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3317A -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3317A
KR20240103317A KR1020220185372A KR20220185372A KR20240103317A KR 20240103317 A KR20240103317 A KR 20240103317A KR 1020220185372 A KR1020220185372 A KR 1020220185372A KR 20220185372 A KR20220185372 A KR 20220185372A KR 20240103317 A KR20240103317 A KR 20240103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solid electrolyte
rotation shaft
case
stat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5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용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85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03317A/ko
Publication of KR20240103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33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65Mixing liquids with solids by introducing liquids in solid material, e.g. to obtain slur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01F27/724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with a single helix closely surrounded by a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1Feed mechanisms for feeding a mixture of components, i.e. solids in liquid, solids in a gas 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는 내부에 원기둥형상의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고체전해질을 주입하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액체전해질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을 혼합하여 상기 케이스의 타단부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케이스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혼합된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타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Solid electrolyte transfer device for solid state battery}
본 발명은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대체에너지의 하나로서 연료전지는 고효율이고, NOx 및 SOx 등의 공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으며, 사용되는 연료가 풍부하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특히 주목받고 있다.
연료전지는 연료와 산화제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시스템으로서, 연료로는 수소와 메탄올, 부탄 등과 같은 탄화수소가, 산화제로는 산소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연료전지에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MFC), 인산 연료전지(PAFC), 알칼리 연료전지(AFC),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등이 있다.
전 고체 전지에 사용하는 고체전해질은 황산화물, 폴리머 등의 혼합물을 믹싱(Mixing)하여 만드는데 최종적인 점도가 4만cps 로 매우 높다. 고체전해질의 높은 점도 때문에 생산 및 적재과정에서 서로 들러붙지 않도록 제조공정에서 고체전해질을 캐리어 필름(carrier film)으로 감싸게 된다.
전 고체 배터리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폭이 약 300mm이며 60m/hr 로 이동하는 전해질 필름에 고체전해질을 두께 0.05mm 이하로 매우 얇고 일정하게 (시간당 약 1kgf 필요) 도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높은 점도의 고체전해질을 정량 이송하기 위한 장치개발 필요가 발생하였다.
종래에는 스크류를 이용한 이송장치(스크류 이송장치)를 고체전해질 이송에 사용하였다. 정해진 정량의 고체전해질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스크류 날개의 반경이 매우 작아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점도가 높은 고체전해질이 스크류 직경과 날개 사이의 비좁은 공간(스크류 내부공간)에 점착(粘着)되어 이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날개반경이 작으면 스크류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공급되는 고체전해질을 내부 공간에 모두 받아들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고체전해질 이송장치에서 고체전해질 혼합물 대신 전해질 분말을 먼저 공급하고 이후 액체전해질을 투입하는 경우에도 스크류 공간이 너무 적으면 두 재료의 믹싱(mixing)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5086호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축과 날개의 사이의 공간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마련되어 고체전해질이 케이스 내부에서 부분적으로 고착되지 않고 모두 이송되어 원활한 토출이 가능한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는 내부에 원기둥형상의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고체전해질을 주입하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액체전해질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을 혼합하여 상기 케이스의 타단부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케이스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혼합된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타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주입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체전해질이 주입되는 제1 이송부분; 상기 제1 이송부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분사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액체전해질이 내부로 분사되며 상기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을 혼합하는 제2 이송부분; 상기 제2 이송부분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을 혼합하는 제3 이송부분; 상기 제3 이송부분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을 혼합하는 제4 이송부분; 상기 제4 이송부분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혼합된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을 상기 배출부로 전달하는 제5 이송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송부분은 외부의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제1 날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송부분은 상기 제1 회전축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제2 날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이송부분은 상기 제2 회전축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3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제3 날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이송부분은 상기 제3 회전축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3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4 회전축과, 상기 제4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제4 날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이송부분은 상기 제4 회전축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4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5 회전축과, 상기 제5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제5 날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날개와 제2 날개는 연결되고, 상기 제2 날개와 제3 날개는 연결되며, 상기 제3 날개와 제4 날개는 연결되고, 상기 제4 날개와 제5 날개는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부의 직경은 상기 제1 회전축의 직경과 동일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날개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날개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회전축의 직경은 상기 제2 회전축의 타단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날개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날개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회전축의 일단부의 직경은 상기 제3 회전축의 타단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4 회전축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날개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 날개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회전축의 직경은 상기 제4 회전축의 타단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날개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4 날개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는 제1 이송부분으로부터 제5 이송부분으로 갈수록 회전축의 지름이 점진적으로 커지고 날개의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도록 마련되어, 회전축과 날개의 사이의 공간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마련됨으로써, 고체전해질이 케이스 내부에서 부분적으로 고착되지 않고 모두 이송되어 원활한 토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의 케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의 이송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의 이송부의 제1이송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의 이송부의 제2이송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의 이송부의 제3이송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의 이송부의 제4이송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의 이송부의 제5이송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10)는 케이스(100), 주입부(200), 분사부(300), 이송부(400), 배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원기둥형상의 설치공간(100s)이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공간(100s)은 제1 이송부분(410)이 배치되는 제1 공간(100sa), 제2 이송부분(420)이 배치되는 제2 공간(100sb), 제3 이송부분(430)이 배치되는 제3 공간(100sc), 제4 이송부분(440)이 배치되는 제4 공간(100sd), 제5 이송부분(450)이 배치되는 제5 공간(100se)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부(200)는 케이스(100)의 일단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케이스(100)의 내부로 고체전해질을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주입부(200)의 내부에는 고체전해질을 케이스(100)의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스크류가 마련될 수 있다.
분사부(300)는 주입부(200)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케이스(100)의 상측에 연결되고 케이스(100)의 내부로 액체전해질을 분사할 수 있다.
이송부(40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을 혼합하여 케이스(100)의 타단부로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400)는 제1 이송부분(410), 제2 이송부분(420), 제3 이송부분(430), 제4 이송부분(440), 제5 이송부분(4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부분(410)은 주입부(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고체전해질이 주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송부분(410)은 외부의 모터(M)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 회전축(411)과, 제1 회전축(411)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연결되고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제1 날개(4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축(411)의 직경은 다른 회전축들에 비해 작거나 같고, 제1 날개(412)의 사이의 거리(412d)는 다른 날개의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마련되므로, 제1 회전축(411)과 제1 날개(412)의 사이의 공간이 다른 곳들에 비해 넓으므로, 주입되는 고체전해질이 제1 이송부분(410)에 점착되지 않고 제2 이송부분(420)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송부분(410)에서 제1 회전축(411)과 제1 날개(412)의 사이의 공간에는 고체전해질이 50%내외로 충진될 수 있다.
제2 이송부분(420)은 제1 이송부분(41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분사부(3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액체전해질이 내부로 분사되며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을 혼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이송부분(420)은 제1 회전축(411)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제1 회전축(411)과 함께 회전되는 제2 회전축(421)과, 제2 회전축(421)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연결되고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제2 날개(4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축(421)의 일단부의 직경은 제1 회전축(411)의 직경과 동일하게 마련되고, 제2 회전축(421)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날개(422)의 사이의 거리(422d)는 제1 날개(412)의 사이의 거리(412d)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송부분(420)에서 제2 회전축(421)과 제2 날개(422)의 사이의 공간은 제1 이송부분(410)에서 제1 회전축(411)과 제1 날개(412)의 사이의 공간보다 좁게 마련되므로, 고체전해질과 액체전해질이 혼합되며 공간을 채워갈 수 있다. 그리고, 제2 이송부분(420)에서 제2 회전축(421)과 제2 날개(422)의 사이의 공간에는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이 50% 내지 80%로 충진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제2 이송부분(420)에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공간에서의 충진률이 높아질 수 있다.
제3 이송부분(430)은 제2 이송부분(42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을 혼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이송부분(430)은 제2 회전축(421)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제2 회전축(421)과 함께 회전되는 제3 회전축(431)과, 제3 회전축(431)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연결되고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제3 날개(4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 회전축(431)의 직경은 제2 회전축(421)의 타단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날개(432)의 사이의 거리(432d)는 제2 날개(422)의 사이의 거리(422d)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이송부분(430)에서 제3 회전축(431)과 제3 날개(432)의 사이의 공간은 제2 이송부분(420)에서 제2 회전축(421)과 제2 날개(422)의 사이의 공간보다 좁게 마련될 수 있다. 제3 이송부분(430)에서 제3 회전축(431)과 제3 날개(432)의 사이의 공간에는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이 80%정도 충진될 수 있다.
제4 이송부분(440)은 제3 이송부분(43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을 혼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이송부분(440)은 제3 회전축(431)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제3 회전축(431)과 함께 회전되는 제4 회전축(441)과, 제4 회전축(441)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연결되고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제4 날개(4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4 회전축(441)의 일단부의 직경은 제3 회전축(431)의 타단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마련되고, 제4 회전축(441)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날개(442)의 사이의 거리(442d)는 제3 날개(432)의 사이의 거리(432d)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이송부분(440)에서 제4 회전축(441)과 제4 날개(442)의 사이의 공간은 제3 이송부분(430)에서 제3 회전축(431)과 제3 날개(432)의 사이의 공간보다 좁게 마련되므로, 고체전해질과 액체전해질이 혼합되며 공간을 채워갈 수 있다. 그리고, 제4 이송부분(440)에서 제4 회전축(441)과 제4 날개(442)의 사이의 공간에는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이 80% 내지 100%로 충진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제4 이송부분(440)에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공간에서의 충진률이 높아질 수 있다.
제5 이송부분(450)은 제4 이송부분(44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혼합된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을 배출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이송부분(450)은 제4 회전축(441)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제4 회전축(441)과 함께 회전되는 제5 회전축(451)과, 제5 회전축(451)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연결되고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제5 날개(4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5 회전축(451)의 직경은 제4 회전축(441)의 타단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5 날개(452)의 사이의 거리(452d)는 제4 날개(442)의 사이의 거리(442d)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5 이송부분(450)에서 제5 회전축(451)과 제5 날개(452)의 사이의 공간은 제4 이송부분(440)에서 제4 회전축(441)과 제4 날개(442)의 사이의 공간보다 좁게 마련될 수 있다. 제5 이송부분(450)에서 제5 회전축(451)과 제5 날개(452)의 사이의 공간에는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이 100%로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제1 날개(412)와 제2 날개(422)는 연결되고, 제2 날개(422)와 제3 날개(432)는 연결되며, 제3 날개(432)와 제4 날개(442)는 연결되고, 제4 날개(442)와 제5 날개(452)는 연결될 수 있다.
정리하면, 회전축과 날개의 사이의 공간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마련됨으로써, 고체전해질이 케이스(100) 내부에서 부분적으로 고착되지 않고 모두 이송되어 원활한 토출이 가능하다.
배출부(500)는 케이스(10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혼합된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타단부에 배출구(500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500)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구(500a)에서 혼합된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이 전해질 필름으로 원활하게 도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10)는 제1 이송부분(410)으로부터 제5 이송부분(450)으로 갈수록 회전축의 지름이 점진적으로 커지고 날개의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도록 마련되어, 회전축과 날개의 사이의 공간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마련됨으로써, 고체전해질이 케이스(100) 내부에서 부분적으로 고착되지 않고 모두 이송되어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100 : 케이스 100s : 설치공간
100sa : 제1 공간 100sb : 제2 공간
100sc : 제3 공간 100sd : 제4 공간
100se : 제5 공간 200 : 주입부
300 : 분사부 400 : 이송부
410 : 제1 이송부분 411 : 제1 회전축
412 : 제1 날개 420 : 제2 이송부분
421 : 제2 회전축 422 : 제2 날개
430 : 제3 이송부분 431 : 제3 회전축
432 : 제3 날개 440 : 제4 이송부분
441 : 제4 회전축 442 : 제4 날개
450 : 제5 이송부분 451 : 제5 회전축
452 : 제5 날개 500 : 배출부
500a : 배출구 M : 모터

Claims (17)

  1. 내부에 원기둥형상의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고체전해질을 주입하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액체전해질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을 혼합하여 상기 케이스의 타단부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케이스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혼합된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타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하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주입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체전해질이 주입되는 제1 이송부분;
    상기 제1 이송부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분사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액체전해질이 내부로 분사되며 상기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을 혼합하는 제2 이송부분;
    상기 제2 이송부분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을 혼합하는 제3 이송부분;
    상기 제3 이송부분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을 혼합하는 제4 이송부분;
    상기 제4 이송부분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혼합된 고체전해질 및 액체전해질을 상기 배출부로 전달하는 제5 이송부분을 포함하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분은 외부의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제1 날개로 이루어지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분은 상기 제1 회전축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제2 날개로 이루어지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송부분은 상기 제2 회전축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3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제3 날개로 이루어지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이송부분은 상기 제3 회전축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3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4 회전축과, 상기 제4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제4 날개로 이루어지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이송부분은 상기 제4 회전축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4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5 회전축과, 상기 제5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제5 날개로 이루어지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와 제2 날개는 연결되고,
    상기 제2 날개와 제3 날개는 연결되며,
    상기 제3 날개와 제4 날개는 연결되고,
    상기 제4 날개와 제5 날개는 연결되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부의 직경은 상기 제1 회전축의 직경과 동일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날개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날개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마련되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회전축의 직경은 상기 제2 회전축의 타단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마련되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날개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날개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마련되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회전축의 일단부의 직경은 상기 제3 회전축의 타단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4 회전축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날개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 날개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마련되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회전축의 직경은 상기 제4 회전축의 타단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마련되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날개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4 날개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마련되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KR1020220185372A 2022-12-27 2022-12-27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KR20240103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372A KR20240103317A (ko) 2022-12-27 2022-12-27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372A KR20240103317A (ko) 2022-12-27 2022-12-27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3317A true KR20240103317A (ko) 2024-07-04

Family

ID=9191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5372A KR20240103317A (ko) 2022-12-27 2022-12-27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033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086A (ko) 2016-11-16 2018-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습식공정을 통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086A (ko) 2016-11-16 2018-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습식공정을 통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Engineering prelithiation of polyacrylic acid binder: a universal strategy to boost initial Coulombic efficiency for high‐areal‐capacity Si‐based anodes
Kwak et al. Optimized bicompartment two solution cells for effective and stable operation of Li–O2 batteries
Scrosati Power sources for portable electronics and hybrid cars: lithium batteries and fuel cells
KR102473043B1 (ko) 바이폴라 플레이트/밀봉 어셈블리 및 바이폴라 플레이트/밀봉 어셈블리를 갖는 연료 전지 스택
US10164297B2 (en) Protective layer system for a metallic lithium anode
CN104428925B (zh) 锂离子二次电池的制造方法以及制造装置
US12083485B2 (en) Slurry manufacturing apparatus and slurry manufacturing method
US10916780B2 (en) Membrane electrode gas diffusion lay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50069754A1 (en) Diffusion electrode for fuel cell
CN101110487A (zh) 安全性改进的二次电池
CN106941190A (zh) 石榴石型固体电解质材料的制备方法
US20140061547A1 (en) Electrode paste production device and electrode paste production method
JP2012196595A (ja) ペースト混練装置及び電池の製造方法
KR20240103317A (ko) 전 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이송장치
KR101309154B1 (ko) 연료 전지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20220004176A (ko) 무기재료의 제조방법 및 무기재료 제조장치
KR20120040669A (ko) 도포 장치
EP365757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cathode slurry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Huang et al. Advanced Electrolytes for Rechargeable Lithium Metal Batteries with High Safety and Cycling Stability
KR20170067362A (ko) 전극 합제 유량 제어 심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 합제 코팅용 슬롯 다이
WO2018123458A1 (ja) 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Song et al. Simultaneous fluorination of active material and conductive agent for improving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iNi0. 5Mn1. 5O4 electrode for lithium-ion batteries
US20090311576A1 (en) Direct methanol type fuel cell stack and direct methanol type fuel cell system
US20170104242A1 (en) Battery system
KR20200058752A (ko)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