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494B1 - 진동 와이어 방식 압력 감지기 - Google Patents

진동 와이어 방식 압력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494B1
KR800001494B1 KR7702366A KR770002366A KR800001494B1 KR 800001494 B1 KR800001494 B1 KR 800001494B1 KR 7702366 A KR7702366 A KR 7702366A KR 770002366 A KR770002366 A KR 770002366A KR 800001494 B1 KR800001494 B1 KR 800001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ever
pressure
forc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떠블유. 너드. 주니어 호와드
오. 올 슨 에베레트
Original Assignee
조셒 에프. 파파렐라
더 폭스보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셒 에프. 파파렐라, 더 폭스보로 캄파니 filed Critical 조셒 에프. 파파렐라
Priority to KR7702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G01L13/02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using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or pistons as 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1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electrica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동 와이어 방식 압력 감지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예를 보인 압력 감지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감지기의 부분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감지기의 평면도.
제4도는 자극편(磁極片)에 인접한 진동 리본의 수평 단면 상세도.
제5도는 저압차에 적합한 압력 감지기의 다른 예의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나타낸 감지기의 부분 정면도.
제7도는 제5도에 도시한 감지기용 만곡부 배열 방법을 보인 수직 단면 상세도.
본 발명은 공업적 공정 기구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압력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은 측정될 압력에 비례하는 장력을 받고, 이 장력에 비례하는 주파수로 진동하는 진동 와이어(vibratory wire)로 구성되는 형태의 압력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팽팽한 와이어의 진동 주파수가 와이어의 장력에 작용한다는 것은 수년전부터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압력 또는 힘 측정기구는 이러한 원리를 토대로 할 수 있는데, 여기에 인가되는 미지의 힘으로 장력을 받은 와이어를 진동시키고 대응하는 측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진동 주파수를 검지할 수 있다는 사실도 이미 인식되고 있다. 이들 원리에 따른 기구를 개발시키기 위한 상당한 노력이 경주되어 왔다.
선행 기술의 어떤 기구에 있어서는, 진동 소자를 자성체(磁性體)로 형성하였는데, 이 자성체는 여기에 교번(交番) 자장을 인가(印加)함으로써 진동하도록 되어 있고, 이 소자의 진동 운동은 픽업 코일로 검지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기구는, 미국 특허 제3,600,614호의 실시예에 기재한 바와 같이, 비교적 튼튼한 지주 형태의 진동 소자에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의 다른 방도로서, 도전체인 팽팽한 와이어를 영구 자장 내에 배치하고, 이 와이어의 단부들을 전자 발진기에 접속시킴으로써, 와이어에서 진동 진류를 발생시켜 와이어를 그의 공진 주파수로 진동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발진기의 주파수는 측정신호를 나타낸다. 미국 특허 제2,455,021호 및 제3,543,585호에 의하면, 이러한 종류의 각종 배열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제안에 있어서는, 진동 와이어를 밀폐실 내에 장치하고, 이 진동선의 일단부를 장력을 받은 상태로 와이어와 축방향으로 배열한 단일한 압력 응답 진동판에 직접 연결시키고 있다.
진동판에 사용한 압력은 와이어를 통해 전달되어 진동판 압력에 따라 와이어 장력을 변화시킨다. 바이브로트론 게이지(Vibrotron Gage)로서 알려진 전술한 특성을 갖는 계기는 주요기구 제조업자에 의해 수년전부터 시판되었으나, 이와 같은 기구는 현재 공업적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3,543,585호에 기술한 것은 비슷한 특성을 갖는 기구로서 그 보다 늦게 제안되었으나, 이 기구에서 진동와이어는 진동판보다는 오히려 축방향으로 정열시킨 주름상자에 접속된다.
이 기술계통의 선행 기술의 광범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기술로 제작된 기구들은 여러가지의 중요한 용도에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특히, 선행 기술의 기구들은 일반적으로, 특히 장기간에 걸쳐, 그리고 충격, 진동 및 주변 온도의 변화와 같은 악조건하에서 충분히 정확하게 조작할 수 없는 결점들을 갖는다.
본 발명은 높은 정확성과 다수의 외적 요인들의 영향에 대하여 내구성이 있는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종전의 압력 변환기의 한계점과 결점들을 해결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일예에 의하면, 1차 압력 감지소자로서 매우 얇은 진동와이어, 유익하기로는 얇은 리본 형태의 진동와이어를 사용하는 압력 변환기가 제공된다. 이 진동와이어는 영구 자석의 극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통해 흐르는 교류를 발생시키는 전자 발진 회로에 연결된다.
와이어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자장과 반응하여, 와이어를 움직하게 하고 역기전력(back electromotive force)이 발생되게 한다. EMF 발진회로에서의 피이드 백(feed back)에 의하여 와이어의 진동이 유지되고, 와이어의 긴장도에 의해 진동 주파수가 조절된다.
진동와이어는 길고 경질성(硬質性)인 기판과 이 기판에 평행하게 추착(樞着)시킨 레버 사이에서 연신된다.
각각 고저의 입력 압력을 받는 1조의 주름상자를 추축(樞軸:pivot)의 대향 측면상의 기판과 레버 사이에 배치시킴으로써, 2개의 주름상자에 의해 받는 차동 입력 압력의 변화에 응하여 추축(피봇트) 주위에서 레버를 테터보오드(teterboard) 방식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차동 입력 압력에 의하여 와이어에 힘이 발생하여 대응하는 진동 주파수가 생기게 되는데, 이어서 이 주파수는 전자 회로에 의해 검지되고 와이어에 인가시킨 힘(차동 압력:差動壓力)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이러한 전체적인 구성으로 고도의 정확성을 갖는 측정이 가능하며, 특히 위치 배열의 변동과 충격, 진동 및 주변 온도의 변화의 영향이 실제로 없게 된다. 이 기구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제조 가격이 염가이다. 둥근 와이어보다 오히려 매우 얇고 평평한 긴 리본형의 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이 기구의 정확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실시예 및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상술하겠다.
제1-3도에 있어서, 압력 감지기(10)은 길이가 긴 기판(12)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기판의 종방향의 중간부에는 직립된 추축 지주(16)의 착설된 횡봉(14)이 고착되어 있다. 이 지주의 상단부에는 레버(10) 형태의 길이가 길고 균형잡힌 비임을 추축 방식으로 지지해주는 교차 만곡부(18)이 있다. 이 레버는 대략 그의 종방향 중심부에서 추착시켜서, 그의 종축이 기판의 종방향의 크기에 따라 충분히 평행하게 되도록 배열시킨다.
추축 지주(16)의 반대측부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입력 압력을 전달해 주는 도관(23,25)(제1도 참조)에 종전 방식으로 각각 접속시킨 고압 및 저압 주름상자(22,24)가 있는데, 상기 입력 압력차가 곧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차인 것이다. 주름상자 상부의 가동 단부들은 레버의 하측면에 대항하여 상방향으로 대응하는 힘을 인가할 수 있도록 축봉(26,28)을 통해 레버(lever)(20)에 견착시킨다.
레버(20)의 좌측 단부와 기판 사이에는 이 레버와 기판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전기 도전체인 진동을 일으킬 수 있는 팽팽히 잡아늘인 와이어(30)을 연결한다. 이 와이어는 추축(18)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위치시켜서 레버가 추축과 와이어 사이에서 비교적 큰 모멘트 아암(moment arm)을 갖도록 한다. 레버의 타단부에는 편향 스프링(32)를 레버와 기판 사이에 위치시켜서, 2개의 주름상자(22,24) 사이에 아무런 압력차도 없을 때에는 와이어를 기준(zero set) 장력으로 유지하기 위해 레버에 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인가되게 한다.
주름상자(22,24) 사이에서 차등 압력이 발생하면, 시계 방향으로 대응하는 회전력을 레버(20)에 인가함으로써, 편향 스프링(32)로부터 기준 장력 이상으로 진동 와이어(30)의 장력이 증가된다. 차동 압력이 증가하면, 레버(20)은 추축(18) 주위에서 재료의 탄성도에 의해 허용되는 정도까지 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한다. 교차 만곡부 추축(18)은 이 레버의 회전운동을 수직평면, 즉 제2도에 나타낸 도면과 평행하는 평면에 한정시킨다.
와이어(30)에 진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기판 상에 재착시킨 영구 자석(36)의 극편(34A,34B) 사이에 비교적 균일하고 강력한 횡방향 자장을 인가하고, 와이어의 단부들은, 후술하는 수단을 통해, 전자(電子) 발진 회로(도시하지 않았음)에 접속시키는데, 이 회로는 그 와이어를 통하여 진동 전류를 발생하므로, 와이어는 1차적으로 측면으로 진동을 일으키게 된다[즉, 여기서 와이어의 각 단부에는 진동 정지점(mode)만이 있다]. 진동 와이어 전류를 발생하는 전자 회로는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니다.
고압 및 저압 주름상자(22,24)는 동일한 유효 면적을 가지며, 추축(18)의 중심선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하고 있는데, 추축 주위에서 동일한 모멘트 아암을 제공한다. 동일 압력에 노출된 양쪽 주름상자를 이용하면, 저압 주름상자(24)가 레버(20)에 힘을 발하는 종방향 위치에서 최소한의 조정을 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레버 위에 2개의 주름상자에 의해서 발하는 순회전력을 기준치(제로)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정은 나착 주름상자 지지체(38)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는데, 이 지지체는 나사를 풀어서 수동으로 적당한 위치까지 주름상자를 올린 다음 다시 고정시킬 수 있다.
편향 스프링을 조정함으로써, 제로(零) 또는 임의의 차동 입력 압력에 대응하는 적당한 장력을 와이어(30)에 부여할 수 있다. 이 장력에 관련된 진동 주파수가 송신기 출력 신호(통상, 4밀리암페아의 d-c신호)로 중계되었을 때에, 본 발명의 감지기는 제로 레벨 신호를 나타낸다.
제1-3도에 나타낸 배열방식은 30psi 정도의 압력차를 측정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독특한 설계 개념에 의하여 제공되는 중요한 변형인 제5도 및 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기구를 기타낸 것이지만, 이것은 더욱 낮은 차동 압력 측정[예, 물 1인치(약 2.54cm) 정도]에 적합하다. 이 다른 설계예에 있어서는, 제1도에 표시한 것과는 달리 주름상자(22A,24A)는 편향 스프링(32)와 진동와이어(3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데, 이들 주름상자는 추축(18)에 대하여 와이어의 모멘트 아암보다 상당히 큰 모멘트 아암을 가진다는 사실을 특히 유의해야 된다. 그렇지만,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기본 기구의 본래의 균형잡힌 배열은 제5도에 도시한 예에서 그대로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힘발생 주름상자는 진동 와이어로부터 축방향으로 나누어 설치(즉, 와이어축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나누어 설치됨)되고, 또 이들 주름상자가 와이어 및 주름상자에 대하여 선택될 수 있는 길이의 모멘트 아암을 제공하는 추착된 레버에 의해 와이어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도 및 5도에 나타낸 기구의 독특한 전체 배열이 특히 유익한데, 그 이유는 이 배열이 와이어의 힘에 대한 응답 특성과 압력 응답 주름상자의 발력(發力) 특성을 유효하게 조화시켜서 가장 적합한 변환기 조작을 성취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우기, 중심에 추착시킨 레버에 평행하게 그리고 그의 종축에 수직하게(즉, 2개의 주름상자 사이의 선분에 수직하게)힘을 인가하는 복수개의 소자들의 균형된 배열방식은 기구의 배열방향이 중력에 대하여 변화할 때에, 이와 같은 변화가 고의적이거나 또는 기구를 지지해 주는 구조물의 온도 변화와 같은 환경 변동의 결과로서 일어나든 간에 출력 신호의 변화가 실질적으로 일어날 수 없게 해준다. 이와 유사하게, 이 균형 잡힌 기구 배열에 의하여 상호 수직인 3개의 평면 중 어느 일면에서의 충격이나 또는 진동에 따른 악영향이 최소로 된다. 따라서, 이 기구는 광범위한 조건하에서 고도의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그밖에, 이러한 배열은 구조상 간단하면서도 서로 튼튼하기 때문에 장기간 동안 신뢰성 있는 조작이 보장된다.
중력에 관하여 상이한 공간 배열을 위한 본 발명 기구의 추착된 부품들의 균형은 2개의 주름상자(22,24)의 내부에 위치한 평형추의 사용에 의하여 보조된다. 저압 주름상자(24)내에 축봉(28)을 연장시킨 형태의 평형추(40)만을 제2도에 나타냈다. 이와 유사한 대응하는 평형추는 다른 주름상자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다. 만약, 기구(10)을 그의 종축과 수직하게(중력과 평행하게) 배열시킨다면, 레버(20)의 중량에 의하여 추축(18) 주위에서 레버를 회전시킨 수 있는 또 다른 회전력(토오크) 성분이 추가되어 와이어의 장력을 변경시키게 된다. 그러나, 2개의 주름상자 내의 평형력은 이 추가된 회전력에 대항하여 추축 주위에서 효과적인 균형을 유지하므로, 상이한 배열이 형성된다.
주름상자(22,24)내에 있는 평형추는 또한 과도한 압력조건의 경우에, 레버(20)의 과도한 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물리적인 정지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1도의 기구에 있어서, 고압 주름상자(22)의 정지 수단만이 실질적으로 필요할 뿐인데, 그 이유는 반대방향으로의 레버의 과도한 운동은 와이어(30)의 억제작용에 의해 예방되기 때문이다.
와이어 장력 T와 와이어 진동 주파수 f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비교적 간단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T=Af2
(식 중, A는 비례 상수이다)
그러나, 실용적인 기구에 있어서는, 와이어 장력과 주파수 사이의 관계는 위에 보인 간단한 식에 정확히 맞지 않는다. 그 대신에, T와 f와의 관계를 오히려 복잡하게 만드는 상기 방정식에서 벗어나는 비틀림 효과가 도입된다. 이러한 비틀림 효과는, 고도의 정확성으로 힘을 측정함에 있어서, 특히 인가된 힘(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의 차동압력)에 직접 연관된 측정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공정 기구 시스템에 힘 감지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여러가지 곤란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비틀림 효과는 진동 와이어를 가능한한 얇게 함으로써 최소한으로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실용적인 기구를 설계함에 있어서, 와이어를 너무 얇게 해주면 여전히 다른 문제, 즉 신뢰성 있는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와이어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고, 또 와이어의 파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치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점은 본 발명 기구의 작동 범위 내에서 인가시키고자 하는 최대의 힘에 적합한 장력 특성을 부여하는 전체 횡단면의 와이어 면적을 제공하기 위한 칫수의 넓은 면폭(面幅)을 갖는 와이어(30)을 가능한 얇고도 평평한 리본형(제4도 참조)으로 마련함으로써 해결되었다. 상기 와이어는 그 와이어 리본의 넓은 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그의 1차 진동 정지점(와이어 단부 사이에는 진동 정지점이 없음)에서 진동하도록 배열시켜야 한다. 그밖에, 본 발명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감지기에 있어서는, 와이어 리본은 그의 넓은 면에 레버(20)의 종축에 직각이 되게 배열시켜야 한다. 즉, 와이어 리본의 넓은 면은 레버의 회전 운동 평면에 수직으로 될 것이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구 자석에 의해 생기는 자장은 리본의 일변에서 타변까지 통과한다.
일예에 의하면, 와이어 리본(30)은 텅스텐으로 만들며, 두께가 약 0.001인치(2.54×10-3cm), 폭이 약 0.02인치(5.08×10-2cm), 그리고 종횡비(縱橫比)는 20:1로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종횡비를 약 10:1 이하로 보다 작게 하면, 비틀림 효과를 극소화하는데 양호한 결과를 얻지만, 기구의 가장 적합한 정확성을 얻기 위해서는 종횡비가 높을수록 좋다.
와이어(30)의 단부는 진동 흡수 괴체(塊體), 바람직하기로는 알루미늄과 같이 비교적 연질성 물체에 고정시키는 것이 유익하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리하여, 와이어의 하단부는 알루미늄 블록(50)에 고정시키며, 상단부도 역시 큰 괴체의 알루미늄제로서 블록(50)과 동일하게 진동 흡수체로 작용하는 레버(20)에 연결한다.
연질성 진동 흡수체인 알루미늄제의 2개의 블록 사이에 팽팽하게 신장시킨 텅스텐 와이어(30)을 사용하면, 온도변화에 따른 길이의 변화가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 변화로 기구의 정확성이 방해받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와이어 장력이 이와 같은 온도 변화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도록, 기구는 구조가 길이 변화를 조화시키는 지지 구조 내의 수단들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목적으로, 횡봉(14)는 예정된 온도 팽창계수를 갖는 스테인레스강제로 형성하며, 추축지주(16)은 상이한 온도 팽창 계수를 갖는 불변강으로 형성한다.
추축(18)은 알루미늄제의 소형 블록(52)에 의해 레버(20)에 접속된다. 강철횡봉(14), 지주(16) 및 알루미늄 블록(52)의 수직 칫수의 비는 주어진 온도 변화에 대한 지지구조의 수직 길이의 전체 변화가 와이어(30) 및 알루미늄 블록(50)의 결합체의 전체 길이의 변화와 같아지도록 미리 계산하여 결정한다. 이들 길이의 비를 적절히 결정함으로써, 길이의 전체적인 온도 응답 변화는 본질적으로 와이어 유효길이의 전체 변화와 조화될 것이다. 따라서, 기구의 온도 변화에 따른 와이어(30)의 장력은 크게 변화되지 않을 것이다.
와이어(30)의 단부는 기판(12) 상에 설치한 변압기(56)의 1차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여기 전류 회로(도시하지 않았음)에 그 와이어의 임피던스 정합(整合) 결합이 제공된다. 이 전기 접속의 일측을 유효하게 하기 위해, 제1시그널 리이드선(60)을 알루미늄 블록(50)에 부착시키고, 그의 타단부를 변압기의 1차 회로에 접속시킨다. 블록(50)은 마일러 스트립(Mylar strip)(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절연 재료에 의해 기판(12)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켜서 전기 절연을 확실하게 행한다. 변압기의 1차 회로 접속부의 타측부는 그 기구를 통하여 “접지”시킨다. 즉, 1차 권선을 제2시그널 리이드선(61)에 의해 기판에 접속시키며, 포함된 물질들의 전도 특성 때문에, 차례로 추축(18)과 레버(20)을 통해 와이어(30)의 상단부에 소정의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열을 할 경우의 한가지 잇점은, 와이어의 특성에 방해가 될지도 모르지만, 와이어(30)의 정부에 도선을 접속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기판(12)의 바로 밑에는 접속상(62)가 있는데, 이 접속상 내부에는 1조의 도선(64,66)이 변압기(56)의 2차 권선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이들 도선은 도관 통공(70)을 통하여 격리 접속기(68)에 접속되는데, 이 접속기에는 전자 송신기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접속시킬 수 있다. 기판(12) 역시 본 발명 기구를 적소에 고착시키기에 적합한 설비를 갖는 고정 플랜지(71)와 일체로 구성된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예는 극히 낮은 압력차를 측정하기 위하여 설계된 것으로서, 추착시킨 레버(20A)의 단부에 재치시킨 비교적 큰 주름상자(22A,24A)를 포함하고 있다. 주름상자 내에는 각각의 축봉(80)(이 중의 하나만을 도시했음)이 들어 있는데, 그의 하단부는 주름상자 지지부재(82)와 교합하도록 배열함으로써 과대 압력에 기인하는 레버(20A)의 과도한 운동이 방지된다. 이들 축봉에(80)는 비교적 큰 원판체의 평형추(84)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기구가 도면에 도시한 수평 위치와는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에는, 레버(20A)와 여기에 장치된 다른 소자들에 기인하는 중력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 나사 조절기구(86)이 고압 주름상자(24A)용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기준(제로) 차동 압력일 때 상기 기구의 정적(靜的)(정지) 배열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5도의 예에 있어서는, 와이어에 고압측 초과 범위 예방에 유리하다는 사실, 특히 높은 정압(靜壓)의 존재하에서 유용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초과 범위 예방 기구는 나사(92)에 의해 레버(20A)에 연결되는 판 스프링(90)을 포함한다. 판 스프링의 타단부는 볼트(94)에 의해 굴곡된 모양으로 유지되는데, 이 볼트의 몸체부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레버를 관통하는 구멍을 통하여 약간 상부로 올라와 있다. 볼트의 타단부는 레버 아래쪽의 와이어 지지 블록(96)에 나착되어 있다. 이 블록은 일단부가 레버(20A)에 고착된 만곡부(98)의 일단에 추축(피봇트) 방식으로 장착된다(제7도 참조).
이 기구의 정상 조작 중, 판 스프링(90)에 의해 발생하는 만곡력이 레버(20A)의 하측면에 저항하여 와이어 지지 블록(96)을 유지한다. 그리하여, 레버에 의해 와이어(30)에 전달된 힘은 실제로 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만약 와이어에 인가된 힘이 판 스프링에 의해 발생된 힘을 초과하기 시작한다면, 레버는 추축(18) 주위를 회전하여 와이어 지지 블록(96)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될 것이다. 이것은 와이어가 판 스프링에 의해 발생된 힘보다 더 큰 힘을 받지 않게 하여 준다. 만약, 이 힘이 계속해서 증가한다면, 과대 운동 정지 수단이 주름상자(22A)와 계합될 때까지 레버는 회전하게 될 것이다. 입력 압력차가 정상 조작 범위로 감소하면, 와이어 지지 블록과 레버는 만곡부(98)의 안내 작용에 따라 전술한 바와 정확하게 동일한 지점에서 다시 계합하므로, 측정시에 달리 오차를 일으킬지도 모르는 모멘트 아암의 여하한 변동도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상술되었지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할 목적으로 설명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하면,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본 기구의 구성을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기 때문이다.

Claims (1)

  1. 진동 와이어를 통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 전류를 자장과 반응시켜서 와이어의 장력에 비례하는 진동을 와이어에 일으키는 진동 와이어 방식 압력 감지기에 있어서, 기판(12), 전기 도전체로 된 진동 와이어(30), 이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판에 와이어의 일단을 고착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50), 와이어에 운동력을 인가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에 대응하는 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와이어의 타단부에 힘(압력)을 발생시키는 레버(20), 인가된 힘(압력)의 변동에 따라 와이어의 타단을 움직이도록 레버를 올려 놓는 추축식(피봇트식) 가동 부재(14,16,18,52)를 갖는 전기 도전성 운동 장치, 이 운동장치로부터 와이어의 일단을 절연시키는 전기 절연 수단, 와이어에 전류를 통과시키는 제1 및 제2시그널 리이드선(60,61), 와이어의 일단에 제1시그널 리이드선을 전기 접속시키는 수단(50), 상기 운동 장치에 제2시그널 리이드를 전기 접속시키는 수단(12)와 제2시그널 리이드선으로부터의 와이어의 타단에 전기 도전 통로를 제공하여 폐전류 회로를 형성하는 수단(12,14,16,18,52,20)으로 구성된 진동 와이어 방식 압력 감지기.
KR7702366A 1977-10-12 1977-10-12 진동 와이어 방식 압력 감지기 KR800001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366A KR800001494B1 (ko) 1977-10-12 1977-10-12 진동 와이어 방식 압력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366A KR800001494B1 (ko) 1977-10-12 1977-10-12 진동 와이어 방식 압력 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494B1 true KR800001494B1 (ko) 1980-12-17

Family

ID=1920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366A KR800001494B1 (ko) 1977-10-12 1977-10-12 진동 와이어 방식 압력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49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9422A (en) Vibratory-wire pressure sensor
US4756198A (en) Sensor apparatus for mass flow rate measurement system
US2544646A (en) Angular velocity measuring instrument
US5212451A (en) Single balanced beam electrostatic voltmeter modulator
US4314202A (en) Flexural vibration sensor with magnetic field generating and sensing
EP0084704A2 (en) Angular rate sensor apparatus
US7093498B2 (en) Microelectromechanical strain gauge with frequency detector
US2873604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vibration characteristics
US4587853A (en) Vibration type force detector
US3449940A (en) Apparatus for measuring physical properties of materials
US3385104A (en) Mass presence sensing apparatus
US3492858A (en) Microbalance
JP3314187B2 (ja) 慣性質量測定器の力補償器
US234306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JP2625364B2 (ja) タッチ信号プローブ
US2429094A (en) Apparatus for 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US4221133A (en) Vibratory-wire pressure sensor
KR800001494B1 (ko) 진동 와이어 방식 압력 감지기
US3967497A (en) Vibrating force sensor
US3070996A (en) Mechanical impedance meter
US4445371A (en) Gravity meter and method
US5142913A (en) Non-quartz resonating transducer
US3520193A (en) Vibrating wire gyroscope
US3977242A (en) Force measuring resonator
US3143883A (en) Vibration damping means for transduc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