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6743A - Fc 변이체를 포함하는 이종이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Fc 변이체를 포함하는 이종이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6743A
KR20240116743A KR1020247019363A KR20247019363A KR20240116743A KR 20240116743 A KR20240116743 A KR 20240116743A KR 1020247019363 A KR1020247019363 A KR 1020247019363A KR 20247019363 A KR20247019363 A KR 20247019363A KR 20240116743 A KR20240116743 A KR 20240116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domain
heterodimer
chain
expression v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9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언
박정원
김명빈
박흥록
윤소라
이광현
박수봉
배동구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지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지뉴브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4011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6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multispecif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2Constant or Fc region; Iso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5Fab or Fab'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2Increased effector function due to an Fc-modif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c 변이체를 포함하는 이종이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Fc 변이체에 따르면, 동일한 서열을 갖는 사슬 간에는 결합이 거의 형성되지 않고 상이한 서열을 갖는 사슬 간에는 결합력이 향상되어 이종이합체의 제조 수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이체는 변이에 의한 구조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야생형 Fc 영역과 구조적 유사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 형성 기술을 이용하면 Fc 영역의 기능이 유지된 다양한 형태의 항체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Fc 변이체를 포함하는 이종이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Fc 변이체를 포함하는 이종이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생형의 Fc 영역과 구조적 유사성이 우수하고 이종이합체의 수율이 높은 Fc 변이체를 포함하는 이종이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체 치료제는 질병의 원인이 되는 항원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행을 막는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다. 항체 치료제들은 표적 항원에 대한 높은 결합 특이성 및 인체 내 안정성으로 인하여 치료 효능이 우수하고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작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Adalimumab (상품명: Humira)를 비롯한 다수의 항체 치료제들이 큰 성공을 거둔 바 있다.
종래의 항체 치료제는 항원에 강하게 결합하여 치료 효능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가지고 있는데, 항체 치료제의 적용 범위 및 효능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항체가 두 개의 상이한 항원에 결합하도록 설계된 항체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이 두 종류의 항원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를 이중특이적 항체(bispecific antibody)라 한다.
이중특이적 항체를 이용하면 단일특이적 항체에 비해 특이적 항원 결합 부위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 질병과 관련된 조직 또는 세포를 더욱 특이적으로 표적화할 수 있으며 내성에서 보다 자유롭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중특이적 항체는 표적 세포 및 면역 세포에 동시에 결합하도록 조작될 수 있어 표적 세포에 면역 세포를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면역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효과적으로 표적 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다. 이중특이적 항체 치료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유럽 등록특허공보 제1315520호에 기재된 이중특이적 항체로서 EpCAM 항원과 T 세포의 CD3에 결합 가능한 Catumaxomab 항체가 있다. 이외에, HER2/neu 항원과 T 세포의 CD3에 결합 가능한 Ertumaxomab 항체 등 다양한 이중특이적 항체가 임상 시험 단계에 있다.
그런데 자연에 존재하는 항체는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두 개의 중쇄와 동일한 서열을 가진 두 개의 경쇄가 조합된 형태로 존재하여 하나의 항원에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이중특이적 항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화학공학 또는 생명공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접합체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중특이적 항체의 제조에 있어서, 원하는 항체를 고수율로 수득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항원결합부를 갖는 사슬 간에는 결합이 형성되지 않고 상이한 항원결합부를 갖는 사슬 간에만 결합이 형성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사슬 간의 반발력 및 상이한 사슬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Fc 영역의 CH3 도메인에 변이체를 도입한 Fc 이종이합체 형성 기술이 개발되었다.
Fc 영역에 이종이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술로는 놉-인투-홀(knob-into-hole, KiH) 기술이 있다. 상기 KiH 방식에서는 CH3 도메인의 소수성 상호작용 영역에서 한쪽 사슬에서는 곁가지의 크기가 큰 아미노산을 곁가지의 크기가 작은 아미노산으로 치환하고, 다른 쪽 사슬에서는 작은 아미노산을 큰 아미노산으로 치환하는 변이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8,216,805호에서는 T366을 Y, W의 큰 잔기로 치환하고, 반대 사슬의 Y407, T394, T366 등을 T, A 등의 작은 잔기로 치환한 형태의 헤테로머 폴리펩티드를 기재하고 있다. 그런데, KiH 방식의 경우 Fc 이종이합체의 수율이 약 60% 정도로 개선이 필요하였다.
제조 수율의 향상을 위한 새로운 변이체 기술로서, Fc 영역에 전하 및 소수성 아미노산 변이를 도입한 EW-RVT 변이체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변이체는 KiH에 비해 수율 개선에 효과를 보였으나, 삼차구조를 분석한 결과 돌연변이된 잔기의 구조적 충돌로 인하여 Fc 영역의 CH2 및 CH3 도메인의 삼차구조에 변형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체의 Fc 영역은 면역 세포와 결합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특성을 나타내며 항체의 반감기를 증가시켜 혈장 내 항체의 안정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와 같이 Fc 영역에 구조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 야생형과의 구조적 유사성이 떨어지게 되어, Fc 영역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Fc 영역의 기능 저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야생형 Fc 영역과 구조적 유사성이 우수한 변이체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높은 수율로 이종이합체를 수득할 수 있으면서 야생형과 비교하여 구조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종이합체 형성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야생형 Fc 영역과 구조적 유사성이 높고 이종이합체 제조 수율이 우수한 Fc 변이체를 포함하는 이종이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이종이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야생형 면역글로불린의 Fc 영역의 변이체, 구체적으로 CH3 도메인의 변이체를 포함하는 이종이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는 항체의 제1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2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CH3 도메인은 T366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CH3 도메인은 T366, L368 및 Y407 중 하나 이상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CH3 도메인 및 제2 CH3 도메인 중 어느 한 도메인은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더 포함하고, 다른 한 도메인은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CH3 도메인의 아미노산 번호는 KABAT 문헌[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Fifth Ed., NIH Publication, 1991]의 EU 넘버링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CH3 도메인 및 제2 CH3 도메인 중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도메인은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CH3 도메인 및 제2 CH3 도메인 중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도메인은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CH3 도메인 및 제2 CH3 도메인 중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도메인이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더 포함하고,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도메인이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CH3 도메인 및/또는 제2 CH3 도메인의 K360 및/또는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은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는 항체의 제1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2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CH3 도메인은 T366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CH3 도메인은 T366, L368 및 Y407 중 하나 이상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CH3 도메인 및 제2 CH3 도메인은 각각 K360 및 Q347 중 하나 이상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CH3 도메인과 제2 CH3 도메인 중 어느 한 도메인의 Q347이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경우, 다른 한 도메인의 K360은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고, 이 때 상기 Q347이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도메인은 K360에서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K360이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다른 한 도메인은 Q347에서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을 더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제1 CH3 도메인과 제2 CH3 도메인 중 어느 한 도메인의 Q347이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경우, 다른 한 도메인의 K360은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고, 이 때 상기 Q347이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도메인은 K360에서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에서 제1 CH3 도메인과 제2 CH3 도메인은 Q347과 K360에서 각각 다음과 같은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a) 제1 CH3 도메인과 제2 CH3 도메인 중 어느 한 도메인의 Q347이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고, 다른 한 도메인의 K360이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거나,
(b) 제1 CH3 도메인과 제2 CH3 도메인 중 어느 한 도메인의 Q347이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고, 다른 한 도메인의 K360 및 Q347이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거나,
(c) 제1 CH3 도메인과 제2 CH3 도메인 중 어느 한 도메인의 Q347 및 K360이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고, 다른 한 도메인의 K360이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거나,
(d) 제1 CH3 도메인과 제2 CH3 도메인 중 어느 한 도메인의 Q347 및 K360이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고, 다른 한 도메인의 K360 및 Q347이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거나,
(e) 제1 CH3 도메인과 제2 CH3 도메인 중 어느 한 도메인의 Q347 및 K360이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고, 다른 한 도메인의 K360이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음.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항체의 제1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2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CH3 도메인은 T366 및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제2 CH3 도메인은 T366, L368 및 Y407 중 하나 이상에서의 아미노산 치환 및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이종이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항체의 제1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2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CH3 도메인은 T366 및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제2 CH3 도메인은 T366, L368 및 Y407 중 하나 이상에서의 아미노산 치환 및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이종이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항체의 제1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2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CH3 도메인은 T366, K360 및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제2 CH3 도메인은 T366, L368 및 Y407 중 하나 이상에서의 아미노산 치환 및 K360 및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이종이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CH3 도메인은 T366W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제2 CH3 도메인은 T366S, L368A 및 Y407V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CH3 도메인 및 제2 CH3 도메인은 각각 K360E, K360D, K360R, Q347E, Q347D, Q347R 및 Q347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CH3 도메인 및 제2 CH3 도메인 중 어느 한 도메인이 Q347E 또는 Q347D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경우, 다른 도메인의 아미노산 위치 360번의 라이신(K)은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Q347E 또는 Q347D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도메인은 K360E 또는 K360D의 아미노산 치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CH3 도메인 및 제2 CH3 도메인 중 어느 한 도메인이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은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이종이합체는 상기 CH3 도메인이 IgG, IgM, IgA, IgD 및 Ig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면역글로불린에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IgG,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 IgG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이종이합체는 상기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폴리펩티드 중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결합 도메인 단백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은 직접 연결, 또는 1 내지 5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에 의한 연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결합 도메인 단백질은 항체의 항원 결합 영역, 수용체 유래 단백질, 사이토카인 및 호르몬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항원 결합 영역은 Fab, scFab, sdAb, scFv, di-scFv 또는 (dsFv)2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이종이합체는 2개 이상의 표적 단백질에 결합 가능한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 또는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융합 단백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이종이합체에 하나 이상의 약물이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또한, 상기 이종이합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이종이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이종이합체 제조방법은 상기 이종이합체를 코딩하는 1종 이상의 발현 벡터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발현 벡터를 숙주 세포에서 발현시키고 단백질을 수득하여 이종이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발현 벡터는 제1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및 제2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태양에서, 상기 발현 벡터는 제1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1 발현 벡터, 및 제2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2 발현 벡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태양에서, 상기 제1 발현 벡터 및 제2 발현 벡터를 숙주 세포에서 각각 발현시켜 2종의 단백질을 수득하고 혼합 반응시켜 이종이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태양에서, 제1 발현 벡터 및 제2 발현 벡터를 숙주 세포에서 동시 발현시켜 이종이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이종이합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병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Fc 변이체에 따르면, 동일한 서열을 갖는 사슬 간에는 결합이 거의 형성되지 않고 상이한 서열을 갖는 사슬 간에는 결합력이 향상되어, 이종이합체의 제조 수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Fc 변이체는 변이에 의한 구조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야생형 Fc 영역과 구조적 유사성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 형성 기술을 이용하면 Fc 영역의 기능이 유지된 다양한 형태의 항체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이종이합체로서, Fc 영역에 항원 결합 영역이 연결된 이종이합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2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이종이합체의 제1 Fc 사슬(a) 및 제2 Fc 사슬(b)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이종이합체에서, Fc 사슬 간 소수성 상호작용 부위(a) 및 전하쌍 상호작용 부위(b)의 구조 모델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Fc 이종이합체, 종래 기술의 Fc 이종이합체 및 야생형 Fc 영역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5b는 각각 도 4의 구조에서 B-chain 영역만을 대상으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이종이합체와 야생형의 구조 비교(a) 및 종래 기술의 이종이합체와 야생형의 구조 비교(b)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이종이합체 및 종래 기술의 이종이합체의 SDS-PAGE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이종이합체 및 종래 기술의 이종이합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라 Fc 영역의 한 사슬에 항원 결합 영역이 연결된 비대칭 구조의 이종이합체 형태를 제조하는 경우 발생 가능한 단백질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CH3 변이체 또는 종래 기술의 CH3 변이체가 도입된 발현 벡터로부터 발현 및 정제된 재조합 단백질의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HPLC 그래프 분석 프로파일이다.
도 10은 도 9의 SEC-HPLC 그래프 분석 프로파일로부터 얻어진 동종이합체, 이종이합체 및 단량체의 생성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a, 11b 및 11c는 각각 야생형 IgG1 동종이합체(WT Fc)(a) 및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이종이합체 2종(각각 WRE(b) 및 WRREE(c))에 대하여, FcRn에 대한 결합 및 해리 분석을 통해 얻어진 센소그람을 바탕으로 평형상태(steacy-state) RU를 통해 친화도 분석을 진행한 그래프이다.
도 12a, 12b 및 12c는 각각 야생형 IgG1 동종이합체(WT Fc)(a) 및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이종이합체 2종(각각 WRE(b) 및 WRREE(c))의 시차주사 열용량 분석 결과 프로파일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야생형 항체의 Fc 영역의 변이체, 구체적으로 CH3 도메인의 변이체를 포함하는 이종이합체에 관한 것이다.
이종이합체(heterodimer)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단량체(monomer)에 의해 형성되는 이합체(dimer)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이종이합체"는 항체의 Fc 영역 또는 CH3 도메인이 아미노산 서열이 서로 다른 두개의 사슬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 단백질 복합체인 Fc 이종이합체 또는 CH3 이종이합체 뿐만 아니라, 이를 포함하는 항체의 일부 또는 전체, 그리고 상기 이종이합체에 다른 폴리펩티드 및/또는 단백질이 연결된 형태의 융합 단백질, 이중특이적 항체 및 다중특이적 항체와, 이들에 약물이 접합된 항체-약물 접합체 형태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에서, Fc 영역의 각 사슬은 제1 Fc 사슬 및 제2 Fc 사슬로 구분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는 제1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2 폴리펩티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Fc 사슬(또는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Fc 사슬(또는 제2 폴리펩티드)은 3차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들은 이황화 결합과 같은 공유 결합이나, 수소 결합, 이온 결합, 반데르발스 결합, 소수성 상호작용과 같은 비공유 상호작용에 의해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체"란 면역학적으로 특정 항원과 반응성을 갖는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 Ig) 분자를 포함하며, 다클론항체 및 단일클론항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어는 인간 이외의 포유동물 항체(예를 들면, 뮤린(murine) 항체), 키메라 항체, 인간화 항체, 인간 항체 및 이종결합항체(예를 들면, 이중특이적 항체)와 같은 유전공학에 의해 생산된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면역글로불린은 IgG1, IgG2, IgG3, IgG4와 같은 IgG, IgA, IgE, IgD 또는 IgM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Fc 영역"은 항체의 중쇄불변영역 중 CH2 및 CH3 도메인(또는, CH2, CH3 및 CH4 도메인)을 포함하는 C-말단 영역을 의미하며, 야생형(wild-type, WT) Fc 영역 및 그의 변이체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Fc 영역은 인간 IgG1 중쇄의 221번 잔기로부터 C-말단에 이르는 영역, 또는 상기 영역에 힌지를 더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Fc 영역에서 아미노산 잔기의 번호는 Kabat 문헌에서 인간 면역글로불린 중쇄 내의 잔기 번호를 정의하는 EU 넘버링에 따른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야생형 Fc 영역"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면역글로불린의 Fc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과 일치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Fc 영역의 변이체"는 야생형 Fc 영역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Fc 변이체"로 약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Fc 변이체는 모체가 되는 야생형 Fc 영역 서열과 약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0% 이상의 상동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에서, Fc 변이체는 각 사슬의 CH3 도메인에 서로 다른 변이체를 도입하여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Fc 변이체"는 경우에 따라 CH2 도메인의 아미노산 변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CH3 도메인의 변이체"는 항체 중쇄의 야생형 CH3 도메인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CH3 변이체"로 약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CH3 변이체는 야생형 CH3 도메인의 서열과 대략 95% 이상, 바람직하게는 96%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7% 이상의 상동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변이"는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 삽입 및/또는 결실을 포함하는 의미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변이체는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한다.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은 모체가 되는 야생형 항체의 Fc 영역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잔기, 아미노산 잔기의 번호 및 치환된 아미노산 잔기의 순서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에서, Fc 영역을 이루는 각 사슬은 제1 Fc 사슬 및 제2 Fc 사슬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사슬은 야생형 Fc를 모체로 하여 하나 이상의 변이를 포함한다. 이 때 두 사슬의 상호작용 부위에 서로 상보적인 변이를 도입하여, 동일한 사슬 간에는 결합이 형성되지 않도록 조절하여 이종이합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야생형 Fc와 구조적 유사성이 높고 수율이 우수한 Fc 이종이합체를 개발하기 위하여, 단백질 삼차구조 모델링을 통하여 야생형 Fc 이합체 상호작용 부위의 잔기들을 다양한 세트(set)로 돌연변이하고, 각 돌연변이 세트에 대해 삼차구조의 에너지 최소화 및 구조변형 분석을 통하여 구조변형 및 상호작용 에너지가 최적화된 세트를 탐색하는 방식으로 돌연변이를 설계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는 항체의 제1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2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CH3 도메인은 T366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CH3 도메인은 T366, L368 및 Y407 중 하나 이상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CH3 도메인 및 제2 CH3 도메인은 각각 K360 및 Q347 중 하나 이상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제1 폴리펩티드의 T366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은 트립토판(W), 티로신(Y), 아르기닌(R) 또는 페닐알라닌(F)으로의 치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T366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은 T366W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제2 폴리펩티드는 제1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위치 366번 잔기와 상호작용하기 위하여, T366, L368 및 Y407 중 하나 이상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폴리펩티드에서, T366, L368 또는 Y40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은 각각 세린(S), 알라닌(A) 또는 발린(V)으로의 치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폴리펩티드의 T366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은 T366S일 수 있으며, L368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은 L368A일 수 있고, Y40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은 Y407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K360 또는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은 생리학적 pH(대략 pH 7.4)에서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은 아르기닌(R), 라이신(K) 또는 히스티딘(H)을 포함한다.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은 글루탐산(E) 또는 아스파르트산(D)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K360 또는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은 제1 CH3 도메인 및 제2 CH3 도메인 사이에서 서로 반대의 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각각 치환되어 양 도메인 사이에 정전기적 인력이 형성되도록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아미노산 위치 360번의 라이신(K)은 그 자체로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를 띠므로 반대편 도메인의 Q347번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이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의 변경인 경우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은 글루탐산(E), 아스파르트산(D), 히스티딘(H) 또는 아르기닌(R)으로의 치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K360E 또는 K360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사슬의 아미노산 위치 360번 잔기와 상호작용하기 위하여, 다른 폴리펩티드 사슬은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한다. 상기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은 아르기닌(R), 라이신(K), 히스티딘(H), 글루탐산(E) 또는 아스파르트산(D)으로의 치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Q347R 또는 Q347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는 상기 제1 CH3 도메인 및 제2 CH3 도메인 중 어느 한 도메인이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다른 한 도메인은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는 상기 제1 CH3 도메인 및/또는 제2 CH3 도메인에서 Y349, D356, F405 및 K409 중 하나 이상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Fc 영역에서 소수성 계면이 충돌하지 않도록 소수성 잔기들을 조정하고 전하를 도입하여, 최적화된 소수성 계면으로 인해 구조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Fc 이합체 형성의 수율을 높일 수 있는 변이체를 설계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Fc 이종이합체 형성 기술에 비해 높은 수율로 이종이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Fc 영역의 CH2 도메인은 Fc 수용체 등이 결합하여 면역활성화의 이펙터 기능을 일으키는 곳으로 CH2 도메인의 구조가 변하면 면역 이펙터 기능이 저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변이체의 CH2 및 CH3 도메인은 야생형의 Fc와 구조적 유사성이 매우 우수하여 Fc 영역의 면역 이펙터 기능(effector function)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Fc 영역에 의한 FcRn(neonatal Fc receptor) 결합 특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혈장에서의 안정성 효과 또한 보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에서,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은 제1 Fc 사슬에 형성될 수 있고,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은 제2 Fc 사슬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Fc 사슬은 T366 및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제2 Fc 사슬은 T366, L368 및 Y407 중 하나 이상에서의 아미노산 치환 및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1 Fc 사슬은 T366 및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제2 Fc 사슬은 T366, L368, Y407 및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제1 Fc 사슬이 T366W 및 K360E의 치환을 포함하고, 제2 Fc 사슬이 T366S, L368A, Y407V 및 Q347R의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이체를 "WER 변이체"로 명명한다.
상기 WER 변이체는 아래 인간 IgG1의 (Kabat 문헌의 EU 넘버링에 따름) 221 내지 447번 아미노산 서열을 모체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서열번호 3] IgG1 221-447 (야생형 Fc)
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QVYTLPPSRDEL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
WER 변이체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아래 서열번호 1 및 2로 나타낼 수 있다.
[서열번호 1] IgG1 221-447 T366W/K360E (WER Fc mutant chain 1)
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QVYTLPPSRDELTENQVSLW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
[서열번호 2] IgG1 221-447 T366S/L368A/Y407V/Q347R (WER Fc mutant chain 2)
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RVYTLPPSRDELTKNQVSLSCA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V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에서,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은 제1 Fc 사슬에 형성될 수 있고,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은 제2 Fc 사슬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Fc 사슬은 T366 및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제2 Fc 사슬은 T366, L368 및 Y407 중 하나 이상에서의 아미노산 치환 및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1 Fc 사슬은 T366 및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제2 Fc 사슬은 T366, L368, Y407 및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제1 Fc 사슬이 T366W 및 Q347R의 치환을 포함하고, 제2 Fc 사슬이 T366S, L368A, Y407V 및 K360E의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이체를 "WRE 변이체"로 명명한다(서열번호 6 및 7 참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에서, 제1 Fc 사슬 및 제2 Fc 사슬은 K360 및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모두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Fc 사슬은 T366, K360 및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제2 Fc 사슬은 T366, L368 및 Y407 중 하나 이상에서의 아미노산 치환 및 K360 및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1 Fc 사슬은 T366, K360 및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제2 Fc 사슬은 T366, L368, Y407, K360 및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제1 Fc 사슬이 T366W, K360R 및 Q347R의 치환을 포함하고, 제2 Fc 사슬이 T366S, L368A, Y407V, K360E 및 Q347E의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이체를 "WRREE 변이체"로 명명한다(서열번호 8 및 9 참조).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제1 Fc 사슬이 T366W, K360E 및 Q347E의 치환을 포함하고, 제2 Fc 사슬이 T366S, L368A, Y407V, K360R 및 Q347R의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이체를 "WEERR 변이체"로 지칭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른 변이체들에 의하면, Fc 영역에서 소수성 계면이 충돌하지 않도록 소수성 잔기들을 조정하고 전하를 도입하여, 최적화된 소수성 계면으로 인해 구조 변형을 최소화하고 Fc 이합체 형성의 수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변이체를 이용하면 종래 Fc 이종이합체 형성 기술보다 높은 수율로 이중특이성 항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이체는 야생형의 Fc와 구조적 유사성이 매우 우수하여 Fc 영역의 면역 이펙터 기능(effector function)을 유지할 수 있고, 혈장에서의 안정성 효과 또한 보존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이종이합체는 상기 CH3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Fc 영역 및 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결합 도메인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도메인 단백질은 제1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2 폴리펩티드 중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 형성 기술을 융합 단백질, 이중특이적 항체, 다중특이적 항체 등 다양한 형태의 이종이합성 단백질 및 항체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은 직접 연결, 또는 1 내지 5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에 의한 연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도메인 단백질은 상기 제1 및/또는 제2 폴리펩티드의 N-말단 및/또는 C-말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결합 도메인 단백질은 항체의 항원 결합 영역, 사이토카인, 성장 인자, 호르몬, 수용체 유래 단백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항원 결합 영역은 항원의 일부 또는 전부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항원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상보적인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Fc 영역에 연결되는 항원 결합 영역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Fab 형태 뿐만 아니라 scFab, sdAb, scFv, di-scFv, dsFv, (dsFv)2 등의 재조합 도메인 형태일 수 있다.
Fab 형태는 중쇄의 가변영역(VH) 도메인 및 불변영역 중 CH1 도메인, 및 경쇄의 가변영역(VL) 도메인 및 불변영역인 CL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CH1 도메인 및 CL 도메인 사이에 이황화결합이 형성된 형태이다. scFab 형태는 VH-CH1 중쇄절편과 VL-CL 경쇄가 펩티드 링커(linker)로 이어진 형태의 단쇄 항체 단편을 의미한다. 또한, sdAb 형태는 단일 도메인 가변 단편(single-domain variable fragment)을 의미하며, 하나의 가변영역 도메인을 의미한다.
한편, scFv 형태는 가변영역이 이어진 형태의 단쇄 가변 단편(single-chain variable fragment)을 의미하는 것으로, VH 및 VL 영역을 펩티드 링커로 연결한 재조합 도메인을 의미한다. 또한, di-scFv 형태는 두개의 scFv가 링커로 연결된 재조합 도메인을 의미한다. 상기 링커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링커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5 내지 2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티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링커는 G, A, S, P, E, T, D 및 K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커는 (GGGGX)n일 수 있으며, X는 A 또는 S인 것이 바람직하고, n은 1 내지 4의 자연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dsFv 형태는 이황화-결합 가변 단편(disulfide-linked variable fragment)으로서 가변영역이 이어진 형태라는 점에서 scFv와 유사하나, VH 및 VL 영역을 링커가 아닌 이황화결합으로 연결한 재조합 도메인을 의미한다. (dsFv)2 형태는 두 개의 dsFv가 링커로 연결된 재조합 도메인을 의미한다.
상기 항원 결합 영역은 Fc 영역의 각 사슬의 C-말단 및 N-말단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 사슬의 N-말단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 각 연결은 힌지 또는 링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 도메인 단백질은 IL-1α, IL-1β, IL-2, IL-3, IL-4, IL-5, IL-6, IL-7, IL-8, IL-9, IL-10, IL-11, IL-12, IL-13, IL-15, IL-16, IL-17, IL-18, IL-19, IL-20, IL-21, IL-22, IL-23, IL-25, GM-CSF, G-CSF, M-CSF, SLF, TNFα, TNFβ, IFNα, IFNβ, IFNγ, TGFβ, LIF, Eta-1, Oncostatin M 등의 사이토카인; 신경 성장 인자(NGF),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PDFG) 등의 성장 인자; 성장 호르몬(GH),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 등의 호르몬과 같은 생체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 도메인 단백질은 수용체 유래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체는 하나 이상의 리간드에 결합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로, 다양한 세포 표면 수용체, 사이토카인 수용체, 면역세포 수용체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며, 예를 들어 가용성 T 세포 수용체일 수 있다. 상기 수용체 유래 단백질은 수용체 단백질의 전부, 일부 또는 이의 변이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수용체의 세포외도메인(ectodomain) 유래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결합 도메인 단백질은 상술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표적 분자에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을 목적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는 2개 이상의 표적 단백질에 결합 가능한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태양에서,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는, 상기 Fc 영역 중 하나의 사슬에 표적 항원에 결합하는 항원 결합 도메인을 연결하고, 다른 사슬에 면역세포 활성화 수용체에 결합하는 도메인을 연결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이중특이적 항체는 표적 항원 및 면역세포 활성화 수용체에 동시에 결합함으로써, 항체의존성 세포독성(antibody 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ADCC)에 의해 표적 항원의 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 또는, 서로 상이한 표적 항원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이중특이적 항체는 IL-1 alpha, IL-1 beta, IL-1R, IL-4, IL-5, IL-6R, IL-9, IL-12, IL-13, IL-18, IL-18R, IL-25, TARC, MDC, MEF, TGF-β, LHR agonist, TWEAK, CL25, SPRR2a, SPRR2b, ADAM8, PED2, TNF alpha, TGF beta, VEGF, MIF, ICAM-1, PGE4, PEG2, RANK 리간드, Te38, BAFF, CTLA-4, GP130, HER1, HER2, HER3, HER4, VEGF-A, PDGF, VEGF-A, VEGF-C, VEGF-D, DR5, MET, EGFR, MAPG, CSPGs, CTLA-4, IGF1, IGF2, Erb2B, MAG, RGM A, NogoA, NgR, OMGp, PDL-I, NRP1, NRP2, CD3, CD8, CD16, CD19, CD20, CD22, CD28, CD40 및 CD64 중 2종의 표적 분자에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이들 중 1종 이상의 추가의 표적 분자에 결합하여 다중특이적 항체 형태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이종이합체에 하나 이상의 약물을 접합하여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물은 각 사슬의 C-말단 및/또는 N-말단 뿐 아니라 사슬 내의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의 잔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약물은 적절한 링커(linker)를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약물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약물 화합물, 성장 억제제, 독소, 방사성 동위원소, miRNA, siRNA, shRNA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항체-약물 접합체를 이용하면, 표적 항원에 약물을 인도하여 약효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는 항체에 약물을 부착하는 경우, 수용체를 통한 항체의 트랜스사이토시스(transcytosis)를 이용하여 약물이 조직 내로 전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체의 Fc 영역에 트랜스페린 수용체에 대한 항체의 항원 결합 영역 유래의 단백질을 연결하고 치료용 단백질 또는 약물을 추가 접합하면, 항체가 트랜스사이토시스를 통해 뇌혈관장벽을 통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뇌혈관장벽을 통과하기 어려운 치료용 단백질 또는 약물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는, 해당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숙주 세포에서 발현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종이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이종이합체를 코딩하는 1종 이상의 발현 벡터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발현 벡터를 숙주 세포에서 발현시켜 단백질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단일가닥 또는 이중가닥 형태의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또는 리보뉴클레오티드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야생형 Fc 사슬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본 발명의 Fc 변이체 서열에 따라 변경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각 사슬의 신호 펩티드, 힌지, 링커, 히스티딘 태그 등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종이합체가 Fc 사슬에 연결된 다른 단백질(예를 들어, 항원 결합 영역, 치료용 단백질 등의 결합 도메인 단백질)을 포함하는 경우, 이를 포함하는 전체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발현 벡터는 숙주 세포에서 목적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한 것으로, 역할 및 숙주 세포에 따라 다양한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벡터는 숙주 세포에 의해 인식 및 프로세싱되는 신호 서열, 복제 기점, 마커 유전자, 전사조절인자들이 결합하는 프로모터, DNA의 전사를 증가시키기 위한 인핸서, 리보솜 결합 부위, 전사 종결 서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 생산을 위하여 이종이합체의 각 사슬을 코딩하는 핵산, 즉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얻은 후 이를 이용하여 발현 벡터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현 벡터는 제1 Fc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및 제2 Fc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각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동일한 벡터 또는 별개의 벡터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현 벡터는 각 Fc 사슬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외에도, Fc 이종이합체에 연결될 수 있는 다른 폴리펩티드 및/또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종이합체의 구조에 따라 1개 또는 2개의 발현 벡터, 또는 그 이상의 발현 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태양에서, 상기 발현 벡터는 제1 Fc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1 발현 벡터, 및 제2 Fc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2 발현 벡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현 벡터가 제작되면, 숙주 세포에서 이를 발현시켜 목적하는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숙주 세포에 발현 벡터를 트랜스펙션(transfection, 형질주입)한 후 배양시켜,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다.
상기 숙주 세포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상용 기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실험적으로 결정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숙주 세포로는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CHO) 세포, 베이비 햄스터 신장 세포(BHK), 원숭이 신장 세포(COS), 대장균 세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태양에서, 상기 발현 벡터가 제1 발현 벡터와 제2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경우, 각 발현 벡터를 개별적인 숙주 세포에 주입하여 발현시킬 수 있다. 또는, 각 발현 벡터를 동일한 숙주 세포에 함께 주입하여 동시발현(co-expression)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배양이 완료되면, 세포로부터 단백질을 단리(isolation)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양된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목적 단백질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액을 얻을 수 있다. 이후, 배양액에서 단백질을 분리하고 정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리에는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 겔 전기영동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정제를 위하여 추가의 크로마토그래피, SDS-PAGE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발현 벡터와 제2 발현 벡터를 각각 발현시키는 경우, 단리된 단백질을 혼합하여 이종이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즉, 본 발명의 Fc 이종이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융합 단백질, 이중특이적 항체, 다중특이적 항체 및 항체-약물 접합체)는 약학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이종이합체를 포함하는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예방 또는 치료의 대상이 되는 질환은 이종이합체에서 Fc 영역에 연결되는 결합 도메인 단백질 및/또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이종이합체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내피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및 직장내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멸균 주사용액, 동결건조(lyophilized) 제형, 사전 충전식 주사(pre-filled syringe) 용액제, 경구형 제형, 외용제 또는 좌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시, 단백질 또는 펩티드는 소화가 되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치료제 또는 진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종이합체와 함께 인터페론, 항-S 단백질 단일클론 항체, 항-S 단백질 폴리클로날 항체, 뉴클레오시드 유사체, DNA 폴리머라제 저해제, siRNA 제제 또는 치료백신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으로써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이때,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 내지 100㎎/㎏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즉, 본 발명의 Fc 이종이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융합 단백질, 이중특이적 항체, 다중특이적 항체 및 항체-약물 접합체)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태양에서, 예방 또는 치료 대상이 되는 질병은 유방암, 결장직장암, 폐암, 신세포 암종, 신경교종 또는 난소암과 같은 암;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질환; 자가면역 질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방 또는 치료 대상이 되는 질병의 종류는 Fc 영역에 연결된 결합 도메인 단백질 및/또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의 Fc 영역에 HER2에 결합하는 결합 도메인 단백질이 연결된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를 이용하면, 유방암, 결장직장암, 폐암, 신세포암종, 신경교종, 또는 난소암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종이합체 또는 약학 조성물은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subject), 즉 해당 질병을 갖고 있거나, 해당 질병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동물일 수 있고, 통상적으로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일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실험방법과 조성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준비: 수율 및 구조가 최적화된 Fc 이종이합체의 설계
야생형의 Fc 이합체의 구조를 이용하여, 이합체 상호작용 부위의 잔기들을 돌연변이 함으로써 수율 및 구조가 최적화된 이종이합체가 형성되도록 설계하였다.
잔기의 돌연변이를 위하여 구조모델링 프로그램인 Coot를 사용하였고, 동일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돌연변이된 잔기들을 포함하는 Fc 이합체 전체의 구조를 에너지 최소화(energy minimization) 한 후, 소수성 잔기들의 충돌, 도메인 위치변형의 정도 등 구조적 변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구조 분석에서, 가장 구조 변형이 좋으면서 상호작용 에너지가 최적화된 돌연변이 세트(set)를 선정하였다.
제조예 1: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설계 및 발현 벡터 제작
발현 벡터는 pcDNA 3.1 / Myc His-A (Invitrogen)을 바탕으로 단백질의 C-말단에 폴리히스티딘 태그를 갖도록 제작되었다.
IgG1의 221 내지 447(Kabat 문헌의 EU 넘버링에 따름)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기준으로, 변이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설계하고, PCR 기법으로 증폭한 뒤 제한효소와 연결효소를 통해 클로닝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 면역글로불린 G1 (IgG1) 중쇄의 신호 펩티드를 포함하는 Fc 영역의 단백질을 발현하는 발현 벡터를 제작하였다.
이 때, 제1 Fc 사슬(Fc chain 1) 발현 벡터는 T366W/K360E 돌연변이를 유발하도록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변경하여 제작하였으며, 제2 Fc 사슬(Fc chain 2) 발현 벡터는 T366S/L368A/Y407V/Q347R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도입하여 제작하였다.
각 발현 벡터가 코딩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chain 1 발현 벡터가 코딩하는 아미노산 서열(a)(서열번호 4) 및 chain 2 발현 벡터가 코딩하는 아미노산 서열(b)(서열번호 5)을 나타낸다. IgG1 221~447에 해당하는 영역을 밑줄로 표시하였으며, 변이가 형성된 잔기를 별표로 표시하였다. 그 외 신호 펩티드, 제한효소 인식부위 및 히스티딘 태그 영역은 표시하지 않았다.
제조예 2: 단백질 발현 및 이종이합체 단백질 제조
2-1. 단백질 발현
ExpiCHO™ 세포에 제조예 1의 발현 벡터를 트랜스펙션(transfection)하여 일시적으로 각 단백질을 발현하였다.
상기 트랜스펙션은 초기 세포 밀도 6 x 106 세포/mL 및 발현 벡터 농도 0.8 μgDNA/mL 조건에서 진행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ExpiCHO™ Expression Medium, OptiPRO™ SFM 및 ExpiFectamine™ 트랜스펙션 키트(Gibco)를 제조사 지침에 따라 사용하였다.
트랜스펙션 과정을 거친 세포들을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에서 8일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각 단백질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액과 세포로 분리하였다.
2-2. 정제
각각의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배양액에서 목표 단백질들을 분리하기 위해 Ni-NTA (Qiagen) 컬럼을 이용한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affinity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Ni-NTA 컬럼에 50mM Tris-HCl pH 7.5 및 200mM NaCl을 포함하는 완충용액을 채운 후, 원심분리를 통해 획득된 배양액을 0.45μm 여과지로 여과하여 투입하였다. 배양액과 반응을 마친 뒤, 컬럼을 50mM Tris-HCl pH 7.5 및 500mM NaCl을 포함하는 완충용액과 50mM Tris-HCl pH 7.5, 200mM NaCl 및 30mM imidazole을 포함하는 완충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최종적으로 50mM Tris-HCl pH 7.5, 200mM NaCl 및 500mM imidazole을 포함하는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컬럼에 결합한 단백질을 용출하였다. 용출 후, Hitrap™ Desalting (GE healthcare) 컬럼을 이용하여 상기 단백질을 포함하는 완충용액의 조성을 인산염완충식염수(PBS)로 교체하였다.
2-3. 이종이합체 단백질 조합
정제된 Fc chain 1 단백질과 Fc chain 2 단백질을 정량한 후, 동일 분자 비율로 혼합하였다. 혼합한 단백질 용액에 최종농도 0.1M arginine, 5mM L-glutathione (reduced)이 되도록 시약을 추가하여, 37℃에서 2시간 동안 이종이합체 단백질이 형성되도록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단백질은 SDS-PAGE 기법을 통하여 이종이합체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생성된 이종이합체를 "WER Fc"(본 발명의 실시예 1의 CH3 변이체)로 지칭한다.
2-4. WER Fc의 결정화 및 결정구조 확인
상기 제조예에서 수득한 WER Fc에 대해, 초기 결정화 스크리닝(initial crystallization screen) 및 결정 시드화(crystal seeding)를 거쳐 결정화를 수행하였다. 결정화에는 저농도의 Tri-Cl 과 salt 조건을 사용하였다.
결정의 X-선 회절 데이터를 포항가속기 빔라인 11C에서 측정하였다. WER Fc 결정은 3.39Å 해상도로 회절하였고,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데이터 수집 항목 결과
공간군(space group) P21
해상도 범위 (Å) 45.5 - 3.4 (3.5 - 3.4)
셀 파라미터 a, b, c (Å) 64.72, 147.06, 66.41
α, β, γ (°) 90.00, 119.15, 90.00
완성도(completeness, %) 92.4 (74.7)
R-merge (%) 9.8 (24.9)
I/σ 8.1 (3.2)
중복도(redundancy) 2.8 (2.1)
표 1의 회절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자치환법으로 결정의 3차 구조를 규명하고, 정밀화(refinement)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정밀화 결과 항목 결과
반사수 14318 (1166)
수소를 제외한 원자의 개수 단백질 6642
비(非)단백질 348
R-work (%) 22.6
R-free (%) 25.5
RMS 길이 (Å) 0.006
각도 (°) 1.14
라마찬드란 플롯
(Ramachandran plot)
Favored (%) 95.1
Allowed (%) 4.9
Outliers (%) 0
또한 상기 WER Fc에서, 사슬 간 소수성 상호작용 부위(a) 및 전하쌍 상호작용 부위(b)의 구조 모델을 도 3a 및 3b에 각각 나타내었다.
실험예
이하,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Fc 변이체를 야생형 IgG1 Fc 영역(WT Fc) 및 종래 기술의 Fc 이종이합체인 EW-RVT Fc 및 KiH Fc와 비교하였다.
상기 EW-RVT Fc는 WT Fc의 한 사슬에 K409W/K360E 변이가 형성되고, 다른 사슬에 F405T/D399V/Q347R 변이가 형성된 이종이합체이다. 상기 KiH Fc는 WT Fc의 한 사슬에 T366W 변이가 형성되고, 다른 사슬에 T366S/L368A/Y407V 변이가 형성된 이종이합체이다.
실험예 1: Fc 영역의 구조 비교
1-1. WER Fc와 WT Fc의 Fc 영역 구조 비교
WER 이종이합체로 이루어진 Fc 영역(WER Fc), 야생형 Fc 영역(WT Fc) 및 EW-RVT 이종이합체의 Fc 영역(EW-RVT Fc)의 구조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자홍색으로 표시한 구조는 WER Fc이고, 녹색으로 표시한 구조는 WT Fc이며, 청록색(cyan)으로 표시한 구조는 EW-RVT Fc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Fc 구조를 A-chain (제2 Fc 사슬에 해당)을 이용하여 중첩하였고 이때 B-chain (제1 Fc 사슬에 해당)의 구조가 비틀어지는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EW-RVT Fc에서는 구조가 많이 비틀어지는 반면, 본 발명의 WER Fc는 그다지 변화가 크지 않고, WT의 Fc 영역과 구조적으로 매우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아미노산 변이는 Fc 영역의 구조 변형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2. WER Fc와 WT 및 EW-RVT Fc의 CH2 도메인 구조 비교
WT Fc와 WER Fc 및 EW-RVT Fc의 CH2 도메인 구조를 비교하여 구조적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도 4의 구조 중 B-chain 영역만을 대상으로 하여, WER Fc와 WT Fc의 구조 비교(a) 및 EW-RVT Fc와 WT Fc의 구조 비교(b)를 도 5a 및 5b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5a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WER은 WT와 CH2 도메인 구조에 차이가 거의 없는 반면, 도 5b에 따르면 EW-RVT는 구조 변형(displacement)에 의해 WT와의 구조적 유사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a 및 5b의 비교 결과, 종래 기술의 이종이합체의 경우 면역 반응에 중요한 CH2 도메인이 야생형 구조와 비교하여 16.3Å이나 비틀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구조는 그다지 변화가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WER Fc와 EW-RVT Fc의 RMS deviation 비교
이종이합체의 Fc 영역과 WT Fc 영역의 구조적 유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 제곱 거리(RMS deviation)를 측정하였다.
C-alpha alignment를 사용하여 WER Fc와 WT Fc에 대해 한쪽 chain (chain A, 제2 Fc 사슬에 해당)의 3차 구조의 중첩(superposition)을 수행한 후, 겹쳐진 원자들 사이에 RMS deviation을 측정하였다.
이때 3차 구조 중첩에 사용하지 않은 다른 쪽 chain (chain B, 제1 Fc 사슬에 해당)의 구조가 비틀어지는 것을 비교하기 위하여 chain B의 RMS deviation을 계산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EW-RVT Fc에 대해서도 상기 방법으로 WT Fc와의 RMS deviation을 측정하였다.
상기 RMS deviation 측정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RMS deviation WER EW-RVT
A-chain (중첩) 1.50Å 1.74Å
B-chain 4.14Å 7.95Å
표 3의 결과로부터, 구조 중첩에 사용한 A-chain의 경우 WER 및 EW-RVT 모두 WT Fc와 약 2Å 내외의 deviation을 보이는 반면, 구조 중첩에 사용하지 않은 B-chain의 경우, EW-RVT의 deviation은 약 8Å 정도로 매우 큰 것에 비해 WER의 deviation 은 상당히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WER Fc는 EW-RVT Fc에 비해 WT Fc와의 구조적 유사성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WER Fc와 EW-RVT 및 KiH Fc의 수율 비교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Fc 변이체의 이종이합체 생성 수율을 평가하기 위해서, Fc 이종이합체를 포함하는 융합단백질을 제조하고, SDS-PAGE 분석을 수행하여 수율을 측정하였다.
실험을 위해, 인간 항체의 중쇄(HC)와 경쇄(LC)에 토끼 항체의 가변 영역을 갖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발현 벡터를 설계하고, 인간 항체 Fc (hFc)를 코딩하는 벡터와 동시 발현(co-expression)시켜 융합단백질을 제조하였다.
인간 항체 카파 경쇄 및 중쇄 IgG1 유전자는 한국인간유전자뱅크(Korea human gene bank, clone ID: hMU013040, hMU014012)에서 구입하였다. 토끼 항체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cDNA는 CHO expression system용 발현 조절 벡터(Thermo Fisher Scientific)에서 확보하였다. 인간/토끼 키메라 항체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와 인간 항체 Fc (hFc)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는 EcoRV 및 AgeI 제한효소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로 PCR 증폭하여 확보하였다.
상기 PCR 산물 및 pcDNA 3.1-Myc His A 벡터(Thermo Fisher Scientific)를 EcoRV 및 AgeI 제한효소로 37℃에서 1시간 자른 후 1% 아가로스 젤로 정제하고, T4 연결효소(Enzynomics Co., Ltd.)와 상온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이후 연결효소 반응 산물로 TOP competent cell(Thermo Fisher Scientific)을 형질전환 시켰다. 클로닝 후, 이종이합체 생성을 위한 Fc 돌연변이로서 WER, EW-RVT 또는 KiH 돌연변이가 항체의 CH3 도메인에 도입되도록 하였다.
Fc 돌연변이가 도입된 인간 항체의 중쇄와 경쇄에 토끼 항체의 가변 영역을 갖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발현 벡터와 Fc 돌연변이가 도입된 인간 항체 Fc만을 코딩하는 발현 벡터를 제조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CHO 세포에 트랜스펙션하였다. 트랜스펙션에 사용한 전체 벡터 양은 동일하게 유지하되, 발현량이 적은 경쇄 단백질을 코딩하는 벡터를 과량 첨가하여 비율을 조절하였다.
수득한 이종이합체 융합단백질에 대해 SDS-PAGE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1열은 KiH, 2열은 EW-RVT, 3열은 WER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KiH 돌연변이를 이용한 경우 수율이 약 57%로 나타났으며, EW-RVT의 경우 수율이 약 70%로 나타났다. 반면, 본 발명의 WER의 경우 수율이 약 98%로, 종래의 Fc 변이체들에 비하여 이종이합체의 수득 효율이 월등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추가 조합의 CH3 변이체를 도입한 이종이합체 단백질의 제조
이종이합체 생성 수율 및 구조 변형 최소화를 고려하여 다른 조합의 Fc CH3 도메인 돌연변이 세트 2종(CH3 변이체 A 및 B)을 추가로 설계하고 이를 도입하여 이종이합체 단백질을 제조하였다.
4-1. 발현 벡터 설계 및 제작
CH3 변이체 A 및 B가 도입된 이종이합체 단백질의 제조를 위해, 제1 Fc 사슬의 CH3 도메인 돌연변이가 도입된 인간 IgG1 Fc 영역을 코딩하는 발현 벡터와 제2 Fc 사슬의 CH3 도메인 돌연변이가 도입된 항체의 중쇄(HC) 및 경쇄(LC)를 코딩하는 발현 벡터를 각각 설계하였다.
먼저, CH3 변이체 A 및 B 각각에 대해 인간 IgG1 Fc 영역만을 코딩하는 발현 벡터(각 변이체의 제1 Fc 사슬 발현 벡터)를 pcDNA 3.1을 바탕으로 제작하였다. IgG1의 221 내지 446(Kabat 문헌의 EU 넘버링에 따름)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기준으로, CH3 변이체 A의 제1 Fc 사슬 발현 벡터는 T366W/Q347R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Fc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6)을 코딩하도록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변경하였고, CH3 변이체 B의 제1 Fc 사슬 발현 벡터는 T366W/Q347R/K360R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Fc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8)을 코딩하도록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변경하였다. 이들을 PCR 기법으로 증폭한 뒤 NEBuilder HiFi DNA assembly kit (NEB)를 이용하여 중첩 (overlapping)을 통해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 세럼 알부민의 신호 펩티드를 포함하는 각 CH3 변이체의 제1 Fc 사슬 단백질을 발현하는 발현 벡터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CH3 변이체 A 및 B 각각의 제2 Fc 사슬을 포함하는 항체의 중쇄(HC) 및 경쇄(LC)를 코딩하는 발현 벡터(각 변이체의 제2 Fc 사슬 발현 벡터)를 pTRIOZ (Invivogen)를 바탕으로 제작하였다. 상기 항체의 중쇄 및 경쇄 서열은 본 출원인의 국제공개공보 WO 2022/169274(본원에 참고로 인용됨)에 기재된 항-PD-1 항체의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도록 설계하였다.
각 변이체의 제2 Fc 사슬을 포함하는 중쇄 서열의 IgG1 Fc 영역은, IgG1의 221 내지 446(Kabat 문헌의 EU 넘버링에 따름)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기준으로, CH3 변이체 A의 제2 Fc 사슬 발현 벡터의 경우 K360E/T366S/L368A/Y407V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7)을 포함하는 항체를 코딩하도록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변경하였고, CH3 변이체 B의 제2 Fc 사슬 발현 벡터의 경우 Q347E/K360E/T366S/L368A/Y407V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9)을 포함하는 항체를 코딩하도록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변경하여 제작하였다. 이들을 PCR 기법으로 증폭한 뒤 NEBuilder HiFi DNA assembly kit (NEB)를 이용하여 중첩 (overlapping)을 통해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 세럼 알부민의 신호 펩티드 및 각 CH3 변이체의 제2 Fc 사슬 단백질을 포함하는 각각의 항체(중쇄 변이체 및 경쇄)를 발현하는 발현 벡터를 제작하였다. 여기서, 경쇄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0을 참조한다. CH3 변이체 A 또는 B의 제2 Fc 사슬 돌연변이가 도입된 전체 중쇄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1 및 12를 참조한다.
4-2. 단백질 발현 및 정제
상기 실험예 4-1에서 제작한 CH3 변이체 A 및 B 각각에 대한 제1 Fc 사슬 발현 벡터와 제2 Fc 사슬 발현 벡터(즉, 항체 발현 벡터)를 ExpiCHO 세포에 co-transfection하여 단백질을 발현하였다.
상기 트랜스펙션은 초기 세포 밀도 6 x 106 cells/mL 및 발현 벡터 농도가 총 0.8 μg DNA/mL인 조건에서 진행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ExpiCHOTM Expression Medium, OptiPROTM SFM 및 ExpiFectamineTM 트랜스펙션 키트(Gibco)를 제조사 지침에 따라 사용하였다. 트렌스펙션에 사용한 전체 발현 벡터 양은 동일하게 유지하되, 발현량이 적은 항체 단백질을 코딩하는 발현 벡터를 과량 첨가하여 비율을 조절하였다(대략 1:4).
트렌스펙션 과정을 거친 세포들을 37℃, 8% CO2 조건에서 18시간 배양한 뒤 트랜스펙션 키트(Gibco) 제조사 지침에 따라 ExpiCHOTM Feed와 ExpiCHOTM Enhancer를 처리한 뒤 32℃,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트렌스펙션으로부터 6일 뒤 원심분리를 통해 각 단백질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액과 세포를 분리하였으며, 이 때 세포 생존율은 75% 이상이었다.
각각의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배양액에서 목표 단백질들을 분리하기 위해 Pierce® Protein A Agarose 레진 (Thermo ScientificTM)을 이용한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10CV(컬럼 부피)의 Protein A IgG Binding Buffer (Thermo ScientificTM)로 평형시킨 레진에 13000 xg 원심분리를 통해 aggregate 및 세포 유래 불순물을 제거한 배양액을 투입하였다. 이 후 레진을 10CV의 Protein A IgG Binding Buffer (Thermo ScientificTM) 및 1CV의 IgG Elution buffer (Thermo ScientificTM)로 순차적으로 세척한 뒤 3CV의 IgG Elution buffer (Thermo ScientificTM)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용출하였다. 용출된 단백질의 pH를 7.4까지 중화시키기 위해 용출에 사용한 IgG Elution buffer의 1/10 부피에 해당하는 1M Tris pH8.5를 용출된 단백질에 첨가했다.
용출된 단백질 중 일부 분획은 이종이합체 단백질 생성 수율을 확인하기 위해 Amicon tube (Merck, MWCO: 3K)를 이용하여 1 mg/mL까지 농축하였다.
용출된 단백질 중 또다른 분획을 FcRn binding 및 Tm 측정을 위해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이용하여 이종이합체 단백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구체적으로 AKTA avant 25 FPLC를 이용하여 정제하였으며, HiLoad 16/600 Superdex 200 pg (Cytiva) 컬럼을 사용하였다. 1.5CV의 PBS (10 mM Na2HPO4, 1.8 mM KH2PO4, 137 mM NaCl, 2.7 mM KCl pH 7.4)로 평형시킨 컬럼에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 용출 단백질 500 μL를 주입한 뒤 1 mL/min의 속도로 PBS buffer를 흘려주었다. 크기에 따라 분리된 단백질은 1.3 mL씩 분액하여 모았으며 4-12% 비환원성 SDS-PAGE를 통해 이종이합체 단백질의 형성을 확인하였다.
이하, CH3 변이체 A의 돌연변이가 도입된 CH3 도메인, Fc 영역 또는 이종이합체를 "WRE 변이체"(본 발명의 실시예 2의 CH3 변이체)로 지칭하고, CH3 변이체 B의 돌연변이가 도입된 CH3 도메인, Fc 영역 또는 이종이합체를 "WRREE 변이체"(본 발명의 실시예 3의 CH3 변이체)로 지칭한다. 또한, 대조군으로서, IgG1 야생형 Fc, KiH Fc 및 EW-RVT Fc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실험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발현 벡터를 제작하고 이로부터 단백질을 생산하였다.
도 7은 KiH, WER, WRE 및 WRREE 각각에 대하여, 본 실험예 4에서 제작된 제1 Fc 사슬 발현 벡터 및 제2 사슬 발현 벡터를 co-transfection 하였을 때 생산되는 이종이합체를 도식화한 것이다. 돌연변이가 도입되지 않은 IgG1 야생형 Fc(Fc WT)는 동종이합체를 형성한다.
실험예 5: WRE Fc 및 WRREE Fc를 도입한 이종이합체 단백질의 분석
5-1. 이종이합체 형성 수율 분석
상기 실험예 4에서 제작한 제1 Fc 사슬 발현 벡터 및 제2 Fc 사슬 발현 벡터를 co-transfection하여 단백질을 생산하였을 때 발생 가능한 단백질 형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 중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3의 CH3 변이체(각각 WRE 변이체 및 WRREE 변이체)를 도입함에 따라 이종이합체의 형성이 선호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종이합체 단백질의 형성 수율을 분석하였다.
상기 실험예 4에서 생산된 KiH Fc, EW-RVT Fc, WRE Fc 또는 WRREE Fc를 포함하는 이종이합체 단백질을 Protein A로 정제한 후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Thermo ScientificTM, MAbPacTM SEC-1)를 이용하여 HPLC (Thermo ScientificTM, Vanquish VC-P20-A) 분석을 수행하였다. 용출 완충액으로 PBS를 사용하였으며 유속 0.7 mL/min에서 진행되었다. 동종이합체 및 단량체 크기 확인을 위해 KiH의 제1 사슬 발현 벡터(Knob) 및 제2 사슬 발현 벡터(Hole)를 각각 단독 transfection 및 발현하여 정제한 단백질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동종이합체, 이종이합체 및 단량체의 피크를 특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의 SEC-HPLC 그래프 분석 프로파일로부터 분석된 각각의 동종이합체, 이종이합체 및 단량체의 생성 비율을 표 4에 정리하고, 이들 생성 비율을 막대 그래프로 도식화하여 도 10에 나타내었다.
(%) KiH EW-RVT WRE
(본 발명의 실시예 2)
WRREE
(본 발명의 실시예 3)
Molar ratio of constructs
(SEC-HPLC)
Hole Dimer 0.00 0.77 0.00 0.00
Heterodimer 64.15 70.41 89.65 93.69
Hole Monomer 0.00 0.00 0.00 0.00
Knob Dimer 24.17 28.82 8.57 4.99
Knob monomer 11.68 0.00 1.78 1.32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대조군 변이체를 도입한 경우의 이종이합체 생성 수율은 대략 64~70%을 보이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3의 CH3 변이체를 도입한 경우의 이종이합체 생성 수율은 대략 90~94%로 현저히 향상된 이종이합체 생성 수율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5-2. 이종이합체 FcRn 결합능 분석
상기 실험예 4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이종이합체 단백질이 야생형 동종이합체와 비교하여 FcRn에 대한 결합능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이용하여 FPLC에서 분리한 이종이합체 단백질에 대해 SRP (Surface Plasmon Resonance) 장비인 Biacore 8K (Cyti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CM5 센서칩 (Cytiva)에 10 mM Sodium acetate pH 5.0에 희석한 FcRn 단백질을 약 600 RU (response units)이 되도록 고정하였다. 야생형 동종이합체, WRE 이종이합체 및 WRREE 이종이합체를 1500-2.5 nM의 농도로 2.5배씩 0.005% Tween20이 함유된 PBS (pH6.0)에 희석하여 120초 동안 30 μL/min의 속도로 흘려 결합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은 동일한 완충 용액을 600초 동안 30 μL/min의 속도로 흘려 해리 분석을 진행하였다. CM5 센서칩의 재생은 HBS-EP (pH8.0) 완충용액을 60초 동안 30 μL/min의 속도로 흘려 진행하였다.
도 11a 내지 11c는 각 재조합 단백질의 FcRn에 대한 결합 및 해리 분석 후 얻어진 센소그람을 바탕으로 평형상태 (steady-state)의 RU를 통해 친화도 분석을 진행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센소그람을 바탕으로 계산된 FcRn 친화도를 아래 표 5에 표기하였다.
IgG1 (Fc WT) WRE WRREE
Steady-state KD (nM) 490 411 458
이로부터 본 발명의 WRE 및 WRREE 이종이합체는 돌연변이 도입에도 불구하고 야생형 동종이합체 (IgG1 (Fc WT))와 동일한 FcRn 결합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5-3. 이종이합체 열역학적 안정성 분석
상기 실험예 4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이종이합체 단백질의 열역학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이용하여 FPLC에서 분리한 이종이합체 단백질에 대해 시차주사 열용량 분석기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인 MicroCal PEAQ-DSC Automated (Malvern Panalytical)를 사용하여 열전이 중간점(thermal transition midpoint, Tm)을 측정하였다. 열역학적 변성은 10℃에서 110℃까지 1℃/min의 속도로 측정하였으며, 단백질을 제외한 동일 조성 완충액을 통해 측정값을 보정하였다.
도 12a 내지 12c는 각 재조합 단백질의 시차주사 열용량 분석 결과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계산된 각 재조합 단백질의 CH2 도메인 및 Fab/(CH3) 도메인의 열 전이 중간점(Tm)을 아래 표 6에 정리하였다.
Tm IgG1 (Fc WT) WRE WRREE
CH2 72.78 71.75 71.32
Fab/(CH3) 77.96/83.96 77.53 77.57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WRE 및 WRREE 이종이합체는 돌연변이 도입에도 불구하고 야생형 IgG1 동종이합체 (IgG1 Fc WT)와 동일한 열역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WRE 및 WRREE 이종이합체의 CH3 도메인의 열전이 중간점은 Fab의 피크와 겹쳐져 특정되지 않았으나, IgG1 Fc WT의 Fab 열전이 중간점에 비해 변화가 크지 않고 유사하게 나타난 점으로부터 WRE 및 WRREE 이종이합체의 CH3 도메인의 열역학적 안정성이 WT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5-4. 컴퓨터 가상 분석을 통한 이종이합체의 면역원성 분석 ( in silico CD4 T cell immunogenicity prediction)
이종이합체 형성을 위해 도입한 돌연변이에 의해 면역원성 증가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면역원성 컴퓨터 가상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에는 IEDB Analysis Resource에서 제공하는 분석 시스템인 CD4 T cell immunogenicity prediction (http://tools.iedb.org/CD4episcore/)을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7-allele method와 immunogenicity method를 함께 예측하는 IEDB recommended (combined)을 선택하였으며, maximum percentile rank threshold는 50을 선택하여 분석 진행하였다. 분석에는 인간 IgG1의 야생형 Fc 아미노산 서열과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WRE 및 WRREE 이종이합체의 Fc 아미노산 서열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표에서 펩티드는 항원결정기(epitope)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부위를 나타낸다. 각 점수는 면역원성을 유발할 수 있는 정도를 예측한 값으로 그 값이 낮을수록 면역원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WRE Fc 및 WRREE Fc의 면역원성 예측 분석 결과를 아래 표 7에 나타내었다. WRE Fc 및 WRREE Fc의 서열에서 항원결정기 가능성이 있는 펩티드 범위가 대조군으로 사용된 인간 IgG1의 야생형 Fc의 분석 결과와 동일하게 예측되었다. WRE Fc 및 WRREE Fc 각각의 제2 사슬(Hole 사슬)의 항원결정기 펩티드(3번째 펩티드)에 이종이합체 형성을 위해 도입한 돌연변이가 존재하여 점수의 변화가 나타났지만, 계산된 점수가 야생형 대비 높으므로 면역원성이 낮을 것으로 예측된다. 종합하면, WRE Fc 및 WRREE Fc에 도입된 돌연변이가 IgG1 야생형에 의해 발생 가능한 면역원성 외에 추가적인 혹은 더 높은 면역원성을 일으킬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Peptide Combined Score Immunogenicity Score Median
percentile Rank
(7-Allele)
IgG1 Fc WT KPKDTLMISRTPEVT 47.92904 89.8226 20.0
YNSTYRVVSVLTVLH 48.60732 94.5183 18.0
DGSFFLYSKLTVDKS 48.28376 83.2094 25.0
WRE
Fc
Knob KPKDTLMISRTPEVT 47.92904 89.8226 20.0
YNSTYRVVSVLTVLH 48.60732 94.5183 18.0
DGSFFLYSKLTVDKS 48.28376 48.28376 83.2094
Hole KPKDTLMISRTPEVT 47.92904 89.8226 20.0
YNSTYRVVSVLTVLH 48.60732 94.5183 18.0
DGSFFLVSKLTVDKS 49.45232 90.6308 22.0
WRREE
Fc
Knob KPKDTLMISRTPEVT 47.92904 89.8226 20.0
YNSTYRVVSVLTVLH 48.60732 94.5183 18.0
DGSFFLYSKLTVDKS 48.28376 48.28376 83.2094
Hole KPKDTLMISRTPEVT 47.92904 89.8226 20.0
YNSTYRVVSVLTVLH 48.60732 94.5183 18.0
DGSFFLVSKLTVDKS 49.45232 90.6308 22.0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형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서열 리스트
SEQ ID No. Description Sequences
1 WER Fc mutant chain 1 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QVYTLPPSRDELT E NQVSL W 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
2 WER Fc mutant chain 2 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 R VYTLPPSRDELTKNQVSL S C A 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 V 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
3 Wild Type IgG1 221-447 (EU numbering) 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QVYTLPPSRDEL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
4 WER Fc mutant chain 1 - vector coding sequences MDWTWRVFCLLAVAPGAHSDI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QVYTLPPSRDELT E NQVSL W 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TGHHHHHH
5 WER Fc mutant chain 2 - vector coding sequences MDWTWRVFCLLAVAPGAHSDI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 R VYTLPPSRDELTKNQVSL S C A 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 V 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TGHHHHHH
6 WRE Fc mutant chain 1 (CH3 mutant A chain 1) 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 R VYTLPPSRDELTKNQVSL W 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
7 WRE Fc mutant chain 2 (CH3 mutant A chain 2) 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QVYTLPPSRDELT E NQVSL S C A 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 V 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
8 WRREE Fc mutant chain 1 (CH3 mutant B chain 1) 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 R VYTLPPSRDELT R NQVSL W 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
9 WRREE Fc mutant chain 2 (CH3 mutant B chain 2) 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 E VYTLPPSRDELT E NQVSL S C A 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 V 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
10 Light chain amino acids DIVLTQTPLSLPVSLGDQASISCRSSQNIVHSNGDTYLEWYLQKPGQSPKLLIYKVSKRFSGVPDRFSGSGSGTDFTLKISRVEAEDLGVYYCFQGSHVPWTFGGGTKLEIKRTVAAPSVFIFPP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
11 WRE heavy chain amino acids EVQLQQSGAELVKPGASVKLSCKASGYTFTGYWMHWVKQRPGQGLEWIGMIHPNSDTTTYNEKFKNRATLTVDKSSGTAYMQLSSLTSEDSAVYYCTGTDQAAWFAFWGQGTLVTVSAASTKGPSVFPLAPCSRSTSES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YSLSSVVTVPSSSLGTKTYTCNVDHKPSNTKVDKRVES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QVYTLPPSRDELT E NQVSL S C A 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 V 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
12 WRREE heavy chain amino acids EVQLQQSGAELVKPGASVKLSCKASGYTFTGYWMHWVKQRPGQGLEWIGMIHPNSDTTTYNEKFKNRATLTVDKSSGTAYMQLSSLTSEDSAVYYCTGTDQAAWFAFWGQGTLVTVSAASTKGPSVFPLAPCSRSTSES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YSLSSVVTVPSSSLGTKTYTCNVDHKPSNTKVDKRVES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 E VYTLPPSRDELT E NQVSL S C A 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 V 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20)

  1. 항체의 제1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2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이종이합체로서,
    상기 제1 CH3 도메인은 T366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CH3 도메인은 T366, L368 및 Y407 중 하나 이상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CH3 도메인 및 제2 CH3 도메인 중 어느 한 도메인은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더 포함하고, 다른 한 도메인은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아미노산 번호는 KABAT 문헌의 EU 넘버링을 기준으로 하는 것인, 이종이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CH3 도메인 및 제2 CH3 도메인 중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도메인이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더 포함하거나,
    상기 제1 CH3 도메인 및 제2 CH3 도메인 중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도메인이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CH3 도메인 및 제2 CH3 도메인 중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도메인이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더 포함하고,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도메인이 K360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이종이합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K360 또는 Q347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이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을 포함하는 것인, 이종이합체.
  4. 제3항에 있어서, (a) 상기 제1 CH3 도메인과 제2 CH3 도메인 중 어느 한 도메인의 Q347이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경우, 다른 한 도메인의 K360은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고,
    이 때 상기 Q347이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도메인은 K360에서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K360이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다른 한 도메인은 Q347에서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을 더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b) 상기 제1 CH3 도메인과 제2 CH3 도메인 중 어느 한 도메인의 Q347이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경우, 다른 한 도메인의 K360은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고, 이 때 상기 Q347이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도메인은 K360에서 생리학적 pH에서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이종이합체.
  5. 제3항에 있어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이 라이신(K) 또는 아르기닌(R)이고, 음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이 아스파르트산(D) 또는 글루탐산(E)인, 이종이합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1) 상기 제1 CH3 도메인이 T366W 및 K360E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CH3 도메인이 T366S, L368A, Y407V 및 Q347R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거나,
    (A2) 상기 제1 CH3 도메인이 T366W 및 Q347R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CH3 도메인이 T366S, L368A, Y407V 및 K360E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거나,
    (A3) 상기 제1 CH3 도메인이 T366W, K360R 및 Q347R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CH3 도메인이 T366S, L368A, Y407V, K360E 및 Q347E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거나, 또는
    (A4) 상기 제1 CH3 도메인이 T366W, K360E 및 Q347E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CH3 도메인이 T366S, L368A, Y407V, K360R 및 Q347R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것인, 이종이합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H3 도메인이 IgG, IgM, IgA, IgD 및 Ig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면역글로불린에 포함되는 것인, 이종이합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폴리펩티드 중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결합 도메인 단백질 또는 약물을 더 포함하는, 이종이합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이 직접 연결, 또는 1 내지 5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에 의한 연결인, 이종이합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도메인 단백질이 항체의 항원 결합 영역, 수용체 유래 단백질, 사이토카인 및 호르몬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이종이합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 결합 영역이 Fab, scFab, sdAb, scFv, di-scFv 또는 (dsFv)2 형태인, 이종이합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이합체가 2개 이상의 표적 단백질에 결합 가능한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 또는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융합 단백질인, 이종이합체.
  13. 제1항 또는 제2항의 이종이합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14. 제13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15. 제13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16. 제1항 또는 제2항의 이종이합체를 코딩하는 1종 이상의 발현 벡터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발현 벡터를 숙주 세포에서 발현시키고 단백질을 수득하여 이종이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종이합체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벡터가, 제1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및 제2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이종이합체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벡터가, 제1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1 발현 벡터, 및 제2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2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것인, 이종이합체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이종이합체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1 발현 벡터 및 제2 발현 벡터를 숙주 세포에서 각각 발현시켜 2종의 단백질을 수득하고 혼합 반응시켜 이종이합체를 형성하는 것인, 이종이합체 제조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이종이합체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1 발현 벡터 및 제2 발현 벡터를 숙주 세포에서 동시 발현시켜 이종이합체를 수득하는 것인, 이종이합체 제조방법.
KR1020247019363A 2021-11-09 2022-11-09 Fc 변이체를 포함하는 이종이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1167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428 2021-11-09
KR20210153428 2021-11-09
PCT/KR2022/017565 WO2023085779A1 (ko) 2021-11-09 2022-11-09 Fc 변이체를 포함하는 이종이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6743A true KR20240116743A (ko) 2024-07-30

Family

ID=8633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9363A KR20240116743A (ko) 2021-11-09 2022-11-09 Fc 변이체를 포함하는 이종이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116743A (ko)
WO (1) WO202308577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77405A1 (en) * 2004-09-02 2006-03-16 Genentech, Inc. Anti-fc-gamma riib receptor antibody and uses therefor
KR101522954B1 (ko) * 2012-11-27 2015-05-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항체 중쇄불변부위의 이종이중체 고효율 형성을 유도하는 ch3 도메인 변이체 쌍,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CN106883297B (zh) * 2015-12-16 2019-12-13 苏州康宁杰瑞生物科技有限公司 基于ch3结构域的异二聚体分子、其制备方法及用途
KR101928981B1 (ko) * 2016-09-02 2018-12-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체 중쇄불변부위 이종이중체 (heterodimeric Fc)에 융합된 IL-21 (heterodimeric Fc-fused IL-21)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EA202190542A1 (ru) * 2018-08-16 2021-09-07 Денали Терапьютикс Инк. Сконструированные биспецифические белк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5779A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4794B2 (en) Bispecific heterodimeric fusion proteins containing IL-15-IL-15Ralpha Fc-fusion proteins and immune checkpoint antibody fragments
US11524991B2 (en) PD-1 targeted heterodimeric fusion proteins containing IL-15/IL-15Ra Fc-fusion proteins and PD-1 antigen binding domains and uses thereof
CN110352070B (zh) 双特异性检查点抑制剂抗体
US20190016778A1 (en) TARGETED HETERODIMERIC Fc FUSION PROTEINS CONTAINING IL-15 IL-15alpha AND ANTIGEN BINDING DOMAINS
US20160009824A1 (en) Tetravalent bispecific antibodies
CN106397598B (zh) 多价多特异性抗体及免疫杂合蛋白的表达和制备方法
Wu et al. Building blocks for bispecific and trispecific antibodies
US11472890B2 (en) Heterodimeric antibodies that bind ENPP3 and CD3
EP4303231A1 (en) Bispecific antibody
KR20230156079A (ko) Cd3과 cldn6에 결합하는 이종이량체 항체
CN112469477A (zh) 与成纤维细胞活化蛋白结合的异源二聚体抗体
WO2021218684A1 (zh) 四价双特异性抗体、其制备方法和用途
TW202400642A (zh) 抗CD28x抗PSMA抗體
US20240059786A1 (en) Anti-cd28 x anti-trop2 antibodies
JPWO2021077806A5 (ko)
KR20240116743A (ko) Fc 변이체를 포함하는 이종이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51727A1 (zh) 结合cd3的抗体及其用途
WO2024027120A1 (en) Multi-specific polypeptide complexes
WO2022037582A1 (zh) 抗cd3和抗cldn-18.2双特异性抗体及其用途
WO2024032617A1 (zh) 异多聚体蛋白质及其制备方法
WO2022156687A1 (en) Polypeptide complexes with improved stability and expression
US20240182576A1 (en) Heterodimeric antibodies and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US20230340128A1 (en) Anti-cd28 x anti-msln antibodies
WO2023138551A1 (zh) 抗cd3和抗cd20双特异性抗体及其用途
JP2024534620A (ja) B細胞成熟抗原(bcma)結合ドメイン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