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351B1 - 정전 기록체(靜電記錄體) - Google Patents
정전 기록체(靜電記錄體)Info
- Publication number
- KR800000351B1 KR800000351B1 KR7402599A KR740002599A KR800000351B1 KR 800000351 B1 KR800000351 B1 KR 800000351B1 KR 7402599 A KR7402599 A KR 7402599A KR 740002599 A KR740002599 A KR 740002599A KR 800000351 B1 KR800000351 B1 KR 8000003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rganopolysiloxane
- electrostatic
- weight
- group
- dielectric lay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량된 정전기록체에 관한 것으로 도전성 베이스 시이트(eIectroconductive base sheet)와 그위에 지지(支持)되어 있는 유전층(誘電層)을 갖춘 정전기록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정전기록방식(elect-rostatic recording material)은 최근 고속원거리통신, 고속복사등의 고속기록에 적당한 방식으로 널리 복사나 전자계산기의 입력, 출력계통에 적용되고 있다.
정전기록체는 기본적으로 대전보전층(帶電保電層)으로서 작용하는 비광도전성(非光導電'性) 유전층 및 유전층을 지지하는 도전성베이스 시이트로 이루어진다.
대전 보전층위에 형성된 전기신호의 정전화상(諍電晝像)은 토너(toner) 및 정전화상과 반대극정을 갖는 캐리어(carrier)에 의하여 현상가시화(現像可視化)되며, 다시 처리하는것에 의하여 영구 가시화상이 되는것이다.
이러한 정전기록체의 비광도전성 유전층은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절연성 합성수지만으로써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절전성합성수지가 실질적으로 연속성의 피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기록층의 표면은 대단한 광택이 나며 보통의 사무용지에 비교하여 부자연스러운 외관을 주게된다.
또 그 표면은 대단히 편편하고 미끄러우며 수성잉크나 유성잉크에 대하여 비흡수성이기 때문에 연필, 펜, 볼펜에 의한 필기 혹은 인쇄, 스템프에 의한 표식을 만족스럽게 행할 수 없다.
이러한 결점은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정전기록체에 있어서 대단히 불리한 것으로 이와같은 결점을 개량하기 위하여 종래의 몇가지의 제안이 행하여 지고 있으나 개량에 부수하여 새로운 결점도 역시 수반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만족한 것을 얻을수가 없었다.
즉 개량된 방법으로써 절연성 수지중에 황산바륨, 콜로이달시리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수산화알미늄, 탄산칼슘, 천연셀루로오스, 전분과 같은 무기 또는 유기질의 절연성 미분말을 함유시켜 유전층의 표면을 거칠게하여 기록체표면의 광택을 감소하고 필기나 표식을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이 경우에는 첨가되는 분말이 산화아연, 이산화티탄과 같이 광도전성이면 간접적 광선에 의해서도 유전층의 대전특성이 대폭저하할 우려가 있다.
또 어떤 분말을 첨가하여도 유전층의 절연성을 저하시키고 흡수성의 증대를 초래하므로 얻어진 유전층의 대전특성은 현저하게 저하하며 높은 습도의 경우에는 화상 농도가 현저하게 저하하여 실용적인 수준 이하로 떨어진다.
이와같은 결점은 무기질분말 또는 유기질분말의 종류에 따라 그 정도의 차는 있으나 이 경향은 피하기 어려운 것이다.
특히 유전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수성계 도료로서 적용 가능한 물의 친화성 수지인 경우에는 유기용제 계통도료로서 적용되는 물에 친화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수지의 경우에 비해 이러한 무기질분말 또는 유기질분말이 흡착수를 보유하는 경향이 증대하기 때문에 일층 대전특성의 저하가 현저하게 일어난다.
본 발명은 상술한바와 같은 종래의 정전기록체를 개선한 신규한 정전기록체를 제공하려고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광택이 없는 보통의 사무용지와 동일한 외관을 가지고있으며, 선명한 화상을 기록할수 있는 즉 연필, 수정잉크에 의한필기성, 스템프적성, 인쇄적성 등에 우수한 기능을 갖는 정전기록체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 또는 잇점은 이하에 설명하는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정전기록체는 도전성베이스시이트 및 그위에 지지된 유전층을 갖춘 정전기록체에 있어서 상기한 유전층이 올가노 폴리실록산(organo polysiloxan)으로 피복된 절연성이며, 또한 비광도전성 무기질분말을 그 층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10-70 중량 %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정전기록체는 절연성이고 비광도전성질의 분말을 유전층에 존재시켜 그 표면은 광택이 없는 보통의 사무용지와 같은 외관을 가지며 필기성, 스템프적성, 인쇄적성 등에 우수할뿐만 아니라 그 분말표면은 올가노폴리실록산으로 피복되어 있으므로 분말의 첨가에 수반되는 유전층의 절연성저하와 흡습성증대의경향은 현저하게 억제되며 대전특성은 실질적으로 손상되지 않고 항상 선명한 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분말을 올가노 폴리실록산으로 피복하므로서만 달성되는 것이며, 다른 소수성 고분자물질인 왁스, 플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산에스텔,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피복된 분말로서는 유전층의 대전 특성은 대폭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비광도전성질 분말로 피복되어있는 올가노 폴리실록산은 각종의 올가노실록산 단위를 가지고 있는 올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으로 그 대표적인 것은 올가노실록산 단위를 가지고 있는 올가노폴리실록산과 그 가교체를 들 수 있다.
식중 R1는 올가노기
R2는 올가노기, 수소, 하이드록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표시한다. 상기 R1및 R2로 표시되는 호적한 올가노기는
1-5개의 탄소원자를 보유하는 알킬기,
2-4개의 탄소원자를 보유하는 아실기,
2-4개의 탄소원자를 보유하는 아미노 알킬기,
2-4개의 탄소원자를 보유하는 아미노 알킬기,
7-10개의 탄소원자를 보유하는 아랄킬기,
페닐기,
1-5개의 탄소원자를 보유하는 알콕시기,
1-5개의 탄소원자를 보유하는 아실록실기,
2-8개의 탄소원자를 보유하는 알켄닐기와 글리시디록실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올가노폴리실록산은 그 자신이 가교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미분말이 가교된 올가노폴리실록산으로 피복되어 있으면 가교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유전층의 대전특성이 보다 우수한것으로 되며, 특히 유전층을 형성하는 절연성 중합체를 수성도료의 형태로 적용하더라도 높은 습도하에서는 가교된 올가노폴리실록산에 의하여 우수한 대전특성을 발휘하는 까닭이다.
본 발명의 가교된 올가노폴리실록산은 서로 반응한 2차원 구조의 것과 3차원 망상구조의 것이 포함된다.
이와같은 가교된 올가노폴리실록산은 가교반응의 기구에 따라 중축합반응형과 부가중합형으로 분류된다.
전자에는 (a) 올가노하이드록시실록산 단위를 보유하는 폴리실록산 끼리의 축합물.
(b) 올가노하이드록시실록산 단위를 보유하는 폴리실록산과 올가노하이드로로겐실록산 단위를 보유하는 폴리실록산과의 축합물.
(c) 올가노하이드록시실록산 단위를 보유하는 플리실록산과 알콜시실록산 단위를 보유하는 폴리실록산의 축합물.
상기의 올가노하이드록시 실록산 단위를 보유하는 폴리실록산은 올가노기로서 전기 R1에서 정의된 바와같은 올가노기를 보유하는 것이 좋으며, 그중에서도 1-5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보유하는 것이 좋다.
보통 말단을 수산기로서 봉쇄된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이 가장 좋은 것으로 사용된다.
식중에서 R3는 C1∼C5의 알킬기와 페닐기를 표시한다. 또한 올가노하이드로겐실록산 단위를 보유하는 폴리실록산으로 하더라도 올가노기로서 전기한 R1에서 표시된 올가노기를 보유하는 것이 좋다. 그중에서도 C1∼C5의 알킬기나 페닐기를 보유하면 더욱 좋다.
또한 알콕시실록산 단위를 보유하는 폴리실록산은 알콕실기와 동시에 R1에서 표시된 올가노기를 보유하는 알콕시실록산 단위를 보유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분자 체인(Chain)말단에 비닐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나, 주(主)가 되는 체인중의 규소원자에 결합한 비닐기를 가지고 있는것, 분자 체인말단과 주 체인중의 규소원자에 결합한 비닐기를 보유하는 것이 있다. 이들의 예로서는 알킬(C1∼C5) 비닐폴리실록산, 페닐비닐폴리실록산, 비닐알콕시(C1∼C2) 폴리실록산, 알킬(C1∼C5) 비닐알칼(C1∼C5) 폴리실록산, 알킬(C1∼C5) 페닐비닐폴리실록산, 알킬(C1∼C3) 비닐할로(F, C1 또는 Br) 알킬(C1∼C4) 폴리실록산, 알킬(C1∼C3)비닐페닐할로(F,C1 또는 Br) 알킬-(C1∼C5) 폴리실록산을 열거할 수 있다.
또 올가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으로는 알킬(C1∼C5) 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페닐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알킬(C1∼C5) 페닐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글리시디록시 푸로필폴리실록산을 열거할 수있다.
이들 비닐기를 보유하는 올가노 폴리실록산과 올가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의 혼합중합은 규소 원자에 결합한 수소원자가 전체 비닐기수의 50-500% 정도이며, 가장 적당한 것은 150-300%정도이다.
기타의 반응형 올가노폴리실록산으로는 "규소수지"(나가지마ㆍ저작 일간공업신문사 발행)에 기재되어있다.
이첫은 일반적으로 시리콘와나스라고 불리우고 있으며 200℃ 정도의 비교적 고온으로 처리하면 가교하여 3차원 망상구조를 형성한다.
그 예로서는 메틸시리콘와니스, 페닐시리콘와니스, 페닐메틸시리콘와니스 등을 들수가 있으며 이들은 가열에 의하여 수산기의 탈수축합을 발생한다. 메틸기 대신으로 에틸기, 프로필기, 페닐기도 사용할 수있다.
또 3차원 경화형의 올가노폴리실록산은 그 경화온도를 저하시킬 목적으로 알킬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텔, 페놀수지, 메라민수지, 우레탄수지 등으로 변성하는 것도 행하여 진다.
이런 변성 올가노폴리실록산에 대하여서도 본 발명의 목적에 장애가 되는 것은 발견할수 없었다.
또 반응형의 폴리실록산은 비닐기와 같이 오레핀기를 보유하는 유상(油狀) 폴리실록산으로 소위 솔벤트레스시리콘와니스라고 불리우는것이 있다. 이것은 펠옥사이드의 존재하에서 비닐중합이 진행되므로 이것도 본 발명의 미분체표면처리에는 좋은 재료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상기 올가노폴리실록산으로써 표면 피복되는 미분말은 여러가지의 절연성이며, 또한 비광도 전성의 무기 및 유기물질이며, 보통 백색이나 담색이다.
이들의 예로서는 규산, 규산염,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의 다가금속 탄산 화합물, 황산바륨, 황산칼슘등의 다가금속 황산화물, 산화알미늄, 산화마그네슘의 다가금속산화물, 수산화알미늄, 수산화바륨, 수산화마그네슘등의 다가금속수산화물, 규사천연크레이, 소성크레이등의 변성처리된 크레이(clay), 셀루로오스분말과 전분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산화아연, 산화티탄, 황화카드늄, 황화납의 종래 광반도전성 금속산화물 및 황화물로서 알려져 있는 무기물질은 유전층을 광도전성으로 바꾸어 버리므로 본 발명에는 사용할 수 없다.
이들 미분말은 0.1-10μ의 평균입자지름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적당한 것으로는 1-5μ 이다.
또 상기한 절연성이며 비광도전성미분말 중에서는 특히 소성크레이가 좋다. 소성크레이는 알미늄, 철, 마그네슘, 알카리금속 등의 페로규산광물을 주성분으로하는 점토광물인 카오린, 세리사이트, 벤트나이트, 프로필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탈크 등의 점로광물을 20-1,000℃로서 소성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범위에서의 소성처리된 페로규산광물의 미분체는 외견상의 변화는 별로 보이지 않으나 X선적으로는 비정질(非晶質)이 되며 물리적, 화학적 흡착수와 같은 층간수(層間水) 및 결정수의 소위 구조수를 방출하여 전기적 특성의 향상을 볼 수 있으며, 또 거의 소성처리로 외견상의 비중이 감소하여 다공질이 되기 때문에 필기성, 매트(mat)성이 현저하게 향상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광도전성 미분말을 올가노 폴리실록산으로 피복함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올가노폴리실록산을 가교반응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이것을 물 또는 유기용제에 분해시키거나 용해하며 미분말과 혼합하고 건조한 후 피복을 행하면 좋다.
또한 가교반응을 시키고자 할 때는 올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또는 용제용액 또는 분산액에 적당한 촉매를 가하여 분말과 혼합하여 건조시킨 후 가열처리하여 경화시키면 좋다.
축합반응에 의한 가교는 옥탄산아연, 옥탄산주석, 오레인산주석, 디부틸주석 디 옥탄에이트,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옥탄산철, 옥탄산납, 옥탄산코발트 등의 고급지방산 금속염과 부틸아민, 디부틸아민 등의 유효아민과 같은 공지의 산성 또는 염기성 촉매가 사용된다.
사용되는 촉매량은 올가노폴리실록산에 대략 0.1-20중량 %이며,1-10중량 %가 가장 좋다.
보통 축합반응은 건조 후 약 70-250℃로 가열하므로서 행하여진다. 경화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알콕시시란이나 부분 가수분해물을 가교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서는 CH3Si(OC2H5)3
C6H5Si(C2H5)3
CH2= CHSi(OC2H5)3
Si(OC2H5)4
Si(OC3H7)4
Si(OC2H4OCH3)4
등을 들 수 있다.
이와같은 가교재는 올가노폴리실록산에 대하여 보통 1-10중량 %이며 3-6중량 %가 가장 좋다.
또 부가중합에 의한 가교에는 촉매로서 백금분말, 염화백금산이 사용된다. 그 분량은 보통 백금량으로서 전체의 올가노폴리실록산에 대하여 100만분의 0.5-20중량 %의 범위이다.
부가중합은 보통 100-180℃로 가열하므로서 보다 용이하게 행하여진다. 얻어지는 폴리실록산 피막의 강도를 조절할 목적으로써 부가중합될 비닐을 함유하는 올가노폴리실록산 및 올가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이외에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폐닐폴리실록산과 같은 올가노폴리실록산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미분말은 올가노폴리실록산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피복된다.
그 피복량은 보통 미분말에 대하여 적어도 0.1중량 % 이상인 것이나 분말의 종류 형상 및 입자지름 등에 의하여 다소 다르다.
다만 미분말은 다량의 올가노폴리실록산에 의하여 서로 피복되는 것이므로 미분말에 대하어 10중량 %이상의 분량을 사용해도 하등 개량될 점이 없으며, 가장 좋은 분량은 미분말에 대하여 1-6중량 %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유전층을 구성하는 절연성 합성수지는 종래 공지의 것이 사용된다.
예컨대 염화비닐, 비닐아세트, 비닐아세탈, 염화비닐리덴, 에틸렌, 스티렌부타디엔, 아크릴산에스텔, 메타크릴산에스텔, 아크릴로니트릴, 크로톤산과 같은 비닐단량체의 호모폴리마, 코폴리마, 시리콘수지, 폴리에스텔, 폴리우레탄, 알키드수지, 에폭시수지, 염소화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고분자 절연성 물질은 단독 혹은 혼합물의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성 합성수지는 물 또는 아세톤, 톨루엔, 벤젠, 메틸에틸케톤(MEK) 등의 유기용매 중에 용해 혹은 분산되며 앞에서 말한 올가노폴리실록산으로 표면피복처리된 미분말을 혼합 분산하므로서 유전층을 형성하는 도피액(塗被液)으로 조제된다.
특히 수성계분산액으로 도피액을 조제하는 경우에는
1) 일본국 특허공보 소화 48-32374에 기재된 오레핀, 방향족비닐, 아크릴산에스텔, 메타크릴산에스텔, 할로겐화비닐로 된 에틸렌계의 단량체와 공액 디오레핀계 단량체로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단량체인 비수용성중합체 100중량 %, 카르복실기의 함유량이 8-50몰 %의 카르복실기의 함유수용성중합체 1-200중량%, 비이온성유화제 또는 음이온성유화제 0-6중량 %를 포함하는 중합체수성분 잔액
2) 일본국 특허공보 소화 49년 3935에 기재된 중합체 조성이
a) 유리 카르복실기로서 8-50몰 %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b) 5-60몰 %의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c) 0-87몰 %의 상기 b 이외의 에틸렌계 단량체 또는 공액인 디오레핀계 단량체로 된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내지 아민염을 포함하는 중합체 수성용액
3) 일본국 특허출원 소화 47년 88839에 기재된
a) 유리 카르복실기로서 2-30몰 %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와
b) 잔부(殘部)를 구성할 수 있는 량의 지방족 α-오레핀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단량체로 된 상온에서 조막성(造膜性)을 보유하는 수용성 공중합체의 암모니아성 또는 아민성의 수용액과 수성분산액을 사용하고, 여기에 올가노폴리실록산으로 표면피복처리된 미분말을 혼합 분산하여 도피액을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으로 기계적, 열적으로 안정된 도피액이 얻어지며, 얻어진 유전체 기록층의 기록특성도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올가노폴리실록산으로 표면피복처리된 미분말의 혼합량은 미분말의 입자지름, 형상, 종류 등도 고려해야 하므로 본 발명의 목적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유전층의 건조 중량, 예를들어 전체 고형분 중량에 대하여 보통 10-70중량 % 특히 30-60중량 %의 범위가 좋을 것이다. 10중량 % 이하로서는 기록체의 광택, 필기성, 인쇄성이 개량되지 않으며, 70중량 % 이상으로서는 기록체의 정전특성이 손상된다. 또 용제계도료의 경우에는 올가노폴리실록산으로 처리하지 않은 미분말을 처리한 미분말과 아울러 수성잉크의 흡착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극히 소량을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조제된 도피액은 통상의 도피장치에 의하여 저(低) 전기저항 처리된 지지 기체상에 도피 건조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지지기체는 종래 공지의 것으로 공지의 기술, 예컨대 무기염류, 유기고분자, 전해질, 금속분, 탄소분을 함유시키므로서 저전기저항 처리를 행하여 처리면의 표면저항률을105-1011ohm 으로한 종이, 프라스틱필림, 헝겁, 금속박 등의 임의의 시이트상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싼값으로 가공이 용이한 점에서 종이가 가장 실용적이다.
본 발명의 정전기록체는 실질적으로 광택이 없는 보통의 사무용지와 같은 외관과 감촉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수한 대전특성을 가지므로 선명한 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것으로 필기 혹은 표식에 있어서도 우수한 특징을 보유하는 휙기적인 정전기록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것은 단순히 일례를 표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부 및 %로 표시되는 것을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 외에는 각각 중량부와 중량 %를 표시하는것이다.
또 실시예 중에서 각 물질의 성질은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A) 포화대전위(飽和帶電位)
실시예에서 얻어진 피복조성물의 각각을 알미늄박에 10μ 두께의 막으로서 도포 건조한 후 60%의 습도의 조건하에서 24시간 방치하고 -6KV의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대전시켜서 회전 색타(sector)형 전위계로서 포화대전위를 측정한다.
이 포화대전위는 기록화상의 농도와 직접 대응하며 포화대전위가 높을수록 기록화상의 농도도 높다.
이 대전위가 10μ 두께의 막으로서 -200V에 발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록화상의 농도는 낮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포화대전위의 측정에 사용되는 코로나 방전의 극성은 부(負)이거나 정(正)이라도 좋다.
[(B) 광 택]
이것은 변각광도계(specular gloss meter) (75°)로서 측정치에 의하여 비교하는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부자연한 광택을 보유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값이 50을 초과하면 종이는 자연스러운 외관을 표시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과 합치하지 않는다.
[(C) 필기특성]
이것은 연필, 볼펜, 수성잉크에 의하여 실제로 기록층표면에 필기하므로서 상대적으로 비교판정한다.
필기특성이 좋은 것은 당연히 스탬프 적성도 양호하다.
[실시예 1-9]
크레이의 소성처리
6각 판상의 결정체로 된 알루미늄시리케이트계 천연크레이를 전기로 중에서 800℃로서 1시간 소성(燒成)처리한다.
이 처리에 의하여 X선적으로는 무정형 비정질(無定型非晶質)로 되여 있으며 소성된 크레이의 평균입자지름은 2μ이었다.
소성크레이의 표면처리
다음에 표시하는 각종의 올가노폴리실록산을 각종 촉매 또는 가교제와 아울러 10% 톨루엔용액으로 하고, 소성크레이에 대하여 3%(고형비 : 固型比) 첨가한 후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어서 제1표에 표시한 조건의 가열처리로 소성크레이에 올가노폴리실록산을 가교시켰다.
기록체의 조제
NBKP(활엽수로서된 펄프) 50부, LBKP(침엽수로서 된 펄프) 50부로된 60g/cm2의 질이 좋은 종이의 한면에 폴리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크로라이드의 수용액을 도포하고, 그 표면 저항율이 106ohm이 되도록 한 후 이를 기본 시이트로 하였다.
부타엔 30부, 스티렌 20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부, 메타아크밀산 20부로된 공중합체의 20% 암모니아성 수용액에 상기한 피복처리 크레이를 1 : 1(고형비)로 혼합하여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이 도포액을 에어브레이드 코오타(air blade coator)로서 상기한 기본시이트의 도전 처리면과 반대측에 도포 건조하여 10g/cm2의 유전층을 형성한 정전기록체를 조제하였다.
올가노폴리실록산과 촉매
[실시예 1]
a) 탈수축합형태의 올가노폴리실록산 : 말단에 수산기를 보유하는 메틸페닐폴리실록산 100부
b) 촉매 : 옥틸산 아연 1부
[실시예 2]
a) 탈알콕축합형태의 올가노폴리실록산 : 분자 중에 수산기와 알콕시기를 보유하는 디메틸폴리실록산
b) 촉매 : 없음
[실시예 3]
a) 탈수소축합형태의 올가노폴리실록산 : ω-디하이드록시디메틸폴리실록산과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혼합물(중량비율로 10 : 1) 올가노폴리실록산 100부
b) 촉매 : 디부틸주석 디옥타노에이트 1부
c) 가교제 . 테트라메틸글리콜올소시리케이트 3부
[실시예 4]
a) 부가중합형태의 올가노폴리실록산 : 디메틸비닐실록시 단위 0.5몰에 대하여 디메틸실록시 단위 100몰의 비율로 된 점토 3,000cps(25℃)의 올가노폴리실록산 70부와
SiO 단위 1몰에 대하여 디메틸하이드로겐실록시 단위 2몰의 비율로 된 올가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5부
b) 촉매 : 5%의 염화백금산옥틸알콜용액 0.05부
[실시예 5]
a) 부가축합형태의 올가노폴리실록산 : 트리메틸실록시 단위 1몰에 대하여 메틸비닐실록시 단위 15몰, 메틸페닐실록시 단의 4몰의 비율로 된 점도 500cps(25℃)의 올가노폴리실록산10부와 메틸하이드로겐실록시 단위 5.5몰에 대하여 디메틸하이드로겐실록시 단위 1몰, 디메틸실록시 단위 3몰의 비율로 된 올가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l0부
b) 촉매 : 5% 염화백금산프로필 알콜용액 0.02부
[실시예 6]
a) 부가축합형태의 올가노폴리실록산 : 디메틸비닐실록시 단위 3몰에 대하여 디메틸실록시 단위 25몰의 비율로 된 올가노폴리실록산 100부와
메틸하이드로겐실록시 단위 5.5몰에 대하여 메틸실록시 단위 3몰의 비율로 된 올가노폴리실록산 3부와
트리메틸실록시 단위 5몰에 대하여 메틸실록시 단위 20몰, 디에틸실록시 단위 75몰의 비율로 된 올가노 폴리실록산 0.1부
b) 촉매 : 5%의 염화백금산에틸헥산용액 0.1부
[실시예 7]
a) 망상구조를 갖는 변성알키드 올가노폴리실록산 : 변성알키드시리콘 와니스(메틸페닐폴리실록산으로 말단에 수산기를 알킬기로 한 것) 100부
b) 촉매 : 옥탄산아연 1부
[실시예 8]
a) 비닐중합형태의 올가노폴리실록산 : 솔벤트레스시리콘(말단에 비닐기를 보유하는 메틸페닐폴리실록산) 100부
b) 촉매 : 디쿠밀퍼옥사이드 1.5부
[실시예 9]
a) 축합형태의 올가노폴리실록산 :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100부
b) 촉매 : 디부틸 디주석 디옥타노이트
[비교예 1]
전기한 바와 같은 표면처리를 일체 행하지 않은 소성크레이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1)와 동일하게하여 정전기록체를 조제한다.
[비교예 2]
소성크레이의 표면처리에 톨루올과 메틸에틸케톤을 1 : 1(중량비)로 혼합한 용매 30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 3부를 용해한 용액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정전기록체를 조제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2)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수지 대신에 염화비닐과 초산비닐을 90 : 10(몰비)의 공중합체를 사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정전기록체를 조제하였다.
[비교예 4]
미분말을 전혀 포함하지 않은 정전기록체를 실시예(1)과 동일하게 조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각종 정전기록체의 각종 특성을 제1표에 표시하였다.
[표 1]
이들 정전기록체의 기록층면과 알미늄판상에 폴리비닐카바졸의 감광층을 설치한 감광판상에 보통의 전자사진방법으로 정전기 잠상(潛像)을 형성시킨 기록면을 중합시키고 양면의 이면끼리 단락(短絡)한 상태에서 양자를 박리하여 정전잠상을 각각의 정전기록체의 기록면에 전사하였다. 이어서 정전기록지위의 잠상을 공지의 습식 디벨로파(DeveIoper)에 의하여 현상가시화(現像可視化)하였던 바 실시예(1)-(9)의 것에서는 높은 농도의 선명한 전사화상이 얻어졌다.
특히 85% RH라 하는 높은 습도하에서도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으며. 기록층 표면은 보통 사무용지와 같은 외관을 가지고 연필, 볼펜, 수성잉크에 의한 필기성, 스템프적성도 우수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 (2) (3)은 극히 불선명한 화상 밖에 얻을 수 없으며 특히 높은 습도에서는 거의 화상을 얻기 어려웠고 비교예(4)는 극히 부자연한 표면광택을 가지고 있으며, 수성잉크, 유성잉크는 비흡수성때문에 필기나 스템프를 충분히 행할 수 없었다.
[실시예 10]
실시예(1)의 소성크레이에 대하여 디메틸 폴리실록산을 10% 톨루올용액으로 3%(고형비) 첨가하고, 이어서 150℃로 5분간 가열하므로서 용제를 휘발분산 시킨다.
실시예 (1)와 동일하게 하여 정전기록체를 조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정전기록체의 특성을 제2표에 표시한다.
[실시예 11]
실시예 (1)의 소성크레이가 폴리실록산으로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이 사용된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처리되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소성크레이를 사용하여 실시예 (1)와 동일하게 정전기록체를 조제하였다.
그 결과를 제2표에 표시한다.
[표 2]
이들의 정전기록체에 -800Volt, 100마이크로 세컨드의 신호전하를 직접 인가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플러스에 대전하고 있는 건식현상제로 현상하면 선명한 화상이 얻어졌다.
또 기록층 표면은 부자연한 광택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필기특성도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2-16]
미분말의 표면처리
실시예 (4)와 동일한 올가노폴리실록산 혼합물을 5%의 염화백금산 옥틸알콜 0.05부를 포함한 톨루올용액에 용해하고, 그 용액을 각종의 미분말에 대하여 2%(고형비)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150℃로 20분간 가열하여 용매를 비산시키고 가교반용을 완결시켰다.
기록체의 조제
실시예 (4)의 기록체의 조제법과 같이 하여 각종의 정전기록체를 조제하였다.
각종의 미분말은
실시예 12 무수규산(평균입자경 0.1μ)
실시예 13 탄산칼슘(평균입자경 0.2μ)
실시예 14 황산바륨(평균입자경 3μ)
실시예 15 천연크레이(평균입자경 2μ)
실시예 16 콘스타치(corn starch) (평균입자경 8μ)
[비교예 5]
표면처리를 일체 행하지 않은 황산바륨을 사용한 이외에 실시예(14)와 동일하게 하여 정전기록체를 조제하였다.
조제된 각종의 정전기록체의 각종 특성을 제3표에 표시한다.
[표 3 ]
얻어진 정진기록체를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록하였던 바 실시예에서는 선명한 전사화상이 얻어졌다.
또 기록표면은 부자연한 광택을 가지고 있지 아니하며 필기특성도 우수한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에서는 화상농도가 낮은 불선명한 전사상 밖에는 얻을 수 없었다.
[실시예 17-20,비교예 6과 7]
실사예(5)에서 표면처리된 소성크레이와 절연성 고분자 수지의 비율을 제4표와 같이 변화시켜 제4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주) 처리크레이의 양은 유전층에 건조중량에 대한 표면처리된 소성크레이의 중량 %를 표시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얻어진 정전기록체는 기록에 사용되며, 실시예 (17)-(20)의 정전기록체는 선명한 화상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7)-(20)에서 얻은 기록체의 유전표면은 자연스러운 광택과 우수한 필기성을 보유하는데 반하여 비교예는 부자연스러운 광택을 가지고 있으며, 필기성도 불량하였다.
[실시예 21-27]
실시예(5)의 정전기록체 조계에 있어서 절연성 고분자수지 바인다로서 이하 각종의 수지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5)와 동일하며, 각종의 정전기록체를 얻었다.
각종의 절연성 고분자수지 바인다
[실시예 21]
부타디엔, 스티렌(20 : 80) 공중합체 100부, 부타디엔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30 : 50 : 15)공중합체 14부로 된 50% 고형분의 암모니아성 수성분산액.
[실시예 22]
부타디엔, 스티렌(20 : 80)공중합체 100부, 부타디엔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30 : 50 : 15)공중합체 11부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텔(HLB=17) 2부로 된 50% 고형분의 암모니아성 중합체 수성분산액.
[실시예 23]
에틸렌 91몰%, 아크릴산 9몰%를 포함한 공중합체의 20% 고형분의 암모니아성 수용액.
[실시예 24]
에틸렌 94몰%, 마레인산 6몰%를 포함한 공중합체의 20% 고형분의 암모니아성 수용액.
[실시예 25]
염화비닐, 초산비닐(90 : 10) 공중합체의 20% 고형분의 메틸에틸케톤용액.
[실시예 26]
폴리비닐부틸레이트의 고형분 15%의 메틸에틸케톤용액.
[실시예 27]
비닐아세테이트와 크로톤산(90 : 10) 공중합체의 고형분 20%의 암모니아수용액.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정전기록체의 각종 특성을 제5표에 표시한다.
이들 정전기록체를 실시예(1)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록을 행하면 그 농도의 선명한 화상이 얻어진다.
특히 실시예 (21)-(24)에서는 85% RH라고 하는 높은 습도하에서도 선명한 화상이 얻어지며, 기록층표면은 모두 부자연스러운 광택이 없이 필기특성과 스탬프특성도 우수하다.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402599A KR800000351B1 (ko) | 1974-04-30 | 1974-04-30 | 정전 기록체(靜電記錄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402599A KR800000351B1 (ko) | 1974-04-30 | 1974-04-30 | 정전 기록체(靜電記錄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00000351B1 true KR800000351B1 (ko) | 1980-04-26 |
Family
ID=1920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402599A KR800000351B1 (ko) | 1974-04-30 | 1974-04-30 | 정전 기록체(靜電記錄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00000351B1 (ko) |
-
1974
- 1974-04-30 KR KR7402599A patent/KR800000351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944705A (en) | Electrostatic recording material and manufacture thereof | |
US3653894A (en) | Electroconductive paper, electrographic recording pa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6413638B1 (en) | Coated particles containing a monomeric, polyfunctional organosilane coating | |
US4168338A (en) | Transfer sheet with toner-receiving layer of thermoplastic and thermosetting polymers | |
CA1141529A (en) | Electroconductive polymers having improved solvent holdout properties | |
KR800000351B1 (ko) | 정전 기록체(靜電記錄體) | |
US4165308A (en) |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polymer blends containing polystyrene or poly(α-methyl styrene) | |
US4444847A (en) | Electrostatic record material | |
DE69937438T2 (de) | Trägerpartikeln für elektrostatographische Entwickler | |
US4085236A (en) | Process for producing electrostatic recording material | |
US4239676A (en) |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polymer blends | |
US3674477A (en) | Electrophotographic reproduction sheet and composition containing photoconductive material and coarse filler particles | |
US4296171A (en) | Transfer sheet suitable for electrophotographic pressure-fixing | |
US3563736A (en) | Photoconductive coatings | |
JP2017502099A (ja) | 導電性の顔料 | |
US4093564A (en) | Electroconductive coatings | |
US3946129A (en) | Preparation of reprographic sheets | |
CN109679476B (zh) | 用于Indigo印刷的PET膜面水性清漆及制备方法 | |
US3924050A (en) | Dielectric layer composition | |
US4540652A (en) | Material for the electrostatic data recording containing silicon and titanium oxides | |
CA1111635A (en) | Calcium oxide or hydroxide to improve the charge acceptance of electrographic dielectric resins | |
US3469977A (en) | Electrostatic printing papers including a prime coating of a mixture of a terpolymer and an alkali metal silicate | |
US3578446A (en) | Electrophotographic reproduction employing bi-charging and negative-charging zinc oxide | |
US3950594A (en) | Dielectric coating composition | |
US4377612A (en) | Electrographic recording materi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