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198B1 - 유리섬유 연신용 오리피스판 - Google Patents

유리섬유 연신용 오리피스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198B1
KR800001198B1 KR7601922A KR760001922A KR800001198B1 KR 800001198 B1 KR800001198 B1 KR 800001198B1 KR 7601922 A KR7601922 A KR 7601922A KR 760001922 A KR760001922 A KR 760001922A KR 800001198 B1 KR800001198 B1 KR 800001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fice
orifices
orifice plate
fibers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헤이리 코긴 쥬니어 차아르즈
Original Assignee
알프렛드 다불류 룻터 쥬니어
카이자아 그라스 화이바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렛드 다불류 룻터 쥬니어, 카이자아 그라스 화이바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프렛드 다불류 룻터 쥬니어
Priority to KR7601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8Bushings, e.g. construction, bushing reinforcement means; Spinnerettes; Nozzles; Nozzl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리섬유 연신용 오리피스판
제1도는 본 발명의 오리피스판을 가진 연신 조립체의 일부를 절취한 개략적 입면도.
제2도는 쌍을 이루는 오리피스 중의 하나의 오리피스로부터 용융 유리가 유출하였을 때 오리피스판내의 오리피스쌍이 협동하여 “자기치료(self healing)”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구조를 갖는 오리피스판의 일부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면 3-3에서 취한 확대 단면 입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4-4로 표시되는 평면상에서 취한 본 발명 오리피스판의 저면의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오리피스판의 제1실시예의 1개 할분(割分 : segment)의 저면의 확대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 6-6 내에 둘러싸인 부분의 저면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 오리피스판의 제2실시예의 저면의 일부 확대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 오리피스판의 제3실시예의 저면의 일부 확대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오리피스판의 일부 저면도로서, 제8도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오리피스 그룹에 대응하는 다수의 오리피스 그룹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유리에 있어서 유리 평형 접촉각과 온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도표이다.
본 발명은 유리섬유를 연신하는 개량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신 부싱(bushing)의 오리피스판(orifce板)이 대체로 평평한 저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저면을 향해 다량의 유동가스가 보내어져 섬유를 냉각시키고 소직경화(小直徑化)시키는 형태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오리피스판으로부터 연신되는 섬유가 절단되었을 때 “자기 치료(self healing)”가 될 수 있는 오리피스판을 제공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유리섬유 성형장치에서는 오리피스판이 대체로 평평한 저면을 가지고 있으며 다량의 유동가스가 이 저면을 향해 보내져 섬유를 냉각시키고 소직경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오리피스를 밀집배열시킴으로써 유리의 국부적인 유출에 대한 자동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제안되었으며, 오리피스들 사이에 모세관 홈들을 설치함으로써 오리피스 중 하나에서 흘러나오는 섬유가 절단되었을 때 유리가 한 오리피스에서 다른 오리피스로 제어되어 유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자동보정 기술이 제안되었다.
유리 불순물[예 : 돌맹이, 결정입자, 코드 및 종자(種子)]이 통상의 팁(tip)이 달린 부싱을 통과하면 섬유는 보통 절단된다. 이때, 절단된 섬유의 늘어진 꼬리는 부싱으로 연신되는 나머지 섬유들도 끊어지게 하거나, 또는 팁으로부터 유출된 방출이 성장했다가 떨어지면서 다른 섬유들을 절단시킨다. 이들 어느 경우에도 섬유 성형공정이 중단된다.
섬유의 분리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급속하게 이동하는 냉각가스 기둥을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불순물을 팁이 없는 부싱으로 통과시켜도 섬유는 역시 절단되지만 다른 섬유들까지 끊어뜨리지는 않는다. 그러나 뒤에 남은 방울은 점차 성장하여, 결국 인접 오리피스로부터 연신되는 섬유에 공굽되는 원추형의 유리에 닿게 된다. 이때 이 방울은 때때로 이 원추형의 유리로부터 연신되는 섬유를 절단시키고, 이에 따라 인접한 섬유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유출되어서 작업자의 기민한 주위를 요하는 “도미노(Domino)”효과를 일으킨다.
종래 기술은 또한 오리피스들 사이에 모세관 홈을 형성시켜서 섬유 절단시의 유출을 제어하는 방법도 모색해 보았다. 이 모세관 홈은 오리피스판이 제어되어 있으나 완전한 습윤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오리피스로부터 스며나오는 소량의 유리만이 인접 섬유와 처음 접촉할 것이기 때문에, 인접 섬유상의 가속하중은 서서히 증가하여 섬유 전체가 홈으로부터 더 많은 유리를 끌어당기게 되므로, 섬유의 단면은 증가되고 섬유는 점점 강인하여져 마침내 1가닥의 굵은 섬유가 2개의 오리피스로부터 공급되게 된다. 이러한 모세관 홈들은 선택적으로 인접 오리피스들에 대하여 더 빨리 유출시킨다는 점에 있어서는 효과적이지만, 이에는 몇가지 결점이 있다. 예를들어, 이들은 오리피스판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전류 유동에 영향을 미쳐서 고온점 및 냉각점을 생성시키며, 오리피스판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리피스들이 쌍을 이루며 배열되고 각 조(組) 내의 오리피스들은 밀집 배치되어 이들 사이의 유출이 제어되며, 각 조들은 그들 각 조내의 오리피스 사이의 거리보다도 더 멀리 떨어져 있는 형태의 팁이 없는 오리피스판이 제공된다. 각 조내의 쌍을 이룬 오리피스들은 이들 중 한 오리피스로부터 연신되는 섬유가 절단되었을 때 이 오리피스로부터의 유리가 유출되어, 섬유가 파손될 정도로 냉각되기 전에 쌍을 이룬 다른 오리피스로부터 연신되는 유리섬유와 결합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쌍을 이룬 오리피스로부터 연신되는 “이중원추”에 의해 공급되는 1가닥의 굵은 섬유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 굵은 섬유는 쉽게 분리되어 한쌍의 섬유를 제공하며, 따라서 각 섬유는 또 다시 단일 오리피스에 의해 공급된다. 굵은 섬유의 분리는 자연적으로 일어날 수도 있고, 냉각가스를 국부적으로 가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부싱의 시동 중에도, 또한 섬유 절단시에도 유리의 유출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팁이 없는 부싱용 오리피스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특수한 목적은 섬유 절단시 자동보정되도록 배열된 오리피스를 가진 오리피스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리피스들이 2-3개씩 쌍을 이루며, 배열되어 유리의 유출은 우선적을 각 조(組)내에서 이루어지며, 조와 조 사이의 유리의 유출을 방지 또는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오리피스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섬유의 소직경화에 필요한 다량의 가스가 너무 많이 사용되어 과도 냉각 결과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두고 각 조의 오리피스들이 서로 배열되어 있는 오리피스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리피스조들이 그룹을 이루며 배치되고, 각 그룹들은 그룹내의 오리피스조들의 거리보다 더욱 멀리 떨어져 있어 시동(始動)시 그룹이 선택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오리피스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량의 가스가 1개 방향으로 오리피스판에 대하여 보내지며 가열 전류가 다른 방향으로 오리피스판에 대하여 보내져서, 가스의 유동이 최소인 지점에서 전류 통과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배열된 오리피스를 갖는 오리피스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마지막으로 열거된 목적에 관련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의 유동은 가장 접근된 오리피스 사이에서 최대로 되고, 전류유동은 가장 멀리 떨어진 오리피스 사이에서 최대가 되도록 전류 유동 방향 및 가스 유동 방향이 결정된 오리피스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도시된 조립체는 공지된 것과 대체로 같은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조립체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와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 조립체의 주요 구성품은 직접 용융식 전로(前爐 : forehearth)(10)와 그 밑에 제거 가능하게 고착된 부싱 조립체(12)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목표인 오리피스판은 부싱 조립체내에 조립되어 있으며, 참조부호(14)로 표시되어 있다.
제1도의 조립체에서, 전로내에 함유된 용융 유리(16)는 오리피스판(14)을 통해 다수의 가느다란 모노필라멘트 섬유(16a)로 연신된다. 이 섬유들은 접착제 도포기(18) 및 집속금구(集束金具)(20)를 거쳐 연신된 후, 집속 및 권취기구(22)로 보내어진다. 트래버스(traverse)(24)가 섬유들을 권취기구(22)의 앞뒤로 유도한다.
부싱(12) 내의 용융유리는 오리피스판(14)을 전기저항으로 가열함에 의해 높은 온도로 유지된다. 오리피스판을 전기저항으로 가열시키는 수단은 오리피스판의 양측 최말단에 일체로 결합된 돌기부분(30)에 고착된 한쌍의 단자(26)(28)이다. 돌기부분과 단자들은 제3도 및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오리피스판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도록 배치된다.
오리피스판(14)으로부터 연신되는 유리섬유는 가스공급 노즐(32)을 통하여 오리피스판의 저면을 향해 보내지는 다량의 가스에 의해 냉각된다. 전형적으로 공기인 이 가스는 전류 유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오리피스판의 폭을 가로질러 배향된다(제4도 참조). 가스공급 노즐(32)은 브라켓(bracket)(34)에 의해 오리피스판(14)의 밑에, 오리피스판의 한쪽 면에 대해 장착되며, 브라켓(34)에는 오리피스판으저면에 대한 노즐의 상대 각도를 조정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오리피스판(14)은 그 내표면에 “달걀 바구니”형태의 보강 구조물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공지된 것과 동일하다. 이 구조물은 오리피스판의 횡방향으로 뻗은 구멍 뚫린 리브(rib)(36)(제4도 참조)와, 오리피스판의 연신부분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면서 오리피스판의 상부표면과 평행간격을 두고 리브위에 뻗은 구멍뚫린 보강판 또는 스크린(38)으로 구성된다. 오리피스판, 리브 및 보강판들은 모두 동일 재질(예 : 90% 백금, 10% 로듐 합금)로 되어 있으며,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부싱조립체(12)에는 또한 오리피스판(14)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이 오리피스판에 일체로 결합된 내면재(lining)(40)와, 용융 유리를 부싱 조립체(12)로 도입하는 유동 공급 통로(44)를 가로질러 뻗어나가며 상기 내면재(40)에 결합되어 있는 편향판(42)이 포함되어 있다. 이 편향판(42)은 중심부가 위로 솟은 구조이므로, 부싱조립체로 도입되는 유리는 오리피스판의 양측으로 편향된다. 이 편향판(42)에는 구멍이 뚫려 있으며, 이들 구멍 및 보강판(38)에 마련된 여과 구멍들은 고온에서도 잔류하는 돌맹이 또는 결정체등과 같은 업자들이 오리피스판의 오리피스내에 들어가는 것을 걸러낸다.
제1도 및 3도에 예시된 전로의 유동블록은 예컨대 지르콘과 같이 내열성 및 내유리성이 큰 물질로 재조된 내부층(46)과, 예컨대 멀라이트(MULLITE)와 같이 열충격 저항성이 큰 물질로 된 외부층(48)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동공급통로(44)는 내부층(46) 및 외부층(48)을 통해 뻗어나가며, 백금박 내면재(50)로 내장되어 있다. 이 내면재(50)는 유동통로를 완전히 뒤덮으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를 둘러싸는 외주면의 상부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오리피스판은 오리피스들이 서로 쌍을 이루며 조(組)별로 배열되어 있고, 어떤 조의 한 오리피스로부터 연신되는 유리섬유가 절단되었을때 이 오리피스로 부터의 용융유리는 오리피스판 내의 다른 조의 오리피스에 닿기 전에, 또는 다른 오리피스로부터 연신되는 섬유에 결합되기에 충분한 습윤성을 가질 수 없을 정도로 냉각되기 전에 같은 조내의 다른 오리피스로부터 연신되는 섬유에 충분히 결합될 수 있도록 각 조내의 오리피스들이 서로 근접되어 있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각 조내의 한쌍의 오리피스간의 거리(이후 칫수 “a”라 칭함)는 정상 동작 조건하에서는(즉, 정상 수준의 다량가스 공급시에는) 각 오리피스들로부터 연신되는 섬유들이 서로 결합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큰 것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칫수 “a”는 제2도 및 도면에 예시된 본 발명의 3가지 실시예(즉, 제5,6도의 실시예, 제7도의 실시예, 제8,9도의 실시예)에 표시되어 있으며, 이 거리는 각 조내의 한쌍의 오리피스들의 중심 사이의 거리로 측정된다. 도면에 표시된 나머지 칫수들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칫수 “b”는 어떤 오리피스로부터 연신되는 섬유가 절단되었을때 이 오리피스로부터의 유출이 이 오리피스가 위치한 열내의 인접 오리피스 조의 오리피스에 도달하기 전에 같은 조내의 다른 오리피스로부터 연신되는 용융유리에 확실히 결합할 수 있도록 칫수 “a”보다 커야 한다. 이 칫수 “b”는 오리피스 밀도를 크게 하기 위해 가능한한 작아야 하나, 칫수 “a”보다는 항상 켜야 한다.
칫수 “a” 및 “b”의 기능은 제2도의 연속적인 설명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이 도면은 전류 유동방향으로 뻗은 오리피스열(列)을 관통해서 취한 단면도로서, 한쌍을 이룬 오리피스조 0-1, 0-2와, 인접 오리피스 조의 오리피스 0-3이 도면상에 나타나 있다. 제2a도에서, 오리피스 0-1에서 연신되는 섬유가 절단되어 이 오리피스로부터의 용융유리는 그 주변으로 방사상으로 유출되는 과정 중에 있으나, 아직 인접 오리피스에는 이르지 못했다. 제2b도에는 오리피스 0-1로부터의 용융유리가 오리피스 0-2로부터 연신되는 유리섬유에 도달하여 이에 결합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a” 및 “b”의 상대적인 칫수로 인해 오리피스 0-1로부터의 용융유리의 유출은 오리피스 0-3에 도달하기 전에 제2b도와 같은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제2c도에는 이러한 상태가 진전되어 오리피스 0-1로부터의 용융유리가 오리피스 0-2로 부터의 용융유리에 완전히 결합되어 두 오리피스로부터 공급되는 용융유리에 의해 공통된 하나의 굵은 섬유가 형성되는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이 후자의 상태에서, 오리피스 0-2로 부터의 용융유리는 제2b도에 도시된 상태에 비해 오리피스 0-3으로부터 더욱 멀리 떨어져서 연신된다.
제2d 및 2e도는 제2c도에 도시된 오리피스 0-1, 0-2로부터 연신되는 단일의 굵은 섬유가 두 갈래로 나뉘어 “자동치료”되어서 그후 오리피스 0-1 및 0-2의 각 오리피스로부터 1개 섬유를 연신하는 상태로 복귀되는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제2f도는 오리피스 0-1, 0-2가 각각 단일 섬유를 공급하는 상태, 즉 자동 치료된 최종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적인 조건하에서는 제2a-f도에 도시된 일련의 “자동치료”과정이 조작자의 도움없이 자동적으로 일어난다. 작업상태가 곤란할 경우, 또는 자연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을 더욱 가속화시키려 할 경우에는 창(槍) 모양의 공기 분사 노즐을 사용하여 제2d,e,f도에 도시된 분리과정을 조작자가 수동적으로 도와 줄 수도 있다. 또한 분리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자동공기 공급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c”방향의 오리피스 사이의 오리피스판 면(面)은 “b”방향의 오리피스 사이의 오리피스판 면보다 더욱 가열되기 쉬우며 따라서 더욱 유출되기 쉬우므로, 칫수 “c”는 칫수 “b”보다 크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것은 “c”방향으로 측정된 면에서는 “b”방향으로 측정된 면과 비교하였을 때 전류 유동이 증가하고, 가스유동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때 전류는 칫수 “c”가 측정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흐르며, 다량의 가스는 칫수 “b”가 측정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향하여 보내어진다는 사실에 주의하여야 한다.
오리피스조의 그룹 사이에는 칫수 “e”에 의해 비교적 큰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 내에서는 비유출 상태가 유지되므로 오리피스판을 구역별로 따로따로 청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비유출”상태란 오리피스판의 표면이 용융유리로 덮여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같은 청소 대책은 시동 조작시에 있어서, 그리고 자체적으로는 수정되지 않는 대량 절단 유출시에 있어서 매우 유리하다.
오리피스조(組)내의 오리피스쌍은 조내의 2개 또는 3개 오리피스로부터 공급되는 유리에 의해 굵은 섬유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줌으로써 청소작업이 역시 용이하게 된다. 이때 오리피스조내의 2개의 오리피스로부터 공급되는 용융유리에 의해 형성되는 굵은 섬유는 “더블렛(doublet)”이라 불리우며, 오리피스조내의 3개의 오리피스로부터 공급되는 용융유리에 의해 형성되는 굵은 섬유는 “트리플렛(triplet)”이라 불리워진다. 각 오리피스조가 2개의 오리피스로 구성된 오리피스조의 예는 제5도 및 6도의 실시예, 그리고 제7도의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각 오리피스조가 3개의 오리피스로 구성된 오리피스조의 예는 제8도의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굵은 더블렛 섬유, 또는 트리플렛 섬유는 1개의 오리피스로부터 공급되는 섬유[싱글렛(singlet)이라 불리워짐]보다 강인하며, 따라서 청소조작 중에 또는 시동조작 중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매우 큰 가스유동에 의한 절단에 대해 더욱 큰 저항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굵은 더블렛 섬유 또는 트리플렛 섬유는 청소조작 및 시동조작시에 유리한 것이다.
오리피스조 내에서 쌍을 이루며 밀접 배치되어 있는 오리피스에 의해 제공되는 더블렛 혹은 트리플렛 섬유는, 오리피스 조내의 오리피스가 비교적 근접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싱글렛 섬유로 분리하기에 이상적으로 적합하다. 오리피스 사이의 간격이 예컨대 “c”나 “e”처럼 비교적 크고, 이러한 오리피스들 사이에서 더블렛 또는 트리플렛 섬유가 형성된 경우에는, 이 더블렛 또는 트리플렛 섬유를 싱글렛 섬유로 깨끗이 분리하는 일은 불가능하지는 않다고 하더라도 매우 힘든 일이다.
본 발명의 잇점들은 유리섬유를 연신할 때 마주치는 모든 작동조건을 통하여 명백하다.
시동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방식으로 오리피스판을 청소할 수 있게 해준다. 시동시의 청소조작 순서는 다음과 같다. 즉,
1. 오리피스판은 초기에는 그 저면이 용융유리로 뒤덮인 완전한 유출상태에 있다.
2. 작업자는 이 유출상태를 오리피스조의 그룹으로 분리시켜서(즉, 소량의 유출로 분리시켜서), 오리피스 그룹들이 그룹 간격 칫수 “e”에 의해 형성된 간격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3. 작업자는 오리피스조의 그룹을 일반적으로 한번에 하나씩 더블렛 및 싱글렛으로 분해한다.
4. 작업자는 더블렛을 싱글렛으로 분해한다.
5. 오리피스판 전체가 청소되어서 오리피스판 내의 각 오리피스로부터 하나씩의 섬유가 형성될 때까지 상기 제3 및 제4단계를 각 오리피스 그룹에서 시행한다.
부분적인 유출을 수정할 때에는 유출 정도에 따라 필요한 단계 번호를 선택하여 상기와 동일한 일반적인 단계를 수행하면 된다.
정상 작동 중에는 섬유가 절단되더라도 제2도에 도시된 순서에 따라 이상적으로 자동 수정되며, 어떤 이유로 인하여 완전히 수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c도까지 도시된 정도의 부분적 자동 수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후자의 상태는 더블렛 혹은 트리플렛을 형성시킬 것이며, 이에 따라 연속적인 유출은 효과적으로 제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오리피스의 칫수 및 간격은 원하는 생산량에 따른다. 다음 표는 3가지 상이한 생산량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kpo00002
본 발명에서 사용된 특정의 오리피스 형태는 도시된 3가지 실시예에서 달리 예시된 바와 같이 상당히 변할 수 있다.
제5도 및 6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오리피스들이 대체로 다이아몬드형의 그룹으로 배열되었으며, 각 그룹은 다수의 오리피스열로 구성되었고, 각 열은 최소한 하나의 오리피스조로 구성된다. 제5도 및 6도의 실시예에서의 각 조는 두개의 오리피스로 구성되며, 따라서 한 오리피스로부터의 유출이 발생되면 더블렛이 형성되어서 자동수정이 이루어진다. 제5도의 점선내의 부분은 제4도에 도시된 복합판내의 할분(割分)에 해당한다. 오리피스판은 이와같은 할분이 다수개 모여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할분은 서로에 대해 “e”이상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바람직한 배열에 있어서, 오리피스판을 보강하는 보강리브(36)가 이 할분들 사이에 배치된다.
제7도의 실시예에서도, 쌍을 이루는 두개의 오리피스가 1개의 오리피스조를 구성하는 오리피스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오리피스조는 칫수 “c”만큼씩 떨어져 있는 열(列)내에 배치되며, 각 열 내의 오리피스조는 칫수 “b”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7도의 실시예의 오리피스들은 칫수 “e”만큼 거리를 둔 그룹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다. 만일 그룹화가 필요하다면, 제7도의 실시예에서의 오리피스들을 직사각형의 그룹으로 배열하고 각 그룹 사이를 칫수 “e”만큼씩 떼어놓으면 된다.
제8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오리피스조가 3개의 오리피스로 구성되며, 각 조는 열로 배열되어 있고, 각 열 내의 오리피스조는 칫수 “b”만큼씩 떨어져 있으며, 각 열은 칫수 “c”만큼씩 서로 떨어져 있다. 각 조내의 오리피스들은 칫수 “a”만큼씩 떨어져 있어 트리플렛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제8도의 점선내 부분은 1개 그룹을 나타내며, 이러한 그룹 다수개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되어 복합판을 이룬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피스판의 각 쌍의 보강리브(36) 사이의 부분에는 6개의 그룹이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오리피스판과 용융유리 사이에 습윤성이 있으며 평형 접촉각은 30-40°라고 가정했다. 이것은 오리피스판으로부터 용융유리가 유출되었을 때 오리피스판에 형성되는 용융유리액 방울에 대한 접선과 오리피스판의 저면 사이의 협각(夾角)이다. 접촉각이 0°이면 완전한 습윤이 발생하며, 접촉각이 90°이상이면 습윤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제10도에는 백금 90%와 로듐 10%로 된 합금으로 만든 오리피스판상에서의 “E”형 유리의 평형 접촉과 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2개의 단면 부분은 각각 30°와 60°의 습윤각을 나타낸다. 최때 습윤성은 1,050-1,150℃에서 나타남을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이 범위내의 온도 및 약 1,300℃까지의 온도는 유리 연신 공정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온도이다.
상술한 설명 및 실시예는 유리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유리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공정 성질이 유리와 비슷한 세라믹 섬유의 제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는 알루미나 보로실리케이트,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니아 실리카 등과 같은 여러가지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섬유도 포함될 수 있다. 물론, 부싱 및 오리피스판은 섬유로 성형되는 여러가지 세라믹 물질의 높은 온도에도 견딜 수 있는 합금 또는 그밖의 물질로 만들어져야 한다.

Claims (1)

  1. 평평한 저면을 가지며 또한 다수의 연신 오리피스들이 서로 밀접한 간격으로 관통하고 있는 연신 구역을 갖는 판 엘레멘트로 구성되며, 상기 오리피스들은 오리피스조(組)사이의 거리가 오리피스조내의 오리피스 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조를 이루며 배열되어 있으므로, 작동시 한 오리피스로부터 연신되는 섬유가 절단되었을 때 이 오리피스에 공급되는 용융유리는 다른 조의 오리피스들에 유출되기 전에 같은 조내의 다른 오리피스에 유출하여서 이 오리피스로부터 연신되는 용융유리와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섬유 연신용 오리피스판.
KR7601922A 1976-08-09 1976-08-09 유리섬유 연신용 오리피스판 KR800001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1922A KR800001198B1 (ko) 1976-08-09 1976-08-09 유리섬유 연신용 오리피스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1922A KR800001198B1 (ko) 1976-08-09 1976-08-09 유리섬유 연신용 오리피스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198B1 true KR800001198B1 (ko) 1980-10-22

Family

ID=1920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1922A KR800001198B1 (ko) 1976-08-09 1976-08-09 유리섬유 연신용 오리피스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19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8135A (en) Assembly for the drawing of glass fibers
US39829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ooding in the drawing of glass fibers
FI75554B (fi) Regleranordning foer temperatur av smaelt massa.
CA12006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glass fibers
US2706365A (en) Feeder for molten thermoplastic material
US3985530A (en) Production of glass fibers
US4032314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oding in the drawing of glass fibers
KR101850238B1 (ko) 유리 섬유 제조용 부싱
DE3126122C2 (de) Speiseeinrichtung für mehrere Glasposten
KR800001198B1 (ko) 유리섬유 연신용 오리피스판
EP0070945A1 (en) Annular bushing
US7194875B2 (en) Fiberizing bushing with improved screen
DE2639977C3 (de) Verfahrem zum Schmelzen von Glas in einer brennerbeheizten Wanne und Glasschmelzofen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4830652A (en) Apparatus for drawing glass tapes
CA2401091C (en) A bushing including a terminal ea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ushing
CA108605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oding in the drawing of glass fibers
US440145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discontinuous glass fibers
DE1923345B2 (de)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glasfasern oder faeden voellig homogener chemischer zusammensetzung mit einem glasschmelz ofen einem speiser und einem duesenaggregat
US4927446A (en) Glass melting furnace
CS207477B2 (en) Bottom of the outlet dish for the glass melt spinning
DE1933722C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lachglas
EP00451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fibres and fibres thereby produced
RU2087435C1 (ru) Многофильерный питатель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непрерывного волокна из расплава горных пород
KR800001197B1 (ko) 유리 섬유 인출용 오리피스 판
RU1293U1 (ru) Многофильерный питатель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непрерывного волокна из расплава горных поро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