고 이의 출력측에 트랜스(T3)를 접속한 트란지스터(Tr1)로 구성된 발진회로부(B)를 접속하여 단안정 말티바이브레이터(1)에서 발진되는 20KHZ의 고주파가 트랜스(T3)의 2차측에 유기되어 대역필터용 콘덴서(C1)를 통하여 주트랜스(T1)의 2차측에 유기시킴과 동시에 투입신호발생회로부(C)에 비교신호로 인가되게 하고, 주트랜스(T1) 2차측에 용접기(2)와 병열로 정류회로(RF)와 저항브릿지회로(Bd) 및 전계효과트란지스터(FET1)로 구성된 차단회로부(D)를 접속하고, 차단회로(D)의 출력신호를 트랜스(T4)를 통하여 스위치회로제어부(E)의 SDR2의 게이트단에 인가되게 한다. 스위치회로제어부(E)는 투입신호발생회로부(C)의 투입신호에 의하여 트란지스터(Tr2)가 턴온 되게하고, 따라서 트란지스터(Tr3)가 턴오프되도록 구성하여 트란지스터(Tr3)가 턴오프되면 전계 효과트란지스터(FET2)가 도통되어 SCR3가 트리거되도록 구성하고, SCR3가 트리거되면 SCR3의 에노드단에 접속된 트랜스(T5)의 2차측에 전압이 유기되게되어 스위치회로부(A)의 SCR1이 트리거되어 마그넷트 스위치(MS)를 동작시켜 주트랜스(T1)의 접점(ms1)을 접속시켜 전원이 인가되게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접기(2)의 용접봉(X)과 피용접물(Y)가 접촉하지 않은 상태, 즉 무부하 상태에서는 보조트랜스(T2) 1차측의 스위치회로부(A)의 SCR1이 OFF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서 마그넷트스위치(MS)도 소거되어 주트랜스(T1) 1차측의 접점(mS1)도 개방된 상태가 되어 주트랜스 1차측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주트랜스(T1)의 2차측에는 보조트랜스(T2)의 2차측(T2-a)에 접속된 발진회로부(B)의 단안정말티바이브레이터(1)에서 발진되는 20KHZ의 고주파가 트랜스(T3), 대역휠터용 콘덴서(C1)를 통하여 주트랜스(T1)의 2차측에 10V 정도의 낮은 전압의 고주파 신호를 유기시키게 되며, 또한 10V 정도의 고주파 신호는 ⓐ 점을 통하여 투입신호발생회로부(C)로 인가되어 보조트랜스(T2)의 2차측(T2-c)을 통하여 유기되는 전압과 비교하여 투입신호를 발생시켜 스위치회로제어부(E)의 트란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시켜 트란지스터(Tr2)를 동작시키게 되는데, ⓐ점의 전압이 보륨(VR)을 통한 전압보다 높은 상태가 되므로서 저항(R1)의 양단간에는 0전위가 나타나 트란지스터(Tr2)는 턴 오프된 상태가되고, 따라서 트란지스터(Tr3)가 턴온된 상태가 되어 전계효과트란지스터(FET2)가 OFF된 상태가되며 따라서 SCR3도 차단된 상태가 되므로서 트랜스(T5)의 2차측의 ⓒ점 접속된 스위치회로부(A)의 SCR1도 차단된 상태가 되어 마그넷트스위치(MS)는 소거된 상태가 되므로서 주트랜스(T1)의 1차측 전원 선로로 대방된 상태가 지속되어 주트랜스(T1) 2차측의 용접기회로에는 10V 정도의 극히 낮은 전압의 고주파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후 용접봉(X)이 피용접물(Y)과 접촉시켜 용접을 개시하게되면 ⓐ점에는 O전위상태가 되고, 따라서 보조트랜스(T2)의 2차측(T2-C)을 통한 직류신호가 보륨(VR)과 다이오우드(D1)를 통하여 스위치회로제어부(E)의 트란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란지스터(Tr2)가 턴온되고, 따라서 트란지스터(Tr3)가 턴 오프되게 되므로서 전계효과 트란지스터(FET)가 동작하여 SCR3을 트리거시켜 도통시키게되어 트랜스(T5)의 2차측에도 전압이 나타나게되고, 이 전압이 ⓒ점을 통하여 스위치회로부(A)의 SCR1을 트리거시켜 마그넷트스위치(MS)를 여자시키게 되므로서 주트랜스(T1)의 1차측 전원선로의 접점(ms1)을 접속시켜 주트랜스(T1)의 전원에 의하여 용접되게 되며, 스위치회로제어부(E)의 SCR2와 접속된 접점(ms2)도 닫아주어서 콘덴서(C2)에 충전이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용접작업이 끝나 용접봉(X)과 용접물(Y)이 떨어지게 되면 투입신호 발생회로(C)의 저항(R1)의 양단간의 전압이 0상태로 되어 스위치회로제어부(E)의 트란지스터(Tr2)가 OFF상태로 반전되고, 따라서 트란지스터(Tr3)가 ON상태로 전계효과, 트란지스터(FET2)도 OFF된 상태가 되어 SCR3의 게이트가 닫히게됨과 동시에 주트랜스(T1)의 2차측 유기전압은 차단회로부(D)의 정류회로(RF)와 저항브릿지(Bd)를 거쳐 전계효과트란지스터(FET1)를 동작시키게되어 트랜스(T4)의 2차측에 전압이 나타나게 하는데 전계효과트란지스터(FET1)는 저항(R2)과 콘덴서(C3)로 구성된 시정수회로에 의하여 약간 지체하여 동작하게되고, 트랜스(T4)에 유기된 전압은 전압은 ⓑ점을 통하여 스위치회로 제어부(E)의 SCR2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SCR2이도 통하고 SCR3에는 역전류가 흐르게 되어 SCR3는 OFF상태로 반전되고 따라서 SCR3과 접속되어 있는 트랜스(T5)의 2차측에는 0전압 상태가 되어 스위치회로부(A)의 SCR1을 OFF시키게되므로서 여자되어 있던 마그넷트 스위치(MS)가 소거되어 접점(ms1) 및 (MS2)가 개방되고 따라서 주트랜스(T1)의 1차측 전원을 차단시키게 되어 주트랜스(T1)의 2차측에 접속된 차단회로부(D)의 트랜스(T4)의 2차측에도 0전압상태가 되어 스위치회로주어부(E)의 SCR2도 OFF 상태로되므로서 다시 주트랜스(T1)의 2차측에는 발진회로(B)에서 유기되는 10V 정도의 고주파전류만이 흐르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용접봉이 피용접물에 접촉하는 순간에 즉시 전원이 주트랜스에 투입되게 하고, 무부하시에는 주트랜스의 전원선로를 차단시켜주게 되므로서 전기용접기 무부하시의 전력손실을 방지하여 절전의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부하시에는 극히 저전압상태의 고주파 전류만을 용접기회로에 흐르게 하므로서, 종래와 같은 감전사고를 예방하여 안전하게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주트랜스(T1) 1차측과 병열로 접속된 보조트랜스(T2)의 1차측에 SCR1과 마그넷트스위치(MS)로 구성된 스위치회로부(A)를 접속하고, 2차측(T2-a)에 고주파발진회로부(B)를 접속하며, 2차측(T2-b)에는 스위치회로부(A)의 SCR1제어용 SCR2및 SCR3를 연결하여서된 전기용접기의 무부하 단전회로.
KR790007069U 1979-11-24 1979-11-24 전기 용접기의 무부하 단전회로 KR810000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7069U KR810000247Y1 (ko) 1979-11-24 1979-11-24 전기 용접기의 무부하 단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7069U KR810000247Y1 (ko) 1979-11-24 1979-11-24 전기 용접기의 무부하 단전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247Y1 true KR810000247Y1 (ko) 1981-03-24

Family

ID=1921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07069U KR810000247Y1 (ko) 1979-11-24 1979-11-24 전기 용접기의 무부하 단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2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7992A (zh) * 2018-09-20 2018-12-21 西安拓锋机电科技有限公司 高效截载节电控制线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7992A (zh) * 2018-09-20 2018-12-21 西安拓锋机电科技有限公司 高效截载节电控制线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13261B2 (en) Improved output control circuit for inverter
KR840009238A (ko) 용접전원의 제어방법과 장치
IT1191365B (it) Circuito di comando per una apparecchiatura di talgio o saldatura al plasma ad arco trasferito
IE54321B1 (en) Welding apparatus
JPS61198595A (ja) ガス放電管内ア−ク放電防止装置
US3459996A (en) Starting circuit for direct current arc welder
KR810000247Y1 (ko) 전기 용접기의 무부하 단전회로
US5308952A (en) Welding arc stabilizer
EP0063168B1 (e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apparatus
KR810001069Y1 (ko) 전기 용접기의 무부하 단전회로
JPH0634588B2 (ja) 電源装置
JPS58212370A (ja) 電源回路
KR880002438Y1 (ko) 교류아아크 용접기용 전격방지장치
JPS5997770A (ja) 電極短絡防止装置
KR0110477Y1 (ko) 티아이지(tig) 아이크 용접기의 전원장치
SU1074674A1 (ru) Ограничитель напр жени холостого хода сварочного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SU1539016A1 (ru) Ограничитель напр жени холостого хода сварочных трансформаторов
RU1815062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тключени напр жени холостого хода источников сварочного тока
SU168565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граничени холостого хода сварочного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JPH0537640Y2 (ko)
SU1269936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граничени напр жени холостого хода сварочного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JPH0117064Y2 (ko)
KR800000194B1 (ko) 직류 용접기
SU176312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граничени напр жени холостого хода сварочного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JPH11188481A (ja) 交流アーク溶接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