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025B1 - 위상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위상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025B1
KR800001025B1 KR7603199A KR760003199A KR800001025B1 KR 800001025 B1 KR800001025 B1 KR 800001025B1 KR 7603199 A KR7603199 A KR 7603199A KR 760003199 A KR760003199 A KR 760003199A KR 800001025 B1 KR800001025 B1 KR 800001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ase
amplifier
transisto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3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버트 하우드 레오폴드
Original Assignee
에드워드 제이. 노톤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드 제이. 노톤,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에드워드 제이. 노톤
Priority to KR7603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02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위상 제어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텔레비죤 수신기의 일부분의 부분 계통도와 부분 개략회로도.
제2a 및 2b도는 입력신호 상태의 제1세트에 대한 제1실시예에 관한 동작상태를 예시하는 벡터도표.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제4a 및 4b도는 입력신호상태의 제2세트에 대한 제3도의 실시예에 대란 동작상태를 예시하는 벡터도표.
본 발명은 전자적 위상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칼라텔레비죤 수신기의 색도 채널내의 색조 제어로서 응용될 수 있는 위상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장치의 여러 형태에서 기준값에 관하여 예상할 수 있는 그리고 실제 대칭 혹은 평형인 작동 범위를 갖는 위상제어 회로가 요구되어진다.
공지된 형태의 위상 제어회로들은 통상적으로 소정의 중심과 위상제어의 범위를 설정하도록 능동회로 소자를 갖거나 혹은 갖지 않는 고정 혹은 가변 저항-용량(RC) 위상 전이회로를 활용한다.
이러한 위상 제어회로망의 범위 및 대칭 특성은 그 저항 및 용량소자의 공칭값으로부터의 편차에 민감하다는 것이다. 집적화된 저항들과 회로망들의 절대값의 공칭값에서 30% 이상 편차될 수 있기 때문에, 집적회로망에서는 상기 특성이 매우 곤란한 경우가 된다. 또한 집적회로 상태에서 주어진 칩(chip) 상의 공칭 값들로부터의 편차는 모드 동일방향(예, 고 혹은 저)인 경향이 있으므로 캐스 캐이드 회로 부품들내에서 위상오차의 집적을 산출해낸다. 이들 요인들을 보상하도록 위상 제어회로의 특성을 맞추기 위해 전위차계 또는 가변 반응회로를 조정하는 외부장치의 필요성이 일반적으로 불필요했었다.
왜냐햐면, 이러한 부품들은 비교적 비싸며 집적회로의 제한된 단자수들을 하나 이상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정확한 위상 제어가 중요한 영역내에서 RC회로망의 사용을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가능 위상 전이회로는 제1교호신호원과 제1신호들에 선정된 위상관계를 갖는 제2교호신호원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증폭기들은 제각기 제1 및 제2교호신호원에 제각기 연결되는 신호입력들과 이득 제어 입력을 갖는다. 이득 제어 장치는 그의 신호 이득을 자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증폭기의 이득 제어입력에 연결된다. 또한 회로장치가 제1교호신호의 위상에 선정된 관계의 위상과 그리고 이에 비례하는 진폭을 갖는 마지막 지명된 입력에서 제3교호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1신호원으로부터 제2증폭기의 신호입력으로 연결된다. 합성회로망은 제1증폭기의 신호입력에 인가되는 교호신호의 위상과 제2증폭기의 신호입력에 인가된 교호신호의 위상 사이의 위상영역내의 위상의 결과 출력신호와 이득 제어장치에 응답하여 제어되는 결과 출력신호의 위상을 제공하도록 제1 및 제2증폭기로부터의 출력신호들을 합산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히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제1도를 참고하면, 칼라 텔레비죤 신호는 안테나 21에 의해 수신되어서 라인 편향회로 25에 연결되는 수평(라인)동기 펄스를 다른 종래의 신호정보들을 갖도록 제공되기 위하여 텔레비죤 신호 처리회로 22에 의하여 처리되어진다.
처리회로 22의 출력에서 제공된 검파된 비데오신호는 칼라버어스트 성분과 칼라-표시신호 정보를 선택하도록 배역된 색도 대역통과 필터 27에 인가되며, 예를 들어 칼라 표시신호 정보는 억압된 칼라 부반송파의 선택된 위상에서 진폭변조로서 부과된 칼러 정보 신호를 포함한다. 칼라버어스트 및 변조된 억압부반송파 즉 칼라신호는 색도 처리 집적회로 20의 입력단자 1을 통해 제1색도 증폭기 30에 결합된다.
제1색도 증폭기 30으로부터 증폭된 신호는 라인 편향장치 25로부터 유도된 키잉신호가 공급되는 게이트회로 29에 공급된다. 이 키잉신호는 비교적 긴 기간간격(라인 주사주기의 영상 표시부분)에 의해 분리된 비교적 짧은 기간(예, 라인 소거 간격)의 정행(positive-going)펄스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되어 진다. 게이트 회로 29는 증폭된 버어스트 신호를 자동주파수 및 위상제어(AFPC)검파기 32의 자동 칼라제어(ACC)회로 35에 공급한다.
또한 이러한 AFPC검파기 32는 전압제어 발진기(VCO) 55의 제1(퀴드라취)출력단자 T1으로부터 칼라 기준신호를 공급받는다. AFPC검하기 32는 수신된 버어스트 신호와 위상 및 주파수 동기된 발진기 기준신호를 유지하도록 VCO 55의 제어 입력에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적당한 AFPC검파기 32는 1973년 6월 19일자로 허여된 미국특허 제3,740,456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VCO 55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원 제633,462호에 설명된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ACC회로 35는 VCO 55의 제2출력단자 T2로부터 기준신호를 공급받으며, 제1색도증폭기 30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제공한다. ACC회로 35로부터의 제어전압은 또한 제2색도증폭기 44에 결합된 칼라 킬러회로 40에 공급된다.
색도 이득(포화)제어 전위차계 45는 예를 들어, +11.2볼트의 작동 전압원에 연결되며 그리고 단자 3을 통하여 제2색도증폭기 44의 입력에 연결된 가동암을 갖는다.
색도 복조기 53(적합한 매트릭싱 회로를 포함함)은 제2색도증폭기 44로부터 증폭된 색도 부반송신호를 수신하며 그리고 단자 5,6 및 7에서 색차신호 R-Y,G-Y 및 B-Y를 제공한다. 이러한 색차신호는 텔레비죤 수신기의 키네스코오프(도시안됨)에 인가되는 적(R), 녹(G), 및 청(B), 칼라-표시 신호를 제공하도록 명도(Y)신호와 종국적으로 합성된다.
또한, 색도 처리회로 20은 본 발명에 의해 구조된 색조 제어단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표시번호 100으로 표시된다.
색조 제어단 100은 제1 및 제2차동증폭기들 130 및 110과 이득 제어회로 140을 포함한다.
증폭기 110은 에미터 결합된 트랜지스터들 112와 114, 트랜지스터 114의 콜렉터로부터 단자 10을 통하여 작동전압원(+11.2볼트)에 결합되는 부하저항 115과, 트랜지스터 112의 콜렉터로부터 동작전압원에 결합되는 부하저항 116을 포함한다. 바이어스 공급원(+4.7볼트)는 저항 122를 통해 트랜지스터 112의 베이스에 결합되며 그리고 또하나의 절연저항 119을 통해 트랜지스터 114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VCO 55의 제2출력단자는 연속파 칼라 기준 부반송파 정보(예, 3.58MHz)를 공급하도록 저항 124를 통하여 트랜지스터 114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증폭기 130은 에미터 결함된 트랜지스터들 132 및 134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 132의 콜렉터는 색조 제어단 100의 제1의 합성 신호 출력을 형성하도록 트랜지스터 114의 콜렉터와 부하저항 115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134의 콜렉터는 제2합성신호 출력을 형성하도록 트랜지스터 112의 콜렉터와 부하저항 116에 연결된다. 바이어스 공급원(+4.7볼트)은 저항 136을 통하여 트랜지스터 132의베이스에 그리고 또 다른 저항 135를 통하여 트랜지스터 134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VCO 55의 출력단자 T2는 저항 137을 통하여 트랜지스터 134의 베이스에 결합되는 한편 VCO 55의 출력단자 T1은 저항 138을 통하여 트랜지스터 134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114,132, 및 112,134의 상호 연결된 콜렉터들을 푸슈풀, 제어가능, 위상, 기준신호를 공급하기 위하여 색도복조기 53의 기준 신호 입력에 연결된다.
제어회로 140은 차동 입력구조로 배열된 트랜지스터들 142 및 144와 바이어스 제어 트랜지스터 160을 포함한다. 트랜지스터 142의 콜렉터는 증폭기 110의 트랜지스터들 112 및 114의 에미터 연결점에 연결되는 한편 에미터는 바이어스 저항 143에 의해 접지로 귀환된다. 바이어스 저항 148과 온도 보상 다이오드 149의 직렬조합은 트랜지스터 142의 베이스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144의 콜렉터는 증폭기 130의 트랜지스터들 132와 134의 에미터 연결점에 결합되는 한편 에미터는 바이어스 저항 151에 의해 접지로 귀환된다. 트랜지스터 144의 베이스는 약 +1.7볼트의 바이어스 공급원에 결합된다. 한쌍의 직렬 연결된 바이어스 저항들 154 및 155는 트랜지스터 144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 142의 베이스 사이에 결합된다. 저항 154 및 155의 상호 연결점은 바이어스 제어 트랜지스터 160의 에미터에 연결된다. 에미터 폴로워형으로 배열된 트랜지스터 160은 동작전원에 연결된 콜렉터와 단자 4를 통해 색조제어 전위차계 52의 가동자암에 결합된 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된 동시출원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VCO 55는 출력단자 T2에서 제1위상의 제1발진 기준신호 M(예, 3.58MHz)과 출력단자 T2에서 신호 M에 대해 느린 90o위상관계에 있는 제2발진신호 P를 제공한다. 수신된 색도신호의 적당한 복조를 위해, 칼라기준신호 M은 수신된 버어스트신호에 대해 선형 [-(R-Y) 위상] 혹은 지연된 [(R-Y) 위상]의 90o위상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후자의 경우에, 신호 P는 버어스트에 대해 위상이 반대이다. 이러한 조건은 기준이 다음 설명과 관련하여 제2도에 예시되어 있다.
저항들 119 및 122로서 전압 분배기를 형성하는 저항 124는 신호 P의 동상부분(P)을 트랜지스터 114의 베이스에 인가한다. 증폭된 반전위상(-P) 및 동상(P)기준신호들은 트랜지스터 114와 112의 출력에서 제각기 제공된다. 저항 136과 135로서 전압분배기를 형성하는 저항 138은 트랜지스터 134의 베이스에 신호 M의 동상부분(m)을 인가한다. 이러한 예에서 전압분배기들 124, 119, 122, 및 138, 135, 136은 본질적으로 동일 크기의 입력신호 P 및 m을 제각기 제공하여 발진기 55의 출력 P 및 m은 진폭이 동일하다.
또한 신호 P는 트랜지스터 134의 베이스에서 신호 P의 동상부분(P′)를 제공하도록 저항 135 및 136을 갖는 전압분배기를 형성하는 저항 137을 통하여 인가된다. 신호 P′의 진폭은 색조 제어단 100에 의해 제공될 위상 제어의범위에 따라서 선택된다.
신호 P′는 결과 위상 중간 m 및 P를 갖는 신호 r로서 이후 표시되는 합선신호(m+p′)를 형성하도록 트랜지스터 134의 베이스에서의 신호 m과 합산된다. 합성된 신호 r은 트랜지스터를 134 및 132의 콜렉터출력에서 증폭된 반전위상(-r) 및 동위상(r) 으로 재생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들 114와 132의 콜렉터들 연결전에서 부하저항 115 양단에서 발생되는 출력신호는 (-p+r)에 대응하며 그리고 트랜지스터 112 및 134의 콜렉터 연결점에서 부하저항 116양단에 발생되는 신호는(p-r)에 대응한다. 이들 두 신호는 상반된 위상이다.
부하저항들 115 및 116 양단에서 발생되는 독립적인 신호성분들 p와 r의 진폭은 증폭기 110과 130의 도전 레벨 혹은 저압에득을 변화시킴으로서 제어된다. 증폭기들 110 및 130의 이득은 제어회로 140의 전류공급 트랜지스터들 142 및 144에 의해 차동적으로 제어된다. 그 다음에, 트랜지스터들 142와 144는 색조제어 전위차계 52로부터 트랜지스터 142의 베이스와 트랜지스터 144의 에미터로 단자 4, 즉 바이어스 저항 154,155와 폴로워 트랜지스터 160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전압의 기능으로서 제어된다. 저항들 154와 155의 값들은 트랜지스터들 142 및 144의 상관적인 도전에 걸쳐 바람직한 정도로 제어하도록 선택되어진다.
예를 들면, 전위차계 52의 가동자암이 동작전원전압(+11.2볼트)를 향해 극한 위치로 조절된 경우에 트랜지스터 144와 증폭기 130은 실제 비도전되며 한편 트랜지스터 142 및 증폭기 110은 최대 도전상태에 도달한다. 이러한 제어 위치에서, 신호 P의 단지 동위상 및 반전위상 성분들은 부하저항 116과 115 양단에서 제각기 발생된다. 반대로, 트랜지스터 144와 증폭기 130의 도전레벨은 전위처계 52가 접지를 향해 극한 위치에 조정될 때 최대에 도달한다. 이러한 경우에 트랜지스터 142와 증폭기 110은 실제 차단되므로 신호 r의 단지 동위상 및 반전위상 성분은 부하저항들 115 및 116 양단에서 제각기 발생된다. 트랜지스터들 142, 144 및 연결된 증폭기들 110,130이 동일하게 도통되도록 전위차계 52가 조정된 경우에 동일진폭의 신호들 P와 r은 출력 부하저항들 115와 116 양단에서 발생된다. 이러한 조건을 위해 합성출력신호 (-P++r)은 저항 115 양단에서 발생되며 그리고 합성된 반대 위상 출력신호(P-r)은 저항 116 양단에서 발생된다.
제2a도에서 신호 + I 는 수신된 영상 표시 색도신호의 프레쉬-토온(flesh-tone)위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정상 동작조건하에서, + I 신호는 버어스트 신호와 약57도의 지연위상 각도 θ1을 형성한다.
색조 제어단 100은 신호 P와 r의 위상 사이의 선정된 동작벌위에 걸쳐 +신호축 주위에 칼라 기준신호출력의 위상의 대칭 변화분을 제공함으로서 정극성 혹은 부극성 위상 변화분을 보장한다. 신호 P′는 ″ I ″ 위상에 대하여 대칭인 이러한 제어 영역을 만들도록(저항 137, 135, 136에 의해)선택된다. 즉 +I 신호는 트랜지스터들 114와 132의 콜렉터 접합부에서 합성신호 -P+r(+I)를 제공하도록 부하저항 115내에서 -P와 r 신호를 조합함으로서 제공된다. 증폭기 110과 130이 동일하게 도통되도록 전위차계 52가 조정된 경우, -P 와 r신호의 동일한 양들이 출력부하 저항 115내에서 조합된다. 그러므로 + I 신호는 정상신호 상태에 대하여 버어스트 신호에서 약 57도의 지연 위상각 θ1을 형성하며 그리고 또한 신호 a을 갖는 θ1과 동일한 선행위상각 θ2를 형성한다. 위상각 θ2의 크기는 전술한 방식으로 신호 r을 제공하도록 신호 m과 신호 P′에 대응하는 신호 P의 선정된 부본을 조합함으로서 설정된다.
제2b도는 칼라 기준신호 M이 버어스트 신호와 선행 구상(90o위상)관계에 있고 P가 버어스트 신호와 동위상일 때 색조 제어회로 100의 위상 응답을 도시한다. 제2b도에서 + I 신호는 트랜지스터 112 및 134의 콜렉터 접합점에서 조합된 신호 P-r을 생성하도록 부하저항 116 내에서 P와 -r 신호를 조합함으로서 제공된다. 조합된 신호는 제2a도의 + I 신호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위상제어의 위상과 대칭범위를 갖는 바람직한 + I 신호와 일치된다.
제3도는 함께 연결되며 비교적 동위상출력을 갖는 제1 및 제2동일 처동증폭기들 230 및 210과 제어회로 240을 포함하는 색조 제어단 200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색조 제어단 200은 어떤 점에서 색조단 100과 비슷하지만 증폭기 210과 230의 콜렉터 출력이 연결되고 입력신호가 인가되는 방식이 다르다.
따라서, 증폭기 210의 트랜지스터 212와 증폭기 230의 트랜지스터 232는 제각기 상호 연결되는 콜렉터를 가지며 증폭기 210의 트랜지스터 214와 증폭기 230의 트랜지스터 234는 제각기 상호 연결되는 콜렉터를 가지고 있다. 제1신호 조합 출력 부하저항 215는 트랜지스터들의 212 및 232의 상호 연결된 콜렉터를 단자 10에서 동작 공급원에 결합시키며, 그리고 제2신호 조합 출력 부하저항 216은 트랜지스터 214와 234의 상호 연결된 콜렉터를 작동공급원에 결합한다. 트랜지스트들 212와 232 및 214와 234의 상호 연결된 콜렉터들은 색도복조기 53의 입력에 제각기 연결된다.
저항 224와 저항 237은 VCO 55의 출력단자 T2로부터 증폭기 210의 트랜지스터 214의 베이스에 그리고 증폭기 230의 트랜지스터 232의 베이스에 신호를 제각기 인가한다. 저항 238은 VCO 55의 출력단자 T1으로부터 증폭기 230의 트랜지스터 234의 베이스에 신호를 인가한다.
VCO 55는 버어스트 신호에 관해 선행 혹은 지연구상 관계중 하나를 나타내는 출력발진 기준신호 M을 제공하도록 장치된다. 제3도의 경우에, VCO 55는 버어스트에 관해 지연 구상관계로 제1신호 M을 제공하며 그리고 신호 M에 선행 구상관계로 제2기준 신호 P를 제공한다. 색조 제어단 200의 동작은 다음 것을 제외하고 색조 제어단 100의 동작과 같다.
색조 제어단 200의 저항 237은 증폭기 230의 트랜지스터 234의 베이스 입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저항 235의 일단에 P신호를 결합시킨다. 신호 P의 일부(P′)는 트랜지스터 232의 베이스에서 유출된다. 신호 m은 제1도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234의 베이스에서 유출된다. 신호 P′와 m과 대응하는 신호 전류는 신호 P′ 및 m에 대한 차동 신호 전압이 저항 235 양단에 나타나도록 하는 저항 235를 통해 상반된 방향으로 흐른다(트랜지스터 232 및 234의 베이스 전류는 무시된). 트랜지스터 234로부터 출력을 고려하면, 저항 235 양단에 나타나는 신호 전압은 트랜지스터 234의 콜렉터에서 출력 -r을 제공하며 이후 신호 r로서 설명되는 (m-p′)와 동일하다고 생각될 수 있다. 또한 차동증폭기 230은 트랜지스터 232의 콜렉터에서 출력 +r을 제공하도록 저항 235 양단에서 나타나는 신호를 증폭한다.
증폭기 210은 트랜지스터들 212와 214의 콜렉터에서 출력 +P와 -P를 제각기 제공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들 212 및 232의 콜렉터 접합점에서의 부하저항 215양단에 발생된 출력신호는 P +r에 대응하며, 트랜지스터 214와 234의 콜렉터 접합점에서의 부하저항 216양단에 발생되는 신호는 -P -r에 대응한다. 신호들 P 및 r의 상대적 진폭 및 조합된 신호들의 위상들은 제1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전위차계 52의 조정에 대응하여 제어된다.
제4a도는 VCO 55로부터의 신호 P가 신호 M에 관한 선행 구상 위상에 있는 경우 즉 버어스트 신호에 대해 신호 M이 지연구상위상에 있는 경우에 색조제어단 200의 위상특성을 도시한다. 제4a도는 신호 M이 버어스트 신호에 대해 선행구상 위상에 있을 때 색조 제어단 200의 위상 특징을 도시한다. 제4b도에서 + I 신호는 트랜지스터들 214 및 234의 콜렉터 접합부에서의 조합 출력신호 -P -r에 대응한다.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된 위상각도들 θ1및 θ2와 + I 신호는 제2a도 및 제2b도의 대응 위상각도들과 + I 신호에 관한 것이다. 색조제어단 200은 색조제어단 100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제어의 대칭범위와 위상을 갇는 바람직한 + I 신호를 제공한다.
제2a도의 신호들 P와 m은 제2b도의 신호 P와 m에 관하여 반대외상 관계(즉, 180o회전된)가 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제2a도에 의해 도시된 신호상태 어느 것들 중하나에 대해, 바람직한 + I 출력신호 및 대칭위상 응답이 색조제어단 100의 푸슈풀 출력에서 제공된다. 비록 색조제어단 100이 저항 115 및 116 양단에 발생되는 푸슈풀 출력신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제2a도 및 제2b도와 이에 연관된 설명은 바람직한 신호위상(예, +I)이 오직 싱글 엔디드 신호 출력(즉, 증폭기 110,130의 저항 115 혹은 116중 하나와 일치하는 오직 하나의 단일 부하 저항을 사용하는 증폭기)을 제공하는 증폭기로부터 두 개의 입력신호 상태(제2a도에 설명됨)중 하나에 대해 대칭으로 제어되고 발생되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주지하기 바란다. 또한 이러한 설명은 입력신호 조건의 제2세트를 설명하는 제4a 및 제4b도의 색조제어단 200에도 적용된다.
또한 위상각 ø의 크기는 신호 m과 r에 의해 형성되어졌으므로 θ2의 크기는 특정한 회로 사용의 요구사항에 맞추기 위하여 위상 제어의 바람직한 범위를 달성하도록 신호 P′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이러한 변경은 다른 저항비(상당히 정확한 매개변구)만에 의하며 그리고 본덴서나 또는 기타 다른 반응 소자들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한 회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른 회로가 고안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신호 M은 추가 저항(도시안됨)과 같은 장치에 의해 제1도의 트랜지스터 114의 베이스 입력에 혹은 제3도의 경우에서는 그러한 입력에서 추가의 변경 입력신호(즉, m′ 혹은 -m′)의 바람직한 크기 및 위상을 발생시킴으로서 각 회로의 동작 유연성을 증가시키도록 트랜지스터 212의 베이스 입력에 인가된다. 이러한 입력에서 입력신호 P와 관련하여 추가 입력신호는 신호 P′와 -P′가 설명된 바와 같이 연장된 위상 제어범위를 제공하도록 제공하는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다른 확장된 위상 제어범위를 제공한다.전술한 설명 및 관련 도면들로부터 신호 P′ 및 -P′는 압축된 위상 제어범위(P와 M사이의 위상제어영역 이하)와 그밖에 신호 m′ 및 -m′가 위상 제어범위 압축의 다른 정도를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해야 된다. 그러므로, 선택된 위상과 크기들의 기준 입력 신호의 여러 조합을 적당한 특정회로 응용에 응답하는 회로 위상 응답을 만들도록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능동신호 조합회로는 선명된 신호 조합 부하저항들 115, 116 및 215, 216 대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싱글 앤디드 증폭기 출력들이 제공된다. 더우기 제어회로 140과 240은 에미터 결합되 초동 증폭기단들을 포함할 수 있고 증폭기단 110,130 및 210의 역할 및 연관된 제어회로들 140 및 240은 반전될 수 있다.

Claims (1)

  1. 본문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제1교호 신호(M)의 공급원(T1)과, 상기 제1신호에 선정된 위상관계의 제2교호신호(P)의 공급원(T2)과, 제2신호의 상기 공급원에 연결된 신호 입력과 이득 제어입력을 갖는 제1증폭기 장치(130; 230)을 포함하는 제어 가능 위상전이 회로에 있어서, 신호입력 및 이득제어 입력을 갖는 제2증폭기 장치(110; 210)와, 장기 제2증폭기 장치(110;210)의 상기 신호 입력을 상기 제2신호 공급원(T2)에 연결시키는 제2연결장치(124; 224)와, 상기 제2교호 신호에 비례하는 진폭과 상기 제2교호신호의 위상에 선정된 위상관계의 위상을 갖는 제3교호신호(P′)를 상기 제2증폭기의 신호 입력에서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신호공급원(T)로부터 상기 제1증폭장치(130; 230)의 상기 신호입력에 연결된 회로장치(137; 237)와, 신호 이득들을 차등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1(130; 230) 및 제2(110; 210) 증폭기 장치를 상기 이득 제어 입력에 연결된 이득 제어장치(140; 240)와, 상기 제2증폭기 장치의 상기 신호입력에 인가된 교호신호의 위상영역과 상기 제1증폭기 장치의 상기 신호입력에 인가된 교호신호의 위상 영역 사이의 위상 영역내의 위상을 갖으며 그리고 상기 이득 제어장치에 응답하여 제어되는 결과 출력신호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130; 230) 및 제2(110; 210)증폭기 장치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합산하기 위한 합성장치(115, 116; 215, 216)를 특징으로 하는 위상 제어회로.
KR7603199A 1976-12-28 1976-12-28 위상 제어회로 KR800001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3199A KR800001025B1 (ko) 1976-12-28 1976-12-28 위상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3199A KR800001025B1 (ko) 1976-12-28 1976-12-28 위상 제어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025B1 true KR800001025B1 (ko) 1980-09-22

Family

ID=19203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3199A KR800001025B1 (ko) 1976-12-28 1976-12-28 위상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02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1519A (en) Phase control circuit suitable for use in a tint control stage of a color television system
CA1070821A (en) Controlled oscillator
US3558810A (en) Color television signal demodulation system
US4183050A (en) Clamping circuit for color television signals
US3597639A (en) Phase shift circuits
US3585285A (en) Subcarrier regeneration system
US3873760A (en) Flesh tone correction using color difference signals
US3604845A (en) Burst-responsive differential oscillator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JPS5846784A (ja) タイミングパルス発生回路
US4343018A (en) Chrominance signal processing circuit
KR800001025B1 (ko) 위상 제어회로
US3781701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a color television receiver
JPS6051316B2 (ja) カラ−撮像装置
US3780219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GB1594722A (en) Composite colour signalprocessing circuit
FI75956B (fi) Faskompenserad reglerad oscillator.
CA1080346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JPH01296889A (ja) 色相歪み補正装置及び方法
US4112460A (en) Simplified bias and gain adjust system for color cathode ray tube
US4122491A (en) Color demodulation apparatus
US3833823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a color television receiver
US4318051A (en) Symmetrically gain controlled differential amplifier
US3987481A (en) Color television signal demodulation system
JPH0227664Y2 (ko)
US3733562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a color television rece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