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285Y1 - 탬펀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탬펀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285Y1
KR800000285Y1 KR770005465U KR770005465U KR800000285Y1 KR 800000285 Y1 KR800000285 Y1 KR 800000285Y1 KR 770005465 U KR770005465 U KR 770005465U KR 770005465 U KR770005465 U KR 770005465U KR 800000285 Y1 KR800000285 Y1 KR 800000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roll
press
tampons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054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몬 스테판
죠스트 월프강
Original Assignee
닥터. 칼 한 지엠비에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닥터. 칼 한 지엠비에취 filed Critical 닥터. 칼 한 지엠비에취
Priority to KR770005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285Y1/ko

Links

Landscapes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탬펀의 제조장치
제1도는 각 처리 단계 사이에서의 탬펀의 전달 및 이송을 위한 장치의 도식도.
제2도는 권취장치에 설치된 제1이송기구를 통하는 제1도의 선 II-II에 띠른 단면도.
제3도는 프레싱 장치의 주입단부에서이 제2이송기구의 제1도의 선 III-III에 띠른 단면도.
제4도는 프레싱 장치의 배출단부에서의 이송기구의 제1도의 선 IV-IV에 띠른 단면도.
본 고안은, 무단 플리이스 스트립(endless fleece strip)으로 특히 원통형 코일 또는 로울(roll)형으로 된 여성용 위생 면봉(綿棒)인 탬펀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드러운 솜뭉치로 형성된 이런 종류의 원통형 물푸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그 솜뭉치는 연결된 일련의 다른 기계들에 의해 처리되어야 한다. 솜뭉치로 템펀을 제조함에 있어서의 난점중의 일부의 처리기계는 연속 조작되는 반면에 다른 일부의 기계는 간헐 적동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완성된 로울(roll) 또는 탬펀을 이들 기계와 기계사이에서 이송시킬 때 큰 곤란이 생기고, 그러한 난점은, 특히 생산을 증대하기 위하여 기계를 평행으로 설치하여 조작하고 예를 들면, 제작라인이 포장기계에 이르기까지 빈틈없는 단일통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품질의 저하업ㅎ이 제품을 경제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저해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헐작동과 연속작동이 혼합된 작동형태의 직렬의 기계장치에 의하여 고도의 생산과 공자의 만족스러운 경제성이 손상되지 않고, 또 비교적 칫수가 변형되기 쉬운 제품이 이송작동중에 처리 기계에 의하여 부여된 형상이 상실되지 않고 제조될 수 있는 탬펀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통로(multi-path) 작동을 용이하게 이루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간헐 작동하는 권취장치, 즉 코일러(coiler)에서 플리이스 스트립으로부터 제조된 로울이나 코일을 이송기구에 의하여 프레스 장치에 빈틈없이 연속적으로 이송하고, 그 완성된 로울은 권취장치에서는 간헐적으로 이동되고 프레스 장치에서는 연속적으로 이동되며, 이들은 간헐 작동하는 프레스장치에 이송되고 프레스되어 탬펀이 형성되고, 다음에, 이들 탬펀은 다른 연속동작을 하는 이송기구에 의하여 저장기구에 공급되고 그 저장기구로부터 연속적으로 포장기구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특징은, 일련의 장치들 사이의 이송공정에 있어서, 몇가지 간헐적인 공정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연속 조작이나 다름업슨 경제적인 방식이다. 권취장치와 프레스장치(프레서)와의 사이의 이송기구는 이송량에 대한 완충기(buffer)로 사용되어서, 제거되어야 하는 불완전한 로울들을 포함한, 권취장치에서 생상된 로울의 수는 프레스 장치에서 처리되는 수와 동일하게 되어, 연속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권취장치와 프레스장치 사이의 이송기구는 권취장치에 의하여 그 부근에서 간헐적으로 구동되는데, 이 구동은 불완전한 로울이나 코일이 발견되었을 때에 중단되나, 이 이송기구는 프레스장치에 의하여 프레스 장치에서는 연속적으로 작동한다. 권취장치와의 이러한 연결에 의해 불완동한 로울은 뒤에 오는 로울에 의하여 배출되고 완전한 로울들만이 프레스장치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완충 이송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 권취장치로부터의 이송 중단이 프레스 장치의 조작을 저해하지 않는다. 권취장치나 프레스 장치에서 오래도록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완충 저장 이송기구가 완전히 채워지거나 빈때에 권취장치나 프레스 장치가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간헐작동하는 프레스장치에서 이송기구가 완동히 연속된 이송 운동을 하기 위해, 로울이 컨베이어의 작환대(작換帶)의 부근에서 잠간동안 정지되어 이송단계에 들어갈 수 있는것은 곧 회전시키게 설계되었으므로, 콘베이어가 전환하는 동안 프레스장치에서 로울들을 프레스 장치내로 회이으로 미끄러져서 연속적으로 도입된다.
생산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서, 이송기구가 각각 부설된 2조의 권취장치를 평행으로 전동되게 하고, 한번에 2개의 로울이 이송기구로부터 4통로 프래스장치에 이송되게 하고, 2조의 이송기구가 그 프레스 장치로부터 탬펀들을 수집하여 그 탬펀들을 단일통로로 저장기구에 공급하고 그 다음 포장 기구에 연속적으로 이송한다. 이 경우에, 다 통로와 단일 통로의 혼성작동은 특히 전환 지역에서의 이송조작응 작용으로 달설될 수 있다. 이러한 평행조작의 경우 연속작종을 유지하기 위해, 극한치에서 완충 적재 이송기구에 채우는 한도는 평행으로 연결된 다른 완충적재 이송기구에 채우는 한도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 바아(bar) 또는 로드(rod)의 감지작용에 의하여 프레스장치는 충전시 처음에 10% 더 빠르게 주행하고, 반대로, 프레스장치나 권취장치가 이들 각개의 말단 위치에서 완충 바아와 함께 정지되기 전의 배출시는 10% 더 느리게 주행하게 된다.
다 통로조작을 단일 통로조작으로 전환하는데는, 4통로 프레서 뒤에 배치된 이송기구에서, 탬펀을은 2개의 연속 회전체인으로부터 단일의 연속 회전 체인에 이송되며, 이것은 컨베이어 체인이 전환되는 지점에서 이송이 행해짐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본 장치에 있어서, 권취장치와 프레스장치 사이의 이송 기구는, 로울형상에 적합하게 되고 체인링크상에 횡으로 배치된 로울 컵(roll cup) 로그와 유사한 것을 가지는 무단 컨베이어 체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무단 컨베이어 체인은 권취장치에서 간헐 구동되는 스프로킷과 프레스장치 부근에서 연속 구동되는 스프로킷을 지나 구동되며 또 이들 양장치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일상에 서로 떠러져 취부된 2개의 전환 스프로킷을 지나 구동된다. 체인 링크들상의 로울컵들은 각개 로울들이 권취장치에서 성형된 형상을 확실히 보지하게제 한다. 자유로이 움직이는 레일상의 구동 스프로킷들 사이에 배치된 전환 스프로킷들은, 체인안에서 부분적으로는 간헐적이고 부분적으로는 연속적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생기는 체인들간의 속도 차이를 보상하는 완충기을 제공하는 매우 간단한 수단이다.
본 고안 다른 특징은, 금속 함유물이 들어있거나, 견인끈이 불완전하거나 또는 사용상 필요한 이러한 견인끈이 아주 없거나 한 불완전한 로울들을 배출시키는 수단으로서, 권취 장치의 부근에서 이송 체인은, 그 체인이 정지될때, 로울컵들 중의 하나가 슬리이브(sleeve)나 칼러(collar)와 정렬되게 권취장치의 배출봉와 정렬하여 고정 슬리이브나 칼러상 상에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불완전한 로울이 발견되면, 다음의 로울은 슬리이브를 통하여 그 불완전한 롱루을 배출할 수 있어서 프레스 장치로 이송되는 모든 컵은 결함이 없는 로울들을 함유하게 된다. 또한, 이송 체인의 구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권취장치에서늬 체인의 구동 스프로킷은 클로오클러치(claw clutch)를 통하여 권취장치의 간헐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다.
프레서에서의 이송체인은, 로울컵의 축이 접촉지역에서 스프로킷 축과 완전히 일치되게 90°의 접촉각으로 최소한 하나의 전환 스프로킷의 위에서 유도되고, 이송 체인에 대한 횡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 압압봉이 상기한 스프로킷의 축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로울컵들은 그 길이방향으로 한면이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된 구멍의 직경은 압압봉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서 로울컵이 이것이 전진 위치에 그대로 있을때, 압압봉의 영역 밖으로 축선회할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압압봉 운동에 의해 시간이 절약되어 생산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다. 이송 기구의 이와 같은 구조는 프레스장치에서도 또한 유리하게 사용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탬펀들을 평행 작동하는 2조의 분리된 무단 컨베이어 체인으로부터 단일의 무단 컨베이어 체인에 연속하여 이송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이들 무단이송체인들 중의 하나가 연속 구동되는 체인 구동축의 주위에 설치되고, 탬펀 용기가 횡으로 설치된 제2무단 컨베이어 체인은, 슬리이브가 반회전하는 동안 이들 탬펀 용기는 제1무단 컨베이어 체인의 로울컵들과 동축으로 일치되도록 상기 구동축과 맞물리게한 것이다. 이 체인 구동축은 제1무단 컨베이어체인과의 맞물리는 영역에 구멍들을 가지고, 이들 구멍은 회전하는 동안 그 무단 컨베이어 체인에 있는 탬펀컵들과 일치된 상태로 정렬되고, 이동가능한 압압봉들이 이들 통로에 배치되어, 이들 압압봉이 체인들의 전환시 제1이송체인에서 제2이송체인으로 탬펀을 이송시킨다.
이하, 본 고안의 장치를 예시한 첨부도면에 의하여 이하 상세하게 기술한다.
제1도에서, 상하로 배치된 2개의 단일통로 권취장치(1)은 간헐적으로 동작하여 로울(roll)이나 코일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제조하고, 그 로울이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평행 동작하는 2개의 제1이송기구에 의하여 2개의 무단 컨베이어 체인(15)(160에 공급되고, 다시 이들 무단 컨베이어 체인은 제3도에 상세히 도시된 간헐 동작하는 4통로 프레스장치(2)에 로울들을 공급한다. 한번에 4개의 탬펀이 프레스장치(2)의 가열된 터릿(turret)(3)으로부터, 전환 스프로킷(34)들과 등축으로 된 2개의 동일한 무단 컨베이어 체인 (21)들에 이송된다. 다른 이송기구(4)에서, 무단 컨베이어 체인(21)들은 각각 2개소의 이송위치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2개의 체인 구동축(10)의 주위에서 주행한다. 이들 2개소의 이송위치에서 탬펀들이 단일의 무단 컨베이어 체인(22)로 이동되며, 그 체인(22) 역신 2개소의 이송위치에서 상기한 두개의 체인 구동축(10)의 주위를 주행한다. 탬펀이 들어있는 체인(22)는 저장실(5)로 들어가 체인벨트(6)과 동일한 배출부분에 탬펀들을 놓이게 하고, 그 탬펀들을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포장기계의 수집부(7)에 공급하거나 또는 이들 탬펀을 이송기구(8)을 거쳐 다른 컨베이어 체인에 이송하여 탬펀들을 포장실로 보낸다.
무단 컨베이어 체인(15)(16)에는 로울컵(roll cup)(20)들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로울컵(20) 중의 몇개는 제2도에 표시한 방식으로 체인 링크들의 측면에 동일간격으로 취부되어 있다. 2개의 권취장치(1)은 2조의 무단 컨베이어 체인(15)(16)을 간헐적으로 구동하게 하지만, 프레스장치(2)의 지역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스프로킷(42)에 의해 이들 체인들이 연속적으로 구동된다. 권취장치(1)과 프레스장치(2)와의 사이에서 이들 무단 컨베이어 체인(15)(16)은, 화살표(18)(19) 방향으로 수평 왕복운동 할 수 있는 완충레일(17)에 설치된 2개의 전환 스프로킷(17a)의 주위를 주행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단 컨베이어 체인(15)는 클로오 클러치(claw slutch)(제2도)를 거쳐 권취장치(1)에 의해 구동되고, 그 클로오 클러치는 권취장치의 축(29)에 고착된 클로오클러치 절반부(23)과 왕복운동 클로오 슬리이브(sleeve)(24)로 구성되고, 그 슬리이브에 의해 회전운동이 축(29)의 일단부에 설치된 클로오클러치 절반부(30)을 거쳐 전다라된다. 축(29)의 타단부에는 톱니가 형성된 밸트휘일(9)가 설치되어 있고, 그 휘일이 톱니가 있는 밸트(9a)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무단 컨베이어 체인(15)(제1도)에 맞물려 있는 2개의 스프로킷(9b)에 전달된다. 클로오 슬리이브(24)에는, 작동 레버(26)에 맞물려 있는 원주홈(24a0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레버(26)에 의해, 클로오 슬리이브(24)가 솔레노이드 작동기(27)의 작용으로 그리고 스프링(29a)의 힘에 대항하여 클로오 클러치 절반부(25)에 교합되게 하며, 클로오클러치절반부(25)는 기대(機臺)에 고정되어 있고, 수용위치에서 컨베이어 체인(15)상의 로울컵(20)을 고정시키는 수단을 형성한다. 컨베이어 체인(15)는 고정 슬리이브(11) 주위에서 안내되고 그 슬리이브(11)은 제2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로울컵(20)이 수용위치에서 고정 슬리이브(11)과 정렬되게 하는 방식으로, 축방향 이동 가능한 배출봉(31)과 정렬된다.
컨베이어 체인(15)이 정지될 때 배출봉(31)은 권추장치(1)에 의해 제조된 로울(35a)를 로울컵(20)내로 밀어넣고, 그다음, 권취장치(1)의 간헐 구동 작용에 의하여 클로오클러치를 통하여 컨베이어 체인(15)가 전진이동한다. 불완전한 로울이 배출봉(31)에 의해 로울컵(20)에 밀어넣어진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작동기(27)이 권취장치(1)의 부근에 설치된 제품품질제어 기구로부터 작동펄스(pulse)를 수신하여 클로오슬리이브(24)가 레버(26)에 의해 제2도에서 우측으로 이동되어 맞물림이 떨어지게 한다. 컨베이어 체인(15)가 정지되어 있는 동안, 클로오슬리이브(24) 역시 작동레버(28)에 의해 수동으로 이탈될 수 있다. 이 정지위치에 컨베이어(15)를 보지하기 위해 클로오 슬리이브(24)는 고정 클로오 클러치절반부(25)와 맞물린다. 그리하여, 컨베이어 체인(15)는 정지된 채로 유지되어 다음의 작동 주기까지 권취장치(1)의 부근에서 비동작상태에 있게 되고, 이동안 권취장치는 다른 로울을 제조하고 나중의 로울이 불완전한 로울을 로울컵(20)에서 슬리이브(11)을 통하여 배출시킨다. 그 불완전한 로울은 배출관(41)을 통해 내려가 폐기물 상자(도시하지 않음)에 들어간다.
완충레일(17)에 설치된 2개의 전환 스프로킷(17a) 주위에 무단 컨베이어 체인(15)가 설치되어 있고 프래스장치(2)로 적절히 전진한다. 권취장치에서의 체인(15)의 간헐적인 구동과 프레스장치 부근에서의 스프로킷(42)를 통한 체인(15)의 연속적인 구동에 기인하여 컨베이어 체인에 속도 차이가 있게 되고 이 속도 차이는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완충레일(17)에 의해 보상된다. 완충레일(17)은 제2도에 도시된 4개의 로울러(33)에 의하여 안내된다. 불완전한 로울들에 기인한 권취장치(1)에서의 구동정지는 완충레일(17)이 화살표(18)의 배출바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그리하여, 불완전한 로울들이 있어도 컨베이어 체인상의 로울컵(20)들은 계속 채워지고 권취장치로부터의 공급되는 로울의 수가 줄어도 프레스장치(2)는 조작을 계소갛여 로울들을 컨베이어 체인(15)으로부터 수용하기 때문에 플스 장치쪽으로의 이동방향으로 컨베이어 체인(15)가 완충기로서 작용한다. 이와 반대로, 프레스 장치(2)가 잠간 정지하고 체인(15)의 빈 로울컵이 화살표 방향(19)에서 채워지는 동안 권취장치(1)이 계속 작동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체인이 방향(19)에서 채워지는 동안, 프레스장치는 처음에 10% 더 빠르게 구동되고, 이와 반대로 체인이 방향(18)에서 비어지게 되는 동안에는 완충 레일(17)이 그의 행정(行程)의 말기에 도달하여 프레스장치 또는 권취장치가 정지하게 되기까지 10% 더 느리게 구동된다. 무단 컨베이어 체인(16)도 상술한 것과 완전히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한편, 불완전한 로울의 발생으로, 권취장치(1)의 상부와 하부에서 그리고 프레스장치(2)의 부근에서 컨베이어 체인들이 정지되면, 완충레일(17)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는데. 극단의 경우에 하나의 완충레일을 화살표 방향(18)의 가장 외측에서 그리고 다른 완축 레일은 화살표 방향(19)의 가장 외측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 경우에, 리미트 스위차가 솔레노이드 작동기 27에 신호를 전달하여 완충레일(17)상의 컨베이어 체인이 채우는 방향에서 정지되게 하며, 그리하여 완충레일(17)이 다른 완충 레일(170과 동일한 위치에 도달되는 한도로 컨베이어 체인이 빌때까지 로울들을 계속하여 배출시킨다.
채우고 비는 방향(19),(18)에서의 완충레일(17)들의 단부의 위치가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감지되고 그 스위치가 권취 장치나 프레스장치를 정지시키도록 신호를 전달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단 컨베이어 체인(15)(16)으로부터 프레스장치(2)에의 로울의 이송은 압압봉(32)에 의해 이행되고, 그 압압봉(32)는 컨베이어 체인(15)의 횡으로 이동 가능 하도록 스프로킷(12)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프레스(2)에서 각 컨베이어 체인(15),(16)은 2개의 전환 스크로킷(12)의 주위를 약 90° 돌아 전환되고, 이 각에서, 컨베이어 체인들 위에 있는 로울컵(20)들의 축이 전혼 스프로킷(12) 및 압압봉(32)의 축과 일치된다. 이 위치에서, 로울컵(20)도 또한 프레스장치(2)의 리프터(lifter)(2a)와 일치되고, 이 리프트(2a)는 동시에 삽입되는 4개의 로울을 예비 프레서에의 삽입면까지 들어올리고, 이들 로울들이 평평하게 눌린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개 로울컵(20)들은 일 종축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그 개구부의 직경은 압압봉(32)의 직경보다 크다. 그리하여, 로울컵은 압압봉(32)가 신장된 위치에 놓여 있어도 압압봉(32)의 영역으로부터 밖으로 축선회될수 있다.
로울들은 프레스장치(2)에서 탬펀(35)들로 형성된 다음, 그 탬펀들은 터릿(3)에서 제4도에 나타낸 방식으로 2조의 무단컨베이어 체인(21)의 링크들의 측면에 고착된 탬펀 컵(13)내로 도입된다. 그4개의 탬펀컵(13) 전부가 전환 스프로킷(34)들의 주위를 통과하고 그 결과로 탬펀컵(13)과 터릿(3)의 통로와 터릿 압압봉(도시안됨)이 서로 동축으로 일치하는 동안, 프레스장치(2)내로 로울ㄷ르이 공급도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탬펀들이 터릿(3)으로부터 탬펀컵(13)으로 이송된다. 연속 회전하는 2조의 컨베이어 체인(21)은, 탬펀(35)(제4도)들을 2개소의 이송위치에서, 연속 회전하는 컨베이어 체인(22)에 있는 탬펀 용기(14)에 이송한다. 스프로킷(10a), (10b)의 각각은, 단부의 구동기어(10c)를 통하여 구동 모우터에 도시하지 않는 방식으로 연결된 중공(中空) 측(10)에 의하여 체인(21)과 (22)를 함께 구동한다. 이렇나 씨스템은, 중곡축(10)이 반회전을 하는동안 체인(21)의 슬리이브형 탬펀컵(13)이 체인(22)에 있는 탬펀 용기(14)와 일치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탬펀용기(14)는 탬펀형상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탬펀(35)들은, 체인(21), (22)가 중공축(10)의 주위를 180°회전하는 동안 2개의 압압봉(40)에 의해 이송된다. 그 압압봉은 중곡축(10) 주위에 회전할 수 있게 이송기구(4)의 프레임 벽에 설치되어 있고 중곡축(10)에 형성된 통로를 통과하여 신장한다. 2개의 중곡축(10)의 각각은 축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그에 설치된 4개의 압압봉(40)을 가지고, 압압봉(40)들은 드럼형 고정 캠(36)과 계함하여 있는 파지부재(39)들에 고착된 로울러(39a)들에 의하여 움직인다. 파지부재(39)들은, 디스크(37)(38)에 설치된 축 가이드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드럼형 고정캠(36)은 기대에 강직하게 취부되어 있고, 중곡 축(10)이 180°회전하면 압압봉(40)이 왕복운동을 하게하고 이렇게 왕복운동을 하는 동안 이송이 행해지게 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탬펀(35)들이 2조의 무단컨베이어 체인으로부터 단일의 무단컨베이어 체인으로 이송되므로, 컨베이어 체인(22)에 접급하는 제1이송위치에서 다른 탬펀 용기(14)가 채워져야하고 제2이송위치에서 또 다른 탬펀용기(14)가 채워져야 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체인(22)는 1인치의 간격을 가지며, 각 체인간격에 하나의 탬펀용기(14)가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 체인(21)은 5/8인치의 간격을 가지며 6개의 링크마다 1개의 탬펀컴을 가진다. 체인(21)의 로울중심과, 중곡축(10)에 있는 직경이 각각 다른 톱니가 형성된 링들과 연결된 탬펀컵(13)의 통로중심의 크기가 적절하게 설계되면 탬펀컵(13)과 탬펀 용기(14)의 통로들은 동축으로 일치한다. 그러나 탬펀컵(13)중 하나만이 2개의 중곡축(10)의 각각의 원주상에 배치된 탬펀용기(14)중 하나 걸려 있는 탬펀 용기에 할당된다. 그 다음, 채워진 체인(22)는 저장실(5)에 들어가고 여기서 탬펀들은 포장기, 예를 들면, 블리스터(blister) 포장기에 도입된다. 저장실(5)로부터 나오는 체인벨트(6)은 완충 체인으로부터 배출되는 탬펀들을 받아들이며 이들 탬펀을 블리스터 포장기의 드럼에 전달한다. 팬 디스크(fan disc)가 그 탬펀들을 스프로킷의 요입부로부터 블리스터 드럼에 있는 블리스터 포일(foil)의 컵내의 밀어넣고, 그 다음, 팸펀들은 공지된 장치에 의해 포장된다. 상술한 본 장치는 매분 240개의 탬펀을 생산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완전히 연속 작동할 수 있으므로, 고도의 생산율을 가지며, 특히 로울들이나 탬펀들은 연속으로 처리과정들 사이에서 이송되므로 제품은 그 형상을 손상없이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권취기구(1), 프레스기구(2), 권취기구(1)에서 제조된 로울(35a)을 상기 프레스기구로 이송하는 무단컨베이어체인(15)(16)으로 구성된 이송기구 및 상기 이송기구에 로울(35a)을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으로 구성된 탬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에 위치된 상기 이송기구의 부분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도 상기 프레스기구(2)에의 상기 로울의 연속이송을 가능케 하는 조절수단이 상기 이송기구에 설치되고, 이 조절수단이 상기 이송기구에의 상기 공급수단와 상기 프레스 기구(2)과의 사이의 주행간격을 길게 또는 짧게 하도록 상기 무단 컨베이어 체인(15)(16)의 통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완충레일(17)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탬펀 제조장치.
KR770005465U 1977-09-12 1977-09-12 탬펀의 제조장치 KR800000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5465U KR800000285Y1 (ko) 1977-09-12 1977-09-12 탬펀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5465U KR800000285Y1 (ko) 1977-09-12 1977-09-12 탬펀의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20001207 Division 1972-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285Y1 true KR800000285Y1 (ko) 1980-03-10

Family

ID=1920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05465U KR800000285Y1 (ko) 1977-09-12 1977-09-12 탬펀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2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05684B1 (en) Method of expanding and feeding cartons to a filling line
US4135619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onfectionery products from a feeding conveyor to a receiving conveyor
US484592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ackaging of paper handkerchiefs
US6223884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orming arrays of containers
US4474521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inuously forming a packet of box blanks for further processing
US3545172A (en) Cigarette packeting machine
US4371076A (en) Apparatus for conveying and closely gathering food
US5138828A (en) Spinning facility having at least one exchanging cart for the exchange of cans
US3608269A (en) Apparatus for handling and 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US3794154A (en) Article group assembly and forwarding conveyor for wrapping machines
US10842183B2 (en) Form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for conveying and forming a group of rod-like articles, and feeding apparatus for feeding a group of rod-like articles
FI57351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tamponger
GB1283310A (en)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supplying sliver to a spinning machine
US4134502A (en) Apparatus for forming groups made up by a plurality of side-by-side positioned piles of parallelepipedon shaped articles
CS210612B2 (en) Device for forming of groups of products
KR800000285Y1 (ko) 탬펀의 제조장치
US3861121A (en) Article packaging apparatus
RU222648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аковывания изделия из блока сигарет
US2997725A (en) Tong feed forging machine with supplemental work support and transfer means
US3874031A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rolls from batting
US4056915A (en) Compensating store device in systems for directly feeding cigarettes from cigarette manufacturing machine or machines to the hopper of the cigarette packeting machine
US5018336A (en) System and process for producing or treating cylindrical articles and apparatus employable therein
US1920762A (en) Method of treating articles produced in one machine and consumed in another machine
US3634996A (en) Bottle-packaging machine
US4091757A (en) Unitized can manufactur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