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681B1 -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의 편향장치(偏向裝置) - Google Patents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의 편향장치(偏向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681B1
KR800000681B1 KR7601182A KR760001182A KR800000681B1 KR 800000681 B1 KR800000681 B1 KR 800000681B1 KR 7601182 A KR7601182 A KR 7601182A KR 760001182 A KR760001182 A KR 760001182A KR 800000681 B1 KR800000681 B1 KR 800000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horizontal
magnetic field
vertical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1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오 기꾸찌
야스유끼 오오미찌
오사무 데라사끼
고오이찌 사까이
Original Assignee
이와마 가즈오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마 가즈오,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to KR7601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의 편향장치(偏向裝置)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의 편향장치에 의한 수평편향 자계(磁界) 및 수직편향자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종래의 편향장치에 의한 미스콘버젼스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미스콘버젼스가 보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종래의 편향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그 관축(管軸)방향에 있어서의 편향자계의 분포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편향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관축방향에 있어서의 편향자계의 분포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9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편향장치에 의해서 수직편향자계가 작용하는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제10도~제15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편향장치에 의해서 미스콘버젼스가 없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6도는 종래의 편향장치에 의한 경우와 본원 발명에 의한 편향장치에 의한 경우 비임의 편향폭차이를 나타낸 도면.
제17도는 종래의 편향장치에 의한 경우의 수평편향코일의 벤드부에 의한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원 발명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전자비임이 수평방향의 일직선상에 배열된 상태에서 발사되는 인라인형의 컬러 음극선관의 편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컬러음극선관에서는 통상, 수평편향코일은 안장형(鞍裝型)으로 권장(卷裝)되며, 수직편향코일은 토로이덜형으로 권장되어 있으며, 더구나 수평편향자계가 핀쿠션자계로 되며, 수직편향자계가 배럴(barrel)자계로 되도록 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이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수평편향코일과 이것에 의한 자계이고, 제2도는 수직편향코일과 이것에 의한 자계이며, 모두가 관축(1)을 끼고있는 면내(面內)에서의 것이며, 도면의 좌측이 화면측이다.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에 이와 같은 편향장치를 갖추었을 경우,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화면의 좌우 주변부(周邊部)로 갈수록 각비임의 도달점이 떨어져 버리는 미스콘버젼스가 생긴다. 이 때문에, 종래는, 수평주기의 파라볼릭신호에 의해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이 미스콘버젼스를 보정하도록 하고 있다. 단일의 전자총을 가지며, 각 비임이 공통의 주전자(主電子)렌즈의 중심을 향해서 이것에서 발산하도록 되어지며, 그 발산도중에 있어서 콘버젼스용 정전(靜電)편향판이 설치된 것에 있어서는, 이 정전편향판판직류전압에 중첩하여 수평동기의 파라볼릭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이 콘버젼스보정을 행하고 있다.
본원 발명은, 콘버젼스보정을 위한 특별한 수단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편향장치자체의 구성을 연구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미스콘버젼스가 생기지 않토록 한 것이다.
종래의 편향장치는,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안장형에 권장된 수평편향코일(2)이 관(管)의 네크부에서 퍼널부에 걸쳐서 부착되며, 그 외측에, 코어(3)에토로 이덜형으로 권장된 수직편향코일(4)이 배치되어 있으며, 수직편향코일(2)의 관축방향의 폭은 수평편향코일(2)의 비임발사측의 벤드부(2a) 및 화면측의 벤드부(2b)사이의 거리에 대충 비슷하게 되어있다. 이 때문에, 그 관축방향에 있어서의 자계분포는,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수직편향자계 Hv의 피이크의 위치 Pv가 수평편향자계 HH의 피이크의 위치 PH보다도 비임의 발사측으로 되며, 수평편향코일(2)의 비임발사측과 벤드부(2a)의 내측위치 PA에 있어서는 수직편향자계 HV쪽이 수평편향자계 HH보다도 커진다. 이 위치 PA에 있어서 비임의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이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보다 커지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본원 발명에 의한 편향장치는, 제7도에 나타낸 것처럼, 안장형에 권장된 수평편향코일(12)이 관의 네크부에서 퍼널부에 걸쳐서 부착되며, 그 외측에, 코어(13)에 토로이덜형으로 권장된 수직펀향코일(14)이 배치되지만, 수직편향코일(14)의 관축방향의 폭은 수평편향코일(12)의 비임발사측의 벤드부(12a)및 화면측의 벤드부(12b)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되어서, 이것이 수평편향코일(12)의 화면측과 벤드부(12a)측으로 치우쳐져서, 비임발사측의 벤드부(12a)와의 사이에 충분한 간극(15)이 형성되며, 이것에 의해, 그 관축방향에 있어서의 자계분포가,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수직편향자계 Hv의 피이크의 위치 Pv가 수평편향자계 HH의 피이크의 위치 PH측으로 가까워지며, 또는 이것보다 더욱 화면측으로 되도록, 따라서 수직편향자계 Hv가 전체적으로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각 전자비임의 간격이 보다 좁아지는 화면에 치우친 곳에서 작용하도록 되어서, 수평편향코일(12)의 비임발사측의 벤드부(12a)의 내측위치 PA에 있어서 수평편향자계 HH가 수직편향자계 HV와 같든지 또는 이것보다 커지며, 이 위치 PH에 있어서 비임의 수정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이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과 같든지 이것보다 커지는 상태로 된다. 또한 이 경우, 수평편향코일(12)에 의한 수평편향자계 HH는 종래의 것보다도 더 한층 핀쿠션의 정도가 강해지며, 수직편향코일(14)에 의한 수직편향자계 HV도 종래의 것보다도 더 한층 배럴의 정도가 강해지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제5도에 나타낸 구성의 편향장치에서 그 수평편향자계가 보다 핀쿠션의 정도가 강해지면, 즉 수평편향자계가, 제10도 및 제11도에 있어서 지면(紙面)의 표면측(表面側)을 화면측으로 해서, 비임 R, G 및 B가 화면의 좌반부(左半部)를 주사할 때는 제10도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화면의 우반부를 주사할 때는 제11도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각각 바꿔지면, 양측의 비임 R 및 B에 대한 자계는, 수직방향의 성분으 감소하고, 반대로 수평방향의 성분이 증가하므로, 제12도에 나타낸 것처럼, 제3도에 나타낸 수평방향으로 미스콘버젼스는 보정되지만, 수직방향의 크로스미스콘버젼스가 생긴다.
이 종래장치에서 다시 그 수직편향자계 보다 바렐의 정도가 강하게 되어지면, 즉 수직편향자계가, 제13도 및 제14도에 있어서의 지면의 표면측을 화면측으로 해서, 비임 R, G 및 B가 화면의 상반부를 주사할 때는 제13도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화면의 하반분를 주사할때에는 제14도의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각각 바꿔지면, 양측의 비임 R 및 B에 대한 자계는, 수평방향의 성분은 감소하고, 반대로 수직방향의 성분이 증가하므로, 제15도에 나타낸 것처럼, 제12도에 나타낸 수직방향의 크로스미스콘버젼스는 보정되지만, 제3도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양해의 수평방향의 미스콘버젼스가 생긴다. 즉, 종래의 편향장치에서 수평편향자계가 보다 핀쿠션의 정도가 강해지며 수직편향자계가 보다 베럴의 정도가 강해지도록 되어지면, 제15도에 나타낸 것처럼, 화면의 상하로 갈수록 적색의 비임 R의 도달점이 우측으로 벗어나, 청색의 비임 B가 좌측으로 벗어나는 상태의 수평방향의 궁형(弓形) 미스콘버젼스가 생긴다.
본원 발명에 의한 편향장치는, 이와 같이 수평편향자계가 보다 핀쿠션의 정도가 강하게 만들어지고, 수직편향자계가 보다 배럴의 정도가 강하게 되도록 되는 동시에, 제7도에 나타낸 것처럼 수직 편향코일(14)의 관측방향의 폭이 수평편향코일(12)의 벤드부(12a) 및 (12b)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만들어지고 또한 이것이 벤드부(12b)축으로 치우쳐서 벤드부(12a)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15)이 형성되어서, 제9도에 나타낸 것처럼 수직 편향자계가 전체적으로 각 전자비임의 간격이 보다 좁아지는 화면에 치우친 곳에서 작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수직편향자계 그 자체의 크기는 변하지 않더라도 그 비임에 작용하는 편향력은 감소하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편향자계가 보다 배럴의 정도가 강해진 것에 의해 제15도에 나타낸 것처럼 좌우의 비임 R 및 B를 화면의 상하로 갈수록 수평방향의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힘도 감소하며, 수직편향자계의 관축방향에 있어서의 자계분포가 적절히 어긋나게 됨으로써, 제15도에 나타낸 미스콘버젼스가 일어남이 없이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올바른 콘버젼스가 된다.
실험에 의하면, 수직편향코일(14)의 관축방향의 폭이 벤드부(12a) 및 (12b)사이의 거리의 55-70%정도 따라서 간극(15)의 관축방향의 폭이 벤드부(12a) 및 (12b)사이의 거리를 30-45% 정도이면, 상술한 것처럼 벤드부(12a)의 내측위치 PA에 있어서는 비임의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이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이상으로 되며, 그리고 이와 같이 벤드부(12a)의 내측위치 PA에 있어서 비임의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이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이상이라면 제4도와 같이 미스콘버젼스가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16도는 비임의 편향폭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의 편향장치에서는, 수평편향코일의 비임발사측의 벤드부(2a)의 내측위치 PA에서도, 그 전후의 근방위치에서도, 도면에서 종장(縱長)의 장방형으로서 나타낸 것처럼, 비임의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이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보다 크다. 이것에 대해, 본원 발명에 의한 편향장치에서는, 수평평향코일의 비임발사측의 벤드부(12a)의 내측위치 PA에 있어서는,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비임과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이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과 같든지 또는 이것보다 크게 만들어진다. 물론, 화면의 종횡비(縱橫比)는 종래의 편향장치를 사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3:4 이다.
본원 발명에 의한 평향장치처럼, 수평편향코일(12)의 비임발사측의 벤드부(12a)의 내측위치 PA에서, 비임의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이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보다도 작으면, 벤드부에 의한 영향도 적어진다. 즉, 제17도는 종래의 편향장치에 의한 경우의 수평편향코일(2)의 비임발사측의 벤드부(2a)의 내측위치 PA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의 상태를 화면측에서 본 것으로서, 벤드부(2a)및 (2b)를 연결하고 있는 부분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수직방향의 주된 자계 HHM이 발생하며, 이것에 의해 비임은 수평방향으로 편향되지만, 다시 벤드부(2a)로 흐르는 전류 I에 의해서 벤드부(2a)를 둘러싸는 자계가 발생하며·이것은 위치 PA에서는 관축으로 향하는 또는 관축에서 방사하는 자계 HHA~HHD로 된다. 그러고 이들 자계 HHA-HHD는 중심비임 G에 대해서는 서로가 상쇄되어서 거의 영향을 주지 않지만, 양측의 비임 R 및 B에 대해서는, 도면과 같이 제각기의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이 크면 영향을 준다. 즉, 이들 자계 HHM∼HHD는 수직방향의 성분과 수평방향의 성분으로 나누어지며, 그중 수직방향의 성분은 주된 자계 HHM에 흡수되어 버리지만, 수평방향의 성분은, 도면에서 명백한 것처럼, 비임 R 및 B에 대해서 제각기에 대해 도면의 상반부를 주사할때와 하반부를 주사할 때에 있어서 서로가 반대방향의 더구나 제각기의 비임R 및 B에 대래 서로가 반대방향의 힘을 주며, 이것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직방향의 크로스미스콘버젼스를 일으키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 의한 편향장치에서는, 비임발사측의 벤드부(12a)의 내측위치 PA에서는 비임의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이 작으므로, 이 수평방향의 자계성분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으며, 이것이 수직방향의 크로스미스콘버젼스를 발생시키도록 작용하는 일은 거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한 편향장치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파라볼릭의 신호에 의해 콘버젼스보정을 행하지 않더라도 미스콘버젼스가 없는 상태를 얻을 수가 있다고 하는 매우 커다란 특징이 있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편향코일 안장형(鞍裝型)으로 권장(卷裝)되는 동시에 이것에 의한 수평편향자계가 핀쿠션자계로 되며, 수직편향코일이 토로이덜형으로 권장되는 동시에 이것에 의한 수직편향자계가 배럴자계로 되며,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전자비임발사측의 벤드부와 상기 수직편향코일과의 사이에 충분한 간극이 형성되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상기 전자비임발사측의 벤드부의 내측위치에서의 전자비임의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이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편향폭과 같든지 또는 이것보다 크게 되어진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KR7601182A 1976-05-13 1976-05-13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의 편향장치(偏向裝置) KR800000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1182A KR800000681B1 (ko) 1976-05-13 1976-05-13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의 편향장치(偏向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1182A KR800000681B1 (ko) 1976-05-13 1976-05-13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의 편향장치(偏向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681B1 true KR800000681B1 (ko) 1980-07-14

Family

ID=1920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1182A KR800000681B1 (ko) 1976-05-13 1976-05-13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의 편향장치(偏向裝置)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68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5763A (en) Convergence correcting device capable of coma correction for use in a cathode ray tube having in-line electron guns
US4057747A (en) In-line plural beam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deflection defocus correcting elements
FI60086B (fi) Sjaelvkonvergerande faergtelevisionsaotergivningssystem
US4257023A (en) Deflecting device for cathode-ray tube
US4231009A (en) Deflection yoke with a magnet for reducing sensitivity of convergence to yoke position
US3860850A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color raster displacement correction
US4041428A (en) Deflection yoke for use with in-line cathode ray tubes
WO1992002033A1 (en) A deflection system with a pair of quadrupole arrangements
US2108523A (en) Cathode ray tube
US6046713A (en) Color display device including electron beam deflection arrangement for landing-correction
CA1191883A (en) Self-converging television display system
KR800000681B1 (ko)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의 편향장치(偏向裝置)
US4857796A (en) Cathode-ray tube with electrostatic convergence means and magnetic misconvergence correcting mechanism
EP0073005B1 (en) Color cathode ray tube device
KR890004872B1 (ko) 칼라 수상관 장치
GB1254064A (en) Electron beam correction apparatus for a color picture tube
US4451807A (en) Television raste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device
KR800001082B1 (ko)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US4656390A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KR94000444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5157302A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with static convergence adjuster
KR920000940B1 (ko) 칼라 수상관 및 편향 장치
US3892996A (en) Self-converging color television display system
US3265915A (en) Cathode ray tube
KR880001015B1 (ko) 도자성 교정기를 결합한 편향요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