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059B1 - 의류 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059B1
KR800001059B1 KR760000539A KR760000539A KR800001059B1 KR 800001059 B1 KR800001059 B1 KR 800001059B1 KR 760000539 A KR760000539 A KR 760000539A KR 760000539 A KR760000539 A KR 760000539A KR 800001059 B1 KR800001059 B1 KR 800001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device
head
bay
clothing
b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0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찌 게이 호리
Original Assignee
우찌 게이 호리
도오싱세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찌 게이 호리, 도오싱세이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우찌 게이 호리
Priority to KR760000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05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의류 프레스 장치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제1도는 프레스 하기전 상태의 하의(의류) 프렛셔를 일부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좌측면도.
제2도는 프레스 상태의 하의(의류) 프렛셔를 일부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좌측면도.
제3도는 배력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4도는 배력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강한 가압력으로 의류를 프레스하는 의류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의류 프레스 장치는 고정된 하만(下饅: 아래인두)에 상만(上饅)을 접리(接離)가 가능하도록 배설되어 있으며 이들 상만은 예를들면, 회동암의 일단에 붙여져서 실린더장치의 작동으로 회동암이 회동하는데 따라 상만이 하만에 압압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상만과 하만에 당접한 뒤 다시 작용하여 상만과 하만으로 협지된 의류를 프레스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구조의 것은 실린더장치의 힘이 회동암에 직접 가하는 것 같은 동력전달계 밖에 없고, 그 때문에 상만에 커다란 힘을 부여하는 것이 곤란하여 양호한 프레스를 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기초를 두고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실린더장치를 지지하는 배력기구(倍力機構)에 의해 실린더장치의 힘을 증대시켜서 상만에 부여시킬 수가 있고, 양호한 프레스를 할 수 있는 의류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하의(의류)프렛셔를 토대로 설명한다.
도면중 1은 기대(基臺)이며, 이러한 기대(1)에는 서로 대향하는 2매의 지지판(2)(한쪽만을 표시)이 입설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지판(2)의 상단 일측에는 하만(3)이 수평으로 가설되어 하만(3)의 상면에 맷트(4)가 부설됨과 동시에 상만(5)이 접리되도록 설치하고 또 상만(5)은 축(6)에 의해 지지판(2) 상단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추지(樞支)하여 회동암(7)의 (제1도, 제2도) 우단부에 부착하되 회동암(7)은 실린더장치(8)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겠금 설치하는 것이다.
즉, 실린더장치(8)의 롯드(8a)선단은 회동암(7)의 좌단에 추착(樞着)되어 있으므로 실린더장치(8)의 기단부는 지지판(2)에 가설된 지지대(9)에 배력기구(10)를 통해 지지되고, 매력기구(10)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설치를 하며, 지지대(9)는 축수(10a, 10a)를 고착시키고, 축수(10a, 10a)에는 축(11)을 축설하여 이 축(11)에다 편심캠(12)을 일체로 형성하고 또 편심캠(12)의 외주에는 로울러베어링(13)을 개재하여 환체(14)가 회전 자재토록 부설하였으며, 환체(14)의 상단측 외주에는 에어실린더장치(8)의 기단부와 연결하는 연결부재(15)를 고착하고, 환체(14)의 하단에는 역 “U”자상의 계지부재(16)를 고착하되 계지부재(16)의 하단은 지지판(9)에 천설된 삽통공(9a)내에 유삽하고 또 지지판(9)에 고착된 스톱퍼(17)는 계지부재(16)의 내면 사이에 삽입하여 환체(14)의 회동을 방지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톱퍼(17)는 일부를 평탄하게 하여 지지판(9)에 고착면을 형성한 단면을 거의 원형의 부재로 하고 또 축(11)에는 작동레버(18)를 고착하여 작동레버(18)와 상기한 회동암(7)의 좌단부와의 상이에 연동간(19)을 연결시켜 그 상단부에 장공(19a)을 형성하여 이에다 회동암(7)에 부착된 핀(20)을 유삽하였으며, 한편, 하만(3) 의 하부에는 자루상태의 커버(21)를 배설하여 이 커버(21)의 하단에 가이드(22)를 따라 상하 움직이는 슬라이드부재(23)를 고착하며, 슬라이드부재(23)에는 기대(1)에 추착된 실린더장치(24)의 롯드(24a)선단을 연결하여 실린더장치(24)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고 또 커버(21)의 개구부에는 닥트(25)의 상단에 송풍구(25a)를 배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닥트(25)내의 하단부에는 송풍팬(fan)(26)을 배설하여 중도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송풍팬(26)으로 송풍시켜 공기의 가열을 절환할 수 있는 라지에터(27)를 배설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된 하의프렛셔의 작용을 아래에 설명한다. 먼저 하의프렛셔는 제1도에 도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라이드부재(23)는 최상위에 위치하고, 따라서 커버(21)는 수축하고 있다. 그리고 하의 허리부(腰部)를 횡방향으로부터 하만(3) 커버(21)에 삽입한다. 하만(3)의 상면에는 하의의 닥크부가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에 상만(5)을 하만(3)에 가압시켜서 닥크부의 프레스를 한다.
상술하면, 실린더장치(8)를 작동시켜서 그의 롯드(8a)를 신장시키면 회동암(18)은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따라 상만(5)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하만(3)에 하의를 개재시켜 당접한다.
이와같은 약간의 압력으로 당접시 거의 회동암(7)에 붙여진 핀(20)이 연동간(19)의 장공(19a) 상단연에 계지한다. 때문에 그 이후 실린더장치(8)의 힘을 배력기구(10)에 증대되어서 상만(5)에 전달되도록 된다.
상술하면, 실린더장치(8)의 힘은 회동암(7)을 통해 연동간(19)을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에따라 작동레버(18)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여기에 따라 편심캠(12)이 회동한다. 이러한 편심캠(12)은 회동에 따라 환체(14) 및 이와 연결된 실린더 장치(8) 전체를 제4도에 도시하는 변위량(ℓ1)으로 밀어올린다. 그러나, 이러한 실린더장치(8)의 변위량(ℓ1)은 작동레버(8)의 변위량(ℓ2)에 비해 극히 작다. 환언하면 지렛대 작용과 똑같은 작용에 의해 실린더장치(8)로부터 작동레버(8)에 전달된 힘은 증대되어 실린더장치(8) 자신을 밀어올리는 작용을 한다. 이에따라 회동암(7)을 통해 상만(5)에는 커다란 힘이 전달되므로 상만(5)과 하만(3)에 의해 하의의 닥크부에 강력한 프레스를 걸수가 있게 된다.
또 환체(14)는 상하 움직임은 자재이지만 계지부재(16)와 스톱퍼(17)와의 계지작용에 의해 회동을 막도록 되어 있다. 또 회동암(7)은 회동에 따라 축선도 변화하지만 여기에 응동하는 환체(14)의 약간의 회동은 스톱퍼(17)의 계지면이 원호상이기 때문에 허용되는 것이므로 작동에는 지장이 없다.
한편, 이와같은 프레스 작업과 서로 전후하여 실린더장치(24)를 작동하여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라이드부재(23)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커버(21)를 확장한다. 그 뒤 송풍팬(26)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라지에터(27)로부터 증기를 발생시켜서 이러한 증기를 커버(21)에 보낸다. 그러면 이러한 증기는 커버(21)를 통해 하의의 허리부에 적당한 습기를 준다.
다음에 송풍팬(26)으로부터 보내진 공기를 라지에터(27)에서 가열하여 커버(21)에 보내지고 커버(21)의 팽창력과 열풍의 가열과 하의의 허리부를 정형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제약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로 가능하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배력기구에 편심캠을 사용했으나 이러한 배력기구는 회동암에 의해 입력을 부여되는 유압 실린더 등으로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상만을 지지한 회동암을 회동시키는 실린더장치의 힘을 이러한 실린더 장치를 지지하는 배력기구에 의해 증대시켜서 상만에 의해 하만을 강력하게 압압하도록 한 것이므로 의류의 프레스는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실린더장치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암의 일단에 붙여진 상만을 하만에 압압하여 의류의 프레스를 함에 있어서, 실린더장치를 배력기구에 의해 지지함과 동시에 이러한 배력기구의 입력을 상기한 회동암으로부터 얻어짐과 동시에 이러한 배력기구의 출력에 의해 실린더장치를 장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프레스 장치.
KR760000539A 1976-03-05 1976-03-05 의류 프레스 장치 KR800001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0539A KR800001059B1 (ko) 1976-03-05 1976-03-05 의류 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0539A KR800001059B1 (ko) 1976-03-05 1976-03-05 의류 프레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059B1 true KR800001059B1 (ko) 1980-09-29

Family

ID=1920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00539A KR800001059B1 (ko) 1976-03-05 1976-03-05 의류 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05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53623A (en) Infolding method and machine
KR800001059B1 (ko) 의류 프레스 장치
US5722572A (en) Machine for ironing cloth articles such as shirts and the like
US4063376A (en) Clothing presser
US3895749A (en) Ironing machine for ironing shoulders
US2337086A (en) Sleeve press
US2533188A (en) Garment pressing machine
US2723062A (en) Pressing machine
JP2736013B2 (ja) アイロン仕上機
US2463777A (en) Sleeve press
US1837018A (en) Pressure adjusting means for garment and laundry presses
US3742882A (en) Seam presser
US1509095A (en) Steaming device for garment presses
US2002185A (en) Garment or ironing press
JPS59181198A (ja) 衣類プレス機
US2528595A (en) Shiftable support for ironers
US994512A (en) Ironing-machine.
US1689744A (en) Pressing-machine-operating mechanism
US332026A (en) Ironing-machine
US3088233A (en) Ironing presses
JPH0131197Y2 (ko)
US2348264A (en) Pressing machine
JPH0543759Y2 (ko)
KR200304871Y1 (ko) 다림질 장치
US1416829A (en) Pressing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