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892B1 - 용철(熔鐵)용 용기 - Google Patents

용철(熔鐵)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892B1
KR790001892B1 KR750001552A KR750001552A KR790001892B1 KR 790001892 B1 KR790001892 B1 KR 790001892B1 KR 750001552 A KR750001552 A KR 750001552A KR 750001552 A KR750001552 A KR 750001552A KR 790001892 B1 KR790001892 B1 KR 79000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fixed
slabs
lining
tun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01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헨리 코티네이 죤
Original Assignee
이. 게일러 더블류. 짐멜
호세코 트레이딩 악티엔게셀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게일러 더블류. 짐멜, 호세코 트레이딩 악티엔게셀샤프트 filed Critical 이. 게일러 더블류. 짐멜
Priority to KR750001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89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철(熔鐵)용 용기
제 1 도는 본 발명 턴디쉬(tundish)의 일부분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 턴디쉬의 측벽 일부 단면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용철(molten metal : 熔鐵 : 또는 용융금속) (이하 용철이라 함)을 담는 용기, 특히 턴디쉬에 관한 것이다. 기술상(記述上)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턴디쉬에 대하여 설명을 하되 본 발명은 턴디쉬 이외에도, 레이들(특히 소형레이들), 라운더(launder) 및 도가니와 같이 내화재로 라이닝된 측면을 가지고 있는 용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잉곳(ingot)을 형성시키기 위한 용철의 연속주조에 있어서는, 용철은 턴디쉬로부터 레이들을 통하여 연속 주형에 주입(注入)하게 된다. 이 턴디쉬는 일정한 주저장소의 역활을 하며 일반적으로 금속탱크(metal tank)로 형성되는데 이것은 내화물질, 일반적으로 주조물로서 이면 라이닝을 형성하고 있든가 또는 분무도장(塗裝)된 내화물질로 이면 라이닝을 형성하고 있는 내 화벽돌로서 라이닝(lining)되어 있거나, 또는 여러장의 내화성 절연판(slab)으로 만들어진 벽돌로 라이닝되어 있다. 이와 같은 턴디쉬의 구조는 유지하기에 비용이 많이들고 곤란하다. 특히, 벽돌 라이닝을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가 곤란할뿐 아니라 제작 및 수선에 시간이 많이 소모되게 된다. 왜냐하면 이것은 전체 벽면을 다시 벽돌로 쌓지 않고서는 한개나 또는 몇개의 벽돌을 대체하기가 곤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이 가해진다음에 파손이 일어나는 것은 몇 개의 벽돌 또는 몇개의 부분적인 벽돌에 한정된다. 본 발명은 금속저면(metal base)과 적어도 한개 이상의 측벽을 형성하고 있는 용기로서 용철을 담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이 용기에 있어서는 내화물질로 된 1개 이상의 판이 이 저면을 라이닝하고 있으며 여러장의 이 내화성판이 1개의 측벽 또는 이 이상의 측벽을 라이닝하고 있는 일편 이 내화성판중의 최소 한개는 자체에 고정되어 있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측벽 또는 저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용기의 한가지 형태에 있어서는, 체결부재는 내화성판(이하 슬랩이라 한다)의 한 면(面)으로 부터 돌출한 후 용기의 측벽을 관통하여 연장된다음 이 측벽의 내측과는 반대측에 있는 측벽면에 고정되는 돌출물이다. 따라서 이 슬랩은 벽을 통과하여 외면에 고정되어 있는 돌출물 즉 슬랩에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돌출물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체결부재는 보울트(bolt)로 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이 보울트의 외단부는 측벽과 교합되고 또한 내단부는 슬랩과 교합된다.
한가지 구조에 있어서는, 보울트의 외단부에 벽의 외측면과 서로 물리는 두부(head)를 갖고 있다.
다른 한가지 구조에 있어서는, 보울트의 외단부는 윙넛트(wing nut)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수용하도록 나선이 형성되어 있다. 슬랩에 있어서의 교합부재는 나조를 형성시킨 넛트, 또는 보울트와 교합할 수 있는 다른 부재일 수도 있으며 또는 슬랩내에 매립시킨 주조물일 수도 있다.
이들 각각의 슬랩은 분해할 수 있는 기계적 장치로서 턴디쉬벽에 고정되기 때문에, 슬랩중의 어느 것이든지 다른 것으로 대체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므로서 턴디쉬의 수선이나 정비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수명을 연장시킬 수가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저면이나 측벽에 있는 슬랩들사이, 또는 저면과 측벽들에 고정되어 있는 슬랩들 사이에 내화물질로 된 중간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중간층은 그대로 주조하여 형성시키거나 또는 미리 주조된 기성품을 제자리에 맞추어 넣을 수도 있으며, 여기에는 반드시 돌출부 또는 보울트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갖고 있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중간층의 어느 것은 주조 알루미나 콘크리이트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중간층은 필요한 라이닝슬랩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 큰 용기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내화성 슬랩라이닝과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은 중간층을 형성시키는 외에도, 용기에는 또 내화성의 열절 연성물질로 된 소모성 라이닝(expendable lining)을 내측에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측벽들을 라이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내화성 슬랩을 알루미나 시멘트 또는 알루미나 콩크리트재료가 좋으며, Al2O3를 중량으로서 40-70%를 함유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 재료는, 예를들면 내화성의 무기섬유(無機纖維) 또는 강철섬유로 보강할 수도 있으며 또한 속이 빈 규산알미늄 소구(小球) 같은 밀도를 낮춰주는 첨가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들 슬랩은 가급적 열충격에 대한 내성이 좋아야 하며, 실온으로 부터 섭씨 1600도까지의 온도 변화에 대하여 적어도 200사이클 이상 견딜수 있어야 한다. 내측에 내화성 열절연 라이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원하는 특성을 실온으로 부터 섭씨 1600도까지의 온도변화에 대하여 적어도 200사이클 이상 견딜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으로 변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보면, 턴디쉬는 직립하는 금속측벽(2)와 금속저면(1)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저면에는 내화성 패널(panel)(3)이 라이닝되어 있고 그 안에는 종래의 노즐(nozzle)(4)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2)의 보울트공(5)을 통하여 슬랩의 뒷면에 고정되어 있는 헤드레스 보울트(7)에 의하여 측벽(2)상의 정위치에 고정되어 이 측벽을 라이닝한다.
이 슬랩들이 적당한 자리에 위치할 때에는 이 상태에서 보울트(7)에 나합되는 윙넛트(12)로 조여 고정시키게 된다. 슬랩들 사이의 간극들은 보통으로 사용되는 밀폐제로서 밀폐시킬 수 있다. 저면패널(3)들은 측벽 슬랩(6)들에 의하여 정위치에 고정된다. 패널(3)과 슬랩(6)의 하단부 결합은 사개물림으로 하여 기밀을 보지토록 하는 것이 좋다. 그 다음에는 내화성의 열절연물질로 된 슬랩의 소모성라이닝을 내측에 삽입하여서 턴디쉬를 완성시키는 것이 좋다. 슬랩(6)은 알루미나 시멘트나 알루미나 콘크리이트 같은 내화성 물질로 주조되여 그 안에 주조넛트(8)들을 매립하고 있으며, 이들 넛트들은 앵커(9)에 의해서 정위치에 고정된다.
슬랩(6)은 턴디쉬의 벽(2)에 평행하게 고정된다.
벽(2)의 외측에 있는 보울트(7)의 단부에는 워셔(11)들 사이에 키워진 압축스프링(10)이 있으며, 윙넛트(12)는 보울트(7)의 자유단(free end)에 나합되어 슬랩을 턴디쉬벽에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만큼의 힘으로 조여진다. 슬랩이 사용중에 부식되거나 또는 다른 원인으로 손상을 받을 경우에는 나머지 라이닝에 손을 대지 않고서 대체를 시킬 수 있다.
서로 나합, 나해될 수 있는 보울트(7)가 넛트(8)대신에, 슬랩(6)에는 자체내에 매립고정되어 돌출된 체결부재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조립시에는, 이 체결부재를 구멍(5)를 통과시킨 후 클립(clip)을 부착시켜 슬랩(6)을 고정시키고 이 클립을 벽(2)에 용접하거나 또는 구부려 부칠 수도 있다. 보울트공(5)대신에 스롯트(5a)를 형성시켜 슬랩(6)에 고정되어 있는 보울트를 삽입시켜 고정시킬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용철용 용기는 물론 용철용 용기를 수리하는데 적당한 위에 기술한 바의 체결구를 장치한 내화성 슬랩도 포함된다.

Claims (1)

  1. 도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내화성 슬랩으로 저면 및 측벽의 라이닝을 형성하고 있는 용철용 용기에 있어서, 체결부재의 내단부를 슬랩에 고정시키고 외단부를 용기의 측벽 또는 저면을 관통시켜 측벽 또는 저면의 외면부에서 체결시킴으로서 슬랩을 고정하여 된 용철용 용기.
KR750001552A 1975-07-16 1975-07-16 용철(熔鐵)용 용기 KR790001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1552A KR790001892B1 (ko) 1975-07-16 1975-07-16 용철(熔鐵)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1552A KR790001892B1 (ko) 1975-07-16 1975-07-16 용철(熔鐵)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892B1 true KR790001892B1 (ko) 1979-12-27

Family

ID=1920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01552A KR790001892B1 (ko) 1975-07-16 1975-07-16 용철(熔鐵)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89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2029A (en) Tundishes
US3800014A (en) Method of constructing a refractory wall in a float glass furnace
US4469309A (en) Core for blow-forming the lining of vessel for molten metal, a lining method using said core, and a lining composition used in said lining method
US4450872A (en) Fiber pipe protection for water cooled pipes in reheat furnaces
US3309123A (en) Attachment of inserts and fixing devices to pieces of vitreous silica, glass and such material
KR790001892B1 (ko) 용철(熔鐵)용 용기
US4076224A (en) Tundishes
US4022358A (en) Vessels for containing molten metal
EP0061263B1 (en) Anchoring refractory materials to a refractory lining
US4073243A (en) Industrial furnace roof assembly and components thereof
US2581989A (en) Furnace wall structure
US4227630A (en) Sliding gates for metallurgical vessels
US2819693A (en) Refractory anchors and supporting hangers therefor
US2982237A (en) Externally suspended cast refractory
US2759723A (en) Compress laminated refractory block for metallurgical furnaces
US5118085A (en) Steel ladle lip closure apparatus
US4220268A (en) Self supporting refractory sliding plate
JPH09192822A (ja) タンディッシュカバー
US6428743B1 (en) Trough having an erosion-resistant precast shape
JPS608316Y2 (ja) 高温用アンカ−スタツド構造
JPS6347398Y2 (ko)
JP3420499B2 (ja) 焼却炉内壁建造方法及び成型耐火物ユニット
JPS6218959Y2 (ko)
SU1448189A1 (ru) Опорный по с футеровки
JP2005042967A (ja) セラミックファイバーを有する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