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020B1 - 가이드된 비임의 평평한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가이드된 비임의 평평한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020B1
KR800001020B1 KR7602417A KR760002417A KR800001020B1 KR 800001020 B1 KR800001020 B1 KR 800001020B1 KR 7602417 A KR7602417 A KR 7602417A KR 760002417 A KR760002417 A KR 760002417A KR 800001020 B1 KR800001020 B1 KR 800001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along
fluorescent screen
display device
elec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몬드 앤더슨 촬스
브룸 스탠리
Original Assignee
죤 브이. 리건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브이. 리건,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죤 브이. 리건
Priority to KR7602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이드된 비임의 평평한 디스플레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된 비임의평평한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을 따라 절취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을 따라 절취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명도.
본 발명은 다수의 전자비임중의 최소한 하나, 양호하게는 각각이 영상스크린의 다른 영역상에 주사되는 가이드된 비임형(guied beam type)의 평평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스크린의 다른 영역내에서 두 개의 직교주사방향의 한 방향으로 각 비임들을 주사하기 위한 주사편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역이 큰 스크린의 편편한 디스플레이장치용으로 제안되어온 한 구조는 형광스크린(phosphor scteen)이 위에 배열된 면판으로 된 큰 측면을 가진 얇은 박스형 덮개를 포함한다. 덮개내에는 덮개의 큰 측면들 사이에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의 분리된 평행지지벽이 있다. 이 벽돌은 다수의 평행채널을 형성한다. 채널단부의 양단에는 각각의 채널을 따라 최소한 하나의 전자비임을 비추는 총구조가 있다. 각각의 채널내에는 채널내의 전자비임을 제한하고 채널의 길이를 따라 비임을 안내하는 비임가이드가 있다. 비임가이드는 비임가이드를 따라 선정된 지점에서 전자비임을 비임가이드의 외부로 편향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모든 채널내의 비임들은 형광스크린의 라인 바이 라인(line by line)주사를 이루도록 각각의 선정된 지점에서 형광스크린을 향하여 비임 가이드의 외부로 동시에 편향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설명된 이러한 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는 흑백동작에서 수평해상도에 바람직한 영상소자만큼 많은 비임을 필요로 하고, 칼라동작을 위하여는 흑백동작의 2배나 3배만큼 많은 비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디스플레이튜브는 전면벽의 내면을 따르는 형광스크린과 구형 전면벽을 갖고 있는 속이 빈 덮개를 포함한다. 덮개내에는 형광스크린을 가로 지르거나 평행한 제1통로내의 비임을 향햐게 하고 전자들의 비임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가 있다. 비임의 형광스크린상에 충돌하도록 형광스크린을 향하여 연장된 제2통로 속에 제1통로를 따르는 선정된 지점들에서 제1통로의 외부로 비임을 선택적으로 편향시키기 위해서 제1비임통로를 따르는 장치가 있다. 비임의 제1통로를 횡단하는 평면내의 비임을 편향시켜서 비임이 최소한 스크린의 일부를 주사하도록 하기 위해서 비임의 제2통로를 따르는 장치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1도에서, 본 발명의 주사편향구조를 포함하는 평평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번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디스플레이장치 10은 전자총부분 16과 디스플레디부분 14를 갖고 있는, 보통 유리로 된 속이 빈 덮개 1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분 14는 화면으로 구성된 구형의 전면벽 18과, 전면벽 18에 평행으로 분리된 구형의 후면벽 20을 포함한다. 전면벽 18과 후면벽 20은 측벽 22에 의하여 연결된다. 전면벽 18과 후면벽 20은, 예를 들어, 약 75cm/100cm가 바람직한 화면의 칫수에 해당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약 2.5cm 내지 7.5cm의 간격으로 분리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와 같은 전기 절연물질로 된 다수의 분리된 평행지지벽 24는 총부분 16으로부터 덮개 12의 반대축벽으로 연장되고 전면벽 18과 후면벽 20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벽 24는 외부 대기압력에 대하여 속이 빈 덮개 12를 내측에서 지지하며 디스플레이부분 14를 다수의 채널 26으로 나눈다. 전면벽 18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벽 24의 각각의 연부는 지지벽 24와 전면벽 18 사이의 접촉영역을 최소화시키도록 테이퍼(taper)된다.
전면벽 18의 내부표면상에는 형광스크린 28이 있다. 흑백디스플레이햐기 위하여, 형광스프린 28은 흑백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되는 공지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칼라디스플레이를 하기 위하여서, 형광스크린 28은 전자들에 의하여 여기될 때 적, 녹 및 청색을 방출하는 종래의 선택적인 형광띠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형광스크린 28 위에는 알루미늄과 같은 전자에 대하여 투명한 전기도전 금속의 밀막 30이 있다. 칼라디스플레이를 하기 위하여 새도우마스코 32는 형광스크린 28로부터 분리되어 인접하여 있는 각각의 채널 26양단으로 연장된다. 새도우마스크 32는 지지벽 24상에 장착되고 채널 26의 전체길이로 연장된다. 선택적인 띠로 만들어진 형광스크린 28을 위하여, 새도우마스크 32는 알. 엘. 바빈에게 1973년 10월 16일부로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3,766,419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일렬로 된 긴 홈을 포함한다.
후면벽 20에 인접하여 있는 각각의 채널 26내에는 전자비임가이드가 있다. 전자비임가이드는 채널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 제1총로를 따라 하나 이상의 전자비임을 안내하고 형광스크린 28을 향하여 연장된 제2통로안으로 채널을 따라 분리된 지점에서 비임이 편향하게 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비임가이드들은 티. 크레델이 1975년 8월 25일부로 출원한 미합중국특허원 제607,490호에 설명된 형태로 되어 있다.
전자비임 가이드는 후면벽 20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금속 접지판 34와, 제1접지판 34에 평행하게 분리된 제2금속접지판 36을 포함한다. 제1금속 접지판 34는 채널 26의 전체길이를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며 제2접지판 36에 접한 세 개의 U형 홈 38을 갖고 있다. 제1접지판 34는 단일 도전금속판으로 되거나 채널을 따라 종방향으로 분리되고 채널 26 양단으로 평행관계로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금속띠로 될 수 있다.
제2금속판 36은 전기도전금속판으로 되어 있고 제1접지판 34내의 하나의 분리홈 38 위에 있는 각 열의 구멍들과 통하는 세열의 분리된 구멍 40을 갖고 있다.
다수의 도선 42는 제1 및 제2접지판 34와 사이의 채널 26양단을 가로질려 연장된다. 도선 42는 채널의 종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채널 26의 전체길이를 따라 평행관계로 분리되어 있다. 도선들은 제2접지판 36내의 구멍 40 사이에 위치설정된다.
촛점판 44는 제2접지판 36으로부터 분리되어 인접하여 있는 각각의 채널 26을 가로질려 연장하고, 가속판 46은 촛점판 44로부터 분리되어 인접하여 있는 각각의 채널 26을 가로질려 연장한다. 촛점대판 44와 가속판 46은 채널 26의 전체길이로 연장하고 전기도전금속으로 되어 있다. 촛점과 44와 가속판 46은 각각 제2접지판 36 내의 구멍 40과 일렬로 배열된 세열의 구멍 48과 50을 갖고 있다.
각각의 채널 26 내에는 평행하게 분리된 한쌍의 편향전극 52가 있다. 편향전극 52는 채널 26의 전체 길이를 따라 새도우마스크 32와 가속판 46 사이로 연장한다. 양호하게도, 편향전극 52는 특수채널 26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 22나 지지벽 24의 표면상에 있다. 편향전극 52와 새도우마스크 32 사이의 측벽 22나 지지벽 24의 각 표면 상에는 라인 샘플링전극 54가 있다.
덮개 12의 총부분 16은 디스플레이부분 14의 연장부분이며 채널 26의 인접단부의 한 셋트를 따라 연장한다. 총부분 16은 그안에 특수한 총이 들어 있는 형태로 될 수 있다. 전자총구조는 각각의 채널 26을 따라서 전자들의 최소한 하나의 비임을 선택적으로 지시하기에 적당한 공지된 구조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의 구조는 각각의 채널을 따라서 전자들의 분리된 비임을 지시하기 위해 각각의 채널 26의 일단에 장착되는 다수의 총들로 구성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형태의 칼라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하여 3개의 전자총이 각각의 채널 26을 따라 필요하게 되는데 그 채널은 비임가이드의 제1접지판 34내의 홈 38의 분리된 하나를 따라 지시되는 각 비임을 가진다. 그러나, 흑백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단지 단일 비임만이 각 채널에 필요하게 된다.
이동될 수 있는 전자총구조의 다른 형태는 채널 26의 단부들을 가로지르는 총부분 16을 따라 연장되는 라인 캐소드를 포함하며, 그 채널들을 따라 전자들의 각 비임을 선택적으로 지시하는데 적용된다. 이러한 형태의 총구수는 더블유 엘 로버트에게 1958년 10월 28일부로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2,858,464호에 설명되어 있다.
전자총의 형태가 총부분 16에 사용된다 하더라도, 그 총구조는 비데오 입력신호에 따라서 전자비임을 변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자 56은 덮개 12의 측벽 22를 통하여 연장된다. 단자 56은 다수의 단자도선을 포함하는데 그 도선들에 의하여 덮개 12내의 디스플레이의 총구와 다른 부분은 덮개 12외부의 적당한 동작회로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 10이 동작할 때, 총부분 16의 총 구조는 각각의 채널 28에서 최소한 하나의 전자비임을 발생시키고 지시한다. 칼라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하여 세개의 전자비임은 각각의 채널 26으로 향하게 된다. 전자비임들은 제1접지판 34내의 홈 38의 분리된 하나를 따라서 향해 있는 각각이 비임을 가지는 비임가이드의 접지판 34와 36사이로 향하게 된다. 비임가이드내에서, 접지판 34와 36은 접지전위에 있고 도선 42는 정전위에 있게 된다. 상술한 미합중국특허원 제607,490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것은 각각의 전자 비임들이 채널 26의 전체길이를 따라서 접지판 34와 36사이와 도선 42를 통하여 굴곡이 있는 통로내로 주행하게 한다. U형 홈 38은 각각의 비임이 홈들의 분리된 하나를 따라 흐르도록 홈들의 측면 사이에 각각의 전자비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1접지판 34와 도선 42사이로 비임이 통과할 때 정전력이 각각의 전자비임들에 인가되게 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전자비임들은 각각의 채널 26을 따르는 제1통로를 따라 총부분 16으로부터 총부분 반대측의 덮개 12의 측벽 22로 흐른다.
전자비임이 가이드를 따라 선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 전자비임은 덮개 12의 전면벽 18을 향하여 연장된 제2통로 안으로 제1통로의 외측으로 편향된다. 이것은 측벽 22에 인접한 도선 42에 인가된 전위를 부전위로 스위칭시키므로서 이루어지거나, 제1접지판 34가 다수의 평행띠의 형태로 되어 있을 때, 측벽에 인접한 띠에 인가된 전위를 부전위로 스위칭시키므로서 이루어진다. 그 가이드의 외부편향의 선정된 지점은 수직주사를 수행하도록 전자총단부를 향하여 가이드를 따라서 점진적으로 이동된다.
편향된 전자비임은 제2접지판 38내의 인접구멍 40을 통하여 비임가이드외부로 지나간다. 이때 이 전자비임은 가속판 46내의 구멍 50과 촛점판 44내의 구멍 48을 통하여 통과한다. 제2접지판 36에 관련된 정전위는 촛점판 44에 인가되어 전자비임이 구멍들 48을 통과할 때 그 비임들을 접속하게 하며, 제2접지판 36에 관련된 정전위 36과 금속박막 30상의 전위와 같은 전위는 가속판 46에 인가되어 전자비임이 구멍 50을 통하여 통과할 때 비임의 흐름을 가속시킨다. 전자비임은 형광스크린 28상의 금박막 30에 인가된 정전위에 의하여 형광스크린 28을 향해 흐른다.
전자비임이 가속판 46으로부터 제2통로를 따라 형광스크린 28로 흐를 때, 전비임은 편향전극 52사이로 흐른다. 최소로, 각각의 채널 26내에 있는 편향전극 52중의 하나는 형광스크린 28상의 금속박막 30에 인가된 전위에 대해 정전위로 있으며 편향전극의 다른 하나는 금속박막 30에 인가된 전위에 대해 부전위로 있게 된다. 이것은 전자비임의 제2통로가 정전위로 있는 편향전극을 향해 편향되게 한다. 편향전극 52에 인가된 전위는 전자비임의 제2통로가 충분히 편향되어 전자비임이 정전하가 걸린 편향전극 52가위에 있는 지지벽 24와 직교인 형광스크린 28상에 최초로 충돌하도록 되어 있다. 편향전극 52에 인가된 전위는 적당한 편향신호를 인가하므로서 종래의 방법으로 변화하여 비임의 수평주사가 채널의 폭과 동일한 스크린의 일부를 지나게 한다. 이것의 각각의 채널양단의 각각의 채널내에 비임을 유사하게 편향시키므로서, 가시선이 형광스크린 28의 완전수평선주사를 이루도록 형광스크린 28의 전체 양단에 가시선이 생기게 된다. 형광 스크린 28의 수평주사는 전체스크린을 밝히도록 수직주사와 결합된다. 전자총구조에서 비임을 변조하므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벽 18을 통하여 볼 수 있는 형광면 28상에서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비임의 제2통로가 편향전극 52에 의하여 채널들을 횡단하여 가로질러 편향되는 매시간에, 각각의 채널내의 최소한 하나의 비임은 라인 샘플링전극 54상에 충돌할 때, 전기신호는 검파되는 전극에서 발생된다. 이 신호는 각각의 채널들내에 대용 비임들을 적당하게 배열하기 위하여 비임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사용될수 있다. 이 신호는 스크린 양단의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비임전류를 결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라인샘플링전극 54는 비임전류의 밀도와 위치를 검파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정보는 모든 비임을 적당히 배열하도록 편향전극 52에 대한 신호를 제어하고, 스크린에서의 도착 위치의 전류 레벨을 적당히 이루도록 총구조에 대한 신호를 제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 10이 칼라 디스플레이를 성립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채널 26을 따라 향해 있는 세개의 비임을 갖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흑백 디스플레이를 하기 위해서는, 단 하나의 비임만이 각각의 채널 26내의 비임가이드속으로 향해질 필요가 있고, 새도우마스크 32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는 각각의 채널 26내에 있는 단일 비임이 형광스크린 28을 향하여 제2 통로안으로 채널을 따르는 다수의 지점에서 비임가이드를 따라서 제1통로의 외부로 편향되는 전술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비임이 편향전극 52사이로 통과할 때, 그 비임은 채널 26을 가로질러 편향되어 형광스크린 28의 선주사를 성립 시킨다.
그러므로, 다수의 전자비임이 장치의 전면벽상의 형광스크린에 평행한 제1통로를 따르는 채널들을 통하여 향하게 되는 평평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비임은 제1통로를 따르는 다수의 분리된 지점에서 형광스크린을 향해 연장된 제2통로속으로 제1통로의 외부에서 편향된다. 비임이 각각의 제2통로를 따라서 통과하면, 각각의 비임들은 비임의 제1통로에 수직이며 그 통로를 가로지르는 평면양단으로 편향되므로, 비임은 형광스크린의 선주사를 제공하도록 채널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형광스크린의 일부를 소거시킨다.
비임의 직경보다 더 큰 각각의 채널내에 형광스크린의 일부를 가로지르는 각각의 비임주사를 갖고 있으므로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체폭의 주사를 성립시키는데 필요한 다수의 비임이 감소하게 된다. 예를들어, 폭이 2.5cm인 채널을 갖고 있고 폭이 100cm인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서 칼라용 세 비임의 40세트와 흑백용 40비임만이 필요하다. 이것은 디스플레이장치에 필요한 총구조를 단순화시킨다. 이것은 또한 필요한 비임가이드들과 다수의 지지벽의 수를 감소시키므로서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구조를 단순화시킨다. 또한, 채널들은 전자비임의 직경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에, 비임가이드들의 폭의 칫수공차는 정확하지 않다.

Claims (1)

  1. 본문에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밀접하게 분리된 평평한 전면벽 및 후면벽을 가지는 속이빈 덮개, 상기 전면벽의 내면을 따르는 형광스크린, 상기 형광스크린을 가로질러 있으며 그와 평행하게 분리된 제1통로내로 상기 각 비임의 방향을 잡고 최소한 하나의 전자비임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자디스플레이장치내에 있는 장치 및 상기 비임이 상기 형광스크린 상에 충돌하도록 상기 형광스크린을 향하여 연장된 제2통로 안속에 상기 제1통로를 따르는 선정된 지점들에서 상기 제1통로의 외부로 상기 비임을 선택적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제1비임통로를 따르는 장치로 구성된 전자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기 각 비임이 상기 형광스크린(28)의 최소한 일부에 주사되도록 상기 제1비임 통로를 횡단하는 평면내에서 상기 비임을 편향시키기 위해 제2통로를 따르는 장치(52)를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된 비임의 평평한 디스플레이장치.
KR7602417A 1976-09-28 1976-09-28 가이드된 비임의 평평한 디스플레이장치 KR800001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417A KR800001020B1 (ko) 1976-09-28 1976-09-28 가이드된 비임의 평평한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417A KR800001020B1 (ko) 1976-09-28 1976-09-28 가이드된 비임의 평평한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020B1 true KR800001020B1 (ko) 1980-09-22

Family

ID=1920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2417A KR800001020B1 (ko) 1976-09-28 1976-09-28 가이드된 비임의 평평한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02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8582A (en) Guided beam flat display device
US5083058A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US4088920A (en) Flat display device with beam guide
US4117368A (en) Modular type guided beam flat display device
US4174523A (en) Flat display device
JPS5973837A (ja) 表示装置
US4103205A (en) Flat display device with beam guide
US5130614A (en) Ribbon beam cathode ray tube
US4131823A (en) Modular flat display device with beam convergence
US44220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 focusable beam of electrons from a gaseous hollow-cathode discharge
KR800001020B1 (ko) 가이드된 비임의 평평한 디스플레이장치
US4076994A (en) Flat display device with beam guide
US4143296A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US4099087A (en) Guided beam flat display device with focusing guide assembly mounting means
USRE30195E (en) Guided beam flat display device
US4335332A (en) Focus mesh structure and biasing technique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US4137478A (en) Color flat panel television
EP0631296B1 (en) Flat type picture display apparatus
US4234815A (en) Flat display tube having shielding member between beam guide and screen
US4362966A (en) Electron leakage reduction in flat panel display devices
CA1085443A (en)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0143669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1170705A (en) Crt with quadrupolar-focusing color-selection structure
US4215293A (en) Cadence scanned flat image display device
KR890011000A (ko) 평면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