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1527A - 보정된 획입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보정된 획입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1527A
KR20240111527A KR1020230003474A KR20230003474A KR20240111527A KR 20240111527 A KR20240111527 A KR 20240111527A KR 1020230003474 A KR1020230003474 A KR 1020230003474A KR 20230003474 A KR20230003474 A KR 20230003474A KR 20240111527 A KR20240111527 A KR 20240111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rea
interest
stroke input
area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03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11527A/ko
Priority to PCT/KR2023/017282 priority patent/WO2024150907A1/ko
Publication of KR20240111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1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표현된 글씨들에 대응되는 글씨영역들을 식별하는 동작,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글씨영역들에 대한 획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획입력이 수신된 글씨영역들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 획입력의 시작점에 위치하는 시작 관심영역에서 획입력의 시작점이 인가된 제1 영역요소, 획입력의 끝점에 위치하는 마지막 관심영역에서 획입력의 끝점이 인가된 제2 영역요소를 식별하는 동작, 시작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로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관심영역의 제2 영역요소까지 이어지는 선입력을 생성하는 동작, - 선입력은 시작 관심영역과 마지막 관심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 또는 제2 영역요소 중 어느 하나를 지나가도록 생성됨 - 및 생성된 선입력을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Description

보정된 획입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표시 장치{METHOD FOR PROVIDING CORRECTED STROKE INPUT FOR TEXT AREA AND DISPLAY DEVICE THEREOF}
본 명세서는 보정된 획입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글씨영역에 대해 인가되는 선입력이 글씨영역에 적합하도록 보정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PC(personal computer),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이 지속적으로 개량되고 있다.
일례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노트나 펜이 없이도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메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이나 전자펜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예: 터치스크린)에 직접 필기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에 터치(또는 접촉)하는 터치 궤적(또는 좌표)을 손글씨로서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펜을 이용하여 노트에 필기하는 것과 같이 전자 펜을 이용하여 손글씨를 입력함으로써, 아날로그 감성을느끼면서 편리하게 메모를 작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표현된 글씨들에 대응되는 글씨영역들을 식별하는 동작,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글씨영역들에 대한 획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획입력이 수신된 글씨영역들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 획입력의 시작점에 위치하는 시작 관심영역에서 획입력의 시작점이 인가된 제1 영역요소, 획입력의 끝점에 위치하는 마지막 관심영역에서 획입력의 끝점이 인가된 제2 영역요소를 식별하는 동작, 시작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로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관심영역의 제2 영역요소까지 이어지는 선입력을 생성하는 동작, - 선입력은 시작 관심영역과 마지막 관심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 또는 제2 영역요소 중 어느 하나를 지나가도록 생성됨 - 및 생성된 선입력을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표시 중인 글씨의 형태가 다양하더라도, 글씨들을 가로지르는 한 번의 획입력을 통해 각각의 글씨 형태에 적합한 주석표시(예: 음영표시, 밑줄표시, 취소선표시 등)을 상기의 글씨들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명세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보정된 획입력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글씨영역을 인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글씨영역의 영역요소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글씨영역 상에 음영 획입력이 인가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음영을 나타내는 획입력의 인가 결과로서 선입력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글씨영역 상에 실선 획입력이 인가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은 도 8의 실선 획입력의 인가 결과로서 선입력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글씨영역 상에 실선 획입력이 인가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는 도 10의 실선 획입력의 인가 결과로서 선입력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들이 참조되며,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예들이 도면들 내에서 예시로서 도시된다. 또한, 다양한 예들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구조적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트랜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 트랜시버(130)는 프로세서(110)와 전기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어 명령을 생성, 전송하여 전자 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부는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또는 SSD(Solid State Drive)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다른 전기적 프로그래밍 가능한 ROM),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정적 또는 동적 RAM) 등과 같은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 내의 프로세싱 회로부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기저대역 프로세서(들), 전력 관리 섹션(들), 오디오 칩(들), 주문형 집적 회로(들) 등에 기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예시적으로 설명된 방법들 및/또는 절차들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하거나 이들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프로토콜, 구성, 제어 및 다른 기능들에서 사용되는 변수들을 저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에 대한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메모리(12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메모리(120)는 하나 이상의 포맷들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예를 들어, SD 카드, 메모리 스틱, 콤팩트 플래시 등)이 삽입 및 제거될 수 있게 하는 메모리 슬롯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시버(130)는 무선 통신 모듈 또는 RF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예를 들면, Wi-Fi, BT, GPS 또는 NF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은 전자 장치(100)를 네트워크(예: Internet, LAN, WAN,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POTS 또는 5G network 등)와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모듈은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 또는 호출된 전자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할 수 있다. 일 례로, RF 모듈는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모듈은 무선통신에서 자유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프로세서(110)로 보내진다. 프로세서(11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보정된 획입력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보정된 획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도 1의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각각의 동작들은 표시 장치(100)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은, 선입력의 보정기능의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실현되고, 선입력의 보정기능이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는 실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의 동작 210 내지 동작 260에서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표시 장치는 선입력의 보정기능을 실행하지 않거나, 터치 스크린에 대해 입력되는 획입력을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동작 210에서, 표시 장치는 터치 스크린 상에 표현된 글씨들에 대응되는 글씨영역들을 식별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이 표시 중인 화면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된 글씨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씨들은, 키보드나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입력될 수 있다. 또한, 글씨들은 키보드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지 않더라도, 이미지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표현 중인 글씨들을 식별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글씨들에 대응되는 글씨영역도 식별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다양한 획들을 글씨 또는 비-글씨로 분류하고, 글씨에 해당하는 영역을 글씨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들을 글씨와 비-글씨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미리 학습된 머신러닝 모델이 이용될 수 있으며, 머신러닝 모델은 획들 및 획들의 조합에 매핑되는 글씨들로 미리 학습될 수 있다.
글씨 영역들은 각각의 글씨들을 둘러싸는 사각형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글씨영역은 각각의 글씨에 대응되는 바운딩 박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좌표값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글씨영역을 식별하는 것과 동시에, 각각의 글씨영역에 대한 좌표값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씨영역의 X축최소값, Y축최소값, X축최대값, Y축최대값을 좌표값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좌표값들에 의해 글씨영역의 위치와 크기가 정의될 수 있다.
동작 220에서, 표시 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획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획입력은,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의 일종이다. 획입력은 시작점으로부터 끝점까지 터치가 계속되는 일종의 터치 앤 드래그 입력이다. 획입력이 수신되면, 표시 장치는 터치 입력의 시작점으로부터 터치 입력의 끝점까지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터치 구간에 걸쳐 선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획입력이 인가되면, 획입력의 시작점에 대한 좌표값, 획입력의 끝점에 대한 좌표값, 및 획입력이 인가되는 구간에 대한 좌표값을 획득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는 획입력과 연관된 좌표값들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좌표값들에 기반하여 획입력이 입력되는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230에서, 표시 장치는 글씨영역들에 대한 획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획입력이 수신된 글씨영역들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글씨영역들의 위치와 획입력이 수신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글씨영역들 중 획입력이 수신된 글씨영역들을 식별하고, 획입력이 수신된 글씨영역들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관심영역과 글씨영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와 크기를 가지나, 관심영역의 적어도 일부에는, 후술할 것이나, 선입력(예: 음영 선입력, 실선 선입력)이 표시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한편, 획입력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관심영역들은, 시작 관심영역, 중간 관심영역 및 마지막 관심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시작 관심영역은 획입력의 시작점이 수신된 글씨영역에 대응되고, 마지막 관심영역은 획입력의 끝점이 수신된 글씨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중간 관심영역은 시작 관심영역과 마지막 관심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획입력이 수신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글씨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동작 240에서, 표시 장치는 획입력의 시작점에 위치하는 시작 관심영역에서 획입력의 시작점이 인가된 제1 영역요소, 획입력의 끝점에 위치하는 마지막 관심영역에서 획입력의 끝점이 인가된 제2 영역요소를 식별할 수 있다.
글씨영역과 관심영역은 상부 영역요소, 중부 영역요소, 하부 영역요소 및 하단 영역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획입력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위치에 기반하여 획입력이 수신된 영역요소(예: 상부 영역요소, 중부 영역요소, 하부 영역요소 및 하단 영역요소)를 식별할 수 있다.
글씨영역에 인가되는 획입력이 어떤 영역요소에 인가되는지에 기초하여 이후 선입력이 생성될 관심영역의 영역요소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글씨영역의 하부 영역요소에 획입력이 수신되면, 선입력은 그러한 글씨영역에 대응되는 관심영역의 하부 영역요소를 지나가도록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씨영역의 중부 영역요소에 획입력이 수신되면, 선입력은 그러한 글씨영역에 대응되는 관심영역의 중부 영역요소를 지나가도록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동작 240은, 동작 230의 직후에, 또는 동시에 표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250에서, 시작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로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관심영역의 제2 영역요소까지 이어지는 선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입력은 시작 관심영역과 마지막 관심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 또는 제2 영역요소 중 어느 하나를 지나가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입력은 시작 관심영역으로부터 마지막 관심영역까지 계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입력은, 선입력이 지나가도록 설정된 제1 영역요소 및 제2 영역요소에 걸쳐서는 직선으로 표현되고, 서로 이웃한 관심영역들 사이에서는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실선 획입력의 시작점이 인가된 제1 영역요소가 상부 영역요소 또는 하부 영역요소 중 어느 하나로 식별되고, 실선 획입력의 끝점이 인가된 제2 영역요소가 상부 영역요소 또는 하부 영역요소 중 나머지 하나로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실선 선입력을 표시하지 않고, 실선 획입력을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영역요소와 하부 영역요소 사이에는 중부 영역요소가 존재하여 서로에 대해 이격되는데, 이들 영역요소를 연결하는 선입력은, 선입력을 생성하고자 하는 사용자 의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선입력을 표시하지 않고, 획입력이 입력된 그대로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입력은, 음영 선입력인지, 또는 실선 선입력인지에 따라 표현방식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후술한다.
시작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는 획입력의 시작점이 인가된 글씨영역의 제1 영역요소이고, 마지막 관심영역의 제2 영역요소는 획입력의 끝점이 인가된 글씨영역의 제2 영역요소이다.
한편,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획입력은, 음영 획입력, 실선 획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음영 획입력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음영을 표시하는 획입력을 의미하고, 실선 획입력은 실선을 표시하는 획입력을 의미한다. 글씨영역들에 대해 음영 획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생성될 선입력은 음영 선입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글씨영역들에 대해 실선 획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생성될 선입력은 실선 선입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획입력과 선입력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속성(예: 음역, 또는 실선)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글씨영역들에 대해 수신되는 획입력이 음영 획입력인 경우, 음영 선입력은 음영 획입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음영 선입력의 선두께는 시작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로부터 마지막 관심영역의 제2 영역요소까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획입력을 하기위해 미리 설정한 선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두께를 갖는 선입력을 글씨영역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음영 선입력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로 동일한 길이만큼 폭이 확장되는 음영을 가질 수 있다. 즉, 음영 선입력의 선두께는 중심선으로 기준으로 한 상측두께, 하측두께의 합으로 이루어지며, 상측두께와 하측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음영 선입력의 중심선은 시작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의 중심축, 및 마지막 관심영역의 제2 영역요소의 중심축을 지나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중심축은 Y축을 기준으로, 각각의 영역요소(예: 제1 영역요소, 제2 영역요소)의 중심점을 X축 방향으로 지나가는 기준축을 의미한다. 중심축은 글씨영역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씨영역들에 대해 수신되는 획입력이 음영 획입력인 경우, 음영 선입력이 지나가도록 설정된 제1 영역요소 또는 제2 영역요소에서, 음영 선입력은 제1 영역요소 또는 제2 영역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채우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음영 획입력의 선두께는 제1 영역요소 또는 제2 영역요소의 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영 선입력이 채워질 제1 영역요소 또는 제2 영역요소의 폭이 큰 경우, 음영 선입력의 선두께는 두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영 선입력이 채워질 제1 영역요소 또는 제2 영역요소의 폭이 작은 경우, 음영 선입력의 선두께는 작아질 수 있다. 손글씨의 경우에는, 글씨마다 크기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음영 선입력이 동일하게만 적용된다면 사용자가 처음에 의도했던 글씨에 대한 강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글씨의 크기, 상세하게는 획입력이 인가되는 영역요소의 크기에 따라 음영 선입력의 선두께를 변경시킴으로써, 번거로운 선두께 재설정이 없더라도 글씨의 크기에 적합한 음영 선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글씨영역들에 대해 수신되는 획입력이 실선 획입력인 경우, 실선 선입력은 실선 획입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선 선입력의 두께는 시작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로부터 마지막 관심영역의 제2 영역요소까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실선 획입력의 시작점이 인가된 제1 영역요소와 실선 획입력의 끝점이 인가된 제2 영역요소가 하부 영역요소로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실선 선입력이 하단 영역요소를 지나가도록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표시 장치는 획입력이 하부 영역요소에 인가되더라도, 하부 영역요소가 아닌, 하단 영역요소에 선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실선 획입력을 글씨의 하부에 입력하는 것은, 글씨를 강조하기 위한 밑줄을 표기하기 위한 사용자 의도가 반영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실선 획입력을 하단 영역요소에 정확하게 입력하도록 제한하게 되면, 밑줄표시에 불편이 야기될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는, 하단 영역요소의 획입력 수신수단으로써의 기능을 하부 영역요소까지 확장시키고, 하부 영역요소의 선입력 표시수단으로써의 기능을 하단 영역요소가 대신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밑줄표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실선 획입력의 시작점이 인가된 제1 영역요소와 실선 획입력의 끝점이 인가된 제2 영역요소가 중부 영역요소로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실선 선입력에 검토자 정보를 매핑시킬 수 있다. 시작 관심영역과 마지막 관심영역의 중심 영역요소들에 획입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사용자 의도는 취소선 표시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취소선을 표시한 검토자의 정보가 문서 내에 자동으로 기록되도록, 표시 장치는 취소선과 같은 실선 선입력이 생성되는 것에 기초하여, 실선 선입력을 생성된 검토자 정보를 실선 선입력과 매핑시킴으로써, 이후 검토자 확인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관심영역들의 중심 영역요소들을 공통적으로 지나가는 선입력은 이중선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동작 260에서, 표시 장치는 생성된 선입력을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선입력에 대한 미리보기를 표시할 수 있다. 선입력의 미리보기는 획입력과 함께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는 생성된 선입력을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과정에서, 획입력의 끝점까지 터치 스크린에 대한 획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획입력과 선입력을 터치 스크린 상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는 획입력이 중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선입력을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되, 획입력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생략시킬 수 있다.
도 3은 글씨영역을 인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글씨영역들은 표시 장치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도 1의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글씨영역들을 식별하는 동작은, 도 2의 동작 210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상에는 A, B, C, D와 같은 4개의 글씨들(320)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8개의 A, B, C, D, E, F, G, H을 각각 식별하고, 각각의 글씨(320)에 대응되는 글씨영역들(310)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글씨들(320)은 손글씨 뿐만 아니라, OCR과 같은 식별수단에 의해 인식되는 글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글씨영역의 영역요소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글씨영역들(410)은, 각각 상부 영역요소(411), 중부 영역요소(412), 하부 영역요소(413) 및 하단 영역요소(4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영역요소(411)는, 중부 영역요소(412), 하부 영역요소(413) 및 하단 영역요소(414)는 아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부 영역요소(411), 중부 영역요소(412), 및 하부 영역요소(413)는 소정의 크기로 마련된 사각형 영역일 수 있다. 상부 영역요소(411), 중부 영역요소(412) 및 하부 영역요소(413)는 각각 X축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좌표값을 가지며, Y축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배열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중부 영역요소(412)는, 상부 영역요소(411) 및 하부 영역요소(413) 보다 큰 폭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하부 영역요소(413)가 가장 큰 폭을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하단 영역요소(414)는 소정의 길이로 마련된 직선 영역일 수 있다. 하단 영역요소(414)는 다른 영역요소(예: 상부 영역요소(411), 중부 영역요소(412) 및 하부 영역요소(413))와 달리 면이 아닌 선으로 설정된다. 하단 영역요소(414)는 관심영역, 바람직하게는 하부 영역요소(413)의 아랫변일 수 있다.
글씨영역들 및 관심영역들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와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관심영역은 획입력이 수신된 글씨영역으로서, 글씨영역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상부 영역요소, 중부 영역요소, 하부 영역요소 및 하단 영역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심영역들을 구성하는 영역요소들(예: 상부 영역요소, 중부 영역요소, 하부 영역요소 및 하단 영역요소)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 및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전술한 글씨영역들에 대한 설명은 관심영역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글씨영역들에 다양한 획입력들이 인가될 때 관심영역 상에 선입력이 어떻게 표시되는지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획입력의 시작점이 입력되는 글씨영역은 시작 관심영역으로 설정되고, 획입력의 끝점이 입력되는 글씨영역은 마지막 관심영역으로 설정된다. 또한, 시작 관심영역과 마지막 관심영역을 제외하고, 획입력의 궤적상에 위치하는 글씨영역들은 중간 관심영역으로 설정된다.
도 5은 글씨영역 상에 음영 획입력이 인가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글씨 A에 대응되는 글씨영역(510a)에서 음영 획입력(590)의 입력이 시작되고, 글씨 D에 대응되는 글씨영역(510d)에서 음영 획입력(590)은 종료된다. 획입력(590)의 시작점(591)은 글씨 A의 글씨영역(510a)에 위치하고, 해당 글씨영역(510a)은 시작 관심영역으로 설정된다. 획입력(590)의 끝점(592)은 글씨 D의 글씨영역(510d)에 위치하고, 해당 글씨영역(510d)은 마지막 관심영역으로 설정된다. 또한, A와 D 사이에 위치한 B, C에 각각 해당하는 글씨영역들(510b, 510c)은 중간 관심영역으로 설정된다.
또한, 표시 장치는 글씨 A에 대응되는 글씨영역(510a)에서 음영 획입력(590)과 글씨 D에 대응되는 글씨영역(510d)에서 음영 획입력(590)이 중부 영역요소(512a, 512d)에 입력됨을 식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후 음영 선입력이 생성될 관심영역들의 영역요소는 중부 영역요소로 결정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음영을 나타내는 획입력의 인가 결과로서 선입력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영 선입력(695)은, 음영 획입력(도 5의 59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음영 선입력(695)은, 중부 영역요소들(612a~612d) 상에서는 직선형으로, 서로 이웃한 중부 영역요소들(612a~612d) 사이에서는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처럼, 표시 장치는 보정된 선입력(695)을 글씨영역들, 바람직하게는 관심영역들(610a~610d)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음영 선입력(795)의 선두께(795t)는 관심영역(710a~710d) 각각의 크기에 적응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영 선입력(795)의 선두께(795t)는 획입력이 입력된, 관심영역(710a~710d)의 중부 영역요소(712a~712d)를 채우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음영 선입력(795)이 관심영역(710a~710d)의 중부 영역요소(712a~712d)들을 전부 채우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러한 예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음영 선입력(795)은 영역요소에 대해 소정의 비율만큼 채우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음영을 나타내는 획입력이 글씨영역의 중심 영역요소에 인가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러한 예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음영 획입력이 상부 영역요소 또는 하부 영역영역에 인가되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획입력은 처리될 수 있다.
도 8은 글씨영역 상에 실선 획입력이 인가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는 글씨영역의 하부 영역요소 상에 실선 획입력이 인가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를 참조하면, 글씨 A에 대응되는 글씨영역(810a)에서 실선 획입력(890)의 입력이 시작되고, 글씨 D에 대응되는 글씨영역(810d)에서 실선 획입력(890)은 종료된다. 글씨 A에 해당하는 글씨영역(810a)은 시작 관심영역으로 설정되고, 글씨 D에 해당하는 글씨영역(810d)은 마지막 관심영역으로 설정된다. 또한, A와 D 사이에 위치한 B, C에 각각 해당하는 글씨영역(810b, 810c)들은 중간 관심영역으로 설정된다.
또한, 표시 장치는 글씨 A에 대응되는 글씨영역(810a)에서 실선 획입력(890)의 시작점(891)과 글씨 D에 대응되는 글씨영역(810d)에서 실선 획입력(890)의 끝점(892)이 하부 영역요소(813a, 813d)에 입력됨을 식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후 실선 선입력이 생성될 관심영역들의 영역요소는 하부 영역요소로 결정될 수 있다.
도 9은 도 8의 실선 획입력의 인가 결과로서 선입력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실선 선입력(995)은 하단 영역요소(914a~914d) 상에 생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시작 관심영역과 마지막 관심영역의 하부 영역요소(913a~913d)들에 공통적으로 실선 획입력(예: 도 8의 획입력(890))이 인가되면, 실선 선입력(995)은 하부 영역요소(913a~913d)가 아닌 하단 영역요소(914a~914d)들을 따라 연장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실선 선입력(995)은, 실선 획입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실선 선입력(995)은, 하단 영역요소(914a~914d)들 상에서는 직선형으로, 서로 이웃한 하단 영역요소(914a~914d)들 사이에서는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처럼, 표시 장치는 보정된 선입력을 글씨영역들, 바람직하게는 관심영역들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글씨영역 상에 실선 획입력이 인가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글씨영역의 중심 영역요소 상에 실선 획입력이 인가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글씨 A에 대응되는 글씨영역(1010a)에서 실선 획입력(1090)의 입력이 시작되고, 글씨 D에 대응되는 글씨영역(1010d)에서 실선 획입력(1090)은 종료된다. 글씨 A에 해당하는 글씨영역(1010a)은 시작 관심영역으로 설정되고, 글씨 D에 해당하는 글씨영역(1010d)은 마지막 관심영역으로 설정된다. 또한, A와 D 사이에 위치한 B, C에 각각 해당하는 글씨영역(1010b, 1010c)들은 중간 관심영역으로 설정된다.
또한, 표시 장치는 글씨 A에 대응되는 글씨영역(1010a)에서 실선 획입력(1090)의 시작점(1091)과 글씨 D에 대응되는 글씨영역(1010d)에서 실선 획입력(1090)의 끝점(1092)이 중부 영역요소(1012a~1012d)에 입력됨을 식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후 실선 선입력이 생성될 관심영역들의 영역요소는 중부 영역요소(1012a~1012d)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1는 도 10의 실선 획입력의 인가 결과로서 선입력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선 선입력(1195)은, 실선 획입력(예: 도 10의 실선 획입력(109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실선 선입력(1195)은, 중부 영역요소(1112a~1112d)들 상에서는 직선형으로, 서로 이웃한 중부 영역요소(1112a~1112d)들 사이에서는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처럼, 표시 장치는 보정된 선입력을 글씨영역들, 바람직하게는 관심영역들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중부 영역요소(1112a~1112d)들을 따라 연장하도록 생성된 실선 선입력(1195)에는 검토자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이에, 이후에 문서를 열람할 때 해당 실선 선입력(1195)을 생성한 사용자의 검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부 영역요소(1112a~1112d)들을 따라 연장하도록 생성된 실선 선입력(1195)은 이중선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표현된 글씨들에 대응되는 글씨영역들을 식별하는 동작;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글씨영역들에 대한 획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획입력이 수신된 글씨영역들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 획입력의 시작점에 위치하는 시작 관심영역에서 획입력의 시작점이 인가된 제1 영역요소, 획입력의 끝점에 위치하는 마지막 관심영역에서 획입력의 끝점이 인가된 제2 영역요소를 식별하는 동작; 시작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로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관심영역의 제2 영역요소까지 이어지는 선입력을 생성하는 동작; - 선입력은 시작 관심영역과 마지막 관심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 또는 제2 영역요소 중 어느 하나를 지나가도록 생성됨 - 및 생성된 선입력을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글씨영역들은, 각각의 글씨를 둘러싸는 사각형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글씨영역들은, 시작 관심영역, 하나 이상의 중간 관심영역, 및 마지막 관심영역은, 하나 이상의 영역요소로 구성되고, 영역요소는 순서대로 상부 영역요소, 중부 영역요소, 하부 영역요소, 및 하단 영역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상에 수신되는 획입력은, 음영 획입력, 실선 획입력을 포함하고, 글씨영역들에 대해 음영 획입력이 수신되면 선입력은 음영 선입력으로 설정되고, 글씨영역들에 대해 실선 획입력이 수신되면 선입력은 실선 선입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글씨영역들에 대해 수신되는 획입력이 음영 획입력인 경우, 음영 선입력은 음영 획입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두께를 갖고, 음영 선입력의 선두께는 시작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로부터 마지막 관심영역의 제2 영역요소까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영 선입력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확장된 선두께를 갖도록 설정되고, 음영 선입력의 중심선은 시작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의 중심축과 마지막 관심영역의 제2 영역요소의 중심축을 지나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글씨영역들에 대해 수신되는 획입력이 음영 획입력인 경우, 음영 선입력이 지나가도록 설정된 제1 영역요소 또는 제2 영역요소에서, 음영 선입력은 제1 영역요소 또는 제2 영역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도록 생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글씨영역들에 대해 수신되는 획입력이 실선 획입력인 경우, 실선 선입력은 실선 획입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두께를 갖고, 실선 선입력의 두께는 시작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로부터 마지막 관심영역의 제2 영역요소까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실선 획입력의 시작점이 인가된 제1 영역요소와 실선 획입력의 끝점이 인가된 제2 영역요소가 하부 영역요소로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실선 선입력이 관심영역들의 하부 영역요소가 아닌, 하단 영역요소를 지나가도록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실선 획입력의 시작점이 인가된 제1 영역요소와 실선 획입력의 끝점이 인가된 제2 영역요소가 중부 영역요소로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실선 선입력에 검토자 정보를 매핑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실선 획입력의 시작점이 인가된 제1 영역요소가 상부 영역요소 또는 하부 영역요소 중 어느 하나로 식별되고, 실선 획입력의 끝점이 인가된 제2 영역요소가 상부 영역요소 또는 하부 영역요소 중 나머지 하나로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실선 선입력을 표시하지 않고, 실선 획입력을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생성된 선입력을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동작에서, 획입력의 끝점까지 터치 스크린에 대한 획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획입력과 선입력을 동시에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획입력이 중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선입력을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되, 획입력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생략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입력은, 선입력이 지나가도록 설정된 제1 영역요소 및 제2 영역요소에 걸쳐서는 직선으로 표현되고, 서로 이웃한 관심영역들 사이에서는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 또는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할 경우”는 문맥에 따라 “~할 때”, 또는 “~할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유사하게, “~라고 결정되는 경우” 또는 “~이 검출되는 경우”는 문맥에 따라 “결정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 시”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된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5)

  1. 표시 장치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현된 글씨들에 대응되는 글씨영역들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상기 글씨영역들에 대한 획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획입력이 수신된 글씨영역들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
    상기 획입력의 시작점에 위치하는 시작 관심영역에서 상기 획입력의 시작점이 인가된 제1 영역요소, 상기 획입력의 끝점에 위치하는 마지막 관심영역에서 상기 획입력의 끝점이 인가된 제2 영역요소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시작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마지막 관심영역의 제2 영역요소까지 이어지는 선입력을 생성하는 동작; - 상기 선입력은 상기 시작 관심영역과 상기 마지막 관심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 또는 제2 영역요소 중 어느 하나를 지나가도록 생성됨 - 및
    상기 생성된 선입력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동작;
    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씨영역들은, 각각의 글씨를 둘러싸는 사각형 영역으로 구성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관심영역, 상기 하나 이상의 중간 관심영역, 및 상기 마지막 관심영역은 각각 영역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요소는 순서대로 상부 영역요소, 중부 영역요소, 하부 영역요소, 및 하단 영역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수신되는 획입력은, 음영 획입력, 실선 획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글씨영역들에 대해 상기 음영 획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선입력은 음영 선입력으로 설정되고, 상기 글씨영역들에 대해 상기 실선 획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선입력은 실선 선입력으로 설정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글씨영역들에 대해 수신되는 획입력이 음영 획입력인 경우, 상기 음영 선입력은 상기 음영 획입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두께를 갖고,
    상기 음영 선입력의 선두께는 상기 시작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로부터 상기 마지막 관심영역의 제2 영역요소까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표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글씨영역들에 대해 수신되는 획입력이 음영 획입력인 경우, 상기 음영 선입력은 상기 음영 획입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두께를 갖고,
    상기 음영 선입력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확장된 선두께를 갖도록 설정되고,
    상기 음영 선입력의 중심선은 상기 시작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의 중심축과 상기 마지막 관심영역의 제2 영역요소의 중심축을 지나가도록 설정되는, 표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글씨영역들에 대해 수신되는 획입력이 음영 획입력인 경우,
    상기 음영 선입력이 지나가도록 설정된 제1 영역요소 또는 제2 영역요소에서, 상기 음영 선입력은 상기 제1 영역요소 또는 상기 제2 영역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도록 생성되는, 표시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글씨영역들에 대해 수신되는 획입력이 실선 획입력인 경우,
    상기 실선 선입력은 상기 실선 획입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두께를 갖고,
    상기 실선 선입력의 두께는 상기 시작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로부터 상기 마지막 관심영역의 제2 영역요소까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표시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선 획입력의 시작점이 인가된 상기 제1 영역요소와 상기 실선 획입력의 끝점이 인가된 상기 제2 영역요소가 상기 하부 영역요소로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실선 선입력이 관심영역들의 상기 하부 영역요소가 아닌, 하단 영역요소를 지나가도록 생성하는, 표시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선 획입력의 시작점이 인가된 상기 제1 영역요소와 상기 실선 획입력의 끝점이 인가된 상기 제2 영역요소가 상기 중부 영역요소로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실선 선입력에 검토자 정보를 매핑시키는, 표시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선 획입력의 시작점이 인가된 상기 제1 영역요소가 상기 상부 영역요소 또는 상기 하부 영역요소 중 어느 하나로 식별되고, 상기 실선 획입력의 끝점이 인가된 상기 제2 영역요소가 상기 상부 영역요소 또는 상기 하부 영역요소 중 나머지 하나로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실선 선입력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실선 획입력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선입력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동작에서,
    상기 획입력의 끝점까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상기 획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획입력과 상기 선입력을 동시에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입력이 중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선입력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되, 상기 획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생략시키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입력은, 상기 선입력이 지나가도록 설정된 제1 영역요소 및 상기 제2 영역요소에 걸쳐서는 직선으로 표현되고, 서로 이웃한 관심영역들 사이에서는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현되는, 표시 장치.
  15. 표시 장치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보정된 획입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상에 표현된 글씨들에 대응되는 글씨영역들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상기 글씨영역들에 대한 획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획입력이 수신된 글씨영역들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
    상기 획입력의 시작점에 위치하는 시작 관심영역에서 상기 획입력의 시작점이 인가된 제1 영역요소, 상기 획입력의 끝점에 위치하는 마지막 관심영역에서 상기 획입력의 끝점이 인가된 제2 영역요소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시작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마지막 관심영역의 제2 영역요소까지 이어지는 선입력을 생성하는 동작; - 상기 선입력은 상기 시작 관심영역과 상기 마지막 관심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관심영역의 제1 영역요소 또는 제2 영역요소 중 어느 하나를 지나가도록 생성됨 - 및
    상기 생성된 선입력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30003474A 2023-01-10 2023-01-10 보정된 획입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표시 장치 KR20240111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474A KR20240111527A (ko) 2023-01-10 2023-01-10 보정된 획입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표시 장치
PCT/KR2023/017282 WO2024150907A1 (ko) 2023-01-10 2023-11-01 보정된 획입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474A KR20240111527A (ko) 2023-01-10 2023-01-10 보정된 획입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1527A true KR20240111527A (ko) 2024-07-17

Family

ID=9189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474A KR20240111527A (ko) 2023-01-10 2023-01-10 보정된 획입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111527A (ko)
WO (1) WO202415090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5985B2 (en) * 2013-06-09 2016-10-11 Apple Inc. Managing real-time handwriting recognition
KR20150049176A (ko) * 2013-10-29 2015-05-08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손 글씨 교정방법
JP6717141B2 (ja) * 2016-09-20 2020-07-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文書閲覧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17063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손 글씨 입력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17290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손글씨 정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50907A1 (ko) 2024-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0988B2 (en) Method of styling content and touch screen device for styling content
KR102240279B1 (ko) 컨텐트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7003994B (zh) 用于修正手写字符的方法和设备
US9824266B2 (en) Handwriting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067640A1 (en) Formula inputt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80004552A (ko) 필기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20160179764A1 (en) Formatting handwritten content
KR20190021146A (ko)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텍스트를 번역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09272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handwritten documents
US10296207B2 (en) Capture of handwriting strokes
KR102075433B1 (ko)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34699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US11995308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handwriting input in electronic device
KR102075424B1 (ko)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41705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aligning handwriting
CN104254815B (zh) 书写内容的空间上相关的注释的显示方法、装置和系统
US2016011709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tructured document
KR102468082B1 (ko) 필기 입력에 대한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N104956378A (zh) 电子设备和手写文档处理方法
JP5284523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処理方法
KR20240111527A (ko) 보정된 획입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표시 장치
US20160162175A1 (en) Electronic apparatus
CN107193399A (zh) 一种人机交互的处理方法及终端
CN106406720B (zh) 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装置
US20140104299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based on user input for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