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079Y1 - 수중유수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수중유수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079Y1
KR790001079Y1 KR7705184U KR770005184U KR790001079Y1 KR 790001079 Y1 KR790001079 Y1 KR 790001079Y1 KR 7705184 U KR7705184 U KR 7705184U KR 770005184 U KR770005184 U KR 770005184U KR 790001079 Y1 KR790001079 Y1 KR 790001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se
river
dam
main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5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치만
Original Assignee
황치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치만 filed Critical 황치만
Priority to KR7705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0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079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중유수 안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유수 호오스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제1도의 A-A선 확대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를 댐에 설치하여 일부를 절결한 실시 상태 설명도로서
제3a도는 지류(A)와 본류(B)의 수면에 결빙이 생기더라도 빙판밑에서 유수(C)가 계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제3b도는 우기에 본류(B)수위가 지류(A)수위보다도 높아질 경우, 유수(C)가 중단되고 장치의 작동이 폐쇄상태로 됨을 표현한다.
본 고안은 댐(Dam)에 고인 하천수를 본류의 심부에 별도로 유수 호오스를 통해 일정구간의 수역내를 오염되지 않게함으로서 깨끗한 정수를 이용 또는 공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수유중수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장, 가정등에서 폐기된 오수는 하천을 통해 하천의 본류에 그대로 유입되게 마련이어서 비위생적이었고, 또 하천의 오수를 유수대로 받아서 이를 본류상에 띄워서 본류와는 별도의 수로를 형성시킬 수 있는 본 고안 출원인소유 77년 실용원 제5706호(78공번 제1391호)등을 구상할 수 있으나, 그것은 수면이 흐르는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고, 겨울철의 결빙기에 이르러 수면이 모두 얼었을 경우, 수중의 심부 오염까지를 방지할 수는 없게 되는바, 본 고안은 수면이 얼더라도 그 빙판 밑에서 유입되는 오수까지를 원활하게 소망의 거리까지 수중 오염을 방지하게 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첨부 도면에 의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수 직포로서 호오스(1)를 형성함에 있어서 호오스(1) 양연부에 일단 이 길게 연장되게 로우프(2)(2')를 개재시켜 각각 봉재하고 로우프(2)(2')의 요소에 집계형의 감착편(3)(3')을 등 간격으로 다수 배설하여, 호오스(1)의 일단이 댐(4)의 하단에 배설된 테이퍼형의 배수관(5)에 끼움과 동시 고정부(6)에 로우프(2)(2')를 결박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실시는 하천의 하구에 본류와의 수위차를 갖도록 설치된 댐의 저면부 배수관(5)에 호오스(1)의 일단을 깊숙이 끼우고 로우프(2)(2')로 댐(4)의 좌우 고정부(6)에 견고히 결속시킴과 동시에 그 타단은 이를 본류(B)의 심부에 개방상태로 하여 본류(B)흐름에 따르도록 하는데, 유수 호오스 (1)는 그 연부에 로우프(2)(2') 및 다수의 감착편(3)(3')이 착설되어 어느 정도 무게를 유지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댐의 배수관(5)과 거히 평행으로 가라 앉게 되어 수면에 뜨지 않으며, 지류(A)를 따fk 댐(4)에 집결된 하천수의 수위는 통상 본류(B)의 수면보다도 높은 수위에 있기 때문에 그 수위차로 인한 수압으로 인하여 댐(4) 하단의 배수관(5) 및 유수 호오스(1)를 통해 배출되는 유수(C)는 분류(B)수위에 이상이 없는 한 항상 높은 수압으로 인하여 호오스(1)내를 원활하게 흐르게 된다. 또한 호오스(1)의 일단은 고정부(6)에 로우프(2)(2')로 견고히 고정되어 있어서 풀려날 염려가 없으며, 만일 호우기에 본류(B)의 수위가 하천수위(A)보다도 높아질 경우가 있으면, 제3b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류(B)의 수위차로 인하여 호오스(1)는 내압보다 외압이 높아짐으로 호오스(1)의 전방부는 폐쇄상태로 되어 오수(C)의 배출은 정지된다. 그리고 결빙기에 제3a도로 표시한 지류(A)와 분류(B)의 수면에 결빙이 있더라도 유수(C)는 계속 빙판 밑에서 이루어 질수 있기 때문에 년중분류(B)의 일정구간을 지류(A)로부터 오염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일정수역 오염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실용적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본 고안 호오스(1)의 사용가치는 상기와 같이 오수의 배출수단 이외에도 수중에서 정수이송 호오스로 사용할시는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이점이 있으며 그 밖에도 본 고안은 여름철에 본류(B)수면의 일정구간을 깨끗한 수영장으로 개설하기 위한 때나 어장 및 물새들의 조류 서식장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며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양연부에 로우프(2)(2')를 개재시켜 각각 봉재하고 요소에 집계형의 감착편(3)(3')이 착설된 호오스(1)의 일단을 댐(4)의 배수관(5)에 끼워 로우프(2)(2')로 고정하고 타단은 본류(B)의 심부에 띄우게 한 수중유수 안내장치.
KR7705184U 1977-08-29 1977-08-29 수중유수 안내장치 KR790001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5184U KR790001079Y1 (ko) 1977-08-29 1977-08-29 수중유수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5184U KR790001079Y1 (ko) 1977-08-29 1977-08-29 수중유수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079Y1 true KR790001079Y1 (ko) 1979-07-16

Family

ID=19206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5184U KR790001079Y1 (ko) 1977-08-29 1977-08-29 수중유수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0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90842B (zh) 一种用于雨水精确清污分流的控制方法
US5820751A (en) Water skimming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sediment pollution
CN109555218A (zh) 浮渣自动收集系统
CN107761900A (zh) 一种带有双翻板闸门的分流井、包括该分流井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KR790001079Y1 (ko) 수중유수 안내장치
CN111255042B (zh) 浮子自动控制初期雨水弃流的生态树池及工作方法
CN212077864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农业灌溉水渠
KR100572507B1 (ko) 하수처리용 우수토실
EP0073741B1 (fr) Dispositif de régulation du débit des eaux usées
JP4039637B2 (ja) 下水道における雨水滞水設備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CN107558594A (zh) 一种一进四出式分流井、包括该分流井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CN207760991U (zh) 一种带有雨水处理系统的排水系统
CN107761898B (zh) 一种带有调蓄设施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JPH0439521B2 (ko)
CN206034601U (zh) 一种用于滨海地区的雨水收集系统
JPH07127041A (ja) ダム貯水池の流入水分離装置
RU2151840C1 (ru) Система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лавливания и сбора плавающих на поверхности реки загрязнений
DE3573830D1 (en) Heat recovery device from sewage, particularly for swimming pools and showers
CN213570047U (zh) 一种河道排污口预处理装置
KR200312341Y1 (ko) 빗물이용 및 교육용 빗물저장 탱크
CN207436175U (zh) 一种排水系统
SU883231A1 (ru) Плавучий затвор
KR100729127B1 (ko) 집수구
KR200191820Y1 (ko) 숯을 이용한 하천수 정화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