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2446A - Automot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Automot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2446A
KR20240082446A KR1020220165789A KR20220165789A KR20240082446A KR 20240082446 A KR20240082446 A KR 20240082446A KR 1020220165789 A KR1020220165789 A KR 1020220165789A KR 20220165789 A KR20220165789 A KR 20220165789A KR 20240082446 A KR20240082446 A KR 20240082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perating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management
software 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57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여운석
김현준
기태균
김중하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안전공단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안전공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안전공단
Publication of KR20240082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24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용 차량 단말기가 구비된 운행차; 상기 운행차의 상기 차량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운행차의 정보를 검사하는 운행차 검사부; 및 상기 운행차 검사부에 연결되면서 차량 제작사 서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운행차의 정보와 상기 차량 제작서 서버의 정보를 각각 검사하는 차량 검사기관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terminal for communication; a vehicle inspection unit connected to the vehicle terminal of the vehicle and inspecting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and a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that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vehicle inspection unit and is connected to a vehicle manufacturer server to inspect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vehicle and information on the vehicle manufacturer server, respectively.

Description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AUTOMOT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Automot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UTOMOT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자장치들에 대한 정보이력을 검사하는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n automobil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n automobile that inspects the information history of the automobile's electronic devices.

최근 차량에는 복합적인 기계, 기구의 결합에 의한 물리적인 제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첨단 전자 제어 기술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운전자에게 향상된 주행의 안정성, 효율성을 제공하고 있다.Recently, vehicles have not only physical control through a combination of complex machines and mechanisms, but also various advanced electronic control technologies are combined to provide drivers with improved driving stability and efficiency.

예컨대, 자동차는 공조 시스템, AV(Audio Video) 시스템 등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각종 센서와 전장 부품들이 장착된다. 이러한 전장 부품들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조립이 완료된 차량에서 장착된 여러 전장 부품들이 작동되지 않거나, 오작동 되는지 등을 검사할 필요가 있다.For example, automobiles are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and electronic components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drivers and passengers, such as air conditioning systems and AV (Audio Video) systems. These electrical components provide user convenience and serve as an important factor in checking the vehicle's cond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spect whether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installed in the fully assembled vehicle are not operating or malfunctioning.

따라서, 차량의 생산 공장에서는 전장 부품들을 검사하는 공정이 존재하며, 수많은 차량을 한정된 시간 내에 검사하기 위해 전장 부품들을 진단하는 전자 제어 진단 장치를 사용한다.Accordingly, there is a process for inspecting electrical components in a vehicle production plant, and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diagnostic device that diagnoses electrical components is used to inspect numerous vehicles within a limited time.

이에, 차량에 통신 수단(진단 단자)을 구성하여 전장 부품들의 정보를 외부의 전자 제어 진단 장치에 출력한다.Accordingly, a communication means (diagnostic terminal) is configured in the vehicle to output information on electrical components to an external electronically controlled diagnostic device.

일반적으로 전자 제어 진단 장치는 유선 케이블을 통해 차량의 진단 단자에 연결되어 전장 부품의 상태를 진단한다. 예컨대, 전자 제어 진단 장치는 전장 부품을 관리하는 차량 제어기에 진단 요청 명령을 송신하고, 진단 요청 명령을 송신한 시간을 저장한다. 그리고, 차량 제어기는 진단 요청 명령에 근거하여 전자 부품을 검사하여 검사 결과를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자 제어 진단 장치로 송부한다.Typically, an electronic control diagnost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vehicle's diagnostic terminal through a wired cable to diagnose the status of electrical components. For example,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diagnostic device transmits a diagnosis request command to a vehicle controller that manages electrical components and stores the time when the diagnosis request command was transmitted. Then, the vehicle controller inspects the electronic components based on the diagnosis request command and transmits the inspection results to the electronic control diagnostic device through a wired cable.

그러면, 전자 제어 진단 장치는 검사 결과 및 진단 요청 명령을 송신한 시간과 검사 결과를 수신한 시간 간의 차이(이하, 응답 시간이라 함)를 확인하여 전장 부품들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진단한다.Then, the electronic control diagnostic device diagnoses whether the electrical components are operating normally by checking the differe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sponse time) between the time when the test result and diagnosis request command was transmitted and the time when the test result was received.

그런데, 생산 공장의 환경 특성으로 인해 전자 제어 진단 장치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스펙 보다 더 길게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차량 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검사 결과의 전송이 지연되어 응답 시간이 변동될 수 있다.However, due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ion plant, the wired cabl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iagnostic device is used longer than specified. As a result, transmission of inspection results output from the vehicle controller may be delayed, causing response time to fluctuate.

이 경우 전자 제어 진단 장치가 전장 부품의 상태를 오진단할 수 있다. 또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송수신되는 통신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하거나, 신호가 왜곡되어 통신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nic control diagnostic device may misdiagnose the status of electrical components. Additionally, noise may occur in communication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wired cable, or the signals may be distorted, causing communication errors.

또한, 자동차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자동차의 성능향상과 편의장치 개선 등의 목적으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자동차의 리콜 등 자동차 소유자의 안전 및 재산 보호를 위해 자동차관리법에 준하여 강제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In addition, car software updates are sometimes mad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car performance and convenience devices, but are also compulsory in accordance with the Automobile Management Act to protect the safety and property of car owners, such as car recalls.

하지만,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결과는 전적으로 제작사에 의존하여 관리가 되고 있어 소수의 차량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않고 운행할 소지가 있다.However, the software update results are managed entirely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mall number of vehicles may be driven without the software updat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4255호(2017.05.11.)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34255 (May 11, 201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유무 확인을 위해 자동차의 리콜 등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위협을 초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유무에 대하여 관리가 가능한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software updates that may pose a threat to the lives and property of citizens, such as recall of automobiles, in order to check the presence of software updates. The goal is to provide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cars that can be managed.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understanda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통신용 차량 단말기가 구비된 운행차; 상기 운행차의 상기 차량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운행차의 정보를 검사하는 운행차 검사부; 및 상기 운행차 검사부에 연결되면서 차량 제작사 서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운행차의 정보와 상기 차량 제작서 서버의 정보를 각각 검사하는 차량 검사기관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n operating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terminal for communication; a vehicle inspection unit connected to the vehicle terminal of the vehicle and inspecting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and a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that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vehicle inspection unit and is connected to a vehicle manufacturer server to inspect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vehicle and information on the vehicle manufacturer server, respectively.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검사기관 서버는, 상기 차량 제작사 서버로부터 상기 운행차에 대한 소프트웨어 버전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software version and software update history for the operating vehicle from the vehicle manufacturer server.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검사기관 서버는, 상기 차량 제작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소프트웨어 버전과 상기 운행차의 소프트웨어 버전의 동일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may check whether the software version provided from the vehicle manufacturer server is the same as the software version of the operating vehicle.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행차 검사부는, 상기 차량 단말기와 연결되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operating vehicle inspection unit may be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vehicle terminal.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행차 검사부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운행차의 전자장치를 검사 및 진단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operating vehicle inspection unit may inspect and diagnose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operating vehic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검사기관 서버는, 상기 운행차 검사부의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상기 운행차에 적용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버전과 상기 차량 검사기관 서버에 등록된 소프트웨어 버전을 비교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may compare a software version applied to the operating vehicle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operating vehicle inspection unit with a software version registered in 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검시기관 서버는, 등록된 소프트웨어 버전과 상기 운행차 검사부를 통해 검사된 상기 운행차에 적용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버전이 다를 경우 상기 차량 제작사 서버에 알려줄 수 있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may notify the vehicle manufacturer server if the registered software version is different from the software version applied to the vehicle inspected through the vehicle inspection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유무 확인을 위해 자동차의 리콜 등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위협을 초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유무에 대하여 관리가 가능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presence or absence of software updates that may pose a threat to people's lives and property, such as a car recall, in order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oftware update.

또한, 자동차 정기검사 주기에 따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유무를 확인이 가능하며, 제작사의 불법 업데이트 행위를 국가적인 치원에서 방지하여 자동차 운행 안전성 확보에 기여가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software updates according to the vehicle's regular inspection cycle, and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ensuring the safety of vehicle operation by preventing illegal update activities by manufacturers at the national level.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의 전체 개념 블록도이다.
도 2는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only .
1 is an overall conceptual block diagram of an automobi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utomobi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utomobi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xample for structural and functional explan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text. In other word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s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Meanwhil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them. It is intended to specify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의 전체 개념 블록도이고, 도 2는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n overall conceptual block diagram of an automobi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automobi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Figure 3 is a diagram of the automobi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is is a drawing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행차(100), 운행차 검사부(200) 및 차량 검사기관 서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driving vehicle 100, a driving vehicle inspection unit 200, and a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300.

운행차(100)는 통신용 차량 단말기(11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단말기(110)는 운행차(100)와 운행차 검사부(200) 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여기서, 차량 단말기(110)는 무선 OBD(On-Board Diagnostics) 커넥터일 수 있으며, 고속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저속 CAN 통신 및 K-라인(Line) 통신 중 어느 하나로 운행차 검사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단말기(110)는 Wi-Fi, IR,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FM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운행차 검사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The operating vehicle 100 may be equipped with a vehicle terminal 110 for communication. Specifically, the vehicle terminal 110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the operating vehicle 100 and the operating vehicle inspection unit 200. Here, the vehicle terminal 110 may be a wireless OBD (On-Board Diagnostics) connector, and the vehicle inspection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through any one of high-speed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low-speed CAN communication, and K-Line communication. can be connected to Additionally, the vehicle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inspection unit 200 using any one of Wi-Fi, IR, ZigBee, Bluetooth, and FM communication.

차량 단말기(110)는 운행차(100)의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운행차(100)의 사용자에게도 실시간으로 운행차(100)의 소프트웨어 버전이나 최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대한 정보나 차량 검사기관 서버(300)를 통한 운행차(100)의 검사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다.The vehicle terminal 110 is linked to the smartphone of the user of the vehicle 100 and provides real-time information to the user of the vehicle 100 about the software version or latest software update or 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 The inspection status of the operating vehicle 100 can be informed in real time through 300).

운행차 검사부(200)는 운행차(100)의 차량 단말기(110)와 연결되어 운행차(100)의 정보를 검사할 수 있다.The operating vehicle inspection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terminal 110 of the operating vehicle 100 and can inspect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vehicle 100.

운행차 검사부(200)는 차량 단말기(110)와 연결되는 무선통신모듈(210)이 구비될 수 있다.The operating vehicle inspection unit 200 may b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0 connected to the vehicle terminal 110.

운행차 검사부(200)는 무선통신모듈(210)을 통해 운행차(100)의 전자장치를 검사 및 진단할 수 있다.The operating vehicle inspection unit 200 can inspect and diagnose the electronic devices of the operating vehicl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0.

차량 검사기관 서버(300)는 운행차 검사부(200)의 무선통신모듈(210)로 운행차(100)에 적용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버전과 차량 검사기관 서버(300)에 등록된 소프트웨어 버전을 비교할 수 있다.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30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0 of the vehicle inspection unit 200 that can compare the software version applied to the vehicle 100 with the software version registered in 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300. .

구체적으로, 무선통신모듈(210)은 운행차(100)의 전자장치를 검사 및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운행차 검사부(200)와 운행차(100)에 설치된 전자장치와의 상호간에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자동차 전자장치의 검사 및 진단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용 통신모듈장치로서, 통신모듈본체와 통신모듈본체와 운행차(100)를 연결하여 주는 통신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0 communicates with the operating vehicle inspection unit 200, which inspects the electronic devices of the operating vehicle 100 and diagnoses abnormalities,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on the operating vehicle 100. It is a communication module device for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inspection and diagnosis of automobile electronic devices that functions as an interface, and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body and a communication cable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body and the operating vehicle 100.

통신모듈본체는 통신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운행차(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DC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통신모듈본체에 구비된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와 차량통신흐름제어부 측 제어를 통하여 캔통신부와 랜통신부를 비롯한 차량 통신의 흐름을 통제하거나 통신프로토콜에 의한 시리얼 통신라인의 차량 통신을 통제하여 연결되는 운행차(100)와의 통신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body receives power from the operating vehicle 100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or receives power through a DC adapter, and the power unit and vehicle communication flow that convert and supply the voltage required for each component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module body. Through control on the control unit sid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of vehicle communication, including the CAN communication unit and the LAN communication unit, or to manage communication data with the connected driving vehicle 100 by controlling vehicle communication on the serial communication lin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protocol.

차량 검사기관 서버(300)는 운행차 검사부(200)에 연결되면서 차량 제작사 서버(30)에 각각 연결되어 운행차(100)의 정보와 차량 제작사 서버(300)의 정보를 각각 검사할 수 있다.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30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inspection unit 200 and the vehicle manufacturer server 30, so that it can inspect information on the vehicle 100 and information on the vehicle manufacturer server 300,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차량 검사기관 서버(300) 또는 자동차검사시스템(VIMS)은 일반적인 서버의 형태로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라우터, 스위치, 방화벽, Web, WAS(Web Application Server), DB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지된 기술로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Specifically, 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300 or vehicle inspection system (VIMS) is a general server type, an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it includes routers, switches, firewalls, web, WAS (Web Application Server), DB, etc. May contain components. Since each component is a known technology, description here is omitted.

차량 검사기관 서버(300)는 차량 제작사 서버(30)로부터 운행차(100)에 대한 소프트웨어 버전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30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software version and software update history for the vehicle 100 from the vehicle manufacturer server 30.

차량 검사기관 서버(300)는 차량 제작사 서버(30)로부터 제공받은 소프트웨어 버전과 운행차(100)의 소프트웨어 버전의 동일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300 may check whether the software version provided from the vehicle manufacturer server 30 and the software version of the operating vehicle 100 are the same.

차량 검시기관 서버(300)는 등록된 소프트웨어 버전과 운행차 검사부(200)를 통해 검사된 운행차(100)에 적용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버전이 다를 경우 차량 제작사 서버(30)에 알려줄 수 있다.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300 may notify the vehicle manufacturer server 30 if the registered software version and the software version applied to the vehicle 100 inspected through the vehicle inspection unit 200 are differ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은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차량 검시기관 서버(300)에 연결되어 운행차(100)와 운행차 검사부(200)의 통신 상태를 표시하고 복수 개의 표시등(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표시등들은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의 온/오프를 표시하거나, 통신 연결 상태를 표시하거나, 데이터의 전송 진행 상태를 표시하거나, 데이터 전송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The vehic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not shown). The display unit is connected to 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300 to display the communication status of the vehicle 100 and the vehicle inspection unit 2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dicator lights (not shown). Each indicator light may include an LED element and may indicate power on/off,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us, data transmission progress, or whether an error has occurred in data transmission.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유무 확인을 위해 자동차의 리콜 등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위협을 초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유무에 대하여 관리가 가능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presence or absence of software updates that may pose a threat to people's lives and property, such as a car recall, in order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oftware update.

또한, 자동차 정기검사 주기에 따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유무를 확인이 가능하며, 제작사의 불법 업데이트 행위를 국가적인 치원에서 방지하여 자동차 운행 안전성 확보에 기여가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software updates according to the vehicle's regular inspection cycle, and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ensuring the safety of vehicle operation by preventing illegal update activities by manufacturers at the national level.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practice the inven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y combining them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Additionally,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reference relationship in the patent claims can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included as a new claim through amendment after filing.

10 : 정보관리 시스템
30 : 차량 제작사 서버
100 : 운행차
110 : 차량 단말기
200 : 운행차 검사부
210 : 무선통신모듈
300 : 차량 검사기관 서버
10: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30: Vehicle manufacturer server
100: operating car
110: vehicle terminal
200: Operating vehicle inspection department
21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Claims (7)

통신용 차량 단말기가 구비된 운행차;
상기 운행차의 상기 차량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운행차의 정보를 검사하는 운행차 검사부; 및
상기 운행차 검사부에 연결되면서 차량 제작사 서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운행차의 정보와 상기 차량 제작서 서버의 정보를 각각 검사하는 차량 검사기관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
A driving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terminal for communication;
a vehicle inspection unit connected to the vehicle terminal of the vehicle and inspecting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and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that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vehicle inspection unit and is connected to a vehicle manufacturer server to inspect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vehicle and information on the vehicle manufacturer server,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검사기관 서버는,
상기 차량 제작사 서버로부터 상기 운행차에 대한 소프트웨어 버전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
In claim 1,
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nformation on the software version and software update history for the operating vehicle is provided from the vehicle manufacturer serv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 검사기관 서버는,
상기 차량 제작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소프트웨어 버전과 상기 운행차의 소프트웨어 버전의 동일여부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
In claim 2,
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hecks whether the software version provided from the vehicle manufacturer server and the software version of the operating vehicle are the sam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행차 검사부는,
상기 차량 단말기와 연결되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
In claim 2,
The operating vehicle inspection department,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vehicle termin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운행차 검사부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운행차의 전자장치를 검사 및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
In claim 4,
The operating vehicle inspection department,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spects and diagnoses electronic devices of the vehic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량 검사기관 서버는,
상기 운행차 검사부의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상기 운행차에 적용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버전과 상기 차량 검사기관 서버에 등록된 소프트웨어 버전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
In claim 4,
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n automobile,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operating vehicle inspection unit compares a software version applied to the operating vehicle with a software version registered in 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량 검시기관 서버는,
등록된 소프트웨어 버전과 상기 운행차 검사부를 통해 검사된 상기 운행차에 적용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버전이 다를 경우 상기 차량 제작사 서버에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의 정보관리 시스템.
In claim 6,
The vehicle inspection agency server,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wherein if the registered software version and the software version applied to the vehicle inspected through the vehicle inspection unit are different, the vehicle manufacturer server is notified.
KR1020220165789A 2022-12-01 Automot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20240082446A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2446A true KR20240082446A (en) 2024-06-1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25231B (en) Vehicle carries out the method and system of remote failure detection on a kind of pair of production line
CN107765676A (en) A kind of onboard diagnostic system and its method based on Ethernet
US11887408B2 (en) Service event response tailoring
CN105511448A (en) Integrated automotive diagnostic instrument and diagnosing method thereof
CN106209410B (en) Method and device for repairing communication interruption by using gateway and intelligent joint block
JP4894396B2 (en)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device for in-vehicle electronic control device
CN104714441A (en) Intelligent cloud-based real-time automobile repair system
CN110928271A (en) Automobile self-service diagnosis method and system
CN112198863A (en) Diagnostic function control method, system, storage medium, vehicle-mounted communication box and vehicle
US9453785B2 (en) Method and method for troubleshooting a body work function pertaining to vehicles
CN104655947A (en) Vehicle-mounted antenna fault diagnosis method, vehicle-mounted antenna fault diagnosis device, and vehicle-mounted antenna fault diagnosis system
KR201900001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or monitoring vehicle control unit
KR20190119514A (en) On-board cybersecurity diagnostic system for vehicl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0995820A (en) Vehicle inspection system based on mobile phone APP, inspection method and registration method thereof
KR102392250B1 (en) Fire fighting special vehicle for remote self-diagnosis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JP2024054211A (en) Apparatus and program
KR1017342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vehicle
CN109885039A (en) A kind of fault remote/automatic diagnosis method of the anti-Fatigue equipment based on slave
CN104364104A (en) Method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functions and device for influencing functions in a motor vehicle
KR20240082446A (en) Automot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P2016055673A (en) Failure diagnosis device and electronic control device
CN105752000A (en) Automobile master control system
KR20200070634A (en) Korea Automobile Diagnosis Integrate System
US20220215702A1 (en) Method for diagnosing a slave computer communicating with a master computer
KR20220156057A (en) Device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onic control units of a motor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