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986B1 - 올레핀성 니트릴의 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올레핀성 니트릴의 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986B1
KR790001986B1 KR750002252A KR750002252A KR790001986B1 KR 790001986 B1 KR790001986 B1 KR 790001986B1 KR 750002252 A KR750002252 A KR 750002252A KR 750002252 A KR750002252 A KR 750002252A KR 790001986 B1 KR790001986 B1 KR 790001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ne
acrylonitrile
polymer
polymerization
hal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02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크 헨즈리 린다
슈-샹리 죠지
Original Assignee
셔만 죠셉 케머
더 스탠다드 오일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셔만 죠셉 케머, 더 스탠다드 오일 캄파니 filed Critical 셔만 죠셉 케머
Priority to KR750002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986B1/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올레핀성 니트릴의 중합체 조성물
본 발명은 저 가스침투성 및 고 연화점을 가지는 신규의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올레핀성으로 불포화된 니트릴과 을레핀성으로 불포화된 카복실산에스테르 및 인덴을 주성분으로 한 가스 및 증기의 차단물질의 기능을 가지며 또한 고 연화점을 가지는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 중합체 생성물은 아크릴로 니트릴과 같은 올레핀성으로 불포화된 니트릴 다량과 메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올레핀성으로 불포화된 카복실산 에스텔 및 인덴 소량을 중합시켜서 제조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올레핀성으로 불포화된 니트릴은 다음구조
Figure kpo00001
를 가지는 α,β-올레핀성 불포화모노니트릴이다. 여기에서 R은 수소, 탄소수 1-4의 저급알킬기 또는 할로겐기이다. 이러한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α-풀로로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등이있다. 본 발명에서 선택할만한 것은 아크릴로니트릴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올레핀성 불포화 카복실산은 α,β-올레핀성으로 불포화된 카복실산의 저급 알킬에스텔이다. 더 적당한 것은 다음구조
Figure kpo00002
를 가지는 에스텔이다.
여기에서 R1은 수소, 탄소수 1-4의 알킬, 또는 할로겐이며, R2는 탄소수 1-6의 알킬기이다. 이런형의 화합물은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 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아밀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아밀메타크릴레이 트 및 헥실메타크릴레이트, 메틸 α-클로로아크릴레이트, 에틸 α-클로로아크릴레이트등이있다. 가장 선택할만한것은 메틸 및 에틸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이다. 인덴(1-H-인덴)과 쿠마론(2.3-벤조푸란) 및 그 혼합물은 본 발명에서 단량체로 유용하며 인덴이 가장좋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벌크중합, 용액상중합, 에멀죤 또는 서스펜선 중합등의 뱃취, 연속 또는 단량체와 기타 성분을 도중에 가하는 방법등의 중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선택할만 한 것은 에멀죤 중합이다. 중합은 약 0°-100℃의 온도에서 산소가 없는 상태하에 유화제 및 유리기 생성중합시발제의 존재하에 수용매 중에서 행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선택할만한 중합체 조성물은 다음구조
Figure kpo00003
의 니트릴 1종 이상을 약 60-90%(A)이 상(여기에서 R은 상술한 바와같다). 구조식
Figure kpo00004
(여기에서 R1및 R2는 상술한 바와같다)의 에스텔(B) 10-39% 및 인덴과 쿠마론에서 선택한 것 1종이상(C) 1-15%를 중합시켜서 제조한다.
본 발명의 아크로니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인덴 혼합물의 중합체는 대단히 우수한 기체 및 증기 비침투성을 가지고 있으며 ASTM열변형 온도가 개선된다. 선택할만한 것으로, 아크릴로니트릴-메틸 아크릴레이트-인덴 단량체성분은 아크릴로니트릴 70-90%(중량), 메틸아크릴레이트 10-29%(중량) 및 인덴 1-15%(중량)을 함유해야 좋다.
본 발명의 신규 중합체 생성물은 압출, 밀링, 주형, 드로잉, 불로잉등과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 물질에 응용되는 보통의 방법으로 여러가지 유용한 제품으로 성형할 수 있는 열가소성 물질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 생성물은 우수한 용매에 대한 안정성 및 기체와 증기에 대하여 침투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포장공업에서 특히 병, 필림 및 액체 및 고체 기타 용기의 제조에 특히 유용하다. 다음에 실시예를 나타내며, 성분의 량은 특별한 지시가 없으면 중량부를 나타덴다.
[실시예 1]
A. 다음의 성분으로 에멀존 중합을 행한다.
성분 부
아크릴로니트릴 75
메틸아크릴레이트 20
인덴 5
GAFAC RE-610 pH-6 1.5
물 230
n-도데실 메르캅탄 0.1
과황산칼륨 0.06
* R-O(CH2CH2O-)n PO3M2와 [R-O(CH2CH2O-)n]2PO2M의 혼합물, 여기에서, n은 1-40이며 R은알킬 또는 아르알킬기 또는 노닐페닐기이다. M은 수소, 암모니아 또는 알카리금속이며 이 조성물은 General Anilin과 Film Corporation에서 판매되고 있다.
중합은 8-온스 유리병에서 행한다. 용기와 성분을 질소로 제척하고 병을 60℃에서 16시간동안 회전시켜서 교반한다. 결과로 얻어진 라텍스를 여과포로 여과하여 프리플록(PrefIoc.)을 여과한다음 더운 알미늄설페이트 용액으로 응결시키고 물로 세척한 후 진공건조시켜서 중합체를 회수한다. 분말을 가압성형하여 바와 필림을 제조하여 물리적 특성을 실험하며 그특성은 표(I)에 요약하였다.
B. 아크릴로니트릴과 메틸아크릴레이트를 단량체 비율로 75:25를 사용하여 실시예(1A)의 처방 및 방법으로 중합시킨다. 본 발명의 중합체가 아닌 이 중합체의 특성은 표(1)에 역시 요약하였다. 표(I)과 다음의 표에서 "AN"은 아크릴로니트릴, MA는 메틸아크릴레이트, "IN"은 인덴, "HDT"는 ASTM 열변형온도. "WVTR"은 수증기 투과를 그리고 "OTR"은 산소투과율을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5
[실시예 2]
다음의 처방에 의하여 인덴의 함량을 증가시켜서 일련의 궁합체를 제조하였다.
성 분 부
아크릴로니트릴 75
메틸아크릴레이트 25-15
인덴 0-10
GAFAC RE-610 3
물 pH-6 230
리모넨디메르캅탄 1.3
과황산칼륨 0.2
중합을 8시간 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A)에 기술된 방법으로 행한다. 그 특성은 표(2)에 요약하였다.
실시예(1)에서, 인덴을 함유하는 상술한 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과 메틸아크릴레이트로 만든 중합체보다 수증기 투과율 및 산소투과율이 적었다.
[표 2]
Figure kpo00006
[실시예 3]
다음의 처방으로 인덴으로 함량을 증가시킨 일련의 중합체를 제조한다.
성 분 부
아크릴로니트릴 80
메틸아크릴레이트 20-10
인덴 0-10
CAFAC RE-610 3
물 pH-63 230
리모넨디메르캅탄 1.3
과황산칼륨 0.2
중합반응을 8시간 행한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A)에 기술한 방법으로 반응시킨다. 특성을 표(3)에 요약하였다. 각 경우에 있어서, 인덴을 함유치 않은 것보다, 상술한 인덴을 함유한 공중합체가 수증기 투과율 및 산소투과율이 더 적었다.
[표 3]
Figure kpo00007
[실시예 4]
다음의 처방으로 일련의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성 분 부
아크릴니트릴 75
메틸아크릴레이트 25-10
인덴 0-15
GAFAC RE-610 3
물 pH-6.5 230
리모넨디메르캅탄 0.5
과황산칼륨 0.2
반응은 실시예(lA)에 기술한 방법으로 행한다. 특성은 표(4)에 요약하였다. 실시예(1-3)에서와 같이 상기의 인덴을 함유한 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과 메틸아크릴레이트만으로 제조한 중합체보다 수증기 투과율 및 산소투과율이 훨씬 더 적다.
[표 4]
Figure kpo00008
다음의 성분 및 반응을 사용하여,1ℓ 용량의 4경 유리기구에서 에멀죤 중합반응을 행한다.
성 분 부
아크릴니트릴 75
메틸아크릴레이트 18
인덴 7
GAFAC RE-610 3
물 pH-6.5 230
리모넨디메르캅탄 0.7
(3시간에 걸쳐서 점차 가한다. 전환율 29%)
과황산칼륨 0.15
교반기, 온도계, 첨가누두(添加漏斗) 및 질소 가스통로를 장치한 수지용기구를 자케트시키고 물을 순환시켜서 가열한다. 60-63℃에서 6시간 반응을 행한다. 결과로 얻어진 라렉스를 여과포로 여과한다. 중합체를 더운 알미늄-설페이트 용액으로 응결시키고 물로 세척한 다음 진공건조시켜 중합체를 회수한다. 회수한 중합체 분말을 압착하여 시험용 바와 필름을 제조한다. 그 특성을 표(5)면에 요약하였다. 이 수지는 수증기와 산소가 침투하기 대단히 어려웠으며, 열가소성 물질에 사용되는 보통의 성형장치로 쉽게 성형할 수 있었다.
[표 5]
Figure kpo00009

Claims (1)

  1. 다음의 조성을 가지는 공중합제 조성물
    (가) 다음구조
    Figure kpo00010
    를 가지는 1종이상의 니트릴 약 60-90%(중량)(여기에서 R은 탄소수1-4의 저급알킬 또는 할로겐기),
    (나) 구조
    Figure kpo00011
    를 가지는 에스텔 약 10-39%(중량)(여기에서 R1은 탄소수 1-4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이며, R2는 탄소수 1-6의 알킬기이다).
    (다) 인덴 및 쿠마론에서 선택한 1종이상 약 1-1/15%(중량). 상기의 중량%는 성분 (가), (나) 및 (다)의 합계를 기준한 것이다.
KR750002252A 1975-10-16 1975-10-16 올레핀성 니트릴의 중합체 조성물 KR790001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2252A KR790001986B1 (ko) 1975-10-16 1975-10-16 올레핀성 니트릴의 중합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2252A KR790001986B1 (ko) 1975-10-16 1975-10-16 올레핀성 니트릴의 중합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986B1 true KR790001986B1 (ko) 1979-12-30

Family

ID=1920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02252A KR790001986B1 (ko) 1975-10-16 1975-10-16 올레핀성 니트릴의 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98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6102A (en) Polymerizates of olefinic nitriles and diene-nitrile rubbers
US3586737A (en) Impact-resistant rubber-modified olefinic nitrile-acrylic ester polymers
JPS5921329B2 (ja) オレフイン性ニトリルとジエンゴムとの重合組成物の製造方法
US3926926A (en) Thermoplastic acrylonitrile copolymers
US3926871A (en) Polymerizates of olefinic nitriles
US3947527A (en) Polymerizates of olefinic nitriles and diene rubbers
US3480598A (en) Organic polymeric materials
US3997709A (en) Polymerizates of olefinic nitriles
US4074038A (en) Acrylonitrile-styrene-indene interpolymers
KR790001986B1 (ko) 올레핀성 니트릴의 중합체 조성물
US2457873A (en) Vulcanizable copolymers of acrylonitrile, butadiene and maleic esters
US4127614A (en) Impact-resistant olefinic-nitrile olefinic-ester copolymers prepared in the presence of an olefinic-ester copolymer elastomer
JPS6214566B2 (ko)
US4081592A (en) Process of polymerizing acrylonitrile copolymers employing terpinolene or gamma terpinene as a chain modifier
KR800001071B1 (ko) 올레핀성 니트릴류와 디엔 고무류의 중합체수지 조성물
JPS623848B2 (ko)
US4007162A (en) Acrylonitrile-acrolein-indene terpolymers
JPS6219445B2 (ko)
US4022957A (en) Thermoplastic nitrile resins
CA1109180A (en) Polymerizates of olefinic nitriles and diene rubbers
US3925305A (en) Thermally-stable high nitrile resin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4074037A (en) Thermoplastic terpolymers of acrylonitrile, vinyl esters and indene
US3839495A (en) Impact-resistant olefinic-nitrile copolymers
US4163766A (en) Impact-resistant olefinic-nitrile olefinic-ester copolymers prepared in the presence of an olefinic-ester copolymer elastomer
US3974239A (en) Manufacture of impact-resistant olefinic-nitrile copoly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