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5616A -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5616A
KR20240085616A KR1020220170670A KR20220170670A KR20240085616A KR 20240085616 A KR20240085616 A KR 20240085616A KR 1020220170670 A KR1020220170670 A KR 1020220170670A KR 20220170670 A KR20220170670 A KR 20220170670A KR 20240085616 A KR20240085616 A KR 20240085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lenoid
reaming
base plat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성
김재원
정성욱
이상길
허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to KR1020220170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5616A/ko
Priority to PCT/KR2023/018739 priority patent/WO2024122934A1/ko
Publication of KR2024008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5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12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78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3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additional screws, bolts, dowels, rivets or washers e.g. connectin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을 가지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 상기 제1축과 소정 각도를 가지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템의 적어도 일부가 관절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로드가 관절와의 절삭방향을 가이드하는 인공견관절의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와, 관절와에 가이드핀을 삽입하는 가이드핀 삽입단계, 가이드핀을 따라 제1축에 수직인 제1면을 리밍하는 제1리밍단계, 제1면을 기준으로 결손된 부분의 방향과 결손량을 확인하는 결손부 측정단계, 상기 제1축과 평행하지 않은 제2축에 수직인 제2면 리밍을 가이드하는 리밍가이드를 관절와에 삽입하는 리밍가이드 삽입단계, 상기 리밍가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수직으로 제2면을 리밍하는 제2리밍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견관절의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 및 그 방법{Device for Inserting Glenoid Baseplate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을 가지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 상기 제1축과 소정 각도를 가지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템의 적어도 일부가 관절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로드가 관절와의 절삭방향을 가이드하는 인공견관절의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와, 관절와에 가이드핀을 삽입하는 가이드핀 삽입단계, 가이드핀을 따라 제1축에 수직인 제1면을 리밍하는 제1리밍단계, 제1면을 기준으로 결손된 부분의 방향과 결손량을 확인하는 결손부 측정단계, 상기 제1축과 평행하지 않은 제2축에 수직인 제2면 리밍을 가이드하는 리밍가이드를 관절와에 삽입하는 리밍가이드 삽입단계, 상기 리밍가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수직으로 제2면을 리밍하는 제2리밍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견관절의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인공견관절은 인간의 어깨관절이 제기능을 못하는 경우 이를 대체하는 인공보철의 일종으로, 크게 상완골(Humerus)에 매식되는 스템과, 견갑골(Scapula, 어깨골)에 결합되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스템과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서 회전운동을 구현하는 인공골두 및 인서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공골두는 인간의 어깨관절과 같이 스템 쪽에 결합될 수도 있고, 반대로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쪽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서트는 각각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및 스템 쪽에 결합된다.
상기 견갑골을 좀 더 자세히 서술하기 위해 도 1을 참고하면, 견갑골(91)은 전체적으로 역삼각형의 구조로써 전방(anterior)을 향하는 몸체의 전면인 견갑하와(913, 어깨뼈밑오목)와, 후방(posterior)을 향하는 몸체의 후면인 극하와(미도시, 가시아래오목)와,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오훼돌기(917, 부리돌기)와, 상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견봉(919, 봉우리)과, 상기 오훼돌기(917) 및 견봉(919) 사이에서 외측(lateral)을 향하며 상완골두와 접하여 관절운동을 구현하는 관절와(911, glenoid)를 포함한다.
인공견관절 전치환술을 실시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상기 관절와(911)에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8)을 결합시켜 관절와(911)의 기능을 대신하게 한다. 이때 상기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8)를 관절와(911)에 견고히 결합시키기 위해 나사(screw)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한다.
<특허문헌>
미국특허등록공보 US 9132016(2015.09.15. 등록) "Implantable shoulder prostheses"
상기 특허문헌에 도시된 발명은, 인공견관절에 사용되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를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과 같은 통상의 베이스플레이트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중공을 가지는 스템이 연장되는 방향의 하면(81)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통상의 베이스플레이트는 관절와 부분에 골결손이 발생한 경우 안정적인 안착이나 삽입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골결손이 발생한 견갑골의 관절와(911) 부분에 골결손을 보상하지 못하는 통상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려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안착을 위하여 결손이 일어나지 않은 부분(R1)을 절삭하여야 한다. 한편 골 절삭을 하지 않고 베이스플레이트를 관절와 상에 안착시키는 경우, 도 4와 같이 골결손이 일어난 부분(R2)에서 베이스플레이트가 견갑골(91) 또는 관절와(911)에 안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보강된(Half wedged)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B)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B)는 글레노스피어, 인서트 등의 다른 수술기구와 함께 인공견관절을 구성하며,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을 수용하여 고정수단이 뼈와 맞물리거나, 뼈에 삽입되어 관절와(91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이스플레이트(B)는 관절와(911)에 안착되는 베이스(B1), 베이스의 일측에서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를 보강하는 어그먼트(B3), 상기 베이스(B1)의 일측에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형성되는 스템(B5)을 포함하는데, 일면에 구비된 어그먼트(B3)를 통해 골결손을 보상하고 골절삭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B)는 베이스(B1)의 일면과 어그먼트(B3)의 일면 사이에 챔퍼(B7)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일부분이 보강된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B)를 관절와(911)에 삽입하기 위하여, 관절와에 2개 이상의 면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베이스플레이트의 삽입방향과 대략 수직인 면을 형성하기 위해 관절와를 절삭(리밍)한 후 베이스플레이트의 삽입방향과 소정 각도를 가지는 면을 형성하기 위해 2차적으로 관절와를 절삭하게 된다. 이때 2차적으로 관절와를 절삭하는 과정에서 절삭방향이 분명하게 가이드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관절와 결손부의 사이즈가 잘 측정되지 않아 절삭(리밍) 후 관절와의 형상과 베이스플레이트가 정확하게 맞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일부분이 보강된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를 관절와에 삽입할 수 있는 수술기구와 함께, 관절와 절삭 시 리밍가이드 및 임플란트의 사이즈와 삽입 방향을 정확하게 가이드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을 가지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 상기 제1축과 소정 각도를 가지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템의 적어도 일부가 관절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로드가 관절와의 절삭방향을 가이드하도록 함으로써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을 위해 관절와의 비탈진 제2면 절삭 시 절삭 가이드를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리밍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가이드로드는 상기 스템의 내주면에 형성된 중공과 면하는 단부면을 가지고, 상기 단부면과 상기 스템의 내주면이 형성하는 중공은 적어도 일부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통공이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수술기구를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는 리밍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스템은 내주면의 적어도 일측에 나사산을 가져 수술기구와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한 리밍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스템 또는 가이드로드의 일측에서 리밍가이드를 관절와 상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스템 또는 가이드로드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브랜치, 상기 브랜치로부터 관절와 측으로 연장되는 스파이크를 포함하여 리밍가이드가 관절와에 일시적으로 고정될 때 고정력을 증대시킨 리밍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고정부는 브랜치의 일부분이 관통형성된 슬롯을 포함여 수술의가 리밍가이드의 삽입포지션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리밍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스템에 관통수용되어 상기 관절와에 삽입되는 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사는 헤드의 표면에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된 그루브가 형성되고, 헤드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관절와 리밍 시 관절와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는 리밍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로드, 상기 삽입로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삽입로드의 양측에 가이드홀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홀은 수술기구를 제1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관통수용하도록 하여 관절와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제1면과 비탈진 제2면 사이에 챔퍼를 정확히 형성할 수 있는 챔퍼 리밍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삽입로드의 연장방향인 제1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제2축 방향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홀은 수술기구를 제3축 방향으로 관통수용하되, 상기 제3축과 제1축이 이루는 각도는 제1축과 제2축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도록 하여 제1면과 비탈진 제2면 사이에 완만한 챔퍼를 형성할 수 있는 챔퍼 리밍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삽입로드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핀을 포함하여 리밍가이드에 체결이 용이한 챔퍼 리밍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로드가 스템으로부터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리밍가이드, 가이드홀이 수술기구를 서로 다른 제1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관통수용하는 복수의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챔퍼 리밍가이드를 포함하는 수술기구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절와에 가이드핀을 삽입하는 가이드핀 삽입단계, 가이드핀을 따라 제1축에 수직인 제1면을 리밍하는 제1리밍단계, 제1면을 기준으로 결손된 부분의 방향과 결손량을 확인하는 결손부 측정단계, 상기 제1축과 평행하지 않은 제2축에 수직인 제2면 리밍을 가이드하는 리밍가이드를 관절와에 삽입하는 리밍가이드 삽입단계, 상기 리밍가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수직으로 제2면을 리밍하는 제2리밍단계를 포함하여 관절와에 삽입된 리밍가이드를 통하여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을 위한 관절와의 비탈진 제2면 절삭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손부 측정단계는, 결손부 깊이를 측정하도록 구비된 어그먼트 사이저를 통해 제1면으로부터 관절와 결손부의 최저점까지의 제1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측정하는 어그먼트 사이저 배치단계, 관절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최저점이 형성된 방향을 측정하는 결손방향 체킹단계를 포함하여 하나의 수술기구로 결손부의 뼈 결손량과 결손방향을 파악할 수 있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손부 측정단계는, 상기 어그먼트 사이저 배치단계 이전에 관절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방향을 나타내는 다이얼 체커를 관절와 상에 배치하는 다이얼 체커 배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손방향 체킹단계는 다이얼 체커에 의해 측정되는 방향을 통해 상기 최저점이 형성된 방향을 결정하여 수술의가 관절와의 최저점이 관절와 중심으로부터 어떤 방향에 형성된 것인지 빠르고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손방향 체킹단계는 상기 최저점과 접촉하는 어그먼트 사이저의 일부분이 상기 다이얼 체커 상에서 향하는 방향을 최저점이 형성된 방향으로 결정하여 관절와 절삭방향과 베이스플레이트 삽입포지션의 안내가 간단한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어그먼트 사이저 배치단계는, 상기 어그먼트 사이저의 일부분이 상기 최저점과 접촉함과 동시에, 어그먼트 사이저의 일면이 다이얼 체커의 일면과 접촉하는 어그먼트 사이저를 상기 다이얼 체커 상에 배치함으로써 뼈 결손량에 따라 적합한 어그먼트 사이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리밍가이드 삽입단계는, 리밍가이드를 리밍가이드 홀더에 체결하는 리밍가이드 체결단계, 상기 리밍가이드 홀더의 일측면에 기준 지시자를 연결하는 기준 지시자 체결단계, 상기 기준 지시자를 제1위치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리밍가이드 홀더에 체결된 리밍가이드의 삽입포지션을 정렬하는 방향정렬단계 및 상기 제1축을 따라 상기 리밍가이드를 관절와에 접근시키고 정렬된 삽입포지션에 따라 상기 리밍가이드를 관절와 상에 고정하는 리밍가이드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관절와의 비탈진 제2면 절삭을 명확히 안내할 수 있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관절와에 제1축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핀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리세스를 형성하는 포스트 드릴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 드릴단계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보스 커터의 적어도 일부가 일면이 평평한 스토퍼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상기 가이드핀을 따라 관절와를 리밍하도록 함으로써 관절와 내 리세스(H)를 형성하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절와의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챔퍼를 형성하는 챔퍼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챔퍼형성단계는 챔퍼 리밍가이드를 제1축 방향으로 상기 리밍가이드에 체결하는 챔퍼 리밍가이드 체결단계, 제3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챔퍼 리밍가이드를 관통하는 리머를 통해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 부분을 리밍하는 챔퍼 리밍단계를 포함하여 관절와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제1면과 비탈진 제2면 사이에 챔퍼를 정확히 형성할 수 있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관절와에 삽입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단계는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를 베이스플레이트 홀더에 체결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체결단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홀더의 일측면에 기준 지시자를 연결하는 기준 지시자 체결단계, 상기 기준 지시자를 제1위치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홀더에 체결된 베이스플레이트의 삽입포지션을 정렬하고 베이스플레이트를 삽입하는 정렬삽입단계를 포함하여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관절와에 삽입할 수 있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공을 가지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 상기 제1축과 소정 각도를 가지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템의 적어도 일부가 관절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로드가 관절와의 절삭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로드는 상기 스템의 내주면에 형성된 중공과 면하는 단부면을 가지고, 상기 단부면과 상기 스템의 내주면이 형성하는 중공은 적어도 일부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템은 내주면의 적어도 일측에 나사산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템 또는 가이드로드의 일측에서 리밍가이드를 관절와 상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스템 또는 가이드로드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브랜치, 상기 브랜치로부터 관절와 측으로 연장되는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브랜치의 일부분이 관통형성된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템에 관통수용되어 상기 관절와에 삽입되는 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사는 헤드의 표면에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된 그루브가 형성되고, 헤드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로드, 상기 삽입로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삽입로드의 양측에 가이드홀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홀은 수술기구를 제1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관통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삽입로드의 연장방향인 제1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제2축 방향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홀은 수술기구를 제3축 방향으로 관통수용하되, 상기 제3축과 제1축이 이루는 각도는 제1축과 제2축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삽입로드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로드가 상기 스템으로부터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리밍가이드, 상기 가이드홀이 수술기구를 서로 다른 제1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관통수용하는 복수의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챔퍼 리밍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관절와에 가이드핀을 삽입하는 가이드핀 삽입단계, 가이드핀을 따라 제1축에 수직인 제1면을 리밍하는 제1리밍단계, 제1면을 기준으로 결손된 부분의 방향과 결손량을 확인하는 결손부 측정단계, 상기 제1축과 평행하지 않은 제2축에 수직인 제2면 리밍을 가이드하는 리밍가이드를 관절와에 삽입하는 리밍가이드 삽입단계, 상기 리밍가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수직으로 제2면을 리밍하는 제2리밍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손부 측정단계는, 결손부 깊이를 측정하도록 구비된 어그먼트 사이저를 통해 제1면으로부터 관절와 결손부의 최저점까지의 제1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측정하는 어그먼트 사이저 배치단계, 관절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최저점이 형성된 방향을 측정하는 결손방향 체킹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손부 측정단계는, 상기 어그먼트 사이저 배치단계 이전에 관절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방향을 나타내는 다이얼 체커를 관절와 상에 배치하는 다이얼 체커 배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손방향 체킹단계는 다이얼 체커에 의해 측정되는 방향을 통해 상기 최저점이 형성된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손방향 체킹단계는 상기 최저점과 접촉하는 어그먼트 사이저의 일부분이 상기 다이얼 체커 상에서 향하는 방향을 최저점이 형성된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그먼트 사이저 배치단계는, 상기 어그먼트 사이저의 일부분이 상기 최저점과 접촉함과 동시에, 어그먼트 사이저의 일면이 다이얼 체커의 일면과 접촉하는 어그먼트 사이저를 상기 다이얼 체커 상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밍가이드 삽입단계는, 리밍가이드를 리밍가이드 홀더에 체결하는 리밍가이드 체결단계, 상기 리밍가이드 홀더의 일측면에 기준 지시자를 연결하는 기준 지시자 체결단계, 상기 기준 지시자를 제1위치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리밍가이드 홀더에 체결된 리밍가이드의 삽입포지션을 정렬하는 방향정렬단계 및 상기 제1축을 따라 상기 리밍가이드를 관절와에 접근시키고 정렬된 삽입포지션에 따라 상기 리밍가이드를 관절와 상에 고정하는 리밍가이드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절와에 제1축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핀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리세스를 형성하는 포스트 드릴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 드릴단계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보스 커터의 적어도 일부가 일면이 평평한 스토퍼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상기 가이드핀을 따라 관절와를 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절와의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챔퍼를 형성하는 챔퍼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챔퍼형성단계는 챔퍼 리밍가이드를 제1축 방향으로 상기 리밍가이드에 체결하는 챔퍼 리밍가이드 체결단계, 제3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챔퍼 리밍가이드를 관통하는 리머를 통해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 부분을 리밍하는 챔퍼 리밍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관절와에 삽입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단계는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를 베이스플레이트 홀더에 체결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체결단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홀더의 일측면에 기준 지시자를 연결하는 기준 지시자 체결단계, 상기 기준 지시자를 제1위치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홀더에 체결된 베이스플레이트의 삽입포지션을 정렬하고 베이스플레이트를 삽입하는 정렬삽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중공을 가지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 상기 제1축과 소정 각도를 가지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템의 적어도 일부가 관절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로드가 관절와의 절삭방향을 가이드하도록 함으로써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을 위해 관절와의 비탈진 제2면 절삭 시 절삭 가이드를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리밍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로드는 상기 스템의 내주면에 형성된 중공과 면하는 단부면을 가지고, 상기 단부면과 상기 스템의 내주면이 형성하는 중공은 적어도 일부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통공이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수술기구를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는 리밍가이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스템은 내주면의 적어도 일측에 나사산을 가져 수술기구와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한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스템 또는 가이드로드의 일측에서 리밍가이드를 관절와 상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스템 또는 가이드로드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브랜치, 상기 브랜치로부터 관절와 측으로 연장되는 스파이크를 포함하여 리밍가이드가 관절와에 일시적으로 고정될 때 고정력을 증대시킨 리밍가이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는 브랜치의 일부분이 관통형성된 슬롯을 포함여 수술의가 리밍가이드의 삽입포지션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스템에 관통수용되어 상기 관절와에 삽입되는 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사는 헤드의 표면에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된 그루브가 형성되고, 헤드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관절와 리밍 시 관절와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는 리밍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로드, 상기 삽입로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삽입로드의 양측에 가이드홀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홀은 수술기구를 제1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관통수용하도록 하여 관절와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제1면과 비탈진 제2면 사이에 챔퍼를 정확히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삽입로드의 연장방향인 제1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제2축 방향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홀은 수술기구를 제3축 방향으로 관통수용하되, 상기 제3축과 제1축이 이루는 각도는 제1축과 제2축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도록 하여 제1면과 비탈진 제2면 사이에 완만한 챔퍼를 형성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삽입로드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핀을 포함하여 리밍가이드에 체결이 용이한 효과를 준다.
본 발명은 가이드로드가 스템으로부터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리밍가이드, 가이드홀이 수술기구를 서로 다른 제1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관통수용하는 복수의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챔퍼 리밍가이드를 포함하는 수술기구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관절와에 가이드핀을 삽입하는 가이드핀 삽입단계, 가이드핀을 따라 제1축에 수직인 제1면을 리밍하는 제1리밍단계, 제1면을 기준으로 결손된 부분의 방향과 결손량을 확인하는 결손부 측정단계, 상기 제1축과 평행하지 않은 제2축에 수직인 제2면 리밍을 가이드하는 리밍가이드를 관절와에 삽입하는 리밍가이드 삽입단계, 상기 리밍가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수직으로 제2면을 리밍하는 제2리밍단계를 포함하여 관절와에 삽입된 리밍가이드를 통하여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을 위한 관절와의 비탈진 제2면 절삭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손부 측정단계는, 결손부 깊이를 측정하도록 구비된 어그먼트 사이저를 통해 제1면으로부터 관절와 결손부의 최저점까지의 제1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측정하는 어그먼트 사이저 배치단계, 관절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최저점이 형성된 방향을 측정하는 결손방향 체킹단계를 포함하여 하나의 수술기구로 결손부의 뼈 결손량과 결손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손부 측정단계는, 상기 어그먼트 사이저 배치단계 이전에 관절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방향을 나타내는 다이얼 체커를 관절와 상에 배치하는 다이얼 체커 배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손방향 체킹단계는 다이얼 체커에 의해 측정되는 방향을 통해 상기 최저점이 형성된 방향을 결정하여 수술의가 관절와의 최저점이 관절와 중심으로부터 어떤 방향에 형성된 것인지 빠르고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손방향 체킹단계는 상기 최저점과 접촉하는 어그먼트 사이저의 일부분이 상기 다이얼 체커 상에서 향하는 방향을 최저점이 형성된 방향으로 결정하여 관절와 절삭방향과 베이스플레이트 삽입포지션의 안내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어그먼트 사이저 배치단계는, 상기 어그먼트 사이저의 일부분이 상기 최저점과 접촉함과 동시에, 어그먼트 사이저의 일면이 다이얼 체커의 일면과 접촉하는 어그먼트 사이저를 상기 다이얼 체커 상에 배치함으로써 뼈 결손량에 따라 적합한 어그먼트 사이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리밍가이드 삽입단계는, 리밍가이드를 리밍가이드 홀더에 체결하는 리밍가이드 체결단계, 상기 리밍가이드 홀더의 일측면에 기준 지시자를 연결하는 기준 지시자 체결단계, 상기 기준 지시자를 제1위치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리밍가이드 홀더에 체결된 리밍가이드의 삽입포지션을 정렬하는 방향정렬단계 및 상기 제1축을 따라 상기 리밍가이드를 관절와에 접근시키고 정렬된 삽입포지션에 따라 상기 리밍가이드를 관절와 상에 고정하는 리밍가이드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관절와의 비탈진 제2면 절삭을 명확히 안내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관절와에 제1축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핀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리세스를 형성하는 포스트 드릴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 드릴단계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보스 커터의 적어도 일부가 일면이 평평한 스토퍼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상기 가이드핀을 따라 관절와를 리밍하도록 함으로써 관절와 내 리세스(H)를 형성하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준다.
본 발명은 관절와의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챔퍼를 형성하는 챔퍼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챔퍼형성단계는 챔퍼 리밍가이드를 제1축 방향으로 상기 리밍가이드에 체결하는 챔퍼 리밍가이드 체결단계, 제3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챔퍼 리밍가이드를 관통하는 리머를 통해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 부분을 리밍하는 챔퍼 리밍단계를 포함하여 관절와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제1면과 비탈진 제2면 사이에 챔퍼를 정확히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관절와에 삽입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단계는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를 베이스플레이트 홀더에 체결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체결단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홀더의 일측면에 기준 지시자를 연결하는 기준 지시자 체결단계, 상기 기준 지시자를 제1위치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홀더에 체결된 베이스플레이트의 삽입포지션을 정렬하고 베이스플레이트를 삽입하는 정렬삽입단계를 포함하여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관절와에 삽입할 수 있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가 견갑골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를 골결손이 발생한 관절와에 안착시키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일부분이 보강된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B)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와에 십자 형상으로 랜드마크가 표시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와에 가이드핀(110)이 삽입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가이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가이드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가이드에 가이드 핸들이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핸들(200)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리머(310)가 가이드핀을 따라 관절와(G)에 접근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리머(310)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스 커터(320)와 스토퍼(330)를 체결한 구조체가 가이드핀(110)을 따라 리세스(H)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보스 커터(320)와 스토퍼(330)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손부 측정기구(400)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손부 측정기구(400)의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손부 측정기구(400)가 관절와(G)에 접근할 때 결손부 측정기구를 일 측면에서 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그먼트 사이저(430)가 관절와의 최저점(L)과 접촉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엘 체커(410)가 관절와 상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지시자(가이드 핸들, 200)가 리밍가이드 홀더(600)와 체결된 채 리밍가이드(500)를 관절와에 삽입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밍가이드 홀더(600)와 리밍가이드(500)의 분해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밍가이드(500)의 단면도
도 25는 리밍가이드가 관절와에 삽입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드라이버(700)가 리밍가이드(500)와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나사 드라이버(700)와 리밍가이드(500)의 분해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밍가이드 홀더(800) 및 리밍가이드(500)의 사시도
도 29는 리밍가이드 홀더(800)의 분해사시도
도 30은 리밍가이드 홀더(800)의 나사 드라이버(850)가 체결부(830)내에서 전진 및 후진하여 나사 드라이버(850)의 팁(853)이 체결단부(833) 내로 숨겨지거나 노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리머(900)가 리밍가이드(500) 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챔퍼 리밍가이드(1000)와 챔퍼 리머(1010)가 제1면과 제2면 사이 챔퍼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4는 챔퍼 리밍가이드(1000)와 챔퍼 리머(1010)의 분해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지시자(가이드 핸들, 200)가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와 체결된 채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B)를 관절와에 삽입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6은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방법(S)의 흐름도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손부 측정단계(S40)의 흐름도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밍가이드 삽입단계(S50)의 흐름도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챔퍼형성단계(S70)의 흐름도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단계(S80)의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성요소 또한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간 "연결"된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끼리 직접 접촉하며 체결된다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포함하며, 체결되어있지 않더라도 소정의 힘이나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제2~"와 같은 용어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순서를 달리 표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제1", "제2" 등을 표시하지 않은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 내지 도 3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B)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부분이 보강된(wedged)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칭하며, 일부분에 관절와의 골결손을 보상하기 위한 어그먼트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와(G)에는 전후 방향(anterior and posterior) 및 상하 방향(superior and inferior)을 따라 십자 형상으로 랜드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랜드마크의 중앙 부분에 가이드핀(110)을 삽입하게 되는데, 가이드핀(110)을 삽입하기 위해 센터가이드(120)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가이드 핸들(200)을 통해 센터가이드(120)를 지지한 후 센터가이드(12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가이드핀(110)이 관통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110)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핀(111)과 뾰족하게 형성된 단부(113)를 가지며, 단부(113)가 관절와(G)의 중앙으로 삽입된다. 가이드핀(110)이 삽입되는 방향이 제1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가이드(120)는 가이드핀(110)을 관통수용하는 중앙부분(121)과, 가이드 핸들(200)의 일부를 소용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수용부분(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분(123)은 중앙부분(121)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중앙부분(121)에는 가이드핀(110)이 센터가이드를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121a)이 형성되며, 수용부분(123)에는 가이드 핸들(200)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거나 상보적인 형상으로 수용홈(123a)이 형성된다. 수술의가 용이하게 가이드 핸들(200)을 삽입할 수 있도록 수용부분(123)의 수용홈(123a)이 형성된 측 일면은 중앙부분(121)의 일면과 소정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중앙부분(121)과 수용부분(123)은 관절와(G)와 접촉하는 단일의 접촉면(12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센터가이드(120)를 관절와 상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관절면 상에 스파이크(123b)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스파이크(123b)는 수용부분 측에 형성된다.
상기 센터가이드(120)는 결손보상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손보상부(127)는 일 수용부분(123)의 단부에서 관절와 측을 향해 연장된 부분으로, 결손보상부(127)의 일단이 일부분이 결손된 관절와에 닿아 지지가 가능하다. 환자에 따라 관절와의 뼈 결손량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관절와 측으로 연장되는 결손보상부(127)의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센터가이드(120)가 준비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가이드가 도시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중앙부분(121)은 하측(inferior)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관통공(121b)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관통공(121b)의 접촉면(125) 측 일단은 하측으로 편심되지 않고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핀(110)이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관절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축의 기울어진 각도는 10도 내외임이 바람직하며, 10도의 기울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센터가이드(120)는 수용부분(123) 대신 적어도 하나의 지시부분(129)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시부분(129)은 중앙부분(121)을 기준으로 어떤 방향에 결손보상부(127)가 형성되어 있는지 지시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결손보상부의 길이, 관통공의 기울어진 정도가 지시부분(129)에 표시되거나 나타내어질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 핸들(200)은 센터가이드(120) 및/또는 다른 수술기구를 지지하거나 조작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구로, 단부가 다른 수술기구의 홈 내지 수용부에 수용되어 체결됨으로써 수술의가 가이드 핸들(200)과 체결된 수술기구를 조작, 이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 핸들(200)은 후술하는 기준 지시자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핸들(200)은 일측으로 연장되는 바디(210)와 수술기구에 수용되는 수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210)는 수술의가 잡기 편하도록 소정 길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며, 수용부(230)의 반대쪽 단부가 임팩팅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바디(210)는 연장되는 축을 따라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관통하는 장공(210a)이 형성되며, 장공(210a)을 통해 관절와에 표시된 랜드마크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30)는 바디(210)의 일단에서 수술기구의 홈 등에 수용된 후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용부(230)는 바디(210)보다 축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3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나,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지며 갭(233)을 사이에 두고 수용부의 엔드포인트를 구성하는 선단부(231)에서는 일측으로 돌출된 돌기(231a)가 구비된다. 상기 갭(233)은 선단부(231)로부터 바디가 연장되는 축을 따라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선단부(231) 사이의 갭(233)이 줄어들었다가 늘어날 수 있다. 선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부분에서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단턱(235)이 형성되고, 단턱(235)의 일부분에 타측으로 돌출된 돌기(235a)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선단부(231) 상에 형성된 돌기(231a)와 단턱(235) 상에 형성된 돌기(235a)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제1리머(310)는 관절와(G)에 삽입된 가이드핀(110)을 따라 제1축에 수직인 제1면을 리밍하도록 하는 수술기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리머(310)는 관절와(G)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1축에 수직으로 평평하게 리밍할 수 있으며, 일측으로 연장되는 바디(311), 상기 바디(311)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피(313), 실질적으로 관절와를 절삭하는 절삭부(315)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311)는 일측으로 연장되며 수술의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며, 가이드핀(110)을 따라 관절와 절삭을 위해 가이드핀(110)을 관통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313)는 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면서, 세척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통공(313a)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절삭부(315)는 적어도 일부가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뼈를 절삭하는 블레이드(3151), 절삭부(315)의 외측에서 상기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림(3153), 가이드핀을 수용하는 수용공(3155)을 포함할 수 있다. 수술의는 상기 리머(310)가 가이드핀(110)을 관통수용하도록 관절와에 접근시킨 후 리머를 회전시켜 가이드핀의 삽입축인 제1축에 수직인 제1면을 리밍 및/또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베이스플레이트의 스템(B5) 부분을 관절와 내에 안착시키기 위해 가이드핀보다 큰 직경을 가진 리세스를 관절와에 형성할 수 있다. 포스트 리밍을 위해 보스 커터(320)와 스토퍼(330)를 체결한 후 가이드핀(110)을 따라 관절와를 리밍할 수 있으며, 보스 커터(320)와 스토퍼(330)가 일체로 구성된 수술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보스 커터(320)는 관절와에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제1축을 중심으로 하는 리세스(H)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가이드핀의 수용을 위해 중공을 가지며 일측으로 연장되는 바디(321), 보스 커터의 회전 시 뼈를 리밍하여 가이드핀보다 큰 직경을 가진 리세스(H)를 형성하는 절삭부(323), 스토퍼의 안착을 위해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안착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30)는 보스 커터에 안착 또는 체결되어 보스 커터의 접근 거리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보스 커터가 회전하면서 관절와에 접근할 때 스토퍼의 일면이 관절와의 제1면에 닿는 경우 보스 커터(320)의 회전이 멈추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331)는 중공(331a)을 가져 보스 커터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수용하면서 상기 안착부(325)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튜브(331), 튜브의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일면으로서 보스 커터(320)가 관절와에 접근할 때 적어도 일부가 관절와의 제1면에 닿는 저지면(333)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330)가 보스 커터(320) 상에 안착되면 상기 보스 커터(320)의 절삭부(323)를 포함한 일부가 일면이 평평한 스토퍼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보스 커터(320)가 가이드핀(110)을 관통수용하도록 관절와에 접근시킨 후 회전시켜 관절와에 리세스(H)를 형성하게 된다. 보스 커터(320)의 회전은 스토퍼의 평평한 일면인 저지면(333)이 관절와의 제1면과 닿을 때 정지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고하면, 결손부 측정기구(400)는 관절와의 뼈 결손량, 결손부가 어떤 방향에 있는지 측정하는 기구로, 바람직하게는 리밍된 제1면을 기준으로 결손된 부분의 방향과 결손량을 확인할 수 있다. 관절와의 일부가 결손되는 경우, 제1면을 형성하는 리밍 이후에도 관절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방향에 최저점(L)이 존재할 수 있다. 결손부 측정기구(400)는 최저점(L)을 기준으로 관절와의 뼈 결손량과 결손된 부분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결손부 측정기구(400)에서 측정한 상기 결손량과 결손방향을 기준으로 베이스플레이트의 어그먼트가 삽입될 방향인 삽입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손부 측정기구(400)는 최저점(L)이 얼마나 함입되어 있는지를 기준으로 결손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관절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최저점(L)이 형성된 방향(결손방향)을 확인할 수 있고, 결손방향을 명확하게 지시하여 관절와에 경사를 가진 제2면을 정확한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손부 측정기구(400)는 다이얼 체커(410), 어그먼트 사이저(430), 사이저 핸들(4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 체커(410)는 다이얼 체커 상에 안착되거나 겹치는 다른 구성이 향하는 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관절와(G)에 대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되어 후술하는 어그먼트 사이저의 일부가 향하는 방향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이얼 체커(410)는 가이드핀(110)을 관통수용하도록 중공(410a)을 가지며, 가이드핀(110)을 관통수용하며 관절와(G)의 제1면 상에 접근한 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렬된 채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이얼 체커(410)는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되는 로드(411), 상기 로드의 일측에서 적어도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디스크(413), 관절와에 형성된 리세스(H)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411)는 가이드핀(110)을 관통수용하도록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크(413)는 실질적으로 방향을 가지는 구성으로, 여기서 '방향을 가진다'는 것은 제1축으로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체가 아닌 것을 의미하며, 제1축으로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체 형상을 가지거나 제1축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더라도 구성의 적어도 일부가 향하는 방향이 실질적으로 구분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디스크(413)는 제1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에 따라 실질적으로 향하는 방향이 구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삽입포지션이 정해지거나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413)는 디스크 상에 안착되거나 오버랩되는 구성의 방향을 인식 및/또는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크(413)는 디스크바디(4131), 지시자(4133), 스파이크(4135), 정렬홀(41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바디(4131)는 로드(411)를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실질적으로 상하면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크바디(4131)는 방향 확인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이 교번적으로 돌출 및 함입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크바디(4131)는 중심을 기준으로 12개의 돌출부가 30도의 중심각을 가지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8개, 16개 등 12개 이하 또는 12개 초과하는 돌출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크바디(4131)의 외주면은 상기 디스크(413) 상의 구성이 향하는 방향 확인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면 족하며, 교번적으로 돌출 및 함입형성된 형상 외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홈이 디스크바디(4131) 상에 형성되는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지시자(4133)는 방향을 판별할 수 있도록 디스크바디(4133)의 일면 상에서 표시되는 구성이다. 상기 지시자(4133)는 수술의가 용이하게 읽을 수 있도록 관절와의 lateral 측면, 즉 관절와를 면하지 않는 디스크바디(4133)의 일면 상에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자(4133)는 1부터 12까지의 숫자일 수 있으며 12개의 돌출부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자(4133)는 N, S, E, W 등 방위를 나타내는 문자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소정 부분, 예를 들면 관절와의 중심으로부터 상측(superior) 부분이 가지는 중심각을 0도로 하여 각 부분별로 중심각이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스파이크(4135)는 상기 다이얼 체커(410)가 관절와의 제1면 상에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4135)가 디스크바디(4133)의 관절와를 면하는 일면 상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홀(4137)은 디스크바디(4131)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으로,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연장되는 장공일 수 있다. 상기 정렬홀(4137)을 통해 디스크(413) 또는 다이얼 체커(410)의 정렬을 확인할 수 있다. 수술의는 다이얼 체커(410)를 관절와에 접근시킨 후, 관절와에 표시된 십자형의 랜드마크와 정렬홀(4137)을 정렬함으로써 상기 다이얼 체커(410)를 정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superior-inferior)으로 표시된 랜드마크가 정렬홀(4137)의 중앙에 오도록 다이얼 체커(410)의 삽입포지션을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15)는 관절와의 리세스(H)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스파이크(4135)와 함께 다이얼 체커의 일시적인 고정을 보조할 수 있다. 삽입부(415)는 디스크(413)로부터 관절와 측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며, 가이드핀의 수용을 위해 중공이 연장된다.
상기 어그먼트 사이저(430)는 결손부의 깊이와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다이얼 체커(410)와 동축정렬되어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제1축 또는 관절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최저점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어그먼트 사이저(430)는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로드(411)를 관통수용하는 관통공(430a)을 가지며, 디스크(413)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어그먼트 사이저(430)는 회전자(431), 레그(433) 및 수용헤드(4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자(431)는 디스크(413) 상에서 로드(411)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일면에 실질적으로 평평한 접촉면을 가지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크바디(4131)와 접촉할 수 있다. 회전자(431)가 디스크 상에서 회전하므로, 디스크바디(4131)는 일측으로는 관절와를 면하고 타측으로는 회전자(431)를 면하게 된다.
상기 레그(433)는 회전자(431)의 일측에서 관절와 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레그의 엔드포인트(433a)가 최저점에 닿을 수 있다. 관절와의 뼈 결손량이 환자에 따라 달라 최저점(L)으로부터 제1면까지의 거리 또는 최저점(L)으로부터 회전자까지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어 서로 다른 레그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어그먼트 사이저가 구비될 수 있다. 수술의는 다이얼 체커(410) 상에서 어그먼트 사이저(430)를 회전시켜 레그의 엔드포인트(433a)가 최저점(L)에 닿는지 확인할 수 있다. 레그의 엔드포인트(433a)가 최저점(L)에 닿으면서 회전자(431)의 접촉면이 디스크바디(4131)의 일면과 접촉할 때 바람직한 레그 길이를 가지는 어그먼트 사이저가 사용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어그먼트 사이저의 레그 길이에 따라 최저점(L)의 깊이, 즉 제1면으로부터 최저점(L)까지의 제1축 방향으로의 거리가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수용헤드(435)는 사이저 핸들(450)에 수용되는 부분으로, 후술하는 사이저 핸들의 수용공간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헤드(435)는 회전자(431)에서 일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외주면의 일부는 곡면을 가지고 다른 일부는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헤드(435)의 중앙 부분은 로드(411)의 수용을 위해 관통공(430a)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그먼트 사이저(430)와 다이얼 체커(410)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절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최저점이 형성된 방향인 결손방향이 측정될 수 있다. 다이얼 체커(410)는 소정의 삽입포지션,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정렬홀(4137)과 랜드마크를 정렬한 방향으로 관절와에 접근 후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어그먼트 사이저(430)가 회전하여 레그의 엔드포인트(433a)가 최저점(L)과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레그(433)가 향하는 방향이 지시자(4133)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사이저 핸들(450)은 어그먼트 사이저(430)를 다이얼 체커(410) 상에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어그먼트 사이저(43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어그먼트 사이저(430)와 사이저 핸들(450)이 함께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사이저 핸들(450)은 다이얼 체커의 로드(411)를 관통수용하는 관통공(430a)을 가져 로드(41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사이저 핸들(450)은 핸들(451), 수용부분(453) 및 수용캡(4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451)은 중공을 가지면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수술의가 파지하기 용이한 길이로 연장된다.
수용부분(453)은 내부에 수용공간(453a)을 형성하면서 어그먼트 사이저의 수용헤드(435)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어그먼트 사이저(430)의 수용헤드(435)를 수용하는 수용공간(453a)은 어그먼트 사이저(430)가 사이저 핸들(450)과 독립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캡(455)은 수용부분(453)에 대해 적어도 일측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움직이면서 수용공간(453a)을 개폐하는 구성이다. 수용캡(455)은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으며, 전진한 상태에서는 수용공간을 폐쇄하여 어그먼트 사이저(430)를 고정시키고, 후진한 상태에서는 어그먼트 사이저(430)가 이탈 또는 교체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이얼 체커(410)가 소정의 삽입포지션에 따라 관절와 상에 일시적으로 고정되면, 수술의는 먼저 수용헤드(435)를 수용공간(453a) 내에 넣고 수용캡(455)을 전진시켜 어그먼트 사이저(430)를 사이저 핸들(450)에 고정시킨 후 제1축 방향으로 관절와에 접근시킨다. 이때 다이얼 체커의 로드(411)가 사이저 핸들(450) 및 어그먼트 사이저(430)에 관통수용된다. 이후 어그먼트 사이저(430)를 회전시키면서 레그의 엔드포인트(433a)가 최저점(L)에 닿는지 확인하고, 이때 어그먼트 사이저(430), 회전자(431)의 일면이 디스크(413), 디스크바디(4131)의 일면과 접촉하는지 확인한다. 접촉하지 않는 경우 사이저 핸들(450)을 다이얼 체커(410)에서 빼낸 후 어그먼트 사이저(430)를 교체하고 적합한 레그 길이를 가지는 어그먼트 사이저(430)를 체결하고 결손량과 결손방향을 확인한다.
도 22 내지 도 2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밍가이드(500)를 리밍가이드 홀더(600) 및 나사 드라이버(700), 또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밍가이드 홀더(800)를 통해 관절와(G)에 삽입 및 고정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리밍가이드(500)는 관절와(G)의 제2면을 리밍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관절와(G)의 뼈 결손량과 결손방향에 따라 적합한 제2면 리밍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관절와(G)의 결손량은 제1면으로부터 최저점(L)까지의 제1축 방향으로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결손량에 대응되는 각도로 제2면이 리밍될 수 있다. 결손부 측정기구(400)에서 측정 내지 확인한 관절와 결손량에 따라 복수의 리밍가이드(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밍가이드(500)는 제1축을 따라 관절와(G)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제1축과 평행하지 않은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축과 수직인 제2면 리밍을 가이드한다. 상기 리밍가이드(500)는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510),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로드(530), 리밍가이드를 관절와 상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템(510)은 중공(510a)을 가지며 제1축(X1)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리밍가이드가 관절와에 삽입될 때 관절와(G)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내지 안착되는 부분이다. 관절와의 중심 부분은 가이드핀(110)을 중심으로 하여 보스 커터(220)에 의해 리세스(H)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스템(510)의 적어도 일부 내지 전부가 리세스(H)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4를 참고하면, 상기 스템(510)은 내주면에 의해 중공(510a)이 형성되는데, 상기 중공(510a)은 원통형 통공일 수 있다. 중공을 통해 후술하는 리밍가이드 홀더(600, 800)와 나사 드라이버(700)의 일부분이 리밍가이드(500) 내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스템(510)은 관절와 측 내주면에 나사산(510b)을 형성할 수 있는데,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10b)에는 후술하는 나사(580)의 헤드가 체결되거나 또는 리밍가이드 홀더(600, 800)의 일부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로드(530)는 상기 스템의 일측으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제2축(X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관절와 상에 제1면과 소정 각도로 제2면을 리밍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로드(530)가 연장되는 방향인 제2축은 제1축과 소정 각도(r)를 가진다. 제2축이 제1축과 이루는 각도(r)는 5도 내지 40도일 수 있다. 제2축이 제1축과 이루는 각도는 5도, 10도, 15도, 20도, 25도, 30도, 35도, 40도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로드(530)는 상기 스템의 내주면에 형성된 중공(510a)과 면하는 단부면을 가질 수 있는데, 단부면과 상기 스템의 내주면이 형성하는 중공은 원통형 통공일 수 있다. 즉 상기 단부면(531)은 스템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실질적으로 중공을 형성하는 스템의 내주면의 일부일 수 있다. 가이드로드(530)가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면 단부면(531)의 적어도 일부는 제1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공(510a) 내에 리밍가이드 홀더(600, 800) 및/또는 나사 드라이버(70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50)는 스템 또는 가이드로드의 일측에서 리밍가이드를 관절와 상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구성이다. 고정부(550)는 가이드로드(530)가 연장된 방향인 제2축 방향이 아닌 방향을 따라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고정부(550)는 일부분이 관절와의 제1면에 닿거나 또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1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밍가이드(500)가 리세스(H)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50)는 스템 또는 가이드로드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브랜치(551)를 가지며, 상기 브랜치(551)로부터 관절와 측으로 연장되는 스파이크(553)가 구비되어 스파이크의 단부가 관절와의 제1면 또는 관절와의 주변 부분에 닿거나 삽입되어 마찰력 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고정부(550)는 다른 기구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슬롯(555)을 가질 수 있는데,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롯(555)은 브랜치의 일부분이 통공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555)은 브랜치 상에 함입형성된 홈이어도 좋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랜치(551)는 가이드로드(53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브랜치(551)는 제1축으로 기준으로 제2축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스템(510)과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550)가 결여된 리밍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밍가이드(500)는 상기 스템(510)에 적어도 일부가 관통수용되며, 일부는 관절와에 삽입되는 나사(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사(580)는 일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헤드 부분의 외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템의 내주면 일부와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나사(580)는 헤드가 스템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10b)과 나사체결될 수 있다. 상기 나사(580)는 리밍가이드(500)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상기 나사(580)는 헤드의 표면에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된 그루브(581)가 형성되어 기구를 이용해 나사(58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2 및 도 2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밍가이드 홀더(600)는 리밍가이드(500)를 파지하여 방향을 정렬한 채 리밍가이드(500)를 관절와에 접근 및 삽입할 수 있는 구성이다. 리밍가이드 홀더(600)는 리밍가이드(500)를 체결한 상태로 관절와에 접근하는데, 정확한 제2면 리밍을 위해 리밍가이드(500)의 삽입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다. 리밍가이드 홀더(600)는 리밍가이드(500)의 삽입포지션을 결정하는 삽입포지션 결정부(610), 적어도 일부가 리밍가이드와 체결되는 체결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포지션 결정부(610)는 리밍가이드(500)의 삽입포지션, 즉 리밍가이드(500)가 관절와에 삽입될 때 가이드로드(530)가 어떤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밍가이드(500)는 제1축을 따라 관절와에 삽입되나, 리밍가이드(500)의 방향이 결정되지 않는 경우 가이드로드(530)의 일단은 제1축을 기준으로 360도 범위의 모든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로드(530)는 제2면 리밍을 가이드하기 때문에 관절와에 삽입될 때 가이드로드(530)의 방향이 결정되어야 하며, 삽입포지션 결정부(610)에 의해 결정 내지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삽입포지션 결정부(610)는 상술한 결손부 측정기구(400)에서 인식된 결손방향을 따라 리밍가이드(500)의 삽입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25에서와 같이 제2축과 최저점(L)이 동일평면상에 있도록 리밍가이드의 삽입포지션이 정해질 수 있다. 즉, 제1축(X1), 제2축(X2) 및 최저점(L)이 동일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포지션 결정부(610)는 적어도 일부가 리밍가이드(500)와 적어도 일시적으로 체결된 상태로 관절와(G)에 접근할 수 있으며,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리밍가이드(500)의 삽입포지션을 조정 내지 지정할 수 있다. 삽입포지션 결정부(610)는 적어도 일부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611), 바디(61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고정레그(613), 바디(611)와 정렬부(617)를 연결하는 연결부(615), 바디(611)의 타측에 마련되는 정렬부(617)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611)는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되어 삽입포지션 결정부(610)의 외형을 구성하며, 후술하는 체결부(63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중공을 가질 수 있다. 바디(611)는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레그(613)는 리밍가이드(500)가 리밍가이드 홀더(600)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디(611)의 관절와측 일단에서 적어도 일부가 리밍가이드(50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레그(613)는 후술하는 체결부(630)와 리밍가이드(500)가 체결되는 것에 더하여 리밍가이드(500)가 회전하지 않고 삽입포지션을 결정 내지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레그의 단부에 형성된 핀(613a)은 고정부의 슬롯(555)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15)는 바디(611)와 바디 타단에 형성된 정렬부(617)를 연결하며, 후술하는 체결부(6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617)는 리밍가이드(500)의 삽입포지션을 정렬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수술의가 정렬부(617)를 확인하고 삽입포지션 결정부(610)를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정렬부(617)는 디스크(6171), 수용홈(6173), 대응지시자(61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6171)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관절와의 반대면, 즉 외측(lateral) 일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임팩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디스크(6171)는 외주면에 복수의 수용홈(6173)이 형성된 원판 또는 다각형 판일 수 있다.
상기 수용홈(6173)은 기준 지시자의 일단을 수용하도록 구비된 홈으로, 상기 디스크(6171)의 외주면에 함입형성되어 기준 지시자와 리밍가이드 홀더(600)가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수용홈(6173)은 기준 지시자를 수용한 후 기준 지시자와 함께 리밍가이드(500)의 삽입포지션을 결정한다. 상기 기준 지시자는 가이드 핸들(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수용홈(6173)의 일측에는 회전하거나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홈(6173a)이 함입형성되고, 기준 지시자로서 가이드 핸들(200)의 돌기(231a)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대응지시자(6175)는 디스크(6171)의 일면상에 표시 내지 형성된 지시자로, 상술한 디스크바디(4131)의 일면 상에 형성된 지시자(4133)와 대응되는 표시가 표시된다. 즉 디스크 체커(410)에 표시되어 최저점(L)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는 지시자(4133)와 같은 대응지시자가 방사상으로 표시된다. 대응지시자(6175)는 수용홈(6173)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디스크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용홈(6173)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디스크(6171)의 일면에 30도의 각도로 12개의 대응지시자(6175)가 표시되면, 대응지시자(6175)가 표시된 부분에 대응하는 외주면에 수용홈(6173)이 형성되는 것이다.
수술의는 결손부 측정기구(400)를 통해 결손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다이얼 체커(410) 상에서 어그먼트 사이저(430)가 최저점을 향하게 배치한 후 레그(433)가 오버랩되는 지시자(4133)를 확인하여 최저점(L)이 어떤 방향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포지션 결정부(610)는 기준 지시자를 지시자(4133)와 대응되는 대응지시자(6175)가 표시된 수용홈(6173)에 삽입한 후 기준 지시자를 제1위치로 움직이면 리밍가이드 홀더에 체결된 리밍가이드의 삽입포지션이 정렬되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수용홈(6173)에 삽입된 기준 지시자를 일단이 하측(inferior) 방향으로 향하는 제1위치로 움직이면, 리밍가이드 홀더(600)에 체결된 리밍가이드의 가이드로드(530)가 연장되는 제2축(X2)과 관절와의 최저점(L)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수술의는 최저점(L)의 방향에 해당하는 대응지시자(6175)가 표시된 수용홈(6173)에 기준 지시자(가이드 핸들, 200)를 체결한 후, 기준 지시자를 하측(inferior)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제1위치로 움직이거나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리밍가이드(500)의 삽입포지션이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제1위치로의 이동은 기준 지시자 또는 가이드 핸들(200)이 수용된 리밍가이드 홀더(600, 800)가 제1축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기준 지시자 또는 가이드 핸들(200)의 일단이 하측(inferior) 방향으로 향하도록, 기준 지시자 또는 가이드 핸들(200)과 리밍가이드 홀더(600, 800)를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이얼 체커의 디스크(413) 상에는 1 내지 12까지의 지시자(4133)가 표시될 수 있으며, 12 또는 superior에 대응되는 지시자가 관절와의 상측(superior) 방향으로 표시된 랜드마크에 대응되도록 하여 다이얼 체커(410)를 배치한다. 최저점(L)의 방향은 소정 숫자 또는 방향에 대응되는 지시자로 확인된다. 리밍가이드 홀더(600)의 디스크(617) 상에도 1 내지 12까지의 대응지시자(6175)가 표시될 수 있다. 고정레그(613)는 12 또는 상측(superior)에 대응되는 방향에서 관절와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630)는 리밍가이드(500)의 적어도 일부와 체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체결부(630)의 일단이 스템(5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10b)과 체결됨으로써 리밍가이드(500)가 리밍가이드 홀더(600)와 적어도 일시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630)는 삽입포지션 결정부(610)와 동축정렬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630)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로드(631)를 가지며, 상기 로드(631)는 바디(611)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둘러싸여질 수 있다. 로드(631)의 관절와 측 일단에 구비된 체결단부(633)는 스템에 삽입되어 리밍가이드(500)와 체결을 매개하며, 체결단(633)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있다. 로드(631)의 타측에는 체결부(63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체(635)가 형성된다.
도 26 및 도 27을 참고하면, 나사 드라이버(700)는 리밍 가이드(500) 내 나사(580)를 회전시켜 나사(580)를 관절와 내에 삽입시키는 구성으로, 동축정렬되는 드라이버(710)와 홀더(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710)는 제1축을 따라 연장되는 로드(711), 로드의 일단에서 상술한 나사의 헤드 표면에 형성된 그루브(581)에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팁(713) 및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는 회전체(715)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730)는 드라이버(710)의 외피를 구성하며, 세척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통공을 가질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밍가이드 홀더(800)가 도시된다. 상기 리밍가이드 홀더(800)는 삽입포지션 결정부(810), 체결부(830) 및 나사 드라이버(850)가 동축정렬되어 하나의 기구로 리밍가이드(500)를 관절와 측에 접근시키고 나사를 돌려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포지션 결정부(810)는 상술한 삽입포지션 결정부(61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은 삽입포지션 결정부(610)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상기 삽입포지션 결정부(810)는 적어도 일부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811), 바디(81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정렬레그(813), 바디(811)의 타측에 마련되는 정렬부(815)를 포함한다.
상기 정렬레그(813)는 리밍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를 갭(813a)에 수용하여 리밍가이드의 방향을 정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정렬레그(813)는 중간에 갭(813a)을 형성하면서 두갈래로 갈라지는 레그(8131)와, 상기 레그(8131)의 일단으로부터 절곡연장되는 절곡부(8133)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절곡부(8133)는 평행을 이루며 절곡부(8133) 사이 갭(813a)에 리밍가이드의 일부를 수용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정렬레그(813)에 의해 형성된 갭은 가이드로드(530)가 점유할 수 있다. 정렬레그(813)는 사이에 가이드로드(530)를 수용하고, 가이드로드(530)를 파지하여 리밍가이드(500)의 방향을 정렬한다. 일 실시예의 정렬레그(813)를 가진 리밍가이드 홀더(800)와 함께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550)가 결여된 리밍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정렬부(815)는 디스크(8151), 수용홈(8153), 대응지시자(81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크(8151)의 일면 상에 체결부(830) 또는 나사 드라이버(850)를 돌릴 수 있도록 구비된 회전체가 형성된 것 이외에는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다.
상기 체결부(830)는 삽입포지션 결정부(810)와 동축정렬되며, 일측으로 연장되는 로드(831), 로드(831)의 일단에 구비된 체결단부(833), 로드(831)의 타측에구비되는 회전체(835)를 포함한다. 체결부(830)는 나사 드라이버(850)의 수용을 위해 중공(830a)을 가질 수 있다. 로드(831)와 체결단부(833)는 정렬레그(813) 사이 갭(813a)을 통해 단부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단부(833)는 정렬레그(813)보다 더 관절와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나사 드라이버(850)는 제1축을 따라 연장되는 로드(851), 로드의 일단에서 상술한 나사의 헤드 표면에 형성된 그루브(581)에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팁(853) 및 나사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는 회전체(855)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 드라이버(850)는 삽입포지션 결정부(810) 및 체결부(830)와 동축정렬되며, 체결부(830)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어 일단이 관절와 측 단부로 노출되거나 숨겨질 수 있다. 상기 팁(853)은 나사 드라이버(850)가 전진하는 경우 체결단부(833)보다 돌출되고, 후진하는 경우 체결부(830)의 중공(830a) 내에 수용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삽입포지션 결정부(810), 체결부(830) 및 나사 드라이버(850)가 동축정렬된 리밍가이드 홀더(800)는 정렬레그(813) 대신 고정레그(6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나사 드라이버(700)가 동축정렬되지 않고 별도의 기구로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리밍가이드 홀더(600)는 고정레그(613) 대신 정렬레그(813)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1 및 도 32를 참고하면, 상기 제2리머(900)는 관절와(G)에 삽입된 리밍가이드(500)을 따라 제2축에 수직인 제2면을 리밍하도록 하는 수술기구이다. 제2리머(900)는 가이드로드(530)를 수용하면서 관절와를 리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리머(900)는 관절와(G)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2축에 수직으로 평평하게 리밍할 수 있으며, 일측으로 연장되는 바디(910), 상기 바디(910)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피(930), 실질적으로 관절와를 절삭하는 절삭부(95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910)는 일측으로 연장되며 수술의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며, 리밍가이드 또는 가이드로드를 따라 관절와 절삭을 위해 가이드로드(530)를 관통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930)는 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면서, 세척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통공(930a)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절삭부(950)는 적어도 일부가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뼈를 절삭하는 블레이드(951), 절삭부(950)의 외측에서 상기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림(953), 가이드로드를 수용하는 수용공(9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955)은 제1리머에 형성된 수용공(3153)보다 직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수술의는 상기 제2리머(900)가 가이드로드(530)를 관통수용하도록 관절와에 접근시킨 후 제2리머를 회전시켜 가이드로드의 연장축인 제2축에 수직인 제2면을 리밍 및/또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를 참고하면, 챔퍼 리밍가이드(1000)는 리밍을 통해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B)의 챔퍼를 형성할 수 있도록 챔퍼 리머(1100)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기구이다. 챔퍼 리밍가이드(1000)는 관절와에 삽입된 리밍가이드(500)와 적어도 일시적으로 체결되어 챔퍼 리머(1100)가 관절와의 제1면과 제2면 사이를 절삭하여 챔퍼를 형성하도록 가이드한다. 챔퍼 리밍가이드(1000)는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로드(1010), 상기 삽입로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가이드플레이트(1030), 가이드 핸들(200)을 수용하는 수용홈(1050), 상기 삽입로드와 가이드플레이트 및 수용홈을 연결하는 넥(10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로드(1010)는 제1축(X1) 방향으로 연장되어 리밍가이드(500)의 스템(510)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30)는 상기 삽입로드(10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면서 제1면과 제2면 사이 챔퍼를 형성하기 위한 수술기구인 챔퍼 리머(1100)를 관통수용할 수 있다. 가이드플레이트(1030)는 삽입로드 주위로 연장된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플레이트(1030)는 삽입로드의 양측에 가이드홀(1031)을 형성하여 챔퍼 리머(1100)를 수용할 수 있다. 도 33을 참고하면, 가이드홀(1031)은 챔퍼 리머(1100)를 제3축(X3) 방향으로 관통수용한다. 이때 제3축(X3)이 제1축(X1)과 이루는 각도는 제1축(X1)과 제2축(X2)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챔퍼 리머(1100)가 제3축을 따라 삽입되어 제1면과 제2면 사이를 리밍함으로써 제1면과 제2면 사이에서 완만한 챔퍼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1031) 내에는 안착턱(1031a)이 형성되어 챔퍼 리머(1100)의 수용깊이를 제한한다. 즉 챔퍼 리머(1100)가 소정 정도까지만 가이드플레이트의 타면으로 돌출되어 관절와을 리밍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3축(X3)이 제1축(X1)과 이루는 각도는 제1축(X1)과 제2축(X2)이 이루는 각도의 절반일 수 있다. 리밍가이드가 제2축의 각도를 달리하여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제3축(X3) 방향으로 챔퍼 리머(1100)를 안내하는 챔퍼 리밍가이드(1000)도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플레이트(1030)는 상기 삽입로드의 연장방향인 제1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제2축 방향에 개구부(1034)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30)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1034)의 폭은 가이드로드(530)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slightly) 넓을 수 있다. 이 개구부(1034)에 가이드로드(530)가 수용되고 가이드플레이트(1030)에 의해 실질적으로 파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30)는 상기 삽입로드(10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핀(1035)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핀(1035)은 리밍가이드의 슬롯(555)에 수용되도록 가이드플레이트(1030)의 일면으로부터 관절와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050)은 가이드 핸들(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입형성된 홈으로, 수술의가 가이드 핸들(200)을 수용홈(1050)에 삽입하고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넥(1070)은 삽입로드와 가이드플레이트 및 수용홈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삽입로드(1010)가 리밍가이드(500)에 삽입되거나 가이드로드(530)가 가이드플레이트의 개구부(1034) 측으로 수용되는 매커니즘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챔퍼 리머(1100)는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챔퍼를 형성하는 기구로,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관절와를 절삭한다. 챔퍼 리머(1100)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로드(1110), 로드의 일단에서 회전을 통해 관절와를 절삭하는 절삭부(1130)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1110)는 제3축 방향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도 35 및 도 36을 참고하면,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는 일부분이 보강된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B)를 관절와에 삽입하는 기구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B)와 적어도 일시적으로 체결된 후 베이스플레이트(B)의 삽입포지션을 결정하여 관절와(H)의 리세스(H)에 베이스플레이트를 삽입한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체결된 상태로 제1축을 따라 관절와에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는 베이스플레이트(B)가 관절와에 삽입될 때 어그먼트가 어떤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어그먼트(B3)는 관절와의 제2면에 대응되어야 하므로, 관절와에 삽입될 때 어그먼트의 삽입포지션이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는 상술한 결손부 측정기구(400)에서 인식된 결손방향 및/또는 리밍가이드 홀더(600)에 의해 결정된 삽입포지션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B)의 삽입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유사하게, 어그먼트의 최고점과 제2면을 따라 형성된 최저점(L)이 대응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B)의 삽입포지션이 정해질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는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베이스플레이트의 삽입포지션을 조정 내지 지정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는 적어도 일부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1210),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 홀더 사이의 체결을 보조하는 체결보조부(1230), 바디(1210)의 일측에서 베이스플레이트(B)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단(1250), 바디(1210)의 타측에 마련되는 정렬부(127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210)는 바람직하게는 제1축(X1)을 따라 연장되며, 체결보조부(123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다. 바디(1210)에는 복수의 통공 또는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보조부(1230)는 베이스플레이트(B)와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 사이의 체결을 보조하며, 베이스플레이트(B)가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보조부(1230)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로드(1231), 수술의 등이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체(1233), 후술하는 삽입돌기(1251)와 함께 베이스플레이트(B)에 삽입되는 보조돌기(123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1233)는 적어도 일부가 바디(12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수술의 등이 회전체를 회전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연결로드(1231)는 회전체(1233)와 보조돌기(1235)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보조돌기(1235)로 전달하며, 보조돌기(1235)는 회전력에 의해 전진 내지 후진하여 베이스플레이트(B)에 형성된 통공 내지 삽입공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보조돌기(1235)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23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단(1250)은 베이스플레이트(B)와 실질적으로 체결되는 부분으로, 바디의 관절와 측 일단에 형성된다. 삽입단(1250)은 삽입돌기(1251)와 삽입지시자(125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돌기(1251)는 삽입단(1250)에서 관절와 측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로, 베이스플레이트(B)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돌기(1251)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심축인 제1축(X1) 상에서 베이스플레이트(B)와 체결될 수 있다.
삽입지시자(1253)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의 체결방향을 지시하도록 삽입단(1250) 또는 바디(1210)에 표시되는 구성이다.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B)는 어그먼트가 일부분에 형성되기 때문에 대칭적인 형상이 아니므로, 소정의 방식으로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가 체결되어야 어그먼트가 관절와의 제2면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보조돌기(1235)가 베이스플레이트의 어그먼트가 형성된 부분의 통공과 체결되고, 삽입돌기(1251)가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과 체결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B) 및/또는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의 접근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지시자(1253)는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B)의 단면 형상을 표시하되, 어그먼트 부분이 보조돌기(1235) 쪽에 표시되도록 하여 수술의가 삽입지시자(1253)를 보고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B)를 지정된 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1270)는 베이스플레이트(B)의 삽입포지션을 정렬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수술의가 정렬부(1270)를 확인하고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를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정렬부(1270)는 디스크(1271), 수용홈(1273), 대응지시자(12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1271)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관절와의 반대면, 즉 외측(lateral) 일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임팩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디스크(1271)는 외주면에 복수의 수용홈(1273)이 형성된 원판 또는 다각형 판일 수 있다.
상기 수용홈(1273)은 기준 지시자의 일단을 수용하도록 구비된 홈으로, 상기 디스크(1271)의 외주면에 함입형성되어 기준 지시자와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가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수용홈(1273)은 기준 지시자를 수용한 후 기준 지시자와 함께 베이스플레이트(B)의 삽입포지션을 결정한다. 상기 기준 지시자는 가이드 핸들(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수용홈(1273)의 일측에는 회전하거나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홈(1273a)이 함입형성되고, 기준 지시자로서 가이드 핸들(200)의 돌기(231a)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대응지시자(1275)는 디스크(1271)의 일면상에 표시 내지 형성된 지시자로, 상술한 디스크바디(4131)의 일면 상에 형성된 지시자(4133)와 대응되는 표시가 표시된다. 즉 디스크 체커(410)에 표시되어 최저점(L)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는 지시자(4133)와 같은 대응지시자가 방사상으로 표시된다. 대응지시자(1275)는 수용홈(1273)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디스크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용홈(1273)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디스크(1271)의 일면에 30도의 각도로 12개의 대응지시자(1275)가 표시되면, 대응지시자(6175)가 표시된 부분에 대응하는 외주면에 수용홈(1273)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의 대응지시자(1275)는 리밍가이드 홀더(600)의 대응지시자(6175)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의 정렬부(1270)는 리밍가이드 홀더(600)의 정렬부(617)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수술의는 결손부 측정기구(400)를 통해 결손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다이얼 체커(410) 상에서 어그먼트 사이저(430)가 최저점을 향하게 배치한 후 레그(433)가 오버랩되는 지시자(4133)를 확인하여 최저점(L)이 어떤 방향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수술의는 리밍가이드 홀더(600)의 정렬과 마찬가지로, 최저점(L)의 방향에 해당하는 대응지시자(1275)가 표시된 수용홈(1273)에 기준 지시자(가이드 핸들, 200)를 체결한 후, 기준 지시자를 하측(inferior)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제1위치로 움직이거나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B)의 삽입포지션이 정렬되어 관절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 및 상기 기구를 통해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관절와에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방법(S)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7을 참고하면,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방법(S)은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B)를 관절와(G)에 삽입하기 위해 관절와 상에 제1면과 제2면을 형성한 후 베이스플레이트의 삽입포지션을 정렬하여 관절와에 삽입하는 과정으로, 관절와의 일부분이 결손된 경우 결손된 부분을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부분에 형성된 어그먼트를 통해 보상할 수 있다.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방법(S)은 가이드핀 삽입단계(S10), 제1리밍단계(S20), 포스트 드릴단계(S30), 다이얼 체킹단계(S40), 리밍가이드 삽입단계(S50), 제2리밍단계(S60), 챔퍼형성단계(S70) 및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 삽입단계(S10)는 관절와(G)에 가이드핀(110)을 삽입하는 과정으로, 제1축(X1)을 따라 가이드핀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핀(110)은 센터가이드(120)의 안내에 의해 관절와에 삽입될 수 있다. 관절와에 전후 방향(anterior and posterior) 및 상하 방향(superior and inferior)을 따라 십자 형상의 랜드마크를 표시한 후, 각 랜드마크가 교차하는 관절와의 중앙 부분에 가이드핀(110)을 삽입할 수 있다. 관절와의 중앙을 표시하기 위해 십자형이 아닌 랜드마크가 표시될 수 있으나, 상하 방향(superior and inferior)의 랜드마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핀의 삽입을 위해 사용되는 센터가이드(120)는 관절와에 지지되기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리밍단계(S20)는 가이드핀을 따라 제1축에 수직인 제1면을 리밍하는 과정으로, 제1리머(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수술의는 제1리머(310)가 가이드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축을 따라 관절와에 접근시키면서 제1리머를 작동시켜 제1축(X1)에 수직인 제1면을 형성한다.
상기 포스트 드릴단계(S30)는 가이드핀이 삽입된 관절와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핀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리세스(H)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상기 리세스(H)에 리밍가이드, 베이스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 드릴단계(S30)는 스토퍼(330)가 안착된 보스 커터(320) 또는 스토퍼(330)와 일체로 구비된 보스 커터(3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 드릴단계(S30)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보스 커터의 적어도 일부가 일면이 평평한 스토퍼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보스 커터(320)가 가이드핀(110)을 수용하도록 제1축을 따라 관절와에 접근하면서 관절와를 리밍할 수 있다.
도 38을 참고하면, 상기 결손부 측정단계(S40)는 제1면을 기준으로 결손된 부분의 방향과 결손량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결손부 측정기구(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결손부 측정단계(S40)는 결손방향을 지시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시자에 대응되도록 리밍가이드(500)의 삽입포지션을 결정하여 후술하는 리밍가이드 삽입단계(S50) 및 제2리밍단계(S60)를 수행하여 제2면을 정확하게 리밍하도록 할 수 있다. 결손부 측정단계(S40)는 최저점(L)이 얼마나 함입되어 있는지를 기준으로 결손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관절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최저점(L)이 형성된 방향(결손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손부 측정단계는 다이얼 체커 배치단계(S41), 어그먼트 사이저 배치단계(S43) 및 결손방향 체킹단계(S45)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얼 체커 배치단계(S41)는 관절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방향을 나타내는 다이얼 체커를 관절와 상에 배치하는 과정이다. 상술한 다이얼 체커(410)를 관절와 상에 배치하게 되며, 수술의는 다이얼 체커(410)를 관절와에 접근시킨 후, 관절와에 표시된 십자형의 랜드마크와 정렬홀(4137)을 정렬함으로써 상기 다이얼 체커(410)를 정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관절와 상에 상하 방향(superior-inferior)으로 표시된 랜드마크가 정렬홀(4137)의 중앙에 오도록 다이얼 체커(410)의 삽입포지션을 정렬할 수 있다. 다이얼 체커 배치단계(S41)에서 다이얼 체커(410)는 디스크바디(4133)의 관절와를 면하는 일면 상에 돌출형성된 스파이크(4135)에 의해 관절와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어그먼트 사이저 배치단계(S43)는 결손부 깊이를 측정하도록 구비된 어그먼트 사이저(430)를 통해 제1면으로부터 관절와 결손부의 최저점(L)까지의 제1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이다. 상기 어그먼트 사이저(430)의 일부분이 상기 최저점(L)과 접촉함과 동시에, 어그먼트 사이저(430)의 일면이 다이얼 체커(410)의 일면과 접촉하는 어그먼트 사이저(430)를 상기 다이얼 체커 상에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별로 관절와 결손량이 달라 최저점(L)의 깊이가 다를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레그(433)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어그먼트 사이저(430)가 구비될 수 있다. 레그의 엔드포인트(433a)가 최저점에 닿는 것과 어그먼트 사이저(430)의 일면이 다이얼 체커(410)의 일면과 접촉하는 것이 동시에 수행되지 않는 경우 적합한 어그먼트 사이저(430)로 교체하여 어그먼트 사이저 배치단계(S43)를 수행할 수 있다. 수술의는 다이얼 체커(410) 상에서 어그먼트 사이저(430)를 회전시켜 레그의 엔드포인트(433a)가 최저점(L)에 닿는지 확인할 수 있는데, 레그의 엔드포인트(433a)가 최저점(L)에 닿으면서 회전자(431)의 접촉면이 디스크바디(4131)의 일면과 접촉할 때 바람직한 레그 길이를 가지는 어그먼트 사이저가 사용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결손방향 체킹단계(S45)는 관절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최저점이 형성된 방향을 측정하는 과정이다. 결손방향 체킹단계(S45)에서는 다이얼 체커에 의해 측정되는 방향을 통해 상기 최저점이 형성된 방향을 결정하며, 상기 최저점(L)과 접촉하는 어그먼트 사이저의 일부분이 상기 다이얼 체커 상에서 향하는 방향을 최저점이 형성된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레그의 엔드포인트(433a)가 최저점(L)과 접촉하는 동시에 회전자(431)의 접촉면이 디스크바디(4131)의 일면과 접촉하는 경우 레그(433)가 향하는 방향이 지시자(4133)에 의해 인식되어 결손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후 가이드핀(110)이 제거될 수 있다.
도 39를 참고하면, 리밍가이드 삽입단계(S50)는 제1축과 평행하지 않은 제2축에 수직인 제2면 리밍을 가이드하는 리밍가이드를 관절와에 삽입하는 과정이다. 이때 제2축(X2)은 관절와의 최저점(L)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축(X1), 제2축(X2) 및 최저점(L)이 동일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리밍가이드 삽입단계(S50)에 의해 삽입포지션이 정렬된 리밍가이드(500)가 리세스(H)에 삽입될 수 있다. 리밍가이드 삽입단계(S50)는 리밍가이드 홀더(600)와 나사 드라이버(700), 또는 나사 드라이버(850)를 내부에 수용하는 리밍가이드 홀더(8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리밍가이드 삽입단계(S50)는 리밍가이드 체결단계(S51), 기준 지시자 체결단계(S53), 방향정렬단계(S55), 리밍가이드 고정단계(S57) 및 나사 삽입단계(S59)를 포함한다.
상기 리밍가이드 체결단계(S51)는 리밍가이드(500)를 리밍가이드 홀더(600)에 체결하는 과정이다. 리밍가이드의 스템의 중공(510a) 내에 리밍가이드 홀더(6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어그먼트 사이저 배치단계(S430)에서 측정된 관절와 뼈 결손량에 따라 복수의 리밍가이드 중 적합한 리밍가이드(500)가 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의 체결단부(633)가 중공에 수용된 후 수술의가 회전체(635)를 회전시키면, 체결단부(633)가 회전하여 체결단(63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스템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10b)이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된다. 이때 리밍가이드의 체결시 가이드로드(530)가 향하는 방향은 고정레그(613) 또는 정렬레그(813)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레그의 단부에 형성된 핀(613a)이 리밍가이드의 고정부의 슬롯(555)에 수용되어 리밍가이드의 체결이 안내될 수 있으며, 정렬레그(813)에 의해 형성된 갭(813a) 사이에 가이드로드(530)가 수용되어 리밍가이드의 체결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지시자 체결단계(S53)는 상기 리밍가이드 홀더의 일측면에 기준 지시자를 연결하는 과정이다. 기준 지시자는 가이드 핸들(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기준 지시자를 리밍가이드 홀더의 수용홈(6173)에 체결시킴으로써, 기준 지시자와 리밍가이드 홀더는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준 지시자와 리밍가이드 홀더는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축(X1)의 기울어짐 여부에 따라 직각이 아닌 각도를 이룰 수도 있다. 기준 지시자 체결단계(S53)에서, 기준 지시자를 결손방향 체킹단계(S45)에서 확인한 지시자(4133)와 대응되는 대응지시자(6175)가 표시된 수용홈(6173)에 삽입한다.
상기 방향정렬단계(S55)는 상기 기준 지시자를 제1위치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리밍가이드 홀더에 체결된 리밍가이드의 삽입포지션을 정렬하는 과정이다.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수용홈(6173)에 삽입된 기준 지시자를 일단이 하측(inferior) 방향으로 향하는 제1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리밍가이드 홀더(600)에 체결된 리밍가이드의 가이드로드(530)가 연장되는 제2축(X2)과 관절와의 최저점(L)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제1위치로의 이동은 기준 지시자 또는 가이드 핸들(200)이 수용된 리밍가이드 홀더(600, 800)가 제1축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기준 지시자 또는 가이드 핸들(200)의 일단이 하측(inferior) 방향으로 향하도록, 기준 지시자 또는 가이드 핸들(200)과 리밍가이드 홀더(600, 800)를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밍가이드 고정단계(S57)는 제1축(X1)을 따라 상기 리밍가이드를 관절와에 접근시키고 정렬된 삽입포지션에 따라 상기 리밍가이드를 관절와 상에 고정하는 과정이다. 수술의는 방향정렬단계(S55)에서 정렬된 상태의 리밍가이드 홀더(600)와 리밍가이드(500)를, 제1축을 따라 관절와에 접근시켜 리밍가이드의 일부를 관절와에 삽입 및 고정시킨다. 리밍가이드의 스템(510)은 관절와의 리세스(H)에 삽입되어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나사 삽입단계(S59)는 리밍 가이드(500) 내 나사(580)를 회전시켜 나사(580)를 관절와 내에 삽입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나사 삽입단계(S59)는 나사 드라이버(700) 또는 리밍가이드 홀더(800) 내에 수용된 나사 드라이버(8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리밍가이드 홀더(600)가 제거된 후 리밍가이드(500) 내 나사(580)를 나사 드라이버(700)를 통해 회전시켜 관절와에 삽입 및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나사 드라이버(850)를 전진시켜 팁(853)이 체결단부(833)보다 관절와 측으로 노출되도록 한 다음 나사(580)를 회전시켜 관절와에 삽입 및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리밍단계(S60)는 상기 리밍가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수직으로 제2면을 리밍하는 과정이다. 제2리밍단계(S60)는 제2리머(9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2리밍단계(S60)에서는 제2리머(900)가 가이드로드(530)를 수용하면서 관절와를 리밍한다. 관절와에 삽입 및 일시적으로 고정된 상태의 리밍가이드(500)는 가이드로드(530)가 제2축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2리머에 의해 제2축에 수직인 제2면이 리밍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2축과 관절와 중심 부분으로부터 최저점(L)까지의 선분은 직각을 이룰 수 있으며, 최저점(L)이 제2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0을 참고하면, 상기 챔퍼형성단계(S70)는 관절와의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챔퍼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챔퍼 리밍가이드(1000) 및 챔퍼 리머(1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챔퍼형성단계(S70)는 챔퍼 리밍가이드 체결단계(S71) 및 챔퍼 리밍단계(S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퍼 리밍가이드 체결단계(S71)는 챔퍼 리밍가이드를 제1축 방향으로 상기 리밍가이드에 체결하는 과정으로, 챔퍼 리밍가이드의 삽입로드(1010)가 제1축을 따라 리밍가이드의 스템(510) 내에 수용된다. 이때 삽입로드(10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핀(1035)이 리밍가이드의 슬롯(555)에 수용될 수 있으며, 가이드로드(530)는 가이드플레이트(1030)에 형성된 개구부(1034)에 수용되어 체결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챔퍼 리밍단계(S73)는 제3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챔퍼 리밍가이드를 관통하는 리머를 통해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 부분을 리밍하는 과정이다. 챔퍼 리머(1100)는 가이드플레이트(1030)에 형성된 가이드홀(1031)을 통해 챔퍼 리밍가이드에 관통수용되고, 안착턱(1031a)에 의해 돌출깊이가 제한되어 리밍이 수행될 수 있다. 제3축(X3) 방향으로 챔퍼 리머(1100)를 안내하는 복수의 챔퍼 리밍가이드(1000) 중 적합한 챔퍼 리밍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3축(X3)과 제1축(X1)이 이루는 각도가 제2축(X2)과 제1축(X1)이 이루는 각도의 절반이 되도록 하는 챔퍼 리밍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후 리밍가이드(500)가 제거될 수 있다.
도 41을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단계(S80)는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B)를 관절와에 삽입하는 과정이다.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단계(S80)는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B)를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에 체결하고 관절와에 삽입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단계(S80)는 베이스플레이트 체결단계(S81), 기준 지시자 체결단계(S83) 및 정렬삽입단계(S85)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체결단계(S81)는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를 베이스플레이트 홀더에 체결하는 과정으로,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의 삽입돌기(1251)가 베이스플레이트(B)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고, 보조돌기(1235)가 베이스플레이트(B)의 중앙이 아닌 부분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어 적어도 일시적으로 체결되는 과정이다. 베이스플레이트의 체결 시 삽입지시자(1253)에 따른 방향대로 베이스플레이트가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지시자(1253)는 보조돌기(1235)가 베이스플레이트의 어그먼트가 형성된 부분의 통공과 체결되고, 삽입돌기(1251)가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과 체결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B) 및/또는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의 접근방향을 지시하게 된다.
상기 기준 지시자 체결단계(S83)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홀더의 일측면에 기준 지시자를 연결하는 과정으로, 상술한 리밍가이드 삽입단계에서 설명한 기준 지시자 체결단계(S53)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기준 지시자는 가이드 핸들(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기준 지시자를 베이스플레이트 홀더의 수용홈(1273)에 체결시킴으로써, 기준 지시자와 베이스플레이트 홀더는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준 지시자와 베이스플레이트 홀더는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축(X1)의 기울어짐 여부에 따라 직각이 아닌 각도를 이룰 수도 있다. 기준 지시자 체결단계(S83)에서, 기준 지시자를 결손방향 체킹단계(S45)에서 확인한 지시자(4133)와 대응되는 대응지시자(1275)가 표시된 수용홈(1273)에 삽입한다. 또는 상술한 기준 지시자 체결단계(S53)에서의 대응지시자(6173)와 동일한 대응지시자(1275)가 표시된 수용홈(1273)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정렬삽입단계(S85)는 상기 기준 지시자를 제1위치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홀더에 체결된 베이스플레이트의 삽입포지션을 정렬하고 베이스플레이트를 삽입하는 과정이다. 도 3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수용홈(1273)에 삽입된 기준 지시자를 일단이 하측(inferior) 방향으로 향하는 제1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에 체결된 베이스플레이트의 어그먼트가 제2면과 상응하게 되며, 베이스플레이트를 관절와에 삽입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와 각도로 베이스플레이트가 삽입 및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위치로의 이동은 기준 지시자 또는 가이드 핸들(200)이 수용된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가 제1축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기준 지시자 또는 가이드 핸들(200)의 일단이 하측(inferior) 방향으로 향하도록, 기준 지시자 또는 가이드 핸들(200)과 베이스플레이트 홀더(1200)를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B)의 어그먼트가 제2면 상에 대응하여 안착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G: 관절와 L: 최저점
B: 일부분이 보강된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110: 가이드핀 120: 센터가이드
200: 가이드 핸들 310: 제1리머
320: 보스 커터 330: 스토퍼
400: 결손부 측정기구
410: 다이얼 체커 411: 로드
413: 디스크 415: 삽입부
430: 어그먼트 사이저 431: 회전자
433: 레그 435: 수용헤드
450: 사이저 핸들 451: 핸들
453: 수용부분 455: 수용캡
500: 리밍가이드
510: 스템 530: 가이드로드
550: 고정부 551: 브랜치
553: 스파이크 555: 슬롯
600: 리밍가이드 홀더 610: 삽입포지션 결정부
630: 체결부
700: 나사 드라이버 800: 리밍가이드 홀더
900: 제2리머
1000: 챔퍼 리밍가이드
1010: 삽입로드 1030: 가이드플레이트
1050: 수용홈 1070: 넥
1100: 챔퍼 리머
1200: 베이스플레이트 홀더
1210: 바디 1230: 체결보조부
1250: 삽입단 1270: 정렬부

Claims (19)

  1. 중공을 가지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 상기 제1축과 소정 각도를 가지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템의 적어도 일부가 관절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로드가 관절와의 절삭방향을 가이드하는 리밍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는 상기 스템의 내주면에 형성된 중공과 면하는 단부면을 가지고,
    상기 단부면과 상기 스템의 내주면이 형성하는 중공은 적어도 일부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밍가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내주면의 적어도 일측에 나사산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밍가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 또는 가이드로드의 일측에서 리밍가이드를 관절와 상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스템 또는 가이드로드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브랜치, 상기 브랜치로부터 관절와 측으로 연장되는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밍가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브랜치의 일부분이 관통형성되거나 또는 브랜치 상에 함입형성된 홈으로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밍가이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에 관통수용되어 상기 관절와에 삽입되는 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사는 헤드의 표면에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된 그루브가 형성되고, 헤드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밍가이드.
  7.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로드, 상기 삽입로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삽입로드의 양측에 가이드홀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홀은 수술기구를 제1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관통수용하는 챔퍼 리밍가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삽입로드의 연장방향인 제1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제2축 방향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홀은 수술기구를 제3축 방향으로 관통수용하되, 상기 제3축과 제1축이 이루는 각도는 제1축과 제2축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 리밍가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삽입로드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 리밍가이드.
  10. 가이드로드가 스템으로부터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리밍가이드, 가이드홀이 수술기구를 서로 다른 제1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관통수용하는 복수의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챔퍼 리밍가이드를 포함하는 기구 세트.
  11. 관절와에 가이드핀을 삽입하는 가이드핀 삽입단계, 가이드핀을 따라 제1축에 수직인 제1면을 리밍하는 제1리밍단계, 제1면을 기준으로 결손된 부분의 방향과 결손량을 확인하는 결손부 측정단계, 상기 제1축과 평행하지 않은 제2축에 수직인 제2면 리밍을 가이드하는 리밍가이드를 관절와에 삽입하는 리밍가이드 삽입단계, 상기 리밍가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수직으로 제2면을 리밍하는 제2리밍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손부 측정단계는, 결손부 깊이를 측정하도록 구비된 어그먼트 사이저를 통해 제1면으로부터 관절와 결손부의 최저점까지의 제1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측정하는 어그먼트 사이저 배치단계, 관절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최저점이 형성된 방향을 측정하는 결손방향 체킹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손부 측정단계는, 상기 어그먼트 사이저 배치단계 이전에 관절와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방향을 나타내는 다이얼 체커를 관절와 상에 배치하는 다이얼 체커 배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손방향 체킹단계는 다이얼 체커에 의해 측정되는 방향을 통해 상기 최저점이 형성된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손방향 체킹단계는 상기 최저점과 접촉하는 어그먼트 사이저의 일부분이 상기 다이얼 체커 상에서 향하는 방향을 최저점이 형성된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그먼트 사이저 배치단계는, 상기 어그먼트 사이저의 일부분이 상기 최저점과 접촉함과 동시에, 어그먼트 사이저의 일면이 다이얼 체커의 일면과 접촉하는 어그먼트 사이저를 상기 다이얼 체커 상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밍가이드 삽입단계는,
    리밍가이드를 리밍가이드 홀더에 체결하는 리밍가이드 체결단계, 상기 리밍가이드 홀더의 일측면에 기준 지시자를 연결하는 기준 지시자 체결단계, 상기 기준 지시자를 제1위치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리밍가이드 홀더에 체결된 리밍가이드의 삽입포지션을 정렬하는 방향정렬단계 및 상기 제1축을 따라 상기 리밍가이드를 관절와에 접근시키고 정렬된 삽입포지션에 따라 상기 리밍가이드를 관절와 상에 고정하는 리밍가이드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와에 제1축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핀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리세스를 형성하는 포스트 드릴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 드릴단계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보스 커터의 적어도 일부가 일면이 평평한 스토퍼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상기 가이드핀을 따라 관절와를 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관절와의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챔퍼를 형성하는 챔퍼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챔퍼형성단계는 챔퍼 리밍가이드를 제1축 방향으로 상기 리밍가이드에 체결하는 챔퍼 리밍가이드 체결단계, 제3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챔퍼 리밍가이드를 관통하는 리머를 통해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 부분을 리밍하는 챔퍼 리밍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관절와에 삽입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삽입단계는 일부분이 보강된 베이스플레이트를 베이스플레이트 홀더에 체결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체결단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홀더의 일측면에 기준 지시자를 연결하는 기준 지시자 체결단계, 상기 기준 지시자를 제1위치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홀더에 체결된 베이스플레이트의 삽입포지션을 정렬하고 베이스플레이트를 삽입하는 정렬삽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 방법.
KR1020220170670A 2022-12-08 2022-12-08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 및 그 방법 KR20240085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670A KR20240085616A (ko) 2022-12-08 2022-12-08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 및 그 방법
PCT/KR2023/018739 WO2024122934A1 (ko) 2022-12-08 2023-11-21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670A KR20240085616A (ko) 2022-12-08 2022-12-08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5616A true KR20240085616A (ko) 2024-06-17

Family

ID=9137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0670A KR20240085616A (ko) 2022-12-08 2022-12-08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85616A (ko)
WO (1) WO20241229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8967A3 (en) * 2015-04-24 2021-06-02 Biomet Manufacturing, LLC Patient-specific augmented glenoid systems
AU2017267672B2 (en) * 2016-05-18 2021-09-30 Depuy Ireland Unlimited Company System for preparing a patient's tibia in an orthopaedic joint replacement procedure
US10595886B2 (en) * 2018-03-04 2020-03-24 Joint Innovation Technology, Llc Arthroscopic shoulder arthroplasty and method thereof
AU2019316645A1 (en) * 2018-08-10 2021-03-18 Howmedica Osteonics Corp. Guides and instruments for improving accuracy of glenoid implant placement
AU2021381988A1 (en) * 2020-11-18 2023-06-29 Stryker Corporation Surgical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breakthrough depth of cutting to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22934A1 (ko) 202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6591B2 (en) Patient-specific augmented glenoid systems and methods
US8123753B2 (en) Cutting guide assembly
US8197487B2 (en) Reaming guide alignment instrument
US7862568B2 (en) Fixing device
JP3742655B2 (ja) 切断ガイド器具
US8197492B2 (en) Measuring instrument for version angle
US8246621B2 (en) Reamer guide for revision procedure
US8241289B2 (en) Manual glenoid reamer
US20090270993A1 (en) Orientation feature on eccentric glenosphere
US8137359B2 (en) Variable offset reamer assembly for modular humeral component
EP2667798B1 (en) Reamer guide systems
US8936600B2 (en) Drill guide with angle verification
EP2427148B1 (en) Alignment guide
US8911445B2 (en) Reamer guide systems and methods of use
CA2643112C (en) A glenoid component of a shoulder joint prosthesis
CN101352378B (zh) 用于外科手术操作的计量仪器
RU2693363C2 (ru) Устройство эндопротезирования плечевого сустава
KR20240085616A (ko)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 및 그 방법
KR20240085617A (ko)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 및 그 방법
KR20240085620A (ko) 관절와 베이스플레이트 삽입용 기구 및 그 방법
KR101863741B1 (ko) 환자 맞춤형 인공견관절 수술기구
KR102558805B1 (ko) 인공 견관절 수술용 핀 가이드 및 스크류 가이드
US10426624B2 (en) Glenosphere guide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