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2208Y1 - 난로용 연료탱크 - Google Patents

난로용 연료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2208Y1
KR790002208Y1 KR780005524U KR780005524U KR790002208Y1 KR 790002208 Y1 KR790002208 Y1 KR 790002208Y1 KR 780005524 U KR780005524 U KR 780005524U KR 780005524 U KR780005524 U KR 780005524U KR 790002208 Y1 KR790002208 Y1 KR 790002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wick
fuel
stove
oil st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05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년
Original Assignee
김기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년 filed Critical 김기년
Priority to KR780005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2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2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2208Y1/ko

Links

Landscapes

  • Wick-Type Burners And Burners With Porous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난로용 연료탱크
제1도는 일부를 절개한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본 고안은 석유난로의 연료 탱크를 심지통과 격리되도록 구성함으로서 연료 탱크의 가열을 막아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고 제작을 간편하게 했으며 난로가 완전히 뒤집힌 상태로 넘어졌을 때는 심지통으로 유입되는연료가 즉시 차단되도록 하고 난로가 옆으로 넘어졌을 때도 극히 소량의 연료만이 심지통으로 유입됨으로 화재의 위험을 최소한 방지토록 한 것이다.
종래 난로의 연료 탱크는 심지통과 일체로 형성되 있어 심지통에서 발살되는 열을 연료 탱크의 내벽이 받게 됨으로 오랫동안 사용하였을 때는 연료 탱크의 가열로 인하여 내부 연료가 기화되어 폭발하거나 기화된 연료가 심지통으로 공급되어 화재가 발생하게 됐으며 연료 탱크에 직접 심지의 하부가 첨지되 있어 난로가 넘어졌을 때는 연료 탱크에서 많은량의 연료가 그대로 심지통으로 유입됨으로 화재의 위험도가 높았던 것이다. 그리고 연료 탱크와 심지통이 일체로 형성된 것은 철판자체를 여러번씩 만곡시켜 형성하게 됨으로 제작이 까다로운 점의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연료 탱크를 난로와 완전히 분리되도록하여 연료 유입관만 심지통으로 연결시킬 것이 있으나 이는 난로 전체의 부피가 커서 많은 설치면적을 차지하게 되며 특히 송풍팬으로 연소시키는 난로에 적합하여 고가의 제작비가 소비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면 양측이 U자형으로 형성된 심지통(1)과 중앙부에 공간(3)이 형성된 환륜상의 연료 탱크(2)를 각각 따로 형성하여 심지통(1)을 연료 탱크(2)의 공간부(3)중앙에 위치하도록 공지의 심지승강용 파수간(4)의 외관(5)에 연결 고착시키고 연료 탱크(2)의 후면 하방과 심지통(1)의 후면 하방은 연료 유입관(6)으로 연결 고착시킴으로서 심지통(1)의 외벽(A)과 연료탱크(2)의 내벽(B) 사이에 간격부(F)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7)은 심지이며(8)은 연소원통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연료 탱크(2)의 공간부(3)중앙에 심지통(1)을 앞쪽은 파수간(4)의 외관(5)과 연결 고착시키고 뒷쪽 하방은 연료 유입관(6)으로 고착시킴으로 심지탱크(1)가 유동이 없이 견고하게 지지되며, 심지통(1)의 외벽(A)과 연료 탱크(2)의 내벽(B)사이에 간견부(F)가 형성됨으로 심지통(1)에서 발산되는 열은 간격부(F)에 의해 연료 탱크(2)로 전도되지 않으므로 탱크내의 연료가 기화되어 화재를 일으키는 위험이 없게되고 간격부(F)로 통풍이 됨으로 심지통(1)의 주벽열을 식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연료 탱크(2)의 하방과 심지통(1)의 하방이 연료 유입관(6)으로 관통되 있어 난로가 완전히 뒤집힌 상태로 넘어졌을 때는 심지통(1)과 연료 탱크(2)를 연결하는 유입관(6)이 상부에 위치됨으로 연료 탱크(2)에서 심지통(1)으로 유입관(6)을 통해 유입되던 연료가 차단되고 옆으로 넘어진 상태에서도 소량의 연료만이 심지통으로 공급됨으로 화재의 발생율를 최소한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연료 탱크와 심지통을 일체로 형성하는 종래의 것은 그 제작이 매우 까다로웠으나, 본 고안은 연료 탱크와 심지통을 각각 따로 형성하여 연결시킴으로 제작이 손쉬운 이점을 얻게되는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연료 탱크(2)의 공간(3)에 따로 형성된 심지통(1)을 공지의 심지(7)승강용 파수간(4)의 외관(5)과 연결하며 연료 탱크의 하방과 심지통의 하방을 유입관(6)으로 연결시켜 연료 탱크와 심지통 사이에 간격부(F)가 형성되도록한 난로용 연료탱크.
KR780005524U 1978-10-30 1978-10-30 난로용 연료탱크 KR790002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5524U KR790002208Y1 (ko) 1978-10-30 1978-10-30 난로용 연료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5524U KR790002208Y1 (ko) 1978-10-30 1978-10-30 난로용 연료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2208Y1 true KR790002208Y1 (ko) 1979-12-29

Family

ID=1921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05524U KR790002208Y1 (ko) 1978-10-30 1978-10-30 난로용 연료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22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60611A (en) Fireplace air circulating heater
KR790002208Y1 (ko) 난로용 연료탱크
US3199571A (en) Burner casting for infrared gas burner
JPS6048442A (ja) 赤外線加熱式排ガスダウンフロ−型ガス湯沸器
US4128393A (en) Flame shielding device
CN209605219U (zh) 组合式全封闭祛烟尘节能柴火灶
CN206669735U (zh) 一种炉头和分火器座一体的灶具燃烧器
US2487775A (en) Fluid fuel burning space heater
KR830000903Y1 (ko) 멸치 자숙기(煮熟機)
US3809057A (en) Orchard heater
CN209013198U (zh) 燃气灶燃烧器
KR850001372Y1 (ko) 연소통 바닥에 망체를 내설시킨 포트신 석유연소기
KR820000968Y1 (ko) 석유 버어너용 전열관
CN209013199U (zh) 燃气灶燃烧器及包含其的燃气灶
KR950000376Y1 (ko) 난방용 기름연소기의 외통
FI63826C (fi) Platt gasvaermebatteri
JPH04113167A (ja) 給湯機
US2316392A (en) Heating stove
KR860001347Y1 (ko) 내연소식 구멍탄용 온수 보일러
JPS6330918Y2 (ko)
JPH0212438Y2 (ko)
JPS6314173Y2 (ko)
US2482700A (en) Pilot for horizontal pot burners
KR820001182Y1 (ko) 구멍탄용 온수보일러의 연통 조절장치
KR880001771Y1 (ko) 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