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003B1 - 골 프 공 - Google Patents

골 프 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003B1
KR800001003B1 KR760002163A KR760002163A KR800001003B1 KR 800001003 B1 KR800001003 B1 KR 800001003B1 KR 760002163 A KR760002163 A KR 760002163A KR 760002163 A KR760002163 A KR 760002163A KR 800001003 B1 KR800001003 B1 KR 800001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ple
dimples
ball
golf bal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02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오 마이클
크리스토퍼 헤인즈 로버어트
Original Assignee
하롤드 아아므스트롱 베닛트
던롭 리미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롤드 아아므스트롱 베닛트, 던롭 리미팃드 filed Critical 하롤드 아아므스트롱 베닛트
Priority to KR760002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003B1/ko

Links

Imag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골 프 공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골프공의 사시도.
제2도는 다른 관점(제1도의 화살표 A에 따르는)으로부터 취한 제1도의 골프공의 사시도.
제3도는 5각형부분내에 특수한 우묵한부분 모양을 2차원적으로 배열한 것을 도시한 것.
본 발명은 골프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골프공의 표면 형상에 관한 것이다.
오랫동안 골프공에는 그 표면에 보조개(dimple)모양, 즉 우묵한 부분을 마련하여 왔다. 왜냐하면 이것이 매끈한 공에 비하여 우수한 기체 역학성을 부여한다는 것이 판명되었기 때문이다.
적당한 기체 역학성과 이에 따른 비행성능을 얻기 위한 우묵한 부분의 크기와 깊이 및 표면상의 우묵한 부분의 배치를 변화시키는 여러가지 노력이 경주되어 왔다.
현재까지는 우묵한 부분이 밀집해 있고 공의 전표면에 걸쳐 가능한한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어야 한다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공의 표면상에 우묵한 부분이 없는 특정한 영역이 마련되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에 다수의 우묵한 부분 즉 보조개를 갖는 구형의 골프공이 마련되는바, 이것은 공의 표면상에 대칭으로 위치한 적어도 12개의 평활 부분을 갖는다.
“평활 부분”이란 보조개부분의 평균 직경의 적어도 반의 폭과 보조개부분의 평균면적의 적어도 2배의 표면적을 갖는 구형 직사각형을 그릴 수가 있되, 이 직사각형에는 보조개부분이나 그의 일부를 포함시키는 일이 없는 공 표면상의 영역을 뜻한다.
구형 직사각형이란 직사각형의 구표면상에 대한 방사상 투영을 의미하며, 따라서 직사각형의 변은 구의 큰원의 호가 된다.
깊이와 폭이란 각각 보다 크고 적은 호의 길이를 의미하나 이들이 동일한 경우 즉 정사각형인 경우는 배제되며 “표면적”이란 직사각형으로 둘러싸인 구 표면의 일부를 뜻한다. “보조개부분의 평균직경”이란 공표면의 모든 보조개부분 직경의 평균치를 뜻하며, 한편 “평균보조개 부분 면적”이란 평균직경을 갖는 보조개부분의 면적을 뜻한다. 즉 (보조개부분의 평균 직경)2×
Figure kpo00001
이다.
직사각형의 폭은 적어도 평균 보조개부분 직경의
Figure kpo00002
이며, 직사각형의 면적은 평균 보조개부분 면적의 적어도 4배 인것이 바람직하다.
평활 부분크기는 다음 조건으로 정의되는 최대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변의 길이가 평균 보조개부분 직경보다 큰 정사각형을 평활 부분 위에 그리기 불가능할 것, 또는
(ii)평균 보조개부분 직경의 적어도 반인 폭과 평균 보조개부분 영역의 8배 이상의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을 평활 부분상에 그리기 불가능할 것.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보조개부분의 형상은 꼭지점이 구표면상에 있는 정 12면체의 변을 구표면상에 투영시킴으로서 생긴 선으로 형성되는 구표면의 12개 영역 각각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12면체의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5각형이 존재한다. 따라서 어떤 평활 부분이 꼭지점이나 면의 중심이나 가장자리의 중간점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이와 같은 시스템을 대칭으로 유지시키는 평활 부분의 바람직한 수는 20, 12 또는 30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12면체 시스템에 있어서 보조개부분 배열 이용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기타 시스템, 즉, 이제까지 제안된 보다 많은 통상적인 보조개부분 배열시스템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는 구의 표면에 20면체나 8면체의 변을 투영시킴으로서 유도되는 공간 배열도 포함된다.
20개의 삼각형 영역을 갖는 20면체의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한 수는 꼭지점, 면의 중심 또는 가장자리 중간점 각각에 있는 부분에 대하여 20 또는 30이다.
8면체 배열에 대하여 바람직한 수는 12이다. (기하학적인 관점에서 볼때에는 물론 8 또는 6이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실제로 요구되는 최소 숫자 이하에 든다).
보조개부분을 영역의 경계선상에 위치시킬 수도 있고, 이선에 보조개부분을 접촉시키지 않을 수도 있으나, 보조개부분 배열이 모든 경계선에 대하여 대칭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개부분의 크기와 형상이 모두 동일할 수 있으나, 크기나 형상이 약간 다른 보조개부분을 마련하는 것이 편리하다. 요구에 따라 보조개부분은 가장자리를 가질 수도 있다.
보조개부분은 평면이 원형이고 그 형상은 구나 타원의 분절과 같은, 공의 반경 주위로 평면 곡선을 회전시킴으로 형성되는 회전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타 형상의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즉, 평면이 계란형이거나 다각형인 외관을 갖는 보조개부분을 마련할 수도 있다.
보조개부분 직경은 공의 크기에 따라 변하나, 평면이 원형인 보조개부분에 대하여는 0.085-0.150인치의 범위, 특히 0.090-0.145인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큰 보조개부분은 직경이 0.110-0.150인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경에 대한 보조개부분 최대 깊이의 비율은 1:6-1:15 예를들면 1:10이다. 따라서 보조개부분 깊이는 0.009-0.014인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보조개부분 깊이” 또는 “최대보조개부분 깊이”란 뜻은 보조개부분의 최저지점을 통과하는 골프공의 반경에 따라 측정한 것을 의미하며, 이 측정은 상기 최저지점으로부터 공 표면의 큰 원을 갖는 보조개부분상의 투영선과 교차하는 지점까지 이루어진 것이다.
보조개부분의 수는 원함에 따라 어떠한 수일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40개의 보조개부분, 480 이하의 보조개 부분을 가져서 예컨대 공에는 360개의 보조개부분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개부분의 최적수는 물론 사용되는 보조개부분의 크기에 따라 변한다. 대부분의 보조개부분 배열은 결과적으로 전체 보조개부분 영역이 공표면의 약 50-60%이어서, 예컨대 1.62인치 공위에 있는 240×0.150인치 보조개부분은 약 51%를 차지하며, 한편 480×0.110인치의 보조개 부분은 약 55%를 이룬다. 이 수치는 제한을 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골프공의 표면은 관습상 두부분의 주형으로 성형되어 결과적으로 두주물사이의 접합되는 곳에는 봉합성이 보이게 된다. 실제로 반쪽씩의 주형은 반구형이며 따라서 이 봉합선은 구의 대형의 원이며, 실제적으로는 이와 다른 형상의 봉합선을 이루도록 주형을 건조하는 것은 지극히 어려운 문제점을 제공한다. 봉합선은 공 표면상의 어떠한 보조개부분도 통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제로는 상기한 것이 허용되도록 보조개부분을 배열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의 보조개부분 형상은 직경이 1.62인치 또는 1.68인치 또는 어떠한 중간이나 기타크기의 골프공 표면에는 적용할 수 있다.
골프공의 제조법도 역시 어떠한 통상의 것도 이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이 공은 단일구조 즉 적당한 고무나 또는 플라스틱 조성으로부터 성형된 단일편으로 될 수 있다. 이것은 카바내에 싸인 단일구조의 심을 갖는 2편으로 된 공일 수도 있고 또는 보호구조로 둘러싼 다중구조의 심을 가질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공들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당하다.
공이 심주위에 별도로 적용되는 카바를 가지는 형태의 것인 경우, 이 카바(cover)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물질, 예를들면 발라타, 굿타 펠카, 합성 트랜스-폴리이소프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및 이들 물질의 혼합물 등 어떠한 것으로도 성형될 수 있다. 카바도 어떠한 통상의 방법으로도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이것은 두개의 분리된 반구형으로 성형된 다음 심주위에 압축 성형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이것은 단일 조작으로 심주위에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보조개부분 형상은 심주위에 카바를 성형하는 중(또는 단일편의 공인 경우에는 단일구의 성형중에)역으로된 보조개부분 모형을 갖는 적당한 형상의 음성 주형을 사용함으로서 형성되며, 이것을 골프공 제조의 분야에 있어서 대단히 통상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면에 의하면 12개의 대칭으로 위치한 평활부분의 골프공 보조개부분 형상을 부여하는 모형을 갖는 주형 표면이 있는 골프공 주형이 제공된다.
원하는 보조개부분 형상을 갖는 성형된 공은 다음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페인트칠을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되는 조성물을 적당히 배합시킴으로서 페인트칠이 불필요하기도 하며, 이 방법은 상기한 일체로된 골프공에 대하여 특히 잘 공지된 실질적인 방법이다.
본 발명을 설명을 위한 다음의 첨부도면을 기준으로하여 설명하고져 한다.
골프공(1)(제1도와 2도)에는 보조개부분(3)이 있으며 12개의 인접하는 구형의 정 5각형(점선 2로 표시된 것)으로 형성되는 12개의 표면 영역 각각내에서의 보조개부분의 배치는 동일하다.
각개의 보조개부분은 구의 분절(segment)형상으로 된 우묵한 부분이다.
(구형의 5각형이란 구표면 상에 그려진 5개의 큰원으로 둘러 싸인 구의 표면상의 형상으로서 정의된다. 구형의 정 5각형이란 내각이 동일하고 변의 길이가 동일한 구형 5각형이다).
보조개부분의 배열은 30개의 영역이 공 주위에 대칭적으로 위치되도록 도면상에 구형 5각형의 변 중간 지점상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평활부분(4)가 마련되도록 되어있다. (편의상 일점쇄선의 직사각형은 평면 투영으로 도시되었다.)
각각의 5각형내의 보조개부분의 배열은 제3도에 상세히 도시한 평면배열의 투영이다. 5각형의 윤곽선(10)은 서로 상이한 크기의 보조개부분(11), (12), (13), (14)를 포함하고 있다. 점선은 공의 봉합선에 대한 가능한 위치를 나타내며, 공 표면상에 10개의 이와같은 원이 존재한다. 즉 10개의 대칭면이 존재한다.
도면에 도시한 보조개부분 모양은 여러가지의 가능한 배열중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로서 설명하고져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골프공은 제1도, 2도 및 3도에 도시한 보조개 부분 모형을 갖게 제조되었다. 보조개부분의 깊이는 0.011인치하고, 보조개 부분의 수와 직경은 다음과 같다.
(보조개부분 기준번호는 제3도를 기준)
Figure kpo00003
따라서 보조개부분의 전체는 360이고 보조개부분의 평균직경은 0.125인치이며, 평균 보조개부분 면적(앞에서 정의한)은 0.01228평방 인치였다. 도시한 바와같이 도면에는 30개의 평활 부분이 있었다. 평활부분에 들어맞는 최대의 직사각형, 즉 6개의 인접하는 보조개부분에 변이 접하는 직사각형의 크기는 0.107인치×0.46인치이다. 즉, 폭이 보조개부분 직경의 0.856이며 면적은 평균 보조개부분 영역의 4.01배이었다. 볼들은 비행시험(flight test)가 상에서 시험하였을 때 공기를 통과하는 여행거리에 따르는 이들 공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교비행시험을 행하였다. 비교의 표준은 8면체상을 근거로한 보조개부분 모형으로 제조한 공이었다. 이와같은 모형은 오랫동안 “통상적인 것”으로서 확립되었으며, 현재 세계적으로 제조된 골프공의 대부분은 이와같은 모형을 배합하여 제조되나, 제작자에 따라 보조개부분의 전체수, 깊이 및 직경이 다양하다.
본 명세서에서 비교시험을 목적으로한 표준공은 336개의 보조개부분으로 구성된 통상의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32개의 보조개부분을 제외한 모든 보조개부분은 직경이 0.130인치(32개는 0.110인치의 직경)이었다. 한 표준공의 경우 각 보조개부분의 깊이는 0.011인치이었고, 다른 경우 각 보조개부분의 깊이는 0.013인치이었다. 0.013인치의 깊이는 현재 온 세계에서 통상의 모형으로 제조된 골프공에 대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모든 공은 1.62인치의 직경이었으며, 액체중심을 사용하여 천연고무와 씨스-폴리이소프렌 혼합물을 기저로 하는 고도로 연신된 실을 감아서 제조되었다. 카바는 이오노머와 EVA와의 90/10혼합물로부터 성형되었다. 각 경우 통상적인 제조과정이 이용되었다. 공의 압착성을 측정하였다. 즉 100ℓbf의 하중하에서의 공의 변형 (
Figure kpo00004
인치로)을 측정하였다. 다음에 공을 비행시험하였다. 이 시험은 골프공의 비교시험용으로 특별히 고안된 비행시험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근본적으로 이 기계는 제1번 우드 클럽(Wood club)의 공을 치는 움직임을 모방하고, 연속적인 골프공들에게 지속적이고 정확한 반복성 충격을 부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클럽의 끝이 정지된 공을 때릴 때의 속도는 중량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으며, 시험에서 사용된 속도는 158.5ft/sec이었다.
골프공의 비행거리는 비행영역에 미리 위치한 다수의 표적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볼이 착지하는 지점을 관찰함으로서 육안으로 측정하였다.
시험결과가 표 1에 나타나 있다. 바람등의 외부적인 인자가 일련의 시험때마다 변화될 것임으로 따라서 시험 I의 결과는 시험 II의 결과와 직접 비견될 수는 없다.
[표 I]
Figure kpo00005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여 2야드의 비행거리가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한 바와같이, 표면에 다수의 보조개(dimple) 모양의 우묵한 부분을 갖고 있는 구형의 골프공에 있어서, 이 골프공은 공표면에 대칭으로 위치한 적어도 12, 20 또는 30개의 평활부분을 가지며, 이 평활부분은 구형의 직사각형을 그릴 수 있는 공표면의 영역으로서 보조개부분 평균직경의 적어도 반인 폭과 보조개부분 평균면적의 적어도 2배인 표면적을 가지며, 상기 직사각형은 어떠한 보조개부분이나 그의 일부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KR760002163A 1976-09-01 1976-09-01 골 프 공 KR800001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2163A KR800001003B1 (ko) 1976-09-01 1976-09-01 골 프 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2163A KR800001003B1 (ko) 1976-09-01 1976-09-01 골 프 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003B1 true KR800001003B1 (ko) 1980-09-19

Family

ID=1920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02163A KR800001003B1 (ko) 1976-09-01 1976-09-01 골 프 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0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8733A (en) * 1989-08-10 1991-03-12 Heubg-Ah Tire & Rubber Co., Ltd. Golf ball
US5062644A (en) * 1989-11-06 1991-11-05 Accufar Golf Co., Ltd. Golf ball
KR100958186B1 (ko) * 2008-05-26 2010-05-17 정영용 골프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8733A (en) * 1989-08-10 1991-03-12 Heubg-Ah Tire & Rubber Co., Ltd. Golf ball
US5062644A (en) * 1989-11-06 1991-11-05 Accufar Golf Co., Ltd. Golf ball
KR100958186B1 (ko) * 2008-05-26 2010-05-17 정영용 골프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2727A (en) Golf balls
CA2100712C (en) Golf ball dimple pattern
US4880241A (en) Golf ball
US4858923A (en) Low trajectory long distance golf ball
CA2026800C (en) Golf ball
US4915390A (en) Golf ball
CA2037971C (en) Golf ball
US4925193A (en) Dimpled golf ball
US7594867B2 (en) Surface pattern for golf balls
CA2013699C (en) Dimple pattern
US4804189A (en) Multiple dimple golf ball
US4949976A (en) Multiple dimple golf ball
US5060954A (en) Multiple dimple golf ball
US5087049A (en) Golf ball
US5009427A (en) Golf ball
US4886277A (en) Golf ball
JP3546713B2 (ja) ゴルフボール
US5062644A (en) Golf ball
US4960283A (en) Multiple dimple golf ball
JPH0520113B2 (ko)
CA2041067C (en) Golf ball
JP2844874B2 (ja) ゴルフボール
US6821215B2 (en) Golf ball
KR800001003B1 (ko) 골 프 공
US6939252B1 (en) Golf ball with three dimple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