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2096Y1 - 대문 개폐기 - Google Patents
대문 개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790002096Y1 KR790002096Y1 KR780006202U KR780006202U KR790002096Y1 KR 790002096 Y1 KR790002096 Y1 KR 790002096Y1 KR 780006202 U KR780006202 U KR 780006202U KR 780006202 U KR780006202 U KR 780006202U KR 790002096 Y1 KR790002096 Y1 KR 79000209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sliding tube
- housing
- rack
- ba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첨부 도면은 본 고안 개폐기의 실시도로서,
제1도는 괘정시의 작동도이고,
제2도는 해정시의 작동도이다.
본 고안은 소형 D.C모우터에 의하여 개폐 작용하는 봉상 빗장에 다륜형 랙을 형성함과 아울러 소정된 위치에 원추캠을 형성하여 그 원추캠으로 작용하는 제동핀을 직각방향에 탄설 장착하고, 전기한 봉상 빗장의 선단에는 시간차를 두고 접동하는 접동관체를 삽설하여 봉상 빗장이 개폐 작동할 때, 전기한 원추캠과 제동핀 및 접동관체의 유기적 작용으로 괘정과 해정을 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D.C 전류로 소형 모우터를 구동시켜서 봉상 빗장이 작동되게 하되, 그 봉상 빗장에 다륜형 랙을 형성하여 어떠한 방향으로 횡동되드라도 모우터의 피니온과 교합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둘째 봉상 빗장이 체정된 상태에서 그 봉상 빗장이 인위적으로 후퇴하지 못하게 하며,
셋째 구성이 간단하여 값싸게 보급할 수 있게한 것이다.
종래, 전기를 사용하는 개폐기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어느 것이나 릴레이 또는 소레노이드의 중개로 괘정편을 작용시켜서 상대편 대문짝에 붙은 걸림편에서 체정과 해정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조가 복잡하고, 또 고장율이 많을 뿐 아니라 값이 고가이며, 특히 A.C전류를 사용하는 개폐기에 있어서는 위험도가 많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타개하고저 D.C전류로 구동되는 소형 모우터로 다륜형 랙을 형성한 봉상 빗장을 작동되게 함과 아울러 그 봉상 빗장의 소정된 위치에 원추형 캠면을 형성하여 직각 방향에 탄설 장착된 제동핀을 작용케 하고, 또 봉상 빗장의 선단에는 시간차를 두고 접동하는 접동관체를 삽설하여, 전기한 봉상 빗장이 잠겼을 때는 그 접동관체의 내단부가 전기한 제동핀에 괘지되어 봉상 빗장이 인위로도 후퇴하지 못하게 하고, 반대로 봉상 빗장이 열릴 때에는 전기한 원추형 캠면이 제동핀을 들어 올려서 봉상 빗장이 열리는 길을 열어주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부호(1)은 D.C소형 모우터(2)의 회전축에 고정한 피니온인데, 그 피니온(1)은 봉상 빗장(3)에 형성시킨 랙(4)에 교합되고 있다. 그 랙(4)은 다륜형으로 형성하여 그 봉상 빗장(3)이 횡동하드라도 피니온(1)과의 교합이 유지되게 하고, 봉상 빗장(3)의 소정된 위치에는 원추형 캠면(5)을 형성하되, 그 캠면(5)의 광면(廣面) (5a)의 직경을 하우징(6)의 내경(6b)보다 작게 형성하고, 또 봉상 빗장(3)에서 연장된 선단축봉(3a)에는 그 축봉(3a)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과 또 축봉(3a)의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접동공(7)을 가진 접동관체(8)를 삽설하여 그 내단면(8a)이 전기한 캠면(5)의 광면(5a)에 밀접될 수 있게함과 아울러 접동공(7)의 외측공(7a)은 이를 확대시켜서, 단턱(9)을 형성하며, 축봉(3a)의 선단에는 광두나사(10)를 나착하여 그 광두나사(10)의 주면이 전기한 단턱(9)에서 일정한 거리로 접리될 수 있게 하고, 접동관체(8)의 외단부에는 봉합나사(11)를 체착한다. 그리고, 전기한 하우징(6)의 일측부에는 그 하우징(6)과 일체로된 또 다른 하우징(6a)을 직각 방향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일단부를 원추돌부(12)로 형성한 제동핀(13)과 탄발스프링(14)을 내입한 다음 봉함나사(15)를 체착한 것이다. 부호중 16,17은 문짝이고, 18은 문틈이며, 19는 빗장 괘지공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1도와 같이 D.C모우터(2)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그 피니온(1)과 교합된 다른형 랙(4)에 의하여 봉상 빗장(3)이 화살표와 같이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원추형캠(5)의 광두면(5a)이 접동관체(8)의 내단면 (8a)을 밀게 되므로 그 접동관체(8)의 선단부가 상대편문(16)의 괘지공(19)에 삽입 괘지된다. 이때에 축봉(3a)의 선단에 나착된 광두나사(10)는 접동관체(8)에 형성된 단턱(9)에서 일정한 거리로 격리되는 한편, 아우징(6a)내에 수장된 제동핀(13)이 스프링 (14)의 탄발로 화살표와 같이 하강되면서, 그 선단부에 형성된 원추돌부(12)가 캠면 (5)에 밀접되는 동시에 그 핀(13)의 하단부 주벽(13a)이 접동관체(8)의 내단면(8a)에 괘지되어 그 접동관체(8)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제지한다.
따라서, 문틈(18) 사이로 기물을 삽입하여 괘지공(19)에 삽입된 접동관체(8)를 인위로 멀더라도 접동관체(8)가 밀려 들어가지 못하게 되므로 해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해정코져 할 때, 제2도와 같이 모우터(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니온(1)에 교합된 다륜 랙(4)에 의하여 봉상 빗장(3)이 화살표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고, 캠면(5)은 제동핀(13)의 원추돌부(12)를 쳐들어서 그 핀(13)이 화살표와 같이 상부로 들리게 하는고로, 그 핀(13)의 하부 주벽(13a)에 의하여 괘지되었던 접동관체 (8)의 내단면(8a)이 해방되는 동시에 축봉(3a)의 선단에 나착된 광두나사(10)가 단턱 (9)에 밀접되면서 접동관체(8)를 당겨주므로 그 접동관체(8)의 선단부가 괘지공(19)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용되는 본 고안 개폐기는 캠(5)과 그 캠면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동핀(13) 및 접동관체(8)의 유기적 작용으로 봉상 빗장(3)의 체정과 해정을 운용케 하였으며, 봉상 빗장이 작동할 때, 이것이 횡동되드라도 랙(4)를 다륜형태로 형성한고로 피니온(1)과의 교합작용이 충실하게 되고, 또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므로 코스트가 낮게 되어 D.C전용 개폐기로서 안가하게 보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 하우징(6)내에 랙형빗장(3)을 수용하는 공지의 방식에 있어서, 봉상빗장(3)에 랙(4)을 다륜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소정된 위치에 원추형캠(5)과 선단축봉(3a)을 형성하고, 축봉(3a)에는 내공(7)에 단턱(9)을 형성한 접동관체(8)를 삽설하여 광두나사 (10)를 체착하며, 하우징(6)의 일측에는 또 다른 하우징(6a)을 직각방향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원추돌부(12)를 가진 제동핀(13)을 탄장한 대문 개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80006202U KR790002096Y1 (ko) | 1978-12-09 | 1978-12-09 | 대문 개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80006202U KR790002096Y1 (ko) | 1978-12-09 | 1978-12-09 | 대문 개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790002096Y1 true KR790002096Y1 (ko) | 1979-12-17 |
Family
ID=1921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80006202U KR790002096Y1 (ko) | 1978-12-09 | 1978-12-09 | 대문 개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790002096Y1 (ko) |
-
1978
- 1978-12-09 KR KR780006202U patent/KR790002096Y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TE110493T1 (de) | Sicherheits-türschloss für türen von elektrogeräten. | |
DK159090A (da) | Laaseindretning | |
KR790002096Y1 (ko) | 대문 개폐기 | |
KR830006556A (ko) | 잠을쇠 장치 | |
US3602536A (en) | Airlock construction | |
US2721092A (en) | Door lock | |
SE8801014L (sv) | Fallkolv | |
SE8702396L (sv) | Laas | |
US1876576A (en) | Doorknob lock | |
US2218038A (en) | Electric door latch opener | |
KR810002147Y1 (ko) | 전기 빗장 | |
FR2587752B1 (fr) | Loquet, notamment pour ouvrants coulissants | |
KR850002299A (ko) | 금고 또는 그 유사장치의 문 쇄정장치 | |
US3000203A (en) | Lock mechanism | |
HU220680B1 (hu) | Kapcsolóretesz többreteszes zárakhoz | |
US3041866A (en) | Lock construction | |
KR870003428Y1 (ko) | 대문 개폐장치 | |
KR800000873Y1 (ko) | 대문 개폐기 | |
KR910002918Y1 (ko) | 푸시버튼식 잠금장치의 고정편 | |
US3136571A (en) | Door latch | |
GB1026059A (en) | Automobile door-latch strikers | |
KR790002239Y1 (ko) | 개량출입문 자동 개폐정 | |
KR940004572Y1 (ko) | D. c. 전류용 대문 개폐기 | |
KR860001332Y1 (ko) | 의류 건조기용 도어 개폐장치 | |
KR880000301Y1 (ko) | D. c용 대문 개폐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