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285Y1 - 누름 단추 장치 - Google Patents

누름 단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285Y1
KR790001285Y1 KR740000233U KR740000233U KR790001285Y1 KR 790001285 Y1 KR790001285 Y1 KR 790001285Y1 KR 740000233 U KR740000233 U KR 740000233U KR 740000233 U KR740000233 U KR 740000233U KR 790001285 Y1 KR790001285 Y1 KR 790001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plate
lock
push
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00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쯔오 마쯔다
Original Assignee
모리다 아끼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다 아끼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다 아끼오
Priority to KR740000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285Y1/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누름 단추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표시한 일부를 절제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누름단추 록크판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중요부의 하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틀의 사시도.
제5도 A,B는 제1도의 록크 동작핀의 중요부 동작상태를 각각 표시한 측면도.
제6도는 후크의 이면측 사시도.
본 고안은 예를 들면 테이프 레코더(T.R)의 기록, 재생, 권려, 조송, 정지 등의 누름단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누름단추의 부드러운 탓치조작을 할 수 있고, 이들로부터 T.R에 소마의 조작상태를 부여함과 동시에, 각각의 누름단추가 확실히 자동적으로 돌아오도록 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장치에 있어서는, 각각의 조작단추의 눌려진 상태를 오래 계속하면, 누름단추가 자동적으로는 복귀하지 못해 오동작이 생기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쉽게 배제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면에 있어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T.R의 재생조작 누름단추, (5)(6)은 각각 하우징(hosing) A 및 하우징 B를 각각 표시하고, 하우징 B(6)은 T.R의 상자(S)의 일부를 구성하고, 하우징 A(5)는 하우징 B(6)와 직교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 B(6)에는 구멍(6a)(6b)…가 설치되고, 구멍(6a)에는 재생누름단추의 지지판이 또 구멍(6b)에는 급정지 누름단추의 지지판(어느것도 도시되지 않음)을 취부한 누름단추 지지판이 삽입구성된다.
(S1),(S2)는 각각 하우징 B(6)와 평행으로 상자(S)내에 설치된 샤시를 각각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 재생 누름단추(1)과 이들에 관련된 본 고안기구에 있어서 설명한 것이지만 다른 누름단추장치에 있어서도 같고, 설명중에 있어서 (공통)이란 것은 상술한 각각의 누름단추에 있어서도 같고, 설명중에 있어서 (공통)이란 것은 상술한 각각의 누름단추에 대해 공통족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조의 것을 표시한다.
본 고안은, 누름단추 지지판(2)와, 누름단추 록크판(3)과, 누름단추 지지판(2)와 누름단추 록크판(3)과를 결함하는 결합기구(F)와, 누름단추 록크판(3)을 기체에 따라 상자(S)에 결합하는 록크기구(R)과, 록크기구(R)에 연동하여 록크기구(R)의 록크상태를 해제하는 해제기구(D)를 가지고, 누름단추 지지판(2)의 상태 여하에 불구하고 누름단추 록크판(3)이 록크기구(R)로부터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술한 바를 제1도 내지 제5도에 있어서 다시 상술한다.
제2도에 있어서 누름단추 록크판(3)은 각(脚)판(3a)와 이것과 직교하는 상(上)판(3b)로부터 단면 T자형으로 일체 형성되고, 각판(3a)에는 긴구멍(3c)(3d)와 각주(角柱)형 돌기(3e)와 그 이면에 원주형 돌기(3f)를 각각 설치한다. 그 긴구멍(3c)(3d)는 그 긴방햐잉 화살표 a방향에 연하도록 설치하고, 또 각판(3a)에는 화살표 a와 직교하는 화살표 b방향에 연하는 돌기부(3g)를 설치한다.
상판(3b)에는 일면이 화살표 a와 직교하도록 한 정삼각주형의 돌기부(3h)와, 각 구멍(3i)를 설치한다.
이리하여, 이 돌기부(3h)의 유단에 사면(3j)를 형성한다. 이 사면(3j)는 화살표 a방향에 연하여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taper)를 가지고, 또 각판(3a)와 직교하도록 형성한다.
제3도에 있어서, 하우징 A(5)(공통)과 하우징 B(6)(공통)과의 교선으로 연하여 구멍(6a)와 연통하도록한 구멍형의 절결 요(P90-@그림1@)부(5a)를 하우징 A(5)에 설치하고, 제1도에 있어서, 이 절결요부(5a) 측면에 상부구멍(5b)와 하부구멍(5c)와를 하우징 A(5)를 각각 관통하여 설치한다. 그리하여, 이 절결요부(5a)내에 상관(3b)를 꼭 맞추고, 또 상부구멍(5b)에 돌기부(3h)를 각각을 삽인하여 누름단추 록크판(3)이 이 요부에 인도되어, 화살표 a의 정반대 방향으로만 자유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가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장방형의 누름단추 지지판(2)에는, 그 표면에 핀(2a)를, 또 그 이면에 핀(2b)(2c)를 각각 고정함과 동시에 각(角) 구멍(2d)를 설치한다. 그리고 핀(2b)(2c)를 누름단추 록크판(3)의 긴구멍(3c)(3d)에, 또 그 각구멍(2d)에 각주형돌기(3e)를 각각 삽입하여, 누름단추 지지판(2)가 누름단추 록크판(3)상에 있어서 화살표 a의 정반대 방향으로만 습동자재로 될 수가 있다. 이 경우 돌기(3e)를 누름단추 지지판(2)위에 돌출시킨다.
누름단추 지지판(2)의 핀(2a)에 그 기부(基部)를 축으로 부착한 후크(hook)(4)는, 그 조부(釣部)(4a)선단을 구멍(3i)와 하부구멍(5c)와를 끼워 하우징 A(5)밖에 돌출된다. 이 후크(4)의 이면에는 이들로부터 사면(4b')를 가지고 돌출한 단부(4b)를 설치하고, 이 단부(4b)에 상기 돌기(3e)를 대접시킴과 같이 그 이면에는 핀(4c)가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6)에 각각 일단을 고정하고, 핀(4c) 및 (3f)에 각각 그 유단을 거는 판스프링(41)(42)를 설치하고, 이 스프링(41)(42)에 후크(4)를 따라서 누름단추 지지판(2)와 누름단추 록크판(3)이 반 화살표 a방향으로 향하는 펼기력을 각각 갖는다.
그리고 누름단추(1)을 화살표 a방향으로 누를시, 따라서 누름단추 록크판(3)위를 누름단추 지지판(2)가 스프링(41)의 편기력에 대항하여, 또, 그핀(2b)(2c)가 긴구멍(3c)(3d)의 긴 방향으로 연하여 습동할시, 후크(4)의 단부(4b)가 누름단추 록크판(3)의 돌기(3e)에 결합하여 누름단추 록크판(3)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 그 압력을 풀면 스프링(41)의 편기력에 의하여 누름단추 지지판(2)는 후크(4)를 통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형성할 수가 있다.
이리하여 결합기구(F)를 구성할 수가 있다.
다음에 록크 기구(R)에 있어서 제1도,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우징 A(5)에 대략 평행으로 병렬 배치한 록크차동판(7)과 (8)과를 서로 인접하여 설치한다. 제5도에 있어서, 이 록크차동판(7)(8)은 각각의 일단이 절곡되어 도시와 같이 서로 같은 경사사면(7a)(8a)와 (7b)(8b)로부터 산(7c)(8c)를 형성하고, 제4도에 있어서, 한쪽의 록크차동판(7)에는 산(7c)와 그 사면(7b)에 걸쳐서 다른 록크차동판(8)에 향해 개구(開口)하도록 하는 절결요부(7d)를 설치한다.
이렇게 한 누름단추에 대응하는 록크차동판(7)(8)을, 제4도에 도시함과 같이 그자형 틀(43)(44)(공통)에 일체로 각각 취부하고, 그 각각의 틀(43)(44)의 각(脚)(43a)(43b), (44a)(44b)의 중앙부를 화살표 a와 직각방향으로 연하는 축(45)(공통)에 의해 상자(S)에 축으로 고착함과 동시에 각(脚)(43b)(44b)의 유단부를 후술하는 록크착동판(17)과 결합시킨다. 틀(43)(44)에는 이를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편기력을 가진 스프링(43c),(44c)를 각각 고정부와의 사이에 걸쳐준다.
제5도 A에 있어서, 이러한 돌기부(3h)의 사면(3j)를 이 사면(7a)(8a)에 각각 걸치도록하여 대향시키며, 누름단추(1)을 억합할시, 따라서 사면(3j)가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할시, 사면(3j)가 양사면(7a)(8a)를 걸쳐서 대접하여 움직이고, 따라서 틀(43)(44)를 축(45)에 의해 회동하는 사면(3j)가 산(7c)(8c)를 각각 넘을시 사면(3j)가 절격요부(7d)에 따라서, 록크 차동판(7)에 결합하고, 록크차동판(7)과 (8)에 따라서 틀(43)(44)에 축(45)에 대하여 회동각차(灰動)을 생기지 않도록 형성할 수가 있다.
또, 제1도 및 제5도에 있어서 후술함에 의해, 틀(43)(44)를 축(45)에 관해 스프링(43c)(44c)의 편기력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억압회동할시, 상술의 요부(7d)와 동기부(3h)와의 결합이 풀리고, 돌기부(3h)에 따라서 누름단추 록크판(3)이 스프링(42)에 의해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구멍(5b) 주연과 돌기부(3h)와의 결합하도록 형성할 수가 있고, 또 이때, 하부구멍(5c)와 조부(4a)의 결합을 풀면 누름단추 지지판(2)도 또 스프링(41)에 의해 긴구멍(3c)(3d)의 긴방향으로 연하여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핀(2b)(2c)가 긴구멍(3c)(3d)연결과 결합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형성할 수가 있다.
제4도에 있어서, 틀(44)에는 이들이 부착되고 또, 후술하느 솔레노이드(Solenroid)(46)(공통)에의 전원접속에 제공하는 스위치(18)(공통)을 설치한다. 또 다른 틀(43)에 일체로 취부한 작동간(43d)를 설치하고, 스위치(18)의 절환 조작자(18a)와 작동간(43d)와를 대향시키며, 상술한 틀(43)과 (44)와의 차등에 의해 작동간(43d)가 조작자(18a)의 억압을 풀어 스위치(18)을 풀어 스위치(18)은 온하도록 할 수가 있다.
계속해서 해제기구(D)에 있어서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해제기구(D)는, 구동링크(10)(공통), 구동조(爪)(9), 조작레버(12), 록크판(14)(공통), 해제판(15)(공통), 후크작동판(17)(공통) 및 솔레노이드(46)(공통)으로 이루어진다.
구동링크(10)은, 샤시(S1)(S2)를 각각 삽통하는 그 일단을 고정축(10a)(공통)으로 고착되고, 타단부에 축(10b)(공통)을 관통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46)의 플런저(plunger) 축(46a)(공통)의 유단과 연결하고, 솔레노이드(46)에 전기가 통할시 그 축(46a)이 화살표 b방향으로 당기고 링크(10)이 축(10a)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형성할 수가 있다.
구동조(9)와 조(9a)를 가진 후크형으로 형성하고, 그 조(9a)의 선단을 아랫방향으로 향하고, 그 기부(基部)를 축(10b)에 축으로 부착한다. 그리고 구동링크(10)과 구동조(9)와의 사이에 판 스프링(10c)를 걸어주고, 구동조(9)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스프링(10c)에 편기력을 준다.
조작레버(12)는, 샤시(S1) 하면에 그 일변을 대접시키고, 그 일변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돌부(12a)(12b)를 각각 설치하고, 이 돌부(12a)(12b)는 각각 샤시(S1)으로부터 돌출시킴과 동시에, 그 일변하측면에 돌기(12c)와 돌출부(12d)와를 각각 설치한다. 그리고, 돌출부(12d)와 고정부와의 사이에 판스프링(12e)를 걸쳐주고, 샤시(S1)에 대해 화살표 b의 정반대 방향으로 습동할 수 있도록 이 레버(12)를 형성하고 스프링(12e)에 레버(12)가 화살표 b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편기력을 준다.
록크판(14)는 ∧자형으로 형성하고, 그 절곡부를 축(14a)(공통)으로 부착하고, 그 일단을 다시 안쪽으로 절곡하여 절곡부(14d)를 형성하고, 샤시(S1)를 관통한 타단에 핀(14b)를 고착하고, 이 판(14)와 고정부와의 사이에 서로 가깝게 편기력을 가진 스프링(14d)를 걸어주고, 항상이 스프링(14d)에 의해 절곡부(14b)가 조작레버(12) 아랫면가 대접하도록 형성할 수가 있다.
해제판(15)는 그자형으로 형성하고 아랫쪽으로 개구(開口)시키고, 그 돌출 양단(15a)(15b)를 샤시(S2) 아래로 각각 돌출시키고, 또 화살표 b의 정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그 돌출단(15b)의 바깥면을 상술한 핀(14c)에 대항시키고, 해제판(15)가 상자 S내의 고정부와 구동링크(10)과의 사이에 항상 평행을 유지하도록 해제판 15의 일단 즉 한쪽의 돌출단(15a)과 고정부와의 사이에 스프링(15c)를, 또 다른단과 구동링크(10)과의 사이에 스프링(15d)를 각각 걸어주고, 또 돌출단(15a)의 반대방향에는 돌부(15e)가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해제판(15)의 타단과 구동링크(10)과의 사이에 있는 스프링(15d)는 챠지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후크작동판(17)은, 그 일단을 고정축(17a)(공통)으로 고착하고 또 그 유단이 샤시(S1)과 (S2)와를 삽통하여 고정축(17a)에 의해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유단부 측면을 구멍(5c)에 돌입한 후크(4)의 조부(4a)선단과 대항시킴과 동시에 그 대략중앙부에이들과 직교하는 돌부(17b)를 이들과 일체로 형성하고, 이 돌부(17b)에 화살표 a방향으로 연하는 구멍(17c)를 설치하고, 이 구멍(17c)를 끼워 록크 차동판(7)(8)의 각각 틀의 각(脚)(43b)(44b)가 구멍(17c) 연결과 결합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록크 차동판(7)의 절결요부(7d)와 돌출부(3h)와의 결합을 푼 후에, 다른 록크 차동판(8)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스위치(18)을 오프하여 솔레노이드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지하고, 이때 동시에 후크작동판(17)이 다시 조부(4a)의 선단을 누르고, 구멍(3i)연결과의 결합을 풀도록 형성할 수가 있다.
상술한 요부(7a)와 돌기부(3h)와 또, 구멍(3i) 연결과 조부(4a)선단과의 각각의 결합이 해제되고, 따라서 후크(4)의 단부(4b)와 돌기(3e)와의 결합을 풀고 누름단추 지지판(2)와 누름단추 록크판(3)이 각각 스프링(41) 및 (42)에 의해 각각 별개로 화살표 a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형성할 수가 있다.
상술과 같으므로, 예를 들어 누름단추(1)이 오래 눌려져 거의 전술과 같은 상태에 있어서도, 누름단추(1)의 눌림에 의해 결합기구(F), 록크기구(R), 해제기구(D)가 연동하는 일련 동작후에 누름단추 록크판(3)이 복귀됨과 동시에, 누름단추 지지판(2)도 또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으므로 T.R의 누름단추에 오동작을 하지 않고 끝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누름단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1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재생누름단추(1) 혹은 다른 누름단추를 누르면 T·R을 재생혹은 다른것에 대응하는 조작상태로 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눌려진 누름단추(2)에 의해, 누름단추 지지판(2)는 그 후크(4)의 단부(4b)가 누름단추 록크판(3)의 돌기(3e)에 결합하여 누름단추 록크판(3)을 같이 누르고, 이 동작에의해 누름단추 록크판(3)의 돌기부(3h)가 록크 차동판(7)(8)에 차동을 부여하여, 스위치(18)을 온으로 하고, 솔레노이드(46)에 전력을 공급시킨다. 한편, 누름단추 록크판(3)의 돌기부(3g)는 구동조(9)를 억압하여 회동하고, 그 조(9a)를 조작레버(12)의 돌기(12a)에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46)의 급전에 의한 솔레노이드축(46a)의 이동에 의해 조작레버(12)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고, 구동링크(10)도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조작레버(12)의 이동에 의해, 이 돌기(12c)가 록크판(14)의 절곡부(14c)에 당접하여, 이 접촉마찰에 의해 록크판(14)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핀(14C)를 통하여 해제판(15)를 억압하여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 습동시키는 상태로 멈추게 하고, 이 상태에 있어서는 구동링크(10)의 회동에 의해 챠지스프링(15d)에 색인탄력이 챠지된다.
여기서, 조작레버(12)가 다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어 돌기(12c)가 록크판(14)의 절곡부(14b)를 넘고, 록크판(14)는 스프링(14d)의 편기력에 반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해제판(15)의 억압을 해제하고, 이 때문에 해제판(15)는 스프링(15d)에 챠지된 색인 탄력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부터 급격히 이동된다. 이 해제판(15)의 이동에 의해, 돌기(15e)를 통하여 후크작동판(17)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후크(4)의 조부(4a)를 억압하고, 단부(4b)와 누름단추 록크판(3)의 돌기(3e)와의 결합을 해제함과 동시에, 틀(43)(44)를 돌부(17b)의 구멍(17c)를 통하여 반대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동시킨다. 이 틀(43),(44)의 회동에 의해, 누름단추 록크판(3)의 돌기부(3h)와 록크차동판(7)의 절결요부(7d)와의 결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스위치(18)은 오프로되고 솔레노이드(46)에의 급전이 정지된다.
이와같이 하여 누름단추 록크판(3)은 돌기(3e) 및 돌기부(3h)의 결합이 동시에 해제되므로 스프링(42)의 편기력에 의해 누름단추 지지판(2)의 압압동작에 관계없이 원위치로 복귀되고, 한편 누름단추 지지판 2)도 압압을 해제하면 스프링(41)의 편기력에 의해 후크(4)를 통하여 밀어올려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 복귀되어 있는 누름단추 록프판(3)의 긴구멍(3c),(3d)에 따라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이때 구동링크(10)과 솔레노이드축(46a) 및 구동조(9)는 각각 스프링(15d) 및 (10c)의 편기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록크판(14)와 조작레버(12)는 다른 누름단추의 억압조작에 의해 공통으로 설치된 록크판(14)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므로서 돌기(12c)와 절곡부(14b)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본 고안은 상술과 같으므로, 본 고안 장치에 의하면, 누름단추의 압압 조작력은 스프링(41),(42)의 편같이 누름단추의 억압시간을 극히 작은 힘으로 끝나므로 소위 휘더탓치로 끝나고 또,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같이 누름단추의 억압시간을 길게해도 이에 구애되지 않고 동작이 확실히 일련하여 완료되는 것이 자동적으로 되므로, 누름단추에 의한 T.R에 오동작을 일으키는 등의 것이 될 수가 없다.
또 한 개의 솔레노이드와 스위치에 의해 복수개의 누름단추 조작에 대한 동작을 미리 얻으므로 경비절감에도 기여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누름단추 지지판과, 누름단추 록크판과, 상기 누름단추 지지판과 누름단추 록크판과를 결합하는 결합기구와, 상기 누름단추 록크판을 기체에 결합하는 록크기구와, 그 록크기구에 연동하여 그 록크기구의 록크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기구의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해제기구를 가지고, 상기 누름단추 지지판의 어떤 상태에도 불구하고 상기 해제기구에 의해 상기 누름단추 록크판이 상기 록크기구로부터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누름단투 지지판과 누름단추 록크판과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단추 장치.
KR740000233U 1974-01-01 1974-01-01 누름 단추 장치 KR790001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0233U KR790001285Y1 (ko) 1974-01-01 1974-01-01 누름 단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0233U KR790001285Y1 (ko) 1974-01-01 1974-01-01 누름 단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285Y1 true KR790001285Y1 (ko) 1979-08-13

Family

ID=1919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0233U KR790001285Y1 (ko) 1974-01-01 1974-01-01 누름 단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2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6915Y2 (ja) スイッチ装置
KR790001285Y1 (ko) 누름 단추 장치
US4774613A (en) Photosensor block
JPH0638756Y2 (ja) ウインカー用オートキヤンセル装置
GB2176233A (en) Push-button combination lock
US4795860A (en) Push switch
JPH07169158A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ーのカセット蓋予備開放装置
JPH0447868Y2 (ko)
US4116078A (en) Lock release mechanism for push button levers in a tape recorder
JPH0334808Y2 (ko)
JPH0735073Y2 (ja) 蓋体のロツク装置
JPH026582Y2 (ko)
JPH0531695Y2 (ko)
JPS63244532A (ja) スイツチ機構
JPS5840455Y2 (ja) 自動販売機等における押釦装置
JPH0414825Y2 (ko)
JPS605465Y2 (ja) 操作釦装置
JPS5814431Y2 (ja) テ−プレコ−ダの自動停止機構
JPS5850508Y2 (ja) テ−プレコ−ダにおける操作装置
JPS5834598Y2 (ja) ロツク板復帰機構
JPH0441469Y2 (ko)
KR940003455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플레이레버 복귀장치
JPS6138124Y2 (ko)
JPS5917018Y2 (ja) テ−プレコ−ダ−のスイツチ切換装置
JPS6144349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