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269B1 - 체 인 - Google Patents

체 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269B1
KR800001269B1 KR7600988A KR760000988A KR800001269B1 KR 800001269 B1 KR800001269 B1 KR 800001269B1 KR 7600988 A KR7600988 A KR 7600988A KR 760000988 A KR760000988 A KR 760000988A KR 800001269 B1 KR800001269 B1 KR 800001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ring
support
present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펄 알렉산더
Original Assignee
펄 알렉산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펄 알렉산더 filed Critical 펄 알렉산더
Priority to KR760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8Chains having special overal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체 인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부 절취 확대도.
제3도는 제2도 III-III선 단면도.
제4도는 제1-3도의 체인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강선의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여러개의 고리를 연결하여서 된 체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강선에 장방형 구멍을 천설하고 횡형 연결부와 종형 지지부가 사각형 또는 장방형 단면을 갖도록 횡절하여 형성한 고리로 된 장식용 체인이 공지되었으나, 이러한 체인은 철사를 꾸부려 만든 일반적인 타원형 고리로된 체인과 외관이 유사하고 그 성질도 유사할뿐 아니라 외부가 거칠어서 의류나 피복이 긁히고 각개 고리와 그들의 상호연결부가 선명하게 식별되어 그 외관이 보통 체인에 유사하게 보인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체인의 결점을 개선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양산하는데 적당한 체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횡단면 간격이 없는 것같이 보이도록 고리를 형성하므로서 고리의 중앙 구멍이 감추어져서 일체감을 느끼도록 된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는 고리의 양측면 지지부가 고리의 양단 연결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장방향으로 되게 고리를 형성한다. 인접 고리간의 간격 및 일측 고리의 연결부와 타측 고리의 중앙공 사이의 간격은 조립된 체인이 비틀리지 않도록하므로 장식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피복 또는 피부에 대한 마찰을 감소시키고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예에 의하면 고리의 지지부는 고리 중심에서 70-80°정도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인접 고리와 결합시켰을때 인접 고리와의 사이에 10-20°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지지부의 외측은 사슬의 용도에 따라서 각형, 아크형, 평면, 만곡형등 적당한 형태로 만든다. 따라서 전체적인 체인의 모양은 팔각 프리슴형, 지통형, 사각프리슴형등으로 형성하되 I-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체인인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어서 장식용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결합은 박력있는 전후진 운동 전달용으로서 회전운동 전달용 가요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인접 고리간의 방사상 간극을 형성하는 각 고리의 측면은 평행하므로 각 고리간의 더 큰 마찰면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체인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고리와 같은 단면을 갖는 강선으로부터 고리를 절단하기 전이나 또는 후에 중앙공을 천설하고 연결부의 일단에 개구부를 형성한 다음 개구부를 벌려 다른 고리의 연결부를 감삽하고 개구부를 닫는다. 중앙공의 천공과 개구부의 형성은 단일 금형 삭성 방법에 의하여 단일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동일한 형태의 고리(11)를 서로 결합시킨 체인을 나타낸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고리(11)은 제4도의 I자형 모양을 갖는 강선을 금형 절삭방법에 의하여 제조한다. 제조된 고리(11)는 양측 종방형 지지부(12)와 횡형 연결부(13)를 갖는 장방형으로 되었고 중앙공(14)가 지지부(12)와 연결부(13)의 내주연부에 의하여 형성되었다.
제3도에서 설명되는 바와같이 고리(11)의 지지부(12)는 그 횡단면폭이 연결부(13)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어서 직경이 조립된 체인(10)의 최대 직경에 해당하는 원(K)에 둘러싸인 느낌을 나타내게 된다. 지지부의 내면경사면(16)에 의하여 형성되는 동일한 4개의 간극이 인접 고리와의 사이에 나타난다. 지지부의 경사면(16)들은 평행하게 되었고 지지부는 모서리 A, B 및 C에 의하여 설정된 2등변 3각형에 모서리 A, C, D 및 E에 의하여 설정된 사다리꼴모양이 결합된 다각형의 외형을 나타낸다. 지지부의 폭(a)는 다각형 모서리지점 A와 C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짧고 모서리 지점 E와 D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연결부(13)의 폭 b보다는 현저하게 크다. 삼각형 A-B-C의 접점 각도는 135°로 되어 있어서 지지부(12)의 외부 경사면(17)은 원(K)내에 한정되는 정8각형 프리슴의 경사면과 일치한다.
이와 같은 외형을 갖는 체인은 유연성이 있으면서도 각 고리의 외부 경사면(17)이 선명한 외부 표면을 형성하고 있어서 피복 또는 피부에 대한 마찰이 매끄럽게 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체인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결합부에서의 유동성에 한계가 있는 바, 이러한 한정된 유동성은 특정한 목적의 장식용에 유리하게 된다. 체인의 고리들간의 유동성 정도는 첫째, 중앙공(14)과 두 연결부(13) 사이의 거리차로 나타나는 바와같은 인접한 고리사이의 종방향 간극(18)의 폭에 의하여 결정되고(제2도 참조) 둘째, 중첩되는 고리(11)의 중첩되는 지지부(12)들 사이의 방사상 간극(15)의 윤상 폭에 의하여 결정된다(제3도 참조), 간극(15)의 윤상폭은 다각형 지지부외형의 뿌채꼴형 각도 α가 70-80°이고 해당 간극의 각도 β가 10-20°정도인 경우가 적당하다.
교결되는 고리(11) 사이의 한정된 간극 각도 β는 각 고리가 각도 β이상 회전하면 각 지지부의 모서리 A 또는 C에서 각 고리가 서로 연접되어서 회전력이 고리에서 고리로 전달되므로 회전도가 한정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신규체인의 회전력 전달 능력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변형제품에서 향상되는 바 이 경우 각 고리(21)은 원통형 외형을 나타내도록된 지지부(22)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는 전기한 본 발명의 예에서 사다리꼴 A-C-D-E의 모서리 A와 C 사이를 원호형(圓弧形)으로 대치하므로서 얻어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원통형 체인은 그 직경이 원 K의 직경과 같고 단단하면서도 평탄하고 연속적인 외형을 나타낸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내부에서 체인이 종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된 슬리브나 외피를 갖는 체인제품이 얻어지므로 가요축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제5도에 의한 본 발명품의 회전 전달 능력은 지지부(22)의 경사면(26) 사이의방사상 전극(25)가 평행으로 되지 않고 부채꼴형으로 되어 경사면(26)의 접촉 면적이 더 넓어진다는 사실에 의하여 더 향상된다. 지지부(22)의 부채꼴 각도 α는 70-80°가 좋고 고리 중앙공(23) 주위에는 지지면을 구성하고 요입부(29)가 형성되도록 한다.
경사면(26)과 요입부(29)는 적당히 굴곡된 경사면 형태로 바꿀수도 있다.
제6도와 7도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 보인다. 제6도는 지지부(32)의 외형이 모서리 A, C, D 및 E로 구성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된 체인의 단면형태인 바, 여기에서는 제3도의 외면(17)과 제5도의 원호형 표면(27)이 평면(37)로 변경됐고 고리(31)의 다른 부분인 방사성 간극(35), 연결부(33) 및 중앙공(34)의 형태는 제5도와 동일하게 되었다. 이 체인은 장식용보다 오픈 가이드 또는 가이드 로울러에 적당하다.
제7도는 제6도의 변형으로서 제6도 고리의 평면(37)이 고리(41)에서는 요입면(47)로 바꾸어진 차이만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부(42)의 면적은 사다리꼴 A-C-D-E의 전체면적보다 적어서 그 중량이 가벼우나 그 외형은 제6도의 체인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체인 성형 방법을 제4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동일한 I형 외형 단면을 갖는 강선을 소요길이로 절단하므로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강선은 원형 강선 또는 4각형 단면의 강선을 압출하거나 재차 압연하여 요구하는 형태로 성형하여 얻을 수 있다. 제4도의 경우에 있어서 강선(50)은 제1도 내지 3도의 고리를 만드는데 사용된 강선을 외형을 나타낸다.
고리들을 대량 생산하는 작업은 대단히 간단하여 쉽게 기계화할 수 있다. 즉 단일 금형 절삭 공정으로 고리의 양단면(51)이 형성되게 강선(50)을 절단한 다음 패들형 펀치를 갖는 천공장치로 4각형 중앙공(14)와 함께 절단면(54)에서 개구되는 협소한 요구(53)을 절취하여 낸다. 요구(53)은 절단선(54)뒤까지 연장되어 있어서 요구(53)의 일부가 인접 고리의 단부(51)에 나타난다.
완성된 고리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이 b만큼 개구부(요홈)을 넓혀 그 속으로 연결한 고리의 연결부(13)를 감삽하고 재차 지지부(12)를 평행으로 되게 꾸부려 개구부를 폐쇄한다. 요구(19)는 연결부(13)에 그대로 남아있도록 하거나 용접등에 의하여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저렴한 장식용 체인의 대량생산에 적합인 바, 이 경우 절취된 연결부(13)을 완전히 폐쇄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금형과 자동장치로서 전공정을 완전히 기계화할 수 있다.
고리들의 지지부 12,23,32,42의 외면 17,27,37,47에는 적당한 모양을 부형하여 놓을 수 있다.
이러한 장식은 I자형 단면 모양을 형성할 때 동시에 부형하므로서 부가적인 작업을 하지 않아도 형성할 수 있는바, 이 작업은 표면에 요구하는 모양이 음각되어 있는 동 기구 동 로울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고리를 의곡시키거나 고리를 형성하기 전에 강선을 이곡시켜 제조할 수도 있고 고리들을 서로 연결시킨 후에도 의곡시킬 수 있다.

Claims (1)

  1. 동일한 두개의 연결고리의 중앙공을 서로 연결하여서된 체인에 있어서, 각 고리가 두개의 양측 고리 지지부의 양단부에서 두개의 횡형 연결부로 연결되어 중앙에 장방향 중앙공이 형성되게한 다각형 외형을 갖고 각 고리의 지지부의 폭 a가 연결부의 최대 횡단면 폭 b보다 더 넓어 고리의 중앙공이 연결부가 감삽된 인접 고리의 지지부에 가려져서 연결된 체인이 정각주의 형태로 되도록 된 체인.
KR7600988A 1976-04-21 1976-04-21 체 인 KR800001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988A KR800001269B1 (ko) 1976-04-21 1976-04-21 체 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988A KR800001269B1 (ko) 1976-04-21 1976-04-21 체 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269B1 true KR800001269B1 (ko) 1980-10-26

Family

ID=1920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988A KR800001269B1 (ko) 1976-04-21 1976-04-21 체 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26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02821A (en) Fastener joint for spangles and other members of flexible resilient material
US5437149A (en) Hollow diamond cut rope chain with multi-faceted surfaces
US5487264A (en) Hollow diamond cut rope chain
US5408820A (en) Process for making hollow diamond cut rope chain
IT8911734U1 (it) Copribottone con chiusura scorrevole
US6560955B1 (en) Jewelry rope chain link element
US3685284A (en) Flexible, linked jewelry beads
US6532725B1 (en) Ornamental jewelry rope chain link element
KR800001269B1 (ko) 체 인
US3983692A (en) Link chain
US1938206A (en) Bracelet
JPS587205A (ja) 宝石装飾具
FR2507447A1 (fr) Procede permettant la formation d'un produit semi-ouvre essentiellement filiforme pour la production de chaines d'ornement et autres emplois, equipement pour sa mise en oeuvre et produit semi-ouvre obtenu
KR102537047B1 (ko) 반지 및 목걸이로 가변되는 장신구
US6374590B1 (en) Link bracelet for watches or the like
US2753139A (en) Flexible metallic fabric
CN213096527U (zh) 一种方便拆装的双链式手链
KR200301565Y1 (ko) 장식용 체인의구조
CN213096529U (zh) 一种双链式手链
CN213096502U (zh) 一种新型双链式手链
US1730105A (en) Bracelet chain
US4245461A (en) Non-expansible linkage bracele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6993896B2 (en) Method of forming chain links
KR100194822B1 (ko) 회전하는 외부밴드로 구성되는 원형의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JP3079861U (ja) アクセサリー用喜平チェー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