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917B1 - 화재 검지장치 - Google Patents

화재 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917B1
KR800000917B1 KR760001815A KR760001815A KR800000917B1 KR 800000917 B1 KR800000917 B1 KR 800000917B1 KR 760001815 A KR760001815 A KR 760001815A KR 760001815 A KR760001815 A KR 760001815A KR 800000917 B1 KR800000917 B1 KR 800000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output
pulse
detection
shift reg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01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쓰시 미야베
Original Assignee
고지마 히로이찌
호오지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마 히로이찌, 호오지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지마 히로이찌
Priority to KR760001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91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재 검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 검지장치와 블록다이어그램이며,
제2도 및 제3도는 화재 발생시와 화재발생이 아닌 경우와를 식별하는 시간도표이고,
제4a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한 블록다이어그램이며,
제5도 및 제6a도는 화재발생과 화재발생이 아닌 경우의 원인을 식별하는 시간도표이고,
제7도는 제4a도의 회로에서 사용된 래치(latch)회로이고,
제8도는 제7도의 래치회로에 관련되는 진리표이고,
제4b도는 제4a도에 표시된 블록다이어 그램의 회로이고,
제4c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한 실시예의 회로도이고,
제6b도는 제4c도에 표시된 장치의 시간도표이고,
제9도는 검지펄스와 그 검지펄스를 공급하는 원인과의 사이에 관련되는 통계의 본보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관측기간중에 화재 감지기로 부터 경보신호의 예정된 수가 나오도록 하므로써 실제경보와 잘못된 경보를 구별하는 화재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재경보장치는 미국특허 3,842,409호에 게재되어 있으며, 이 화재감지기의 측정출력은 연속 펄스로변환되어 그 출력을 공급하기 위한 쉬프트레지스터를 작용시킨다. 이 화재 경보장치는 충전과 방전을 독립적으로 반복하는 콘덴서를 사용하여, 상승된 전위를 쉬프트레지스터의 데이터 터미널에 공급하므로써 화재감지기의 측정출력이 콘덴서를 방전시키는 도선을 폐성하여 그 상승된 전위가 데이터 터미널에서 계속해서 변하지 않도록 한다음 쉬프트레지스터에 있는 데이터가 클록펄스를 받으므로써 출력을 공급하게 될때까지 변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 경보장치는 비록 이 화재감지기가 측정출력을 급송한다 할지라도 화재발생으로 인한 것과 화재이외의 다른 요인으로 인한 것을 식별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감지기에서 얻어지는 펄스를 계수하는 장치와 검지관측 시간을 제한하고 반복하는 장치에 의해서 화재발생으로 인한 감지기의 측정출력과 화재이외의 다른 요인으로 인한 감지기의 측정출력을 구별하는 화재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지관측 시간을 제어하는 계수기 또는 쉬프트레지스터와 같은 계수장치와 또한 화재감지기에서 얻어지는 펄스를 계수하는 계수기 또는 쉬프트레지스터와 같은 다른 계수장치를 사용하는 화재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검지관측 시간을 제어하는 계수장치와 화재감지기에서 얻어지는 펄스를 계수하는 장치를 함께 작동시키기 위하여 공통발진기를 사용하는 화재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여기서, 펄스계수장치는 발진기의 클록펄스를 받는 AND 게이트에서 공급되는 것과 같은 검지펄스를 계수하고, 또 검지관측 시간에 대응하는 펄스의 수 N1과 상기 펄스계수용 계수장치에 공급되는 검지펄스인 펄스의 다른 수 N2사이의 예정관계에 따라 화재발생시의 원인과 그 이외의 원인을 식별하기 위해 감지기에서 공급되는 측정출력을 계수한다.
현장에서 실제로 화재 발생으로 인해 화재감지기로 부터 공급되는 측정출력과 화재이외의 다른 요인으로 인해 화재감지기로 부터 공급되는 측정출력을 식별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화재발생에 따른 현상은, 화재시 또는 흡연시에 발생하는 연기, 화재시 또는 물이 비등할 때 발생하는 수분자 그리고 화재에서 또는 통상적으로 히이터 또는 가열장치의 사용에서 발생하는 열등과 같이, 화재 이외의 요인으로 인한 것을 포함하고 있거나 그것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제9도에 표시된 통계 분석에 의하면, 그와같은 확실한 원인의 식별은 검지관측 시간의 길이를 예정 검지관측시간내에 적당수의 펄스와 조화시키므로써 가능한 것이다. 예컨데, I의 경우는, 고주파 전자간섭에 의하여 측정출력이 공급되는 화재감지기를 나타낸다;
교류의 유도가 감지기 근방에서 일어났을때 다른 유사한 출력이 측정되었다. II의 경우는, 강한 공기가 유리창 또는 공기조절 도관으로 부터 감지기를 강타했을때, 측정출력이 얻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또 III의 경우에는 실내의 먼지를 털었을때나 많은 사람이 담배를 피웠을때 공기의 부동이 감지기 근방에서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마지막인 IV의 경우는 화재가 실제로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다. 샘플링 펄스 “a”가 감지기의 측정출력을 검지펄스로 변환시킬때, 화재가 아닌 다른 원인은 화재에 비하여 짧은 시간 존재하거나 지속적인 물리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그와같은 검지펄스는 화재에 의하여 얻어지는 수 보다 적은 수로 얻어진다. 이리하여, 만약 그러한 검지펄스의 계수가 예정검지관측 시간내에 제안된다면, 화재로 인한 화재감지기의 측정출력은 화재이외의 다른 요인에 의한 것과 식별될 수가 있다.
도면에 따라 아래에 상세히 설명하면,
제1도에 있어서는, 물리적변화량이, 화재경보를 발하는 예정된 준위, 예를들면, 화재로 부터 발생된 연기나 그밖의 연소물질의 예정된 준위, 에 달하면 검지기(1)가 전기출력을 공급한다. 검지기는 종래의 전리실 감지기, 광점감지기, 개스검지기등과 같은 것을 측정장치로 사용한다.
발진기(2)는 제2,3,5,6a,6b 및 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a”를 공급한다.
발진기(2)로부터 펄스 “a”를 받고 또 예정된 물리적 변화량에 따라 검지기(1)로부터의 출력을 받는 AND 게이트(3)는 그 두입력이 들어갈때 검지출력 “b”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펄스 “a”와 동일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이 검지출력 “b”는 N 코우드화 된 계수기(4)(그 출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N펄스 수가 필요하다)로 들어가고, 또 한편으로는,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를 기동시킨다.
N 코우드화 된 계수기(4)에서 계수작동을 반복하기 위하여 관측주기를 설정하도록 작동하는 이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는 제2 및 제3도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관측주기 동안 연속출력 “c”을 보내므로써 관측주기가 끝날때마다 N-코우드화 된 계수기(4)가 리세트되도록 작동한다. 이리하여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의 기능이 검지관측 시간 T를 제한하려 유지시키며, 이 시간내에 검지기(1)가 화재경보를 발하기 위한 예정된 물리적 변화량에 따라 AND 게이트(3)를 통해서 검지펄스 “b”를 계속적으로 공급하여야 한다. 검지관측시간(T)은 예컨대, 1초-10초 범위의 펄스간격을 갖는 펄스 “a”를 사용할 때에는, 통상 통계결과에 따라 5초-30초 범위이다.
화재의 발생 또는 화재외의 다른 원인은 검지펄스 “b”의 바람직한 수와 검지관측시간(T)의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확실하게 식별된다. 펄스 “a”의 펄스간격이 2초이고 N-코우드화된 계수기(4)로 부터 출력을 공급하는데 4개의 펄스가 필요하다고 하자. 만약 연속 4개 펄스가 계수된다면, N-코우드화된 계수기 출력 “d”를 발송한 후에 N-코우드화 된 계수기(4)를 리세트하기 위한 검지관측시간(T)은 약 7초가 된다.
N-코우드화 된 계수기(4)가 제1펄스를 수신한 후 계속적으로 3개의 펄스를 계수할때, 출력 “d”는 제1펄스가 들어갈때부터 6초의 계수시간 경과후 그로부터 공급된다.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는 출력 “d”가 N-코우드화 된 계수기(4)에서 공급된 후 약 1초후에 연속출력 “c”를 N-코우드화 된 계수기(4)에 공급하기 위하여 정지된다. 이리하여 출력 “d”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펄스형태가 된다.
이와같이 펄스형태로 된 출력 “d”는 화재경보를 발하기 위하여 스윗칭회로(8)를 계속적으로 작동시킨다. 이 예에 있어서 화재경보를 발하는 조건으로 검지관측시간(T)(제3도)인 약 7초내에 2초의 펄스간격을 가진 연속 4개 펄스 “b”를 계수할 수 있도록 제시한다.
리세트 펄스 제네레이터(6)는 전원공급이 이루어질때, H(=1) 레벨의 리세르펄스를 발생하도록 사용된다.
이 회로는 입력단자(+B), 콘덴서(C) 및 레지스터(R)로 구성되어 있다. 이 리세트펄스는 리세트하기 위하여 N-코우드화된 계수기(4)에 출력단이 접속된 OR게이트(7)에 인도된다.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의 출력 “c”도 또한 OR게이트(7)에 인도된다. 검지관측시간(T)내에 AND게이트(3)로 부터 공급되는 연속펄스 “b”의 수가 예정수보다 적을경우, N-코우드화 된 계수기(4)는 출력을 발생하지 않고, 후에 모노-멀티바이브 레이터(5)의 출력 “c”의 정지에 따라 그 출발상태로 돌아가기 위해서 리세트한다. 이리하여, 화재감지기가 검지펄스를 내도록 하는 어떠한 원인도 화재가 실제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만족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요인으로 인한 펄스의 수는 화재(제2도)에 대응하는 예정수보다 항상 적기 때문이다.
어떠한 원인이 발생한 후 곧 계속하여 증가된 물리적 변화량에 따라 연속펄스 “b”를 공급하는 경우에 N-코우드화된 계수기(4)는 출력 “d”를 생성하는데, 이는 예정수의 입력펄스가 모노-바이브레이터(5)에 의하여 주어진 검지관측시간(T)내에 N-코우드화 된 계수기(4)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그러한 원인은 연속펄스 “b”의 예정수에 따라 화재로서 확실하게 식별된다.
이렇게해서 생성된 출력 “d”는 시간(T)이 경과한 후 곧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의 전압공급 “c”가 N-코우드화된 계수기(4)를 리세트할 때, 제3도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펄스형태를 갖춘다. 스위칭회로(8)는 출력 “d”가 가하여짐에 따라 화재경보를 발하도록 하는 출력 “e”를 생성한다.
제4a도에 나타낸 화재검지장치는, 검지관측시간 T를 제공할 목적으로,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 대신에 N+1 코우드화된 계수기(11)를 사용한다.
AND 게이트(10)는 발진기(2)의 펄스 “a”와 또한 래치회로(9)의 출력 “c′”를 받은 다음, 펄스 “a”에 유사한 다른 펄스 “d′”가 그 AND 게이트(10)로 부터 N+1 코오드화 된 계수기(11)에 공급됨으로써, N+1 코우드화 된 계수기(11)에서 계수가 정확히 반복되도록 한다. 이 래치회로(9)는, AND 게이트(3)에서의 연속펄스 “b”중 제1펄스의 입력에 의하여 통전되고, 이에 대하여 이 제1펄스가 동시에 N코우드화 된 계수기(4)에 들어간다.
따라서 이 장치에 있어서의 검지관측 시간(T)은 제1검지 펄스 “b”가 래치회로(9)로 들어갈때 시작되어 N+1개의 클록펄스를 받음에 따라 래치회로(9)가 N+1 코우드화된 계수기(11)에서 발생된 리세트 출력에 의해 리세트될때 끝나도록 되어있다.
N 코우드화 된 계수기(4)가 검지관측시간(T)내에 예정수로 검지펄스 “b”를 예정수만큼 받을때에는, 그 계수기의 출력 “g”가 스위칭회로(8)에 공급되므로써 이 스위칭회로와 결합된 화재경보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스위칭회로로 부터 출력 “h”가 공급된다.
N+1 코우드화된 계수기(11)에서 공급되는 리세트펄스 “e′”는 지연회로(12)를 통해서 지연된 펄스 “f”로 변환된 후, 이 지연된 펄스 “f”가 N+1 코우드화 된 계수기(11), N 코우드화 된 계수기(4) 및 래치회로(9)를 리세트한다. 지연회로(12)는 계수기(11,4)와 래치회로(9)를 리세트하는데 충분한 만큼 긴 지연출력 “f”를 만든다.
검지기(1)가 화재이외의 어떤 요인으로 인한 예정수 N보다 적은 수로 펄스 “b”를 만들기 때문에, N코우드화 된 계수기(4)는 제5도의 출력 “g”를 공급하지 않는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으로 인해 계속적으로 증가된 물리적 변화는 검지기(1)가 항상 예정수 N보다 크거나 같은 수로 펄스 “b”를 만들도록 하여 N 코우드화 계수기(4)가 출력 “g”를 공급할 수 있게 하므로써 화재경보를 발하도록 한다(제6a도).
화재이외의 다른 원인과 화재발생시의 원인을 확실하게 식별하는 것은, 경보를 발할 수 있게되기 전에 시간(T)동안에 반복되도록 요구되는 펄스 “b”에 의해 화재검지장치에서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래치회로(9)와 그의 작용상태는 제7 및 8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회로는 세트 터미널(SET 혹은 S), 리세트터미널(RESET 혹은 R) 및 한쌍의 출력터미널(Q 및
Figure kpo00001
)를 가지고 있다. 제8도의 진리표는(S)에서의 입력 [H(=1)]과 (R)에서의 입력 [L(=O)]은 (Q)에서 (H=1)을 발생시키고, (S)에서의 입력(L=O)과 (R)에서의 입력(H=1)은 (Q)에서 (L=O)를 발생시킨다고 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S)에서의 입력(L=O)과 (R)에서의 입력(L=O)의 경우에는, (Q)와 (
Figure kpo00002
)가 어떤 특징상태에 있다는 것을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변화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하려는 것이다. 본 장치에서는 출력터미널(
Figure kpo00003
)은 사용되지 않는다.
리세트펄스 제너레이터(6)가 콘덴서 C와 레지스터 R의 위치를 서로 바꾸도록 변형된다면, 리세트펄스는 L(=O) 레벨로 얻어진다.
H레벨 또는 L 레벨의 사용은 거기에 사용되는 계수기의 특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제4a도의 블록다이어그램 회로로 부터 설계된 회로를 나타내는 제4b도에 있어서, 스위칭회로(8)는, 릴레이(14)와 사이리스터(15)를 가진 릴레이선(16)과, 사이리스터(15)를 기동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17)를 가진 트리거선(18)을 구비하고 있다. N코우드화 된 계수기(4)는 출력단(Q3)에서 트리거선(18)에 접속하다. N+1코으드화 된 계수기(11)의 출력단(Q4)과 N 코우드화 된 계수기(4)의 리세트 터미널(RST) 사이에는, 레지스터(19)와 콘덴서(20)를 갖추고 있는 한쌍의 인버어터(21,22)를 구비한 지연회로(12)가 있다.
화재검지장치가 예를들어 안전실 등과 같은 열이 존재하지 않는 특정지역을 관측하기 위해서 사용될 때에는, 각각의 N 또는 N+1 코우드화 된 계수기에 필요한 펄스 수 사이에 큰 차이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펄스간격이 매우 짧은 10개의 클록펄스 “a”가 검지관측시간(T)을 제한하기 위하여 N+1코우드화 된 계수기(11)에 할당되고, 3개 펄스는 화재경보를 발하기 위한 출력 “g”를 공급하기 위하여 N코우드화 된 계수기(4)에 할당된다. 그래서 검지관측시간마다 3개의 펄스를 계수하는 펄스신호를 사용함으로써, AND게이트(3)에서 공급되는 검지펄스 “b”는 연속 또는 불연속이 될 수 있다. N코우드화 된 계수기(4)가 상기 시간(T)내에 예정된 것과 동일한 3개 펄스를 계수한 후, 출력 “g”가 화재경보를 발하기 위하여 그로 부터 공급될 수 있다.
화재초기단계 동안에는 물리적 변화가 계속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연속 또는 불연속 검지펄스 “b”는 상기 시간(T)내에 3개 펄스가 계수되는가 안되는가 하는 방법에 따라 그러한 특정지역에서의 화재발생과 화재 이외의 경우에는 그 경우의 원인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은 화재의 최초 단계를 검지하는데 일반적으로 유용하다.
제4c도에 있어서, 회로는 검지관측시간(T)을 제거하기 위한 제1시프트레지스터(11′)와 예정수로 검지펄스를 계수하기 위한 제2 시프트레지스터(4′)를 사용한다. 전리실연기감지기(1′)는 연기검지장치로서 사용되며, 외부전리실(1a)과 내부전리실(1b)(혹은 단일 전리실 식감지기를 사용해도 된다)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감지기(1′)는 보통 교류가 아닌 d.c. 전류로 작동된다. 감지기(1′)의 중간전극(1c)에 게이트가 접속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는 보통의 AND 게이트 소자(3)대신에 AND 회로(3′)로서 작용한다. 전리실의 측정출력이나 광전화재 감지기에 사용되는 광전트랜지스터의 측정출력은 통상 매우 약하여 상당한 고출력을 얻도록 증폭되어야 하기 때문에, 교류나 고주파 전자방해의 유도로 인하여 발생되는 어떠한 잡음도 동시에 증폭됨으로써 잘못된 화재경보가 그와같이 증폭된 잡음에 따라 발하여지도록 한다. 그러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를 사용하는 AND 게이트회로(3′)는 어떠한 잡음의 효과라도 제거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발진기(2)의 클록펄스 “a”는(FET)와 제1시프트레지스터(11′)로 들어간다. 전리실에서의 예정된 물리적 변화량을 나타내는, FET의 게이트에 있어서의 전위변화가 클록펄스 “a”와 동시에 일어나면, 이 FET는 검지펄스(혹은 펄스들) “b′”를 공급한다.
이 검지펄스(혹은 펄스들) “b′”는 파형 형성회로(3a)(한쌍의 인버어터로 구성됨)을 통하여 제2시프트레지스터(4′)의 클록터미널(CL2)로 들어가고, 또한 제1시프트레시스터(11′)의 데이터터미널(D1)로 들어간다. 다른 한편, 클록펄스 “a”는 레지스터와 콘덴서를 사이에 포함한 한쌍의 인버어터를 갖춘 보조지연회로(11′a)를 통하여 제1시프트 레지스터의 클록터미널(CL1)로 계속적으로 들어간다.
검지관측시간(T)은 FET로 구성된 AND게이트(3′)에서 공급된 제1검지펄스 “b′”가 제1시프트레지스터(11′)의 데이터터미널(D1)으로 들어갈때 시작된다. 예정수 N1의 이 관측시간(T)은 제1시프트레지스터(11′)가 그 출력을 내는데 필요한 클록펄스에 의해 제어된다. 검지관측시간(T)내에 AND 게이트(3′)에서 공급될 수 있는 검지펄스(혹은 펄스들) “b′”는 제2시프트레지스터(4′)의 클록터미널(CL2)로 들어감으로써 데이터터미널이 다음 위치로 편이되도록 한다.
제2시프트레지스터(4′)에 대한 이 데이터터미널은 항상 제2정전압회로(23)의 출력(Y′DD)에서 데이터터미널(D2)로 공급된다.
제2시프트레지스터가 검지관측 주기를 반복하기 위하여 클록펄스 수(N1)의 시간내에 N2나 그 이상 수의 검지펄스 “b′”를 받은때에는, 제2시프트레지스터(4′)는 출력단(Qn2)에서 자신의 출력 “g′”를 공급한다. 만약 시프트레지스터(4′)가 예정수(N2)로 검지펄스를 입력하지 않는다면, 이 레지스터는 검지관측시간(T)이 경과된 후 제1시프트레지스터(11′)의 출력단(QN1)에서 공급되는 출력에 의하여 리세트 된다. 즉 레지스터와 캐패시터를 포함한 OR 게이트(12a) 및 인버어터(12b)를 가진 지연회로가, 출력단(QN1)의 출력 “e″”를 지연시켜 리세트펄스 “f′”를 만들도록 한다음, 이 리세트펄스 “f′”가 리세트터미널(RST2)로 들어가서 제2시프트 레지스터(4′)를 소거한다.
제2시프트레지스터(4′)가 예정수 N2로 검지펄스 “b′”를 받을 때에는 이 레지스터의 출력 “g′”가 트랜지스터(17)로 들어갈뿐만 아니라, 지연회로(12′)에 의해 지연된 후에 자신을 리세트하기 위해 OR게이트(12a)로도 들어간다. 이 지연회로(12′)는 지연시간 때문에 제1 및 제2시프트레지스터(11′) 및 (4′)를 둘다 리세트하는데 특히 유효하다. 한편, 라인(18)을 통해서 출력 “g′”를 받은 후 트랜지스터(17)는 사이리스터(15)를 기동시키므로써 릴레이(14)를 작동시킨다.
이 회로는, 트랜지스터(23a), 제너다이오드(23b) 및 콘덴서(23c)로 구성된 제2정전압회로(23)를 사용하므로써 여기에 사용되어 있는 C-MOS에 적합한 전원(V′DD)을 만든다. 이 전압(V′DD)을 제1차 전원의 전압(VDD)보다 낮기 때문에 각 C-MOS의 스위칭작용은 보다 빨라질 수 있다. 전 C-MOS에 대한 배선은 도시되어 있지않다.
제6b도는 제4c도의 회로에 관한 시간도표를 나타내며 예컨데, 발진기(2)의 클록펄스 “a”가 펄스길이 300마이크로 초를 갖고 펄스간격 5초를 갖는 것을 제공한다. 화재가 발생하고 특히 화재발생직후 연기에 의해 물리적인 변화가 계속해서 일어나는 경우(A)에 있어서는, 검지기(1)가 화재경보를 발하기에 적합한 예정 레벨이상의 물리적 변화를 계속해서 측정함에 따라, AND 게이트(3′)가 예정수(N2)(도표에서는 연속 3개의 검지펄스)로 검지펄스 “b′”를 연속해서 공급한다.
한편, 클록펄스 “a”는 보조지연회로(11′a)에 의하여 검지펄스 “b′”에 비해 지연시간(80마이크로초)을 갖는 지연된 펄스 “c″”를 만든다. 검지펄스 “b′”는 제1시프트레지스터(11′)의 데이터터미널(D1)로 들어갈뿐만 아니라, 제2시프프레지스터(4′)의 클록터미널(CL2)로 들어가므로써 출력단(QN2)에서 출력 “g′”를 공급하기 위하여 데이터터미널(D2)에 존재하는 데이터가 계속적으로 편이되도록 한다. 한편, 지연된 펄스 “c″”는 제1시프트레지스터(11′)의 출력단(QN1)에서 출력 “e″”를 발생시키고, 다음에 이 출력 “e″”가 지연시간(500마이크로초)을 갖는 지연된 출력 “f′”로 변환된다. 이리하여 제2시프트레지스터(4′)의 출력 “g′”와 제1시프트레지스터(11′)의 출력 “e″”는 지연된 출력 “f′”에 의하여 리세트된다.
출력 “g′”의 길이는 지연시간(500마이크로초)와 동일하다. 500마이크로초 길이를 가진 펄스출력 “g′”는 트랜지스터(17)에 의하여 증폭된 후 사이리스터(15)를 계속적으로 기동시킨다. 통상 사이리스터를 기동시키는데 필요한 100마이크로초의 입력시간은 500마이크로초의 펄스길이로 충분히 만족될 수 있다.
B의 경우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실내의 먼지를 털거나 흡연을 하는 경우와 같이 우연히 공기의 부동이 증가하다가 곧 감소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와같은 요인은 화재로 인한 것이 아니며 AND게이트(3′)는 예정수 N2(3개의 펄스보다 적은 2개 펄스가 여기에 고정되어 있다)에 도달하는 검지펄스 “b′”를 공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2시프트레지스터(4′)는 출력 “g′”를 공급하지 않는다. 한편, 검지펄스 “b′”(80마이크로초의 지연시간)에 비해 지연된 클록펄스 “c″”가 제1시프트레지스터(11′)에 들어가므로써 검지관측시간(T)(10초)이 경과된 후 출력 “e”를 그로 부터 공급하고, 이 출력은 지연된 출력 “f′”(500마이크로초의 지연된 시간)로 변환됨으로써 지연된 출력 “f′”가 잇따라 출력 “e″”를 정지시키며, 동시에 제2시프트레스터(4′)를 소거시킨다. 따라서 사이리스터(15)는 통전되지 않는 상태로 남고, 화재경보가 발하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Claims (1)

  1. 화재 감지시 출력 공급용 화재 검지수단(1′), 일련의 발진기 펄스신호 공급용 발진기 수단(2), 화재 검지수단의 출력 및 발진기 펄스신호가 있을때 경보 펄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화재검지수단에 연결된 제1입력(1c) 및 발진기에 연결된 제2입력(a)을 갖춘 AND 회로수단(3′), 상기 경보펄스를 수신하고 이 경보펄스의 예정수를 수신후 출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AND 회로수단(3′)에 연결된 입력을 갖춘 계수수단(11′), 계수수단(4′)의 출력을 수신시 화재경보를 발하기 위하여 계수수단(4′)에 연결된 화재경보수단(14)등을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검지장치.
KR760001815A 1976-07-24 1976-07-24 화재 검지장치 KR80000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1815A KR800000917B1 (ko) 1976-07-24 1976-07-24 화재 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1815A KR800000917B1 (ko) 1976-07-24 1976-07-24 화재 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917B1 true KR800000917B1 (ko) 1980-09-10

Family

ID=1920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01815A KR800000917B1 (ko) 1976-07-24 1976-07-24 화재 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91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6574A (en) Fire detection system
ES8103422A1 (es) Procedimiento y disposicion de circuito para la comprobacionde la entrada y-o la salida de un vehiculo,en especial de unvehiculo de trafico rodado,en y respectivamente de una zona de control fijada
GB2169401A (en) Light-attenuation type fire detector assembly
US4300099A (en) Fire detecting system
US4736105A (en) Flame detector system
US3699432A (en) Electrical shock hazard detection system with station scanning and indicating means
US4193069A (en) Latching alarm smoke detector
KR800000917B1 (ko) 화재 검지장치
CA1079417A (en) Smoke detector
US4335378A (en) Timed dual comparator alarm
US4506161A (en) Smoke detector with a radiation source operated in a pulse-like or intermittent mode
US3706961A (en) Automatic alarm system
US4150370A (en) Smoke detector
JPS59878B2 (ja) 感知器
ATE20398T1 (de) Rauchdetektor.
US3315244A (en) Alarm devices
US3628142A (en) Sliding interval event detector
RU2217796C2 (ru) Дымовой пожарный извещатель
GB1463753A (en) Device for use in a monitoring system for ascertaining the presence of a flame in a burner
SU812191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механи-чЕСКОгО шуМА уСТАНОВКи
JPS54111299A (en) Erroneous function preventing circuit of smoke detector
JPH06325269A (ja) 紫外線式感知器
SU553642A1 (ru) Пожарный извещатель
US3576440A (en) Pulse circuit for radiac sets
SU38953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ВОЖ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р,-'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