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413B1 - 순수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순수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413B1
KR800001413B1 KR770000102A KR770000102A KR800001413B1 KR 800001413 B1 KR800001413 B1 KR 800001413B1 KR 770000102 A KR770000102 A KR 770000102A KR 770000102 A KR770000102 A KR 770000102A KR 800001413 B1 KR800001413 B1 KR 800001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aluminum
residue
sulfuric acid
sulf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0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헨 조셉
마우렐 삐에르
아드제미앙 알랭
Original Assignee
버나드 데 파세머
알루미늄 페치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나드 데 파세머, 알루미늄 페치니 filed Critical 버나드 데 파세머
Priority to KR77000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41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순수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회로도.
본 발명은, 황산이 티타늄, 철 및 0.1%이하의 K2O를 포함하는 실리코-알루미늄 물질에 공격을 개시하여 야금학적으로 순수한 알루미나, 다시 말하면 0.03%이하의 Fe2O3, 0.5%이하의 또는 K2O, 0.003%이하의 Ti를 포함하는 알루미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물질로부터 알루미나를 추출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물질에 대한 황산의 작용이 수년전부터 제안되었다. 예를들면 프랑스특허 제574,983호에서는 광물을 황산으로 처리하고, 그 용액을 염산으로 처리하고,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핵사하이드레이티드 염화알루미늄의 열로 분해하는 것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광물에 따라 다르고 광물내에 알루미늄을 수반하는 불순물들을 제거하는데 사용된 방법에 관하여 자세한 기술이 없다.
비교적 최근의 특허인, 프랑스 특허 제1,558,347호 및 프랑스 특허 제7142250호에서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순환식 방법을 제안했다. 그러나, 철 및 칼륨은 이중 황산 제2철과 칼륨인 Fe2(SO4)3, K2SO4의 형태로 거의 제거되지만, 상당량의 티타늄이 불용성 상태로 잔존하고 황산처리로부터의 불용성 잔류물 내에 남아 있게 된다.
황산 처리시 생성된 용액은 단지 소량의 초기 티타늄과 초기 제2철을 함유하며 광물을 황산으로 처리할 때 광물내에 제1철이 존재하면 그 용액은 또한 제1철도 함유한다. 광석이 소량의 칼륨을 포함하고 또 철의 성분에 비하여 비교적 많은 양의 티타늄을 포함할 때에, 상기 방법들로는 티타늄을 쉽게 분리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철, 티타늄 및 아주 빈약한 칼륨을 포함하는 천연 또는 잔사실리코-알루미늄물질을 처리하는데 매우 적당하다. 그러한 물질들은 예를 들어 실리코-보오크사이트류 및 카오린(Kaolen) 점토류를 포함하며, 카오린 점토류는 주성분으로 카오리나이트와 매우 소량의 알카리 금속류인 나트륨 및 칼륨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상당량의 티타늄과 다양한 양으로 철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물질들은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때 천연 그대로의 축축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건조 및 하소에 이용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러한 광물들은, 상기한 프랑스 특허 제1,558,347호 및 7,142,250호에 기술된 방법에 의하여 철을 제거할 만큼의 충분한 칼륨을 함유하고 있지 않다. 황산칼륨을 도입하면, 철을 제거하지만 황처리시 용해되는 티탄화합물을 쉽게 제거하지 못한다.
본 발명들은 수많은 발견을 기초로 하고 있다.
종래 믿어온 바와는 달리 점토 및 혈압원료(예를들면 상기 초기물질)를 황산으로 처리하면 용해된 황산알루미늄을 함유하는 농축된 용액으로 된다는 사실을 우연히 알게 되었다. 그러한 용액의 농도는 대기압, 140℃이상에서 Al2O3150g/ℓ 정도로 높으며 말하자면, Al2O31-12중량%이다.
이러한 고농도를 얻는데 필요한 조건들은 광물의 무게에 대한 사용된 황산용액의 부피의 고비율 및 황산처리로부터 얻어진 용액내의 비교적 낮은 유리황산 함량을 이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두 조건들은 동시에 상존해야 한다는 것을 역시 발견하였다.
황산 암모늄이 어떤 조건하에서 황산처리시 황산용액에 첨가될 때 철, 티타늄을 침전시켜 회수시키는 매개물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러므로 황산염 및 암모늄 이온을 쉽게 재순환시킬 수 있다.
황산처리 용액에 첨가되는 황산 암모늄의 양은 광물이 황산처리 될 때 용해되는 철 및 티타늄의 양에 관계된다. 철에 관해 고려할 때, 제2철 상태로 용해된 철뿐만 아니라 황산암모늄이 분해하기전에 가용성 제2철 혼합물로 전환되는 직접 제거되는 제1철 혼합물이 있다.
철과 티타늄을 적절히 제거하기 위해서, 황산처리 용액이 Fe(SO4)3·(NH4)2SO4형의 2중 황산염의 생성물과 TiO2각 몰에 대하여 1몰의 [(NH4)2SO4)2SO4를 함유하는 티타늄 화합물의 생성물에 대응하는 화학 양론적 양을 초과하는 과량의 황산암모늄을 함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철, 티타늄 및 칼륨 0.1중량%이하(K2O로 계산)를 포함하는 천연실리코-알루미늄 물질을 유리황산 49-59중량%, 황산암모늄 6-8중량%, 황산암모늄의 잔량체 및 처리된 물질 내에 불순물로 구성된 여러 가지 금속의 황산염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도입시키면, 미세한 입자의 현탁액이 형성되며, 황산처리 용액의 단위부피당 고체양은 황산처리 용액내에 필요한 황산알루미늄 성분과 함께 증가되며 용해된 황산알루미늄 6.8%(Al2O3로 계산)를 함유하는 용액을 얻기 위하여 황산처리 용액의 m3당 20%의 수분을 갖는 천연광물 약 370kg이 필요하다.
-얻어진 현탁액을 125-135℃에서 1-5시간동안의 가열한다.
-황산처리시 생성되고 모액에 함침된 규질잔사를 나머지 액체로부터 분리한다.
-소량의 알루미나만을 함유하는 재순환된 황산용액의 제한된 양에 의하여 함침된 모액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잔사를 처리하고 그결과 생성된 용액을 황산처리시 상기 규질잔사를 물로 세척하여버린 액체와 재결합하고 알루미늄산 황산염으로부터의 모액의 잔사를 상기 규질 잔사로부터의 세척액과 재결합시키고, 그결과 혼합된 액체를 농축시키고 다른 물질과 함께 철, 티타늄 및 암모늄의 복합염을 침전시키기 위해서 80℃에서 2-3시간동안 농축액체를 유지시키고, 주로 철 및 티타늄 화합물과 암모니아와 황산화물을 포함하는 가스상 혼합물을 함유하는 고체 잔사를 형성하기 위해서 복합 황산염을 분해시키고, 상기 실리코-알루미늄 물질이 본래 처리되는 용액내의 황산 암모늄 및 황산을 형성하기 위해서 가스상 혼합물을 재순환시키고, 알루미늄 황산염의 침전물을 세척하고, 그 침전물을 농축된 염산과 접촉시키고 농도의 알루미늄을 갖는 현탁액을 생성시키고, 염화수소가스를 상기 용액 또는 현탁액에 통과시켜 6개의 물분자를 갖는 염화 알루미늄을 침전시키고, 이 염화 알루미나를 열로 분해하여 염화수소가스와 야금학적으로 순수한 알루미나를 생성시키고, 염화수소가스를 염소화단계로 재순환시킨다.
이와 같이 황산처리시 사용되는 용액은 재순환 용액에 의해서 형성되며, 황산 외에도 황산암모늄 및 여러 가지 금속 황산염을 함유하는데 금속황산염은 순환되는 산용액내에 각각의 용해도 한도내에 존재한다. 상기 황산처리 용액이 얻어지는 용액은 다른금속, 예를 들면 광석중의 칼슘과 결합된 황산의 손실 및 공업용으로 사용할 때 작동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손실을 보충하기 위하여 황산 및/혹은 황산암모늄으로 다시 충진된다.
다음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실제적인 방법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분리후, 황산처리시 발생하는 잔사는 분리된 액체와 똑같은 조성을 갖는 모액을 제거하기 위해 처리된다. 다음에 설명하겠지만, 이러한 목적으로 대부분의 황산알루미늄이 제거된 후 분리된 황산의 일부를 사용한다. 사용된 본 용액의 양은 제거될 모액의 부피보다 약간 크다. 그러므로 철, 티타늄 및 약간의 알루미나를 함유하는 황산용액으로 함침된 잔사가 얻어진다. 이러한 잔사는 주로 규토 질산물로 된 잔류물질과 철, 티타늄 및 알루미늄의 황산염을 함유하는 희석된 황산용액을 얻기 위해 물로 세척된다.
황산처리시 발생하는 용액은 황산처리시 얻어지는 잔사로부터 제거되는 모액과 혼합되어 보통 100-120℃에서 진공 증류로 처리된 다음 동시에 본 발명자들의 출원중인 특허원 제44676/76(1537904)호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80℃이하로 냉각시킨다. 상기 용액은, 황산처리후 용액내에서 포함된 대부분의 철, 티타늄 및 암모늄의 황산염과, 황산 알루미늄의 일부를 함유하는 황산용액과 모액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식 Al2(SO4)30.5H2SO4(11-12)H2O를 갖는 알루미늄산 황산염의 침전물을 생성한다.
알루미늄산 황산염 침전물은 염화수소가스를 도입함으로서 HCl으로 처리되는 농축된 염산용액내의 용액이나 현탁액에 도입된다.
이렇게해서 얻어진 염화 알루미늄은 HCl로 세척되어 순도가 높으며 적어도 염소-결정화 2단계를 갖는 현존기술에 의해서 얻어지는 순도와 같다. 염화알루미늄은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1,558,347호에 서술된 방법으로 하소(
Figure kpo00001
燒)된다. 염화 알루미늄 침전물로부터 유래된 모액은 나트륨을 제거하기 위하여 처리되며, 염산이 분리되는 크로로설폰산 용액이 얻어진다. 결국 황산이 얻어지며, 이 황산은 황산처리 지역으로 재순환된다.
황산 처리시 분해된 황산철 및 황산티타늄의 상당량을 함유하는 알루미늄산 황산염 결정화단계로부터 유래된 모액은 황산처리 잔사를 함침시키는 모액을 제거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사용되며, 그 나머지는 상기 잔사를 세척하기 위하여 사용된 용액과 혼합된다. 철, 티타늄 및 기타 소량의 불순물은, 철과 암모늄의 2중 황산염 및 티타닐과 암모늄의 2중 황산염을 포함하는 복합 침전물 형태로 이 용액으로부터 추출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프랑스 공화국 특허출원 제4331/76(일련번호 1,537,904)호에 기술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처리로부터 생성된 잔류용액은 염산의 분리로부터 생성되는 황산과 결합되며, 이러한 용액에 의해서 형성된 혼합물은 반응지역내에서 재순환된다. 철과 암모늄, 및 티타늄과 암모늄의 2중 황산염을 포함하는 침전물은, 황산 및 황산 암모늄 상태로 회로내로 재순환되고 필요하다면 하기할 성분들의 양을 첨가할 수 있는 산화 제2철 이산화티타늄, 황산화물과 암모니아를 함유하는 가스성분, 산화황화물 및 알루미나를 생성시키기 위하여 하소된다.
하기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방법은 순수알루미나, 산화물 또는 철과 티타늄의 혼합물이 단리되고, 시약인 황산, 암모니아, 황산암모늄과 염산에 재순환되기 때문에 소모가 극히 적은 순환방법이다. 황산의 감량에 대한 주요 원인은 규질 잔사내에 들어간 다양한 황산염 및 산출의 역학관계에 관련된 감량에 그 원인이 있다. 알루미나 및 철의 수율은 원광내에 포함된 알루미늄 및 철의 각각 96%와 95%이다. 티타늄의 수율은 필요한대로 조정할 수 있으며, 티타늄의 잔량체는 황산처리시 용해되지 않고 잔사내에 남아있고 황산처리시 용액으로 도입되는 95%정도의 티타늄이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광물과 재순환된 용액들은 반응용기 A내로 도입된다. 얻어진 슬러리는 B에서, 한편으로는 케이크(cake)S1과 용액 L1으로부터 분리된다. 케이크내의 모액들은 하기할 형태의 L4용액에 의하여 C에서 제거된다. 이 방법으로 추출된 모액 L2는 용액 L1과 결합된다. 그 결과 생성된 케이크 S2는 D에서 물로 세척되어 용액 L3및 주로 규질의 잔사 S3를 생성된다. 결합된 용액 L1및 L2는 E에서 농축된 다음 냉각되어 F에서 Al2(SO4)30.5H2SO4(11-12)H2O의 구조식을 갖는 황산 알루미늄을 결정화시킨다. 그러므로, G에서 형성된 결정체 4는 철을 함유하는 용액 S4용액으로 도입되는 티타늄과 황산암모늄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액 L4중 일부분은 케이크 S1이 함침된 모액을 C에서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용액 L4의 나머지 부분은 용액 L3와 결합되어 하기와 같이 처리된다.
침전물 S4는 재순환된 황산으로 H에서 세척되고 그곳으로부터 얻어진 용액 L5는 황산처리지역으로 재순환된다. 세척된 침전물 S5는 농축 염산 용액내에 있는 I에서 현탁액에 용해되거나 또는 유입되며, 상기 용액(또는 상기 현탁액)은 염화수소가스의 주입에 의하여 J에서 염산으로 포화되어 유지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AlCl3·6H2O의 결정체 S6가 얻어지며, 결정체 S6는 바람직한 알루미나 및 염화수소 습윤가스를 얻기 위하여 L에서 세척 및 하소된다. 염화수소 습윤가스는 농축 흡수되어 농축된 염산형태로 I로 재순환된다. 결정체 S6로부터 분리된 용액 L6는 알루미늄 및 어떤 때는 나트륨을 포함하는 크로로설폰용액이다. 만약, 나트륨이 존재한다면,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1,558,347호에서 지시한 방법으로 M에서 추출하여 염화나트륨 S7과 HCl 함유용액 L7을 형성한다. 얻어진 용액 L7은 J 재순환된 염화수소가스를 제거하고 H에서 침전물 S4를 세척하기 위하여 일부 사용되는 황산용액 L8을 생성시킨다. 잔량체는 용액 L5 및 농축후 철 및 티타늄 침전물의 분리로부터 생성되는 용액 L9와 결합되며, 이 혼합물은 황산처리 지역에서 최종적으로 재순환된다. 용액 L3 및 L4는 R에서 농축되며, P에서 처리되어 착황산염 또는 철, 암모늄과 티타늄의 침전물 S9형태로 철 및 티타늄을 침전시킨다. 침전물 S9은 상기한 재순환된 황산용액 L9로부터 Q에서 분리된다. 침전물 S9은 열에 의해서 분해되어 고체로된 산화 제2철과 이산화티타늄과 황산과 황산암모늄으로 전환후 재순환된 가스 산출물인 SO2, SO3와 NH3를 분리시킨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증한다.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중량기준이며 사용된 장치는 첨부도면에 기술된 바와 같다.
[실시예]
건조시, 하기의 조성물을 갖는 카오린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처리된다.
Figure kpo00002
3675kg의 건조되지 않은 광석은 (20% 습도)하기의 조성물을 갖는 약 10,000kg의 용액내에서 펄핑(Pulping)에 의하여 파괴된다 :
Figure kpo00003
상기 현탁액을 얻은 다음, 5556kg의 동일한 용액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A에서 3시간이상 130℃로 가열한다. 그 결과 얻어진 슬러리의 고체 및 액체성분들은 여과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다. 케이크 S1은 C에서 유리황산의 46.6% 및 Al2O3의 1.1%를 포함하는 4425kg의 재순환된 황산으로 세척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세척된 케이크는 단지 소량의 알루미나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크는 D에서 두 번째로 물에 의하여 세척된다.
하기의 성분을 포함하는 건조된 잔사 S3를 제거한다 :
Figure kpo00004
황산처리시 생성되는 용액의 조성과 비슷한 고액 2는 상기 용액에 첨가된다.
하기의 조성물을 함유하고 4450kg의 전체량을 갖는 세척액 L3를 황산처리시 도입되는 양에 상응하는 철 및 티타늄의 양을 추출하기 위하여 처리한다.
Figure kpo00005
하기의 조성물 및 19,040kg의 중량을 갖는 용액 1 및 2를 E에서 농도 33%의 유리 황산을 얻기 위하여 진공장치에 의하여 농축되며, 40-80℃의 온도로 F에서 냉각된다 :
Figure kpo00006
이러한 방법으로 Al2(SO4)30.5H2SO4·11.5H2O의 구조식을 갖는 알루미늄산 황산염 S4가 침전되고, G에서 S4의 모액으로부터 S4가 분리된다. H에서 재순환된 황산으로 침전물 S4를 세척함으로서, 하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산황산염 용액의 8680kg의 침전물 S5가 얻어진다.
Figure kpo00007
상기 침전물 S5는 침전물 S5의 세척용액 L5로부터 분리되어 I에서 농축된 염산내에 용해되거나 또는 현탁된다.
얻어진 현탁액이나 또는 용액은 J에서 52℃의 온도로 1640kg의 염소가스에 의하여 포화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 AlCl3·6H2O의 구조식인 6개의 물분자를 갖는 염화알루미늄의 침전물 S6가 결정화 된다. 이 침전물 S6는 하기의 조성물을 갖고 12,590kg의 중량을 갖는 용액 L6로부터 분리된다.
Figure kpo00008
처리된 광석은 광석으로부터 나트륨을 제거할 목적으로 용액 L6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소량의 나트륨을 함유한다.
여액 L6는 J에서 재순환되는 염화수소 가스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가열된다. 이와 같이 재순환된 건조된 염화수소 가스의 양은 1640kg이다. 손실을 보충하는데 필요한 황산 및 염산의 양은 회로를 따라 J에서 재순환된 황산으로부터 용액 L6로 도입된다.
용액 L8는 염산으로부터 거의 완전하게 유리되고 하기의 조성물 및 11,230kg의 질랑을 갖는다.
Figure kpo00009
상기 용액은 두 부분으로 분리되는데, 그중의 한 부분인 약 4600kg은 침전물 S4를 세척하는데 사용되며, 다른 한 부분은 상기 세척 조작으로부터 생성되는 용액 L5와 혼합된다.
상기 두 용액은, 유리황산으로 반응용기 A내로 도입된 용액을 농축시키는 증발기 K를 통과한다. 상기 농축용액은 8910kg의 중량 및 하기의 조성물을 갖는다.
Figure kpo00010
K에서 증발에 의하여 생성되는 희석된 염산용액은 침전물 S6의 하소로부터 발생하는 습한 염화수소 가스를 흡수하는데 사용된다.
상기한 흡수단계가 이루어지는 동안, 32% 염산용액이 얻어지며 이 염산용액은 침전물 S5를 용해시키거나 또는 현탁액 내로 침전물 S5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I에서 재순환된다. 상기 염산용액은 침전물 S6을 세척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방법으로 세척된 케이크는 5075kg의 중량을 갖으며, 세척용액 292kg으로 함침된 4783kg의 AlCl3·6H2O로 구성되어 있다. L에서 하소된 침전물 S6는 하소과정의 역학관계로부터 발생하는 손실을 가져오는 동시 Al2O3의 1000kg의 수율을 얻는다.
물로 침전물 S2를 세척할 때 생성되는 용액 L3의 일부와 용액 L4의 일부는 회로내의 여러점에 용해된 불순물 및 용액 L3 및 용액 L4에 포함된 MgO, P2O5특히 Fe2O3, TiO2를 제거하기 위하여 처리된다.
상기한 용액들에 대한 처리는, 본 발명자들의 프랑스공화국 특허출원 제43331/76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출원서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4970kg의 용액 L4와 4450kg의 용액 L3를 혼합시킨다음, 67kg의 재순환된 황산암모늄을 이 혼합물에 첨가한다. 이렇게 해서 생성된 혼합물은 R에서 2450kg의 물을 증발시키므로서 농축되며, P에서 3시간 동안 80℃로 유지하여, 현탁액이 얻어졌다. Q에서, 얻어진 고체 S9은 그것의 모액의 L9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용액은 6640kg의 중량 및 하기의 조성물을 갖는다.
Figure kpo00011
고체물질 S9은 494kg의 중량을 갖으며, 그중 100kg은 R에서 출발물질로 재순환된다. 잔량제 즉 394kg은 하기의 조성물을 포함한다.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이러한 고체물질들은 열에 의하여 분해되어 버려진 고체물질, 특히 철 및 티타늄의 산화물과 회로로 재도입하기 위해서 황산 및 황산 암모늄으로 전환되는 가스생성물 특히, 황 및 암모니아 화합물을 생성시킨다.
L8로부터 분리된 건조 염소 가스의 양, 다시말해서, 1640kg은 J에서, 바람직하게 침전된 수화된 염화알루미늄으로부터 용액을 포화시키기에 충분하다는 것은 언급한 바있다. 만약 L1과 L2의 전체량을 포화시키기 위하여 염화 알루미늄의 동일량을 침전시킬 필요가 있다면, 3200kg의 염화수소 건조가스가 필요할 것이다. 염화물 및 염화물의 두 번째 결정화로부터 생성되는 동일한 순도의 알루미나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한 양에다 2000kg를 첨가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건조 염화수소 가스의 양은 L에서 염화물이 하소되는 동안 발산된 가스를 농축 및 흡수함으로서 얻어진 용액으로만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미립자 형태인 실리코-알루미늄 물질을, 처리될 물질내에 불순물의 원인이 되는 여러 가지 금속의 황산알루미늄의 잔류량과 함께, 황산 암모늄 6-8중량%와 유리황산 49-59중량%를 함유하는 용액으로 도입시키고; 그 결과 형성된 현탁액을 1-5시간 동안 125-135℃에서 가열하고; 액체의 잔류물로부터 액체로 함침된 규질 잔류 생성물을 분리하고; Al2(SO4)30.5H2SO4(11-12)H2O 구조식을 갖는 알루미늄산 황산염을 침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용액을 농축 및 냉각하고; 상기 규질 잔류물이 함침되는 액체를 상기 규질 잔류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모액 일부를 이용하고 그 결과 형성된 액체를 산처리시 용액과 재혼합하여 알루미늄산 황산염으로부터 모액을 제거하고; 상기 규질 잔류물을 물로 세척하여 버리고; 알루미늄산 황산염으로부터의 모액 잔류물을 상기 규질 잔류물로부터의 세척액과 재혼합하고; 그 결과 형성된 혼합 용액을 농축하여 다른 물질과 함께 복합황산염 또는 철, 티타늄 및 암모늄을 침전시키기 위해서 2-3시간동안 80℃에서 정지시키고; 주로 철 및 티타늄 화합물을 함유하는 고체 잔류물과 암모니아 및 황산화물을 함유하는 가스 혼합물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복합황산염을 분해시키고, 황산암모늄 및 황산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가스 혼합물을 상기 실리코-알루미늄 물질이 분해 처리되는 용액에 재순환시키고; 알루미늄산 황산염을 세척하고, 고농도의 알루미늄을 갖는 용액 또는 현탁액을 형성하기 위해서 알루미늄산 황산염 농축된 염산 용액에 접촉시키고; 염화 알루미늄 헥사하이드레이트를 침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용액 또는 현탁액에 통과시키고; 염화수소 가스와 야금학적으로 바람직한 순수 알루미나를 생성시키기 위해서 열로 알루미늄 헥사하이드레이트를 가열하여 분해시키고; 염화수소 가스를 염소화 단계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거쳐 철, 티타늄, K2O 약 0.1중량% 이하를 함유하는 실리코-알루미늄을 처리하여 야금학적으로 순수한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KR770000102A 1977-01-19 1977-01-19 순수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KR800001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0102A KR800001413B1 (ko) 1977-01-19 1977-01-19 순수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0102A KR800001413B1 (ko) 1977-01-19 1977-01-19 순수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413B1 true KR800001413B1 (ko) 1980-12-05

Family

ID=19203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00102A KR800001413B1 (ko) 1977-01-19 1977-01-19 순수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41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2293A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acid treatment of crude clays and schists
US3620671A (en) Process for the acid treatment of aluminous ores for the recovery of alumina
US7090809B2 (en) Production of aluminum compounds and silica from ores
CA1154233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pure aluminum oxide from aluminum ore
US4237102A (en) Process for obtaining pure alumina by the hydrochloric attack of aluminous ores and extraction of the impurities by means of a sulphuric treatment
US4177242A (en) Method of obtaining pure alumina by acid attack on aluminous minerals containing other elements
KR20220131519A (ko) 알루미나 및 리튬염을 생산하는 방법
GB1596484A (en) Production of alumina
US3838189A (en) Two-stage process for producing soda ash from trona
US4241030A (en) Continuous process for obtaining pure alumina from an acidic liquor originating from the chlorosulphuric attack of an aluminous ore and for the purification of the liquor which has been freed from alumina
US1752599A (en) Method of treating aluminou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aluminum sulphate and alumina therefrom
US2354133A (en) Process for producing alumina from clay
US2476979A (en) Process for preparing alumina from clays and other silicates of aluminum
US2467271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ammonium alum from acid liquors
US4366129A (en) Process for producing alumina and ferric oxide from aluminium carriers with high iron and silicon content
KR800001413B1 (ko) 순수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US4195070A (en) Preparation of a MgCl2 solution for Nalco's MgCl2 process from MgSO4 and other MgSO4 salts
US4331636A (en) Method of producing pure alumina from alunite
US3343910A (en) Water-soluble lithium compounds
GB1569033A (en) Production of metallurgically pure alumina
US4526763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lumina
US2996355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odium aluminum fluorides
CA1239769A (en) Continuous procedure of obtention of compounds of aluminum from aluminum silicates and other aluminum ores
US2375977A (en) Preparation of alumina from clay
US2974011A (en) Process of purifying beryllium comp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