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2081A -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2081A
KR20240082081A KR1020220166059A KR20220166059A KR20240082081A KR 20240082081 A KR20240082081 A KR 20240082081A KR 1020220166059 A KR1020220166059 A KR 1020220166059A KR 20220166059 A KR20220166059 A KR 20220166059A KR 20240082081 A KR20240082081 A KR 20240082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ion
item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지
Original Assignee
최명지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지 filed Critical 최명지
Publication of KR20240082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208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션업에 종사하는 1인 창조기업, 소규모 패션업체, 프리 랜서 디자이너, 다품종 소량 생산자 등 직접 의류의 디자인, 생산관리, 고객 관리와 결제정산, 마진수익계산까지 해야 하는 패션 소공인을 위한 원스톱 생산관리 도구 플랫폼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Clothing production and sales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션업에 종사하는 1인 창조기업, 소규모 패션업체, 프리 랜서 디자이너, 다품종 소량 생산자 등 직접 의류의 디자인, 생산관리, 고객 관리와 결제정산, 마진수익계산까지 해야 하는 패션 소공인을 위한 원스톱 생산관리 도구 플랫폼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인 의류 디자이너나 소규모로 운영되는 의류 제조, 판매업 체는 디자인부터 원부자재 소싱, 생산관리, 판매, 고객관리, 결제정산, 가격책정과 마진 계산 등 다양한 업무를 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일을 해야 하는 만큼 일의 집중도가 낮아지게 되고 출력물이나 메모, 기억에 의존하여 정보들이 분산된 만큼 재확인이 필요하거나, 업무 및 작업 동선이 늘어나는 등 효율성이 떨어지며 시간과 비용이 그만큼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직접 하는 일이 많으며 즉각적인 정보저장과 수의 계산 및 생산 스케쥴 관리가 어려운 소규모 사업자의 경우 더욱 심화되며, 이처럼 혼자 운영하는 제조판매 소상공인일수록 통장의 잔고로 마진을 확인해야 하는 등 주먹구구식 운영과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초기진입부터 대량 생산이 어려운 예비 패션브랜드부터 다품종 소량생산 디자이너와 직접 디자인을 하며 현장에서 고객응대와 판매까지 하는 소상공인 및 트랜드와 시장이 빠르게 바뀌는 현장 마켓 디자이너 등을 위해, 업무 중이나 이동 중에도 간단하게 입력과 수정이 가능하고 직접 디자인 생산한 제품들의 스케쥴과 이력, 재고관리, 고객관리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5529호(명칭: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식 의류 주문 방법; 공고일: 2002년01월17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창출된 것으로, 패션업에 종사하는 1인 창조기업, 소규모 패션업체, 프리 랜서 디자이너, 다품종 소량 생산자 등 직접 의류의 디자인, 생산관리, 고객 관리와 결제정산, 마진수익계산까지 해야 하는 패션 소공인을 위한 원스톱 생산관리 도구 플랫폼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서비스 관리 단말이 의류를 포함한 패션 아이템, 소재 및 사이즈에 대한 주문정보를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하거나, 상기 소비자 단말이 직접 주문정보를 전송 제공하면,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주문정보를 토대로 제작된 샘플 이미지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여, 아이템 결정 후 해당 아이템에 대한 주문 수량을 포함한 주문 여부 결정을 유도하는 디자인 결정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주문 결정된 아이템 디자인을 직접생산 또는 아웃소싱 생산 여부를 결정하는 생산 여부 결정 단계; 생산 여부 결정 시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자체 또는 아웃소싱 업체에 대한 보유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의 잔량 정보를 수집하여 생산 가능성을 판단하는 재고 파악 및 관리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아웃소싱 업체 또는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 공급 업체를 포함한 거래처 단말과 접속하여, 생산 일정 또는 자재 공급 계획 정보를 포함한 거래처 정보를 수집 저장 관리하는 거래처 관리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방문 고객 또는 주문 고객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 관리하는 고객 관리 단계; 상기 주문 결정된 아이템의 제작에 대한 원가, 도소매가, 마진률 및 수익률을 산출하고, 주문과 생산 및 판매와 관련된 대금 결제를 유도하고, 데이터화 하여 관리하는 회계 관리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아이템 주문과 제작 및 판매에 대한 일정 또는 소비자 접촉 일정을 관리하는 스케줄 관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전반의 단계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에 포함된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 플랫폼에 의해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디자인 결정 단계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아이템별 그림이나 실물사진을 업로드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이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소비자 단말이 직접 아이템별 그림이나 실물사진을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에 제공하면, 아이템 디자인을 특정하는 디자인 정보 처리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아이템별 소재 정보들을 업로드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이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소비자 단말이 직접 아이템별 소재 정보를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로 제공하면, 아이템 소재를 특정하는 소재 정보 처리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아이템별 설정된 사이즈를 업로드하여 소비자 단말이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소비자 단말이 직접 사이즈를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에 제공하면, 아이템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사이즈 정보 처리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상기 디자인 정보 처리 단계와 소재 정보 처리 단계 및 사이즈 정보 처리 단계에서 선택 또는 제공된 정보를 취합한 후 샘플 이미지를 제작하여 저장하는 한편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되,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아이템이 최종 확정될 때까지 아이템 수정 정보를 제공받아, 아이템이 최종 확정되면 수량과 인도 일정 및 인도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아이템 최종결정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생산 여부 결정 단계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최종 결정된 아이템에 대한 생산 가능성을 자체 생산 일정 및 재고 여부에 따라 판단 후, 일정 내 생산이 가능한 경우 자체 생산을 결정하고, 일정 내 생산이 불가한 경우 아웃소싱 업체 단말들과 접속하여, 생산 가능한 아웃소싱 업체가 있는지를 확인 또는 판단 후 주문 생산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최종 결정된 아이템의 주문 개수에 따라, 상기 재고 파악 및 관리 단계를 거쳐 자재 소요량과 재고량을 검토하고 필요량(생산 가능한 양)을 산출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 측으로 생산 후 인도 가능한 수량과 일정을 전송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이 최종 주문을 결정하면, 회계 관리 단계를 통해 산출된 판매 대금을 소비자 단말로 전송하여 결제를 유도한 후 일정에 따라 자체 생산 아웃소싱을 진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재고 파악 및 관리 단계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자체 누적 관리되는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 재고 정보를 파악하거나, 상기 아웃소싱 업체 또는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 공급 업체를 포함한 거래처 단말과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관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거래처 관리 단계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생산 주문된 아이템의 생산과 인도와 관련된 아웃소싱 업체 또는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 공급 업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단계로서, 상기 아웃소싱 업체 또는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 공급 업체를 포함한 거래처 단말과 접속하여, 생산 일정 또는 자재 공급 계획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공받아 저장 관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고객 관리 단계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소비자들의 주문 및 판매에 대한 누적 정보를 관리하는 한편,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아이템 주문을 위한 단계가 진행될 경우 상기 누적 정보로부터 해당 소비자의 성향과 최근 트랜드를 분석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판매자측 즉, 의류를 포함한 패션 디자이너와 프리랜서 또는 소규모 작업자 또는 제작자들을 위한 것이며, 기업에 속한 디자이너 또는 관련자에게도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의류를 포함한 패션 아이템별 디자인을 인형에 옷 입히기와 같이 직관적으로 손쉽게 편집하고 샘플링할 수 있도록 하여, 아이템별 디자인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주문하는 아이템에 대한 생산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비자 단말을 통해 주문되거나 주문 생산되는 아이템 또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을 통해 제작되는 아이템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 관리(소비자, 고객의 정보 관리)하면서, 각각의 소비자의 아이템 선호도 또는 시중 전체의 아이템 트랜드를 종합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지 단말로부터 주문된 아이템의 생산 판매 또는 자체 디자인 개발을 통한 생산 판매 시,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생산 계획, 제작 생산 진행, 대금 결제를 포함한 회계 처리, 주문 물품 인도 및 이를 위한 스케줄 관리 등 전반의 과정을 직관적이면서 불필요한 동선과 오차 및 많은 시간 투자 없이도 처리 및 확인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 운용자의 업무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계를 도시한 순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계를 좀더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아이템을 선택하는 예롤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아이템의 사이즈를 선택하는 예롤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케줄 관리 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의 네트워크 환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은 소비자 단말(10)과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 플랫폼(100)을 포함한 서비스 관리 단말(20) 및 거래처 단말(30)이 통신망(N)을 통해 네트워킹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통신망(N)을 포함한 네트워크는 통신 방식이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 플랫폼(100)은 상기 소비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거래처 단말(30)들과 연계하여 의류(패션 잡화 포함)에 대한 주문과 생산 및 판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 방법과 관련된 단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서비스 제공 주체인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의류를 포함한 패션 아이템, 소재 및 사이즈에 대한 주문정보를 소비자 단말(10)로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하거나, 상기 소비자 단말(10)이 직접 주문정보를 전송 제공하면,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주문정보를 토대로 제작된 샘플 이미지를 상기 소비자 단말(10)로 제공하여, 아이템 결정 후 해당 아이템에 대한 주문 수량을 포함한 주문 여부 결정을 유도하는 디자인 결정 단계(S10);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주문 결정된 아이템 디자인을 직접생산 또는 아웃소싱 생산 여부를 결정하는 생산 여부 결정 단계(S20); 생산 여부 결정 시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자체 또는 아웃소싱 업체에 대한 보유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의 잔량 정보를 수집하여 생산 가능성을 판단하는 재고 파악 및 관리 단계(S30);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아웃소싱 업체 또는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 공급 업체를 포함한 거래처 단말(30)과 접속하여, 생산 일정 또는 자재 공급 계획 정보를 포함한 거래처 정보를 수집 저장 관리하는 거래처 관리 단계(S40);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방문 고객 또는 주문 고객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 관리하는 고객 관리 단계(S50); 상기 주문 결정된 아이템의 제작에 대한 원가, 도소매가, 마진률 및 수익률을 산출하고, 주문과 생산 및 판매와 관련된 대금 결제를 유도하고, 데이터화 하여 관리하는 회계 관리 단계(S60); 및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아이템 주문과 제작 및 판매에 대한 일정 또는 소비자 접촉 일정을 관리하는 스케줄 관리 단계(S70); 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전반의 단계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에 포함된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 플랫폼에 의해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소비자 단말(10)을 통해 주문되는 아이템의 제작 생산 및 판매 인도할 수도 있으나,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을 이용하는 디자이너와 프리랜서 또는 소규모 작업자 또는 제작자들 즉 판매자 측에서 자체 온라인 쇼핑몰에 업로드하여 소비자의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별도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판매자측 즉, 의류를 포함한 패션 디자이너와 프리랜서 또는 소규모 작업자 또는 제작자들을 위한 것이며, 기업에 속한 디자이너 또는 관련자에게도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의류를 포함한 패션 아이템별 디자인을 인형에 옷 입히기와 같이 직관적으로 손쉽게 편집하고 샘플링할 수 있도록 하여, 아이템별 디자인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소비자 단말(10)에서 주문하는 아이템에 대한 생산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관리 단계들과 이들을 통해 처리된 결과물들은 필요에 따라 운용자가 선택과 수정 및 확인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아이템별 디자인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소비자 단말(10)에서 주문하는 아이템에 대한 생산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비자 단말(10)을 통해 주문되거나 주문 생산되는 아이템 또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을 통해 제작되는 아이템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 관리(소비자, 고객의 정보 관리)하면서, 각각의 소비자의 아이템 선호도 또는 시중 전체의 아이템 트랜드를 종합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지 단말(10)로부터 아이템이 주문되면,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생산 계획, 제작 생산 진행, 대금 결제를 포함한 회계 처리, 주문 물품 인도 및 이를 위한 스케줄 관리 등 전반의 과정을 직관적이면서 불필요한 동선과 오차 및 많은 시간 투자 없이도 처리 및 확인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 운용자의 업무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디자인 결정 단계(S10)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아이템별 그림이나 실물사진을 업로드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10)이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소비자 단말(10)이 직접 아이템별 그림이나 실물사진을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에 제공하면, 아이템 디자인을 특정하는 디자인 정보 처리 단계(S11);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아이템별 소재 정보들을 업로드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10)이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소비자 단말(10)이 직접 아이템별 소재 정보를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로 제공하면, 아이템 소재를 특정하는 소재 정보 처리 단계(S12);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아이템별 설정된 사이즈를 업로드하여 소비자 단말(10)이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소비자 단말(10)이 직접 사이즈를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에 제공하면, 아이템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사이즈 정보 처리 단계(S13);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상기 디자인 정보 처리 단계(S11)와 소재 정보 처리 단계(S12) 및 사이즈 정보 처리 단계(S13)에서 선택 또는 제공된 정보를 취합한 후 샘플 이미지를 제작하여 저장하는 한편 소비자 단말(10)로 제공하되, 상기 소비자 단말(10)로부터 아이템이 최종 확정될 때까지 아이템 수정 정보를 제공받아, 아이템이 최종 확정되면 수량과 인도 일정 및 인도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아이템 최종결정 단계(S14);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자인 정보 처리 단계(S11)와 소재 정보 처리 단계(S12) 및 사이즈 정보 처리 단계(S13)는 서비스 관리 단말(20) 또는 소비자 단말(10)에 활성화되는 응용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생산 여부 결정 단계(S20)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최종 결정된 아이템에 대한 생산 가능성을 자체 생산 일정 및 재고 여부에 따라 판단 후, 일정 내 생산이 가능한 경우 자체 생산을 결정하고, 일정 내 생산이 불가한 경우 아웃소싱 업체 단말들과 접속하여, 생산 가능한 아웃소싱 업체가 있는지를 확인 또는 판단 후 주문 생산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최종 결정된 아이템의 주문 개수에 따라, 상기 재고 파악 및 관리 단계(S30)를 거쳐 자재 소요량과 재고량을 검토하고 필요량(생산 가능한 양)을 산출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10) 측으로 생산 후 인도 가능한 수량과 일정을 전송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10)이 최종 주문을 결정하면, 회계 관리 단계(S60)를 통해 산출된 판매 대금을 소비자 단말(10)로 전송하여 결제를 유도한 후 일정에 따라 자체 생산 아웃소싱을 진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재고 파악 및 관리 단계(S30)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자체 누적 관리되는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 재고 정보를 파악하거나, 상기 아웃소싱 업체 또는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 공급 업체를 포함한 거래처 단말(30)과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관리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거래처 관리 단계(S40)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생산 주문된 아이템의 생산과 인도와 관련된 아웃소싱 업체 또는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 공급 업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단계로서, 상기 아웃소싱 업체 또는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 공급 업체를 포함한 거래처 단말(30)과 접속하여, 생산 일정 또는 자재 공급 계획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공받아 저장 관리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고객 관리 단계(S50)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소비자들의 주문 및 판매에 대한 누적 정보를 관리하는 한편, 상기 소비자 단말(10)로부터 아이템 주문을 위한 단계가 진행될 경우 상기 누적 정보로부터 해당 소비자의 성향과 최근 트랜드를 분석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회계 관리 단계(S60)는 상품 원가 및 수익률 산출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주문 결정된 아이템의 제작에 대한 원가, 도소매가, 마진률 및 수익률을 산출하고, 결제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상품 원가 및 수익률 산출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에서 산출된 상품 가격에 따라 소비자 단말(10) 또는 거래처 단말(30)로 주문과 생산 및 판매와 관련된 대금 청구와 결제 또는 지불을 유도하고, 회계장부 처리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통해 처리 결과를 데이터화 하여 관리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스케줄 관리 단계(S70)는 스케줄러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템 주문과 제작 및 판매에 대한 일정 또는 소비자 접촉 일정을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로 제공하여 확인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 플랫폼(100)은 서비스 관리 단말(20)에 탑재된 것으로, 상기 전반의 단계에 대한 입력과 처리 및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 플랫폼(100)은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과 소비자 단말(10)에 디자인 정보 처리 단계(S11)와 소재 정보 처리 단계(S12) 및 사이즈 정보 처리 단계(S13)를 처리하는 응용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관련된 단계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과 소비자 단말(10)에 활성화되는 응용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과 소비자 단말(10)은 상기한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의류를 포함한 패션 아이템에 대한 샘플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에 대해 예시 설명하자면,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을 사용하는 판매자 측 디자이너 또는 상기 소비자 단말(10)을 사용하는 소비자가 유저 인터페이스(UI)의 디자인 항목에서 아이템 중 하의를 선택하면, 다양한 하의와 관련된 그림 내지 사진과 같은 이미지들이 표출되고, 이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매칭 가능한 소재, 색상 및 문양들을 표출하여, 각각의 소재와 색상 및 문양들을 선택된 하의 아이템에 매칭시켜, 하의에 대한 디자인을 선택하도록 하고, 이후,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사이즈를 선택하거나 소비자 단말(10)이 직접 지정하는 사이즈를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아이템에 대한 샘플 이미지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아이템에 대한 최종 이미지가 완성되면,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이 최종 결정된 아이템에 대한 생산 가능성을 자체 생산 일정 및 재고 여부에 따라 판단 후, 일정 내 생산이 가능한 경우 자체 생산을 결정하고, 일정 내 생산이 불가한 경우 아웃소싱 업체 단말들과 접속하여, 생산 가능한 아웃소싱 업체가 있는지를 확인 또는 판단 후 주문 생산을 결정 하되, 상기 최종 결정된 아이템의 주문 개수에 따라, 상기 재고 파악 및 관리 단계(S30)를 거쳐 자재 소요량과 재고량을 검토하고 필요량(생산 가능한 양)을 산출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10) 측으로 생산 후 인도 가능한 수량과 일정을 전송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10)이 최종 주문을 결정하면, 회계 관리 단계(S60)를 통해 산출된 판매 대금을 소비자 단말(10)로 전송하여 결제를 유도한 후 일정에 따라 자체 생산 아웃소싱을 진행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은 상기 주문 결정된 아이템의 제작에 대한 원가, 도소매가, 마진률 및 수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품 가격에 따라 소비자 단말(10) 또는 거래처 단말(30)로 주문과 생산 및 판매와 관련된 대금 청구와 결제 또는 지불을 유도하고, 회계장부 처리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통해 처리 결과를 데이터화 하여 관리하며, 최종 생산된 아이템 즉 상품을 소비자 단말(10)이 저장한 주소로 배송 인도하거나 방문 인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에서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는데, 그 예로는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첨부 도면 도 7에 의하면, 상기 소비자와의 의류를 포함한 패션 아이템에 대한 주문 상담 및 주문, 아이템 디자인 제작 및 결정, 제작 생산, 인도, 대금 결제 등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대한 일정을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20)로 출력하여, 서비스 관리자, 판매자, 디자이너 등 의류 생산 및 판매와 관련된 관계자가 실시간 또는 설정된 시간에 앞서 스케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소비자 단말 20: 서비스 관리 단말
30: 거래처 단말 100: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 플랫폼

Claims (6)

  1. 서비스 관리 단말이 의류를 포함한 패션 아이템, 소재 및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하거나, 상기 소비자 단말이 직접 주문정보를 전송 제공하면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주문정보를 토대로 제작된 샘플 이미지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여, 아이템 결정 후 해당 아이템에 대한 주문 수량을 포함한 주문 여부 결정을 유도하는 디자인 결정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주문 결정된 아이템 디자인을 직접생산 또는 아웃소싱 생산 여부를 결정하는 생산 여부 결정 단계;
    생산 여부 결정 시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자체 또는 아웃소싱 업체에 대한 보유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의 잔량 정보를 수집하여 생산 가능성을 판단하는 재고 파악 및 관리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아웃소싱 업체 또는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 공급 업체를 포함한 거래처 단말과 접속하여, 생산 일정 또는 자재 공급 계획 정보를 포함한 거래처 정보를 수집 저장 관리하는 거래처 관리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방문 고객 또는 주문 고객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 관리하는 고객 관리 단계;
    상기 주문 결정된 아이템의 제작에 대한 원가, 도소매가, 마진률 및 수익률을 산출하고, 주문과 생산 및 판매와 관련된 대금 결제를 유도하고, 데이터화 하여 관리하는 회계 관리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아이템 주문과 제작 및 판매에 대한 일정 또는 소비자 접촉 일정을 관리하는 스케줄 관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전반의 단계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에 포함된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 플랫폼에 의해 진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결정 단계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아이템별 그림이나 실물사진을 업로드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이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소비자 단말이 직접 아이템별 그림이나 실물사진을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에 제공하면, 아이템 디자인을 특정하는 디자인 정보 처리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아이템별 소재 정보들을 업로드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이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소비자 단말이 직접 아이템별 소재 정보를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로 제공하면, 아이템 소재를 특정하는 소재 정보 처리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아이템별 설정된 사이즈를 업로드하여 소비자 단말이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소비자 단말이 직접 사이즈를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에 제공하면, 아이템의 사이즈를 특정하는 사이즈 정보 처리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상기 디자인 정보 처리 단계와 소재 정보 처리 단계 및 사이즈 정보 처리 단계에서 선택 또는 제공된 정보를 취합한 후 샘플 이미지를 제작하여 저장하는 한편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되,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아이템이 최종 확정될 때까지 아이템 수정 정보를 제공받아, 아이템이 최종 확정되면 수량과 인도 일정 및 인도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아이템 최종결정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여부 결정 단계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최종 결정된 아이템에 대한 생산 가능성을 자체 생산 일정 및 재고 여부에 따라 판단 후, 일정 내 생산이 가능한 경우 자체 생산을 결정하고, 일정 내 생산이 불가한 경우 아웃소싱 업체 단말들과 접속하여, 생산 가능한 아웃소싱 업체가 있는지를 확인 또는 판단 후 주문 생산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최종 결정된 아이템의 주문 개수에 따라, 상기 재고 파악 및 관리 단계를 거쳐 자재 소요량과 재고량을 검토하고 필요량을 산출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 측으로 생산 후 인도 가능한 수량과 일정을 전송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이 최종 주문을 결정하면, 회계 관리 단계를 통해 산출된 판매 대금을 소비자 단말로 전송하여 결제를 유도한 후 일정에 따라 자체 생산 아웃소싱을 진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파악 및 관리 단계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자체 누적 관리되는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 재고 정보를 파악하거나, 상기 아웃소싱 업체 또는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 공급 업체를 포함한 거래처 단말과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처 관리 단계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생산 주문된 아이템의 생산과 인도와 관련된 아웃소싱 업체 또는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 공급 업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단계로서,
    상기 아웃소싱 업체 또는 원자재, 부자재 및 소모품 공급 업체를 포함한 거래처 단말과 접속하여, 생산 일정 또는 자재 공급 계획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공받아 저장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관리 단계는,
    상기 서비스 관리 단말이 소비자들의 주문 및 판매에 대한 누적 정보를 관리하는 한편,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아이템 주문을 위한 단계가 진행될 경우 상기 누적 정보로부터 해당 소비자의 성향과 최근 트랜드를 분석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
KR1020220166059A 2022-12-01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 KR20240082081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2081A true KR20240082081A (ko) 2024-06-10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ftab et al. Super responsive supply chain: The case of Spanish fast fashion retailer Inditex-Zara
US7885867B2 (en) Enhance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supply chain execution processes in an outsourced manufacturing environment
Muffatto et al. Implementation of e-procurement and e-fulfillment processes: A comparison of cases in the motorcycle industry
US7136830B1 (en) Method of producing, selling, and distributing articles of manufacture through the automated aggregation of orders and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standardized shipping volumes
JP6522635B2 (ja) サプライ・チェーン管理システム
US7885857B1 (en) Appearel production method and system
KR100756001B1 (ko) 소비자들을 위한 상품 및 서비스의 직접 유통 시스템
JP3948429B2 (ja) 価格改訂方法及び価格改訂支援システム
US20030229526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supply chain solutions
JP2007505397A (ja) 需給不均衡を解決する最適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記憶媒体
US11720955B2 (en) Offline to online management system
KR20200042123A (ko) 인테리어 자재 주문정보 등록과 견적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060004598A1 (en) System for effecting customized pricing for goods or services
KR20000030107A (ko) 주문자 선택형 인터넷 상거래 시스템
Yeung et al. Innovative mass customization in the fashion industry
US20050288962A1 (en) Method for effecting customized pricing for goods or services
Aghazadeh MRP contributes to a company's profitability
KR100382837B1 (ko)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
KR101431428B1 (ko) 도소매 및 소비자간 수평적 주문 체결 시스템
KR102270645B1 (ko) 제조 협업을 위한 비즈니스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110270765A1 (en) Self Dispatching Method for Services
Bertolini et al. Requirements of an ERP enterprise modeller for optimally managing the fashion industry supply chain
US20220335354A1 (en) Integrating and automating supply and demand chains
KR20240082081A (ko) 의류 생산 및 판매 관리방법
Gibson et al. The strategic importance of e-commerce in modern supply ch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