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258B1 - Forming apparatus of bread kneading by dividing - Google Patents

Forming apparatus of bread kneading by divi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258B1
KR800001258B1 KR7500362A KR750000362A KR800001258B1 KR 800001258 B1 KR800001258 B1 KR 800001258B1 KR 7500362 A KR7500362 A KR 7500362A KR 750000362 A KR750000362 A KR 750000362A KR 800001258 B1 KR800001258 B1 KR 800001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conveyor
roller
dividing
b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3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라히꼬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도라히꼬 하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라히꼬 하야시 filed Critical 도라히꼬 하야시
Priority to KR7500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258B1/en
Priority to KR1019800003886A priority patent/KR8300018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2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An appts. for cutting and shaping dough comprises means for supplying the dough(2), >=3 conveyors(5) for conveying the dough in a given direction, dough stretching rollers(3) mounted on shafts, means for moving the rollers along an elliptical path in the direction of the conveyors, and means for adjusting the speed of each conveyor at a speed greater than that of the next upstream conveyor & for adjusting the speed of the rollers to a speed exceeding that of any conveyor, so that the dough is stretched by the action of the rollers and conveyors to a thickness of 1 - 4 mm.

Description

빵 반죽의 분할 성형장치Split Molding Machine of Bread Dough

제1도는 본 발명의 공정을 설명하는 약도.1 is a schematic illustrating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반죽 연전(延展)장치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ugh rolling device.

제3도는 반죽 연전장치의 측면개략도.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dough rolling apparatus.

제4도는 반죽 연전의 상황설명도.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ituation before the dough.

제5도, 제6도 및 제9도, 제10도는 반죽의 분할 또는 성형상태의 설명도.5, 6, 9, and 10 are explanatory views of the divided or molded state of the dough.

제7도, 제8도는 종래의 반죽 분할장치의 약도.7 and 8 are schematic diagrams of a conventional dough divi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종래의 주로 빵의 기계제조공정에 있어 반죽의 분할성형 후 최종 발효에 들어가기 전에 중간발효라고 하는 일정한 휴양시간을 취하고 다음에 이것을 재성형한 후 최종 발효에 들어가는 공정의 개략에 관한 것이며, 특히 종래의 장치가 중간 발효 때문에 대단히 큰 공간과 복잡한 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것을 폐지하고 또 재성형장치도 폐지한 간결한 공법의 장치를 제공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outline of a process for taking a certain recreational time called intermediate fermentation before the final fermentation after divided molding of dough in the conventional machine manufacturing process of bread, and then entering the final fermentation after reforming it.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apparatus required a very large space and a complicated apparatus due to the intermediate ferment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of the concise method which eliminates this and also abolishes the reshaping apparatus is provided.

제1도는 본 발명의 전 공정의 개요이며, 반죽 호퍼(1)에 공급된 빵반죽(2)은 여러 단으로 조립된 로울러 장치(3)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하여 10mm 내지 20mm 정도 두께의 연속된 띠모양반죽(4)또는 직경 50이상의 연속된 봉상(棒狀) 반죽으로 성형되어 벨트 콘베이어(5)에 의하여 운반되어 다음 공정으로 들어간다. 벨트 콘베이어(5)의 상면에는 가볍게 누르고 또 분가루를 그 반죽(4)위에 도포하는 로울러이고 이 로울러(7)위에는 분가루 호퍼(8)가 부착되어 항상 로울러(7)에 분가루가 공급되어 있다.1 is an overview of the whol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ead dough (2) supplied to the dough hopper (1) is a continuous strip of thickness of about 10mm to 20mm by the roller device (3) or other method assembled in several stages It is molded into a shape dough (4) or a continuous stick dough having a diameter of 50 or more and is carried by the belt conveyor (5) to enter the next process. It is a roller which presses light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conveyor 5 and applies powder to the dough 4, and a powder hopper 8 is attached to the roller 7 so that powder is always supplied to the roller 7.

반죽(4)은 벨트 콘베이어(5)를 거쳐 회전하는 솔로울러(9) 위를 통과하고 다음에 벨트 콘베이어(10)에 의해 운반되어 다시 또 회전하는 솔로울러(11)위를 통과하고 또 다시 벨트콘베이어(12)에 옮겨지고 다시 또 벨트콘베이어에 옮겨져서 진행한다. 이 일련의 계속적인 벨트콘베이어는 순차적으로 그 운행속도가 빨라져 있다.The dough (4) passes over the rotating roller (9) via the belt conveyor (5) and is then carried by the belt conveyor (10) and over the rotating roller (11) again and again and again the belt It is transferred to the conveyor 12, and then moved to the belt conveyor again to proceed. This series of continuous belt conveyors is running faster in sequence.

벨트콘베이어(5)와 (10)의 중간에 있는 솔로울러(9) 및 벨트콘베이어(10)과 (12)의 중간에 있는 솔로울러(11)의 역할은 전단계의 벨트표면에 점착되거나 또 점착되게끔 된 반죽을 떼어내여 다음 벨트콘베이어에 옮기는 역할 외에 다음에 설명하는 상방에 장치된 연전장치(14)에 의한 반죽의 신전을 자유롭게 하는 조정역할도 한다. 연전장치(14)의 구조는 공전(公轉)과 자유로운 종동자전(縱動自轉)을 하는 복수의 유성로울러(15)에 의한 역할을 주로 한다.The role of the sole roller 9 in the middle of the belt conveyors 5 and 10 and the sole roller 11 in the middle of the belt conveyors 10 and 12 adheres to or adheres to the belt surface of the previous stage. In addition to the role of peeling off the dough and transferring it to the next belt conveyor, it also plays an adjustment role for freeing the extension of the dough by the extension device 14 provid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4 mainly plays a role of a plurality of planetary rollers 15 that perform idle revolution and free follower rotation.

공전의 궤적은 타원 a이다.The orbital trajectory is ellipse a.

유성로울러(15)를 타원 a에 공전시키는 장치는 체인(16)(16′)에 걸쳐져서 부착된 축(17) 및 그 축에 부착된 굴름쇠(18)(18′)와 그 굴름쇠(18)(18′)의 운행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9)(20)(21)(22) 및 체인(16)(16′)을 구동하는 스푸로켓(23)(23′)과 스푸로켓의 축(24)과 축(24)을 회전시키는 베벨치차(25)(26)와 베벨치차(26)의 축(27) 등으로 구성된다. 즉 축(27)의 회전은 베벨치차(26)로부터 베벨치차(25)에 옮겨져 스푸로켓(23)(23′)의 회전이 되며, 체인(16)(16′)을 주행시킨다. 이 주행 궤적은 가이드레일(19)(20)(21)(22)에 의하여 타원이 되고 체인(16)(16′)에 걸쳐져서 부착된 축(17)도 타원궤적을 운행한다. 이 축(17)은 베어링(28),(28′)을 경유하여 유성로울러(15)가 감합되어 있다.The device for revolving the planetary roller 15 to ellipse a includes a shaft 17 attached over the chain 16 (16 ') and a chuck 18 (18') attached to the shaft and its chuck ( 18) sprockets 23, 23 'and sprockets for driving guide rails 19, 20, 21, 22, and chains 16, 16' for guiding the operation of 18 'and 18'. Bevel gears 25 and 26 which rotate the shaft 24 and the shaft 24, the shaft 27 of the bevel gear 26, etc. are comprised. That is, the rotation of the shaft 27 is moved from the bevel gear 26 to the bevel gear 25 to be the rotation of the sprockets 23 and 23 ', thereby driving the chains 16 and 16'. This running trajectory is elliptical by the guide rails 19, 20, 21 and 22, and the axis 17 attached to the chain 16 and 16 'also runs the elliptic trajectory. The shaft 17 is fitted with a planetary roller 15 via bearings 28 and 28 '.

유성로울러(15)는 베어링(28)(28′)에 의하여 축(17)과는 축방향으로의 회전이 상호 자유이다. 상기한 바를 다시 요약하면, 유성로울러(15)는 축(17)에 의하여 타원의 궤적을 운행하지만, 자전하는 자유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The planetary roller 15 is free to rotat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the shaft 17 by bearings 28 and 28 '. To sum up again, the planetary roller 15 moves the trajectory of the ellipse by the axis 17, but has the freedom to rotate.

유성로울러(15)의 공전궤적 a(제3도)의 타원의 직선진행면은 벨트콘베이어(5)(10)(12)에 대향하여 있고 반죽(4)의 입구부근은 5mm 정도 출구부근에서는 1mm 내지 2mm 정도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작용효과를 제4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체인(16)(16′)의 운행속도를 벨트콘베이어(5)(10)(12)들보다 빠른 상태로 설정하므로써, 유성로울러(15)는 반죽(4)에 접촉하여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유성로울러(15)는 반죽(4) 위를 구르면서 진행하게 된다.The straight running surface of the ellipse of the orbital trajectory a (figure 3) of the planetary roller 15 is opposed to the belt conveyors 5, 10 and 12, and the inlet portion of the dough 4 is about 1 mm near the outlet. The interval of about 2 mm is formed. Referring to FIG. 4, the planetary roller 15 is set by setting the running speed of the chain 16, 16 ′ to a speed higher than that of the belt conveyors 5, 10, 12. The dough 4 is contacted and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That is, the planetary roller 15 proceeds while rolling on the dough 4.

이때 유성로울러(15)가 반죽(4)에 미치는 작용효과를 다시 상술하면, 유성로울러(15)가 반죽(4)에 최초로 접촉할 때는 두두리는 일과 눌러 뭉개는 일이 되며 반죽(4)중의 가스기포를 눌러 뭉개고가스에 의해 내부가 해면 모양으로 세분되어 있는 반죽을 압접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실험적으로는 체인(16)(16′)의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이 두두리는 일의 되풀이가 진동역학적인 효과로 되어 빵반죽에 대해서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At this time, the effect of the planetary roller 15 on the dough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hen the planetary roller 1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ough 4 for the first time, it will be beaten and crushed. Press the bubble and crush it to press the dough is divided into spongy shape inside by the gas. Experimentally, the faster the speed of the chain 16 (16 '), the more the repetition of the beat became a vibrational effect, and a good result was obtained for the bread dough.

다음에 반죽(4)을 눌러 뭉개면서 굴러가는 유성로울러(15)는 그 로울러 전면에 반죽의 부푼 부분(29)을 형성한다. 이 부푼 부분(29)은 벨트콘베이어(5)보다 속도가 빠른 벨트콘베이어(10) 및 (10)보다 빠른 유성로울러(15)의 공전속도에 기인하는 선행유성로울러(15′)의 인장(引張)에 의하여 전방으로 연신되어 해소된다. 따라서 반죽의 부푼 부분(29)은 현실적으로는 발생하지 않고 유성로울러(15)는 항상 평탄한 면을 구르고 반죽에 대하여는 압축력을 동반하는 압연은 아니고 연신과 표면 고르기의 되풀이에 의하여 빵반죽의 구루텐조직을 상하게 하지 않고 또한 탄성이 강한 빵반죽도 용이하게 극히 엷은 띠형태로 성형하게 된다. 또 그 효과는 체인(16)에 부착된 유성로울러(15)의 수가 많을수록 좋으며, 하방의 반죽 점증속(漸增速) 운반콘베이어(5,10,12 등)의 수가 그 조합한 수에 있어 많을 수록 좋다.Next, the planetary roller 15 that rolls while pressing and crushing the dough 4 forms a bulged portion 29 of the dough on the front of the roller. This swollen portion 29 is tensioned by the preceding planetary roller 15 'due to the revolution speed of the belt conveyor 10 and the planetary roller 15 faster than the belt conveyor 5. It is stretched forward to solve the problem. Therefore, the swollen portion 29 of the dough does not occur in reality, and the planetary roller 15 always rolls a flat surface and does not roll with a compressive force to the dough, but rather repeats the stretching and surface smoothing of the bread dough guruten structure. The bread dough which is not spoiled and has a strong elasticity is easily formed into an extremely thin band. The more effective the effect, the greater the number of planetary rollers 15 attached to the chain 16, and the greater the number of downward kneading conveyors (5, 10, 12, etc.) in the combined number. The bet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들 콘베이어벨트 사이에는 축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긴 털을 심은 솔로울러(9)(11)를 놓아 상기 효과를 높이고 있으나 이와 같은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콘베이어벨트에 점착할려는 반죽을 안전하게 다음 벨트로 옮기는 작용 뿐만 아니라 분가루를 다음 콘베이어벨트 상면에 옮기는 작용도 가지며 또한 유성로울러(15)가 그 상면을 통과할 때는 털이 굴곡하여 평평한 콘베이어와 같은 작용을 하게 되어 콘베이어의 점증속조합의 수를 늘릴 것과 같이 된다. 그리고 또 유성로울러(15)가 각 상면이 없을 때는 솔로울러(9′)(11′)에 표시한 원호상의 원운동을 하여 반죽을 공중으로 띄우고 반죽의 신전에 자동적인 조절을 시키게 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conveyor belt and the radially long haired sole (9, 11) by placing a long hair around the axis to enhance the above effect, such a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dough to adhere to the conveyor belt Not only safely transfers to the next belt but also transfers powd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next conveyor belt. Also, when the planetary roller 15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roller, the hair bends and acts as a flat conveyor. It becomes like increasing the number. And when the planetary roller (15) does not have each upper surface, the circular arc motion shown in the solo roller (9 ') (11') to float the dough in the air and to automatically adjust to the temple of the dough.

이 반죽 연전장치(14)를 통과한 연전된 반죽(4′)의 두께는 2mm 정도로 엶게 되며 다음으로 로울러(30)의 밑을 통과한다. 이 로울러(30)의 역할은 압연은 아니고 주로 빵반죽의 탄성에 의한 근축을 누르는 것이며 콘베이어벨트(12)의 선단으로 유성로울러(15)의 연전작용으로부터 개방된 반죽(4′)은 어느 정도 축소되어 두터워짐으로 이 축소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로울러(30)의 주속을 벨트콘베이어(12)와 같이 하여 반죽을 끼워 다음 공저으로 송출하는 것이다. (31)은 예리한 칼날을 가진 절단칼이며, 연전된 반죽(4′)를 정해진 길이로 절단한다. 절단된 반죽(33)은 벨트콘베이어(12)에 대하여 2배 이상의 속도로 운행하는 벨트콘베이어(13)에 운반되어 쇠줄 모양의 네트(32)에 의하여 롤모양으로 감기어 제6도(34)와 같은 단면을 가진 봉상의 성형품이 된다. 이 성형품(34)은 결코 일정한 휴양시간을 두지 않고 그대로 최종 발효기에 넣어 발효시키고 소성하여 우량한 빵을 만들 수가 있다.The thickness of the rolled dough 4 'passed through the dough rolling device 14 is thinned to about 2 mm and then passes through the bottom of the roller 30. The role of the roller (30) is not rolling, but mainly press the paraxial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bread dough, and the dough (4 ') opened from the rolling action of the planetary roller (15) to the tip of the conveyor belt 12 is reduced to some extent. In order to prevent the shrinkage from appearing thicker, the circumferential speed of the roller 30 is combined with the belt conveyor 12, and the dough is fed to the next bottom. Denoted at 31 is a cutting knife having a sharp blade, and cuts the pasted dough 4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cut dough 33 is conveyed to the belt conveyor 13 running at a speed more than twice the speed of the belt conveyor 12, and wound in a roll shape by the net net 32 of FIG. It becomes a rod-shaped molded article having the same cross section. This molded article 34 can be put into the final fermenter and fermented and calcined as it is, without giving a constant recreation time, thereby making a superior bread.

본 발명에 있어서 종래의 공정이 필요로 하고 있던 중간발효(공정 도중의 일정 휴양)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이유는 우선 첫째로 종래의 방법이 반죽 분할시에 있어서 빵반죽의 구르텐조직을 상당한 범위에 대해 파괴하고 있었기 때문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죽 분할시에 그 파괴작용이 없다는 것을 들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son for not requiring intermediate fermentation (constant retreat during the process), which is required by the conventional process, is first of all. It is because it was breaking | disrupting, and in this invention, it is mentioned that there is no destructive effect at the time of dividing dough.

제7도, 제8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반죽분할장치를 대략 표시하여 본 발명과의 상이를 해설하고저 한 것이다. 도면에서 반죽탱크(35)의 하방에 준비된 로터(36)에 조립된 실린더(37) 및 거기에 감입된 피스톤(38)에 있어서 피스톤(38)의 후퇴작용이 탱크(35)중의 빵반죽(2)을 실린더(37)에 흡인하는 작용이 되고 흡인된 반죽이 로터(36)이 제8도와 같은 위치로 오므로서 호퍼 내의 반죽과 전단 분할된다. 분할된 반죽은 피스톤(38)의 전진에 의하여 로터의 실린더(37)로부터 배출되는 것의 되풀이 된다.7 and 8 show a conventional general dough dividing apparatus, and explain the differences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 the retraction of the piston 38 in the cylinder 37 assembled in the rotor 36 prepared below the kneading tank 35 and the piston 38 inserted therein causes the bread dough 2 in the tank 35. ) Is sucked into the cylinder 37, and the sucked dough is sheared into the dough in the hopper as the rotor 36 comes to the position as shown in FIG. The divided dough repeats the discharge from the cylinder 37 of the rotor by the advancement of the piston 38.

그러나 이 분할 반죽(39)은 극히 불정형이며 결코 예리한 칼로 절단된 것과 같은 평활한 면을 가지지 않는다.However, this divided dough 39 is extremely amorphous and never has a smooth surface as cut with a sharp knife.

상술한 종래의 그 분할장치는 빵반죽의 큰 덩어리로부터 뜯어내는 즉 입체분할이어서 분할반죽의 전 표면이 모두 절단면이 되며, 더우기 그 절단면을 거칠게 되어 구루텐의 연속조직은 수 mm의 깊이까지 분단되어 있는 상태가 관찰된다. 따라서 종래의 공정에 있어서는, 다음 공정에서 이것을 제10도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반죽을 이동시키는 역학작용에 의하여 원래의 표면이었든 부분을 중심부에 감사버리고 원래의 중심부이며 구루텐조직이 강력한 부분을 표면에 나타내어 역학적으로 균일한 탄성조직에 의하여 표면을 덮으므로서 구형(球形)의 평형을 유지시키는 성형공정을 요하고 있다. 또한 제3공정은 소위 중간 발효 공정이며 일정시간 동안 구형반죽(40)을 휴양시키므로서 중심부에 말려 들어간 구루텐조직이 파괴된 반죽을 자연산화에 의하여 재결합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4공정은 보통 가스빼기라 칭하는 압연공정이며 다음 공정은 평탄한 원판상으로 된 반죽을 로울링하는 공정이며 전 공정의 반죽휴양 중에 발생하는 가스기포의 크기를 조정하고 또한 기포의 모양을 구형이 아닌 평판상 또는 서로 엉킨 기포구조로 하여 기포막이 엷은 빵을 만드는 것이다. 이들의 이론과 기술은 종래의 제빵법이 큰 덩어리의 반죽을 우선 소분할하여 다음 공정으로 옮기기 위하여 필요하였던 것이며 또한 그 분할은 필연적으로 입체분할이기 때문에 구루텐의 파괴량을 증가시키고, 그로 인해 사후에 회복공정을 끼워 넣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dividing device is a three-dimensional dividing, ie, three-dimensional dividing from a large mass of bread dough,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split dough becomes a cut surface, and furthermore, the cut surface is roughened so that the continuous structure of guruten is divided to a depth of several mm A state is observed.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process, the portion of the original surface was given to the central portion by the dynamic action of moving the dough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FIG. There is a need for a molding process in which a spherical equilibrium is maintained while the surface is covered by a mechanically uniform elastic structure. In addition, the third process is a so-called intermediate fermentation process and recombines the dough in which the guruten structure is broken into the center by regenerating the spherical dough 40 for a predetermined time by natural oxidation. In addition, the fourth process is a rolling process, commonly referred to as gas evacuation, and the next process is a process of rolling the dough into a flat disc shape, and adjusting the size of gas bubbles generated during the dough rest of the previous process, and the shape of the bubbles is spherical. It is not a flat plate or entangled bubble structure to make a thin film of bubble bread. These theories and techniques were required for the conventional baking method to subdivide large chunks of dough first and transfer them to the next process. Also, since the division is inevitably steric, the amount of destruction of guruten is increased, thereby It can be said that the recovery process is embedded in the.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할에 의한 반죽 열화를 방지하는데 중점을 두며 분할은 평면분할이라고 할 수 있는 절단면적이 극히 적은 방법을 취하여 효과를 올릴 것이나 이 평면분할을 위한 반죽상태의 준비에 있어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반죽 연전공정을 새로 채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때 준비되는 반죽의 두께는 5mm 이상이 되면 결코 우량한 빵제품이 얻어지지 않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두께를 1.5mm 이상 까지로 하는 것이다(이 두께의 지정은 연전 성형시의 것이고 연전 종료 후 반죽이 탄성에 의하여 줄어 들어 그 두께를 증가하였을 때의 치수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이 연전시의 두께 지정의 근거를 설명하면 빵반죽은 방치하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무수한 기포가 생기고 이것은 마구 성장하여 빵반죽은 그 기포 때문에 내부가 해면모양으로 잘린 상태가 된다. 이것은 구루텐의 연속조직의 분단과 같고 이 상태는 어떠한 방법으로든지 그 분단의 재결합을 꾀하지 않으면 균질한 상태로 반죽을 성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 때문에 이를 만일 강력한 압력교반을 행하여 일체화시키면 구루텐조직은 전체적으로 약해지고 또한 가스만을 압출하여 반죽을 압박하여도 일단 분리된 구루텐조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시간 방치하지 않으면 그 재결합은 이루워지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emphasis is placed on preventing dough deterioration due to dividing, and the dividing is effective by taking a method having a very small cutting area, which can be called planar dividing. The same dough rolling process is newly adopted. 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dough prepared at this time is 5mm or more, a superior bread product is never obtained,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thereof is set to 1.5mm or more. It does not refer to the dimension when it is reduced by elasticity and its thickness is increased). The reason for the thickness designation at this time is to explain that when bread dough is left unattended, a myriad of bubbles are created with the passage of time. This is equivalent to the division of the continuous structure of guruten, and it is impossible to mold the dough in a homogeneous state without recombination of the division in any way. Therefore, if it is integrated by strong pressure agitation, the guruten structure is weakened as a whole, and even if the gas is pressed by pressing only the gas, the separated guruten structure is not recombined unless left for a certain time as described above. .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해결방법으로서 반죽을 “가스에 의하여 세분화된 두께까지의 두께로 평균화시킬 것”을 행하여 균질상태를 확보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ution is to "average the dough to a thickness up to the thickness subdivided by the gas" to ensure a homogeneous state.

가스에 의하여 세분화된 반죽의 두께는 무한적으로 상이하지만 빵반죽은 본 반죽 후의 큰 덩어리상태에 있어서는 25℃ 내지 30℃에서 30분까지의 가스의 반죽세분화 작용이 반죽의 두께(기포막)을 2mm 이하로 되게 하는 일은 거의 없다.The thickness of the dough subdivided by the gas is infinitely different, but in the large dough state of the bread dough, the dough granulation effect of the gas from 25 ° C. to 30 ° C. for 30 minutes causes the thickness of the dough (bubble film) to be 2 mm. It rarely makes it less.

따라서 가령 본 반죽 후 30분을 경과한 반죽이라 할지라도 그 후에 반죽 그 자체의 두께를 2mm 이하로 하여 버리면 균질한 반죽 상태를 얻을 수가 있으며 이는 반죽의 연전적 입력작용에 의한다. 실험적으로는 반죽의 연전성형을 상기 상술한 장치(14)에 의하여 2mm 이하로 하면 광선의 투과관찰에 있어서도 그 반죽에는 농담(農談)은 거의 보이지 않고 역학적으로 극히 균일한 탄성을 가진 반죽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것이 5mm 정도의 연전성형에서는 조직의 불균형은 해소할 수가 없다.Therefore, even if the dough has elapsed 30 minutes after the present dough, if the thickness of the dough itself to 2mm or less after that can obtain a homogeneous state of dough, this is due to the continuous input action of the dough. Experimentally, when the extension molding of the dough is made 2 mm or less by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14, even when the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beam, the dough is hardly seen and the kneading state having an extremely uniform elasticity is obtained. do. However, this is not possible to resolve the tissue imbalance in the 5mm extension molding.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장치(14)의 반죽연전작용은 두개의 효과를 가지는 것이 된다. 즉 반죽에 압력을 걸지 않고 극히 균질한 상태를 얻고 또한 절단할 때에는 그 단면적을 극히 적게 하고 절단에 의한 반죽의 열화를 방지하게 된다.The dough rolling action of the device 14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effects. In other words, when obtaining a very homogeneous state without applying pressure to the dough and cutting, the cross-sectional area is extremely small and the dough is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by cutting.

그리고 최후의 공정은 그 절단된 엷은 정해진 길이의 반죽을 다만 감는 것만으로 좋고 또는 감은 후 둥근 모양(球狀)으로 성형하는 것만으로 된다.And the last process is just to wind the cut | disconnected thin fixed length dough, or just to wind up and to shape | mold in a round shape.

Claims (1)

최종적으로 혼연을 종료한 반죽을 미리 봉상 또는 두꺼운 띠형의 연속체로 성형하여 콘베이어 위를 운행시키고 연신의 역학작용을 동반하는 연전장치에 있어서, 빵반죽을 1mm에서 4mm까지의 두께 범위로 연전하는 장치로서 타원궤도를 연동운행하는 사프트에 자유회전하는 로울러를 장치하고, 상기 타원 궤도에 대향하여 빵반죽을 운반하는 콘베이어를 마련하며, 상기 콘베이어는 순차속도가 빨라지도록 복수개의 콘베이어를 직렬로 배열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인 빵반죽의 연속적 연전장치.In the rolling device which finally finishes kneading the dough into a rod or thick belt-shaped continuous body, runs on the conveyor and is accompanied by the mechanical action of drawing, it is a device for rolling bread dough in the thickness range of 1mm to 4mm. It is equipped with a roller that rotates freely on a shaft for interlocking an elliptical track, and a conveyor for carrying bread dough facing the elliptic track, wherein the conveyor is configur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conveyors in series so as to increase the sequential speed. Continuous rolling device of the characteristic bread dough.
KR7500362A 1975-02-24 1975-02-24 Forming apparatus of bread kneading by dividing KR8000012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362A KR800001258B1 (en) 1975-02-24 1975-02-24 Forming apparatus of bread kneading by dividing
KR1019800003886A KR830001814B1 (en) 1975-02-24 1980-10-10 Split Molding Method of Bread Doug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362A KR800001258B1 (en) 1975-02-24 1975-02-24 Forming apparatus of bread kneading by divid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886A Division KR830001814B1 (en) 1975-02-24 1980-10-10 Split Molding Method of Bread Doug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258B1 true KR800001258B1 (en) 1980-10-26

Family

ID=192009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362A KR800001258B1 (en) 1975-02-24 1975-02-24 Forming apparatus of bread kneading by dividing
KR1019800003886A KR830001814B1 (en) 1975-02-24 1980-10-10 Split Molding Method of Bread Dough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886A KR830001814B1 (en) 1975-02-24 1980-10-10 Split Molding Method of Bread Doug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0000125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814B1 (en) 1983-09-12
KR830000500A (en) 198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6346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ough
KR920001013B1 (en) Method for making doughs for bakery or pastry
KR1002449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bread dough sheet
US4904491A (en) Method for producing dough for bread or pastry
JP6727566B2 (en) Dumpling manufacturing equipment
EP07409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tching bread dough and the like
US4469476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wafers
US3050017A (en) Method of producing biscuits or like baked product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JPH09220048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inuous quantitative division and discharging of dough or the like
PT8454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BULK PASTA WITH ROLLER
GB134410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a multilayered food product
KR800001258B1 (en) Forming apparatus of bread kneading by dividing
US52729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heet of dough
US2130887A (en) Dough molding machine
US2323537A (en) Manufacture of bread
CA20205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tching dough
US3347183A (en) Dough metering apparatus
US1700303A (en) Means for and method of forming gum
US2253852A (en) Swab making machine
JP3573516B2 (en) Confectionery manufacturing equipment
JPS60227660A (en) Production of sandwich fish-paste product
JP3051978B2 (en) Method of molding food dough such as pizza dough, and apparatus therefor
US546488A (en) Dough-dividing machine
US2001243A (en) Method and mechanism for forming articles of plastic material
CN2226376Y (en) Roller compaction device for dou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