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0333A -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 - Google Patents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0333A
KR20240080333A KR1020220163593A KR20220163593A KR20240080333A KR 20240080333 A KR20240080333 A KR 20240080333A KR 1020220163593 A KR1020220163593 A KR 1020220163593A KR 20220163593 A KR20220163593 A KR 20220163593A KR 20240080333 A KR20240080333 A KR 20240080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ver
hexahedron
geodesic dome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오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엠밴드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엠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에스엠밴드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80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033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06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spherical, semispherical or polyhedral connecting el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오데식 돔을 구성하는 꼭지점의 허브 커넥터에 오각 및 육각면체를 구성하는 틀체 프레임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지오데식 돔의 면체 연결부위를 통한 누수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지오데식 돔의 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오데식 돔(10)의 육각 면체(S1)와 오각 면체(S2)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육각 면체(S1)와 오각 면체(S2)의 꼭지점에 배치된 허브 커넥터(20)에 양단부가 조립되는 틀체 프레임(30)에 있어서,
상기 틀체 프레임(30)은, "ㅅ" 형상의 제1 커버받침판(32a)과 제2 커버받침판(32b)을 갖고 성형되어, 오각 면체(S2)와 육각 면체(S1) 또는 육각 면체(S1)와 육각 면체(S1)의 외측 테두리를 함께 구성하며, 체결부재(21)를 이용해 허브 커넥터(20)와 결합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 {frame for geodesic dome}
본 발명은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오데식 돔을 구성하는 꼭지점의 허브 커넥터에 오각 및 육각면체를 구성하는 틀체 프레임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지오데식 돔의 면체 연결부위를 통한 누수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지오데식 돔의 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건축 기술이 고도화되고 건축 재료, 건축 구조, 시공법이나 설계 등이 첨단화되면서 건축물을 시공하는 다양한 시공 방법, 구조, 시스템 등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지오데식 돔(Geodesic Dome)이다.
지오데식 돔은 독일 엔지니어인 Walther Bauersfeld가 설계한 구형 돔을 미국 디자이너인 Backiminster Fuller가 돔의 건설 방법과 제반 이론들을 세부적으로 정리한 후 '지오데식 돔' 이라는 용어로 불리고 있다.
지오데식 돔이란, 측지선(Geodesic line)을 따라 서로 장력이 작용하는 경량의 직선구조체를 연결시켜 만든 돔형 구조물을 말한다. 여기서 측지선은 원의 한 점에서 다른 지점까지 가는 가장 짧은 거리를 말한다.
지오데식 돔 특징을 설명하면, 구 형태에 가장 가까운 정이십면체를 분할하여 만든 돔을 특별히 지오데식 돔이라고 하는데, 상기 지오데식 돔은 큰 힘에도 변형이 거의 없는 육각프레임 및 오각프레임을 연결하는 구조로 지어졌기 때문에 돔 중에서도 가장 튼튼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지오데식 돔을 튼튼하고 큰 돔 형상으로 만들려면 철골을 이용하여 육각프레임 및 오각프레임의 뼈대를 삼각형 모양으로 만들면 적은 재료로 매우 가볍고 견고한 구조의 돔을 만들 수 있다.
돔형식의 구조물은 지진, 태풍 등의 자연재해에 강한 구조로서 원자력 발전소와 같이 주요시설이 돔 구조로 건설된 것을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는데, 같은 부피를 가지는 입체도형 중 가장 겉넓이가 작아 적은 재료로 넓은 공간을 얻을 수 있으며, 외부에 노출된 면적이 작아 냉난방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지오데식 돔을 지붕 또는 외벽으로 활용한 건축물이 바로 지오데식 돔 하우스인데, 축구공과 같이 정오각형과 정육각형의 프레임을 연결해 별도의 기둥(지지대)없이 건축물의 사이즈를 크게 또는 작게 설계하는 것이 용이하고, 지오데식 돔 하우스를 구성하는 외벽의 소재에 따라서 내부의 모든 공간에 자연광의 채광도 가능하기 때문에 축구장, 공연장, 행사장, 전시장, 창고 등과 같은 대형 건축물뿐만 아니라 가정용 소형 주택, 농작물 재배용 비닐하우스 대체용 등 대형 건축물에서 소형 건축물까지 그 활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지오데식 돔을 짓기 위해서는 골격이 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허브 커넥터와, 다수개의 연결된 프레임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덮는 패널이 필수적이며, 그 중에 커넥터는 지오데식 돔의 각 꼭지점 영역에 배치되어 지오데식 돔의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이웃한 것끼리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커넥터에 프레임을 결합하고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면에 패널이 결합됨에 따라 지오데식 돔이 완성될 수 있다.
즉, 지오데식 돔 타입 건축물은 다수 개의 프레임을 허브 커넥터에 연결하여 육각형상 및 오각형상을 갖는 틀 구조체가 형성되고, 상기 틀 구조체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육각 및 오각 형상의 다각형 패널을 연결하여 지오데식 돔 구조 형식의 외벽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 상기 틀 구조체에 설치되는 내벽 및 상기 틀 구조체, 패널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건축물의 부재들은 공장에서 제작될 수 있고, 현장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단시간 내에 어려움 없이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이즈의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지오데식 돔 타입 건축물은 오각형상 및 육각형상을 갖는 틀 구조체를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연결부위를 실리콘 등의 실링부재를 이용해 마감처리하여 빗물과 같은 외부 이물질이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었지만, 상기 프레임과 실링부재의 서로 다른 이형 재질 및 외부환경에 의해 실링부재가 박리되며 빗물이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따라서, 지오데식 돔 타입 건축물은 일정기간 마다 프레임의 연결부위와 실링부재 등을 검사하여야 함으로서 관리비가 대폭 증가하였지만, 비교적 작은 틈새를 확인할 수 없어 건축물 전체의 실링부재를 제거한 다음에 다시 실링부재를 재도포 함으로서, 관리가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 실링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1522호. 바이오 지오데식 돔 (등록일자 2007년 09월 18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오데식 돔의 구조적인 형상을 유지하면서 꼭지점에 위치한 허브 커넥터에 오각 및 육각 또는 육각 및 육각 면체를 구성하는 "ㅅ"형상의 틀체 프레임을 조립하여 누수 및 이물질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오각 또는 육각 면체의 틀을 형성하는 틀체 프레임에 면체의 내측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커버부재 및 커버고정체가 간편하게 조립되도록 구성하여, 지오데식 돔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틀체 프레임의 외면 양측에 커버삽입구가 구비되어 두께를 갖는 커버부재 간편하게 삽입 고정하여 면체의 내측 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틀체 프레임의 외면에 마감커버를 조립하여 누수방지 및 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오데식 돔(10)의 육각 면체(S1)와 오각 면체(S2)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육각 면체(S1)와 오각 면체(S2)의 꼭지점에 배치된 허브 커넥터(20)에 양단부가 조립되는 틀체 프레임(30)에 있어서,
상기 틀체 프레임(30)은, "ㅅ" 형상의 제1 커버받침판(32a)과 제2 커버받침판(32b)을 갖고 성형되어, 오각 면체(S2)와 육각 면체(S1) 또는 육각 면체(S1)와 육각 면체(S1)의 외측 테두리를 함께 구성하며, 체결부재(21)를 이용해 허브 커넥터(20)와 결합되게 구성한다.
또, 상기 틀체 프레임(30)의 제1 커버받침판(32a)과 제2 커버받침판(32b)은, 142.62도의 각도를 갖고 성형되어 오각 면체(S2)와 육각 면체(S1)의 외곽테두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138.19도의 각도를 갖고 성형되어 육각 면체(S1)와 육각 면체(S1)의 외곽테두리를 형성하게 성형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체 프레임(30)의 제1 커버받침판(32a)과 제2 커버받침판(32b)은, 허브 커넥터(20)에 조립되는 선단부가 120도의 각도를 갖는 첨탑형상으로 성형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틀체 프레임(30)에는, 외면 양측에 틀체끼움홈(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육각 면체(S1) 또는 오각 면체(S2)의 외면을 감싸는 제1커버부재(40)의 선단부를 상기 틀체끼움홈(31)에 배치하여, 상기 제1커버부재(40)의 외측에서 탄력을 갖는 커버고정체(45)가 틀체끼움홈(31)에 조립되면서 제1커버부재(40)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체 프레임(30)의 틀체끼움홈(31)에는, 내측 상면에 고정체걸림턱이 형성되어, 커버고정체(45)가 압축 삽입되게 하고, 삽입된 커버고정체(45)가 틀체끼움홈(31)의 하측에서 원복되며 제1커버부재(40)를 내벽으로 밀어 가압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틀체 프레임(30)의 틀체끼움홈(31)은, 내측 상면의 폭이 좁고 하면의 폭은 비교적 넓게 고정경사면(31a)을 갖고 성형되어, 커버고정체(45)가 압축 삽입되면서 고정경사면(31a)에서 틀체끼움홈(31)의 하측까지 점차적으로 원복되며 제1커버부재(40)를 내벽 양측으로 밀어 가압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체 프레임(30)은, 길이방향의 양측 선단에서 제1 커버받침판(32a)과 제2 커버받침판(32b)의 상측에 분리방지판(33)이 "ㄷ" 형상을 갖고 내측에 커버삽입구(34)를 갖게 형성하여, 비교적 단면 폭이 두꺼운 제2커버부재(43)를 상기 커버삽입구(34)에 조립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틀체 프레임(30)에는, 외측에 배치되어 틀체끼움홈(31)을 폐쇄하며 분리방지판(33)의 선단에 고리부(51)가 걸려 조립되는 마감커버(5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체 프레임(30)의 틀체끼움홈(31)에는, 고정경사면(31a)에 걸려지게 캡고정편이 저면에 돌출 형성된 마감캡(55)을 조립하여, 상기 틀체끼움홈(31)을 폐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오데식 돔의 구조적인 형상을 유지하면서 꼭지점에 위치한 허브 커넥터에 오각 및 육각 또는 육각 및 육각 면체를 구성하는 "ㅅ"형상의 틀체 프레임을 조립하여 누수 및 이물질 유입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 오각 또는 육각 면체의 틀을 형성하는 틀체 프레임에 면체의 내측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커버부재 및 커버고정체가 간편하게 조립되도록 구성하여, 지오데식 돔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틀체 프레임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작업효율이 증대된다.
그리고, 틀체 프레임의 외면 양측에 커버삽입구가 구비되어 커버부재를 삽입해 면체의 내측 공간을 차폐하여 단열, 소음차단 효과를 향상시키며, 틀체 프레임의 상부에 마감커버를 조립해 미관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인 틀체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인 틀체 프레임의 실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틀체 프레임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틀체 프레임의 제 1실시예인 조립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틀체 프레임의 제 2실시예인 조립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인 마감커버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틀체 프레임의 제 3실시예인 조립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ㅇ르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틀체 프레임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인 틀체 프레임의 경사 각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 4는 본 발명인 틀체 프레임의 평면 조립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틀체 프레임의 제 1실시예인 커버부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틀체 프레임의 제 2실시예인 커버부재 및 마감커버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인 마감커버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틀체 프레임의 제 3실시예인 커버부재 및 마감커버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오데식 돔(10)은, 도 1에서와 같이 육각 면체(S1) 및 오각 면체(S2)를 갖는 두 가지의 다각형 면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육각 면체(S1)와 오각 면체(S2)의 꼭지점에 배치된 허브 커넥터(20)에 틀체 프레임(30)의 양단부를 조립시켜 구성한다.
즉, 허브 커넥터(20)는 3방향의 분기된 허브받침면이 형성되어, 상기 분기된 허브받침면의 외측에 틀체 프레임(30)이 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허브 커넥터(20)가 오각형상 또는 육각형상의 꼭지점을 갖게 복수개의 틀체 프레임(30)과 조립되면서 육각 면체(S1) 및 오각 면체(S2)의 틀이 구성된다.
상기 틀체 프레임(30)은, 도 2 및 도 3의 (a) 및 (b)에서와 같이 "ㅅ" 형상의 제1 커버받침판(32a)과 제2 커버받침판(32b)을 갖고 성형되어 체결부재(21)를 이용해 허브 커넥터(20)와 결합되는데, 오각 면체(S2)와 육각 면체(S1)의 외곽테두리를 구성하는 제1 커버받침판(32a)과 제2 커버받침판(32b)은 142.62도의 각도를 갖고 성형되며, 육각 면체(S1)와 육각 면체(S1)의 외곽테두리를 구성하는 제1 커버받침판(32a)과 제2 커버받침판(32b)은 138.19도의 각도를 갖고 성형된다.
즉, 틀체 프레임(30)의 제1 커버받침판(32a)과 제2 커버받침판(32b)은, 오각 면체(S2)와 육각 면체(S1) 또는 육각 면체(S1)와 육각 면체(S1)의 정밀한 결합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의 설정된 각도로 틀체 프레임(30)에 경사진 면을 형성함으로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오각 면체(S2)와 육각 면체(S1)의 정밀한 정합이 이루어지고, 구조적인 강성을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틀체 프레임(30)의 제1 커버받침판(32a)과 제2 커버받침판(32b)이 허브 커넥터(20)의 허브받침면에 안착되어 체결부재(21)로 조립되는데, 상기 허브받침면은 3방향으로 분기되어 육각 면체를 형성하는 각은 서로 동일하고, 오각 면체를 형성하는 각은 상기 육각 면체를 형성하는 각 보다 작게 설계한다.
구체적으로, 허브 커넥터(20)의 허브받침면은 중앙의 허브받침면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120의 각도를 갖고 허브받침면이 3방향으로 분기되어지고, 좌,우 양측의 허브받침면은 108도의 각도를 갖고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허브받침면의 분기된 각도 합은 360도가 아니며,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허브 커넥터(20)의 허브받침면이 2차원 평면상에서 3방향으로 연장 성형되는 것이 아니라, 허브 커넥터(20)의 중앙으로부터 3방향의 허브받침면이 끝단으로 가면서 소정각도를 기울어져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허브 커넥터(20)의 중앙을 기준으로 3방향으로 분기된 허브받침면은 2개의 각도만 동일하고, 나머지 하나는 그보다 작게 설계됨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육각 면체(S1)와 오각 면체(S2)를 구성하는 복수의 틀체 프레임(30)을 정밀하게 결합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틀체 프레임(30)의 선단부는 도 4에서와 같이 허브 커넥터(20)의 허브받침면에 120도의 각도를 갖는 첨탑형상을 안착시켜 체결부재(21)로 조립하는데, 전술된 허브받침면의 각도에 대응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첨탑 형상의 선단 일부를 절단해 3방향에서 조립되는 틀체 프레임들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틀체 프레임(30)은, 도 5에서와 같이 외면 양측에 틀체끼움홈(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육각 면체(S1) 또는 오각 면체(S2)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기 위해 외면을 감싸는 제1커버부재(40)의 선단부를 상기 틀체끼움홈(31)에 배치시켜, 상기 제1커버부재(40)의 외측에서 탄력을 갖는 커버고정체(45)를 틀체끼움홈(31)에 조립하여 제1커버부재(40)를 고정하게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틀체 프레임(30)의 틀체끼움홈(31)은, 내측 상면의 폭이 좁고 하면의 폭은 비교적 넓게 고정경사면(31a)을 갖고 성형되어, 커버고정체(45)가 압축 삽입되면서 틀체끼움홈(31)의 하측에서 원복되며 제1커버부재(40)를 틀체끼움홈(31)의 내벽 양측으로 밀어 가압해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고정체(45)는 틀체 프레임(30)의 길이방향으로 성형된 틀체끼움홈(31)에 끼워져 비닐과 같이 얇은 두께의 커버부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일 예로 비닐하우스의 하우스 패드에 비닐을 고정시켜주는 코팅사철)된 것이며, 상기의 커버고정체 구성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틀체 프레임(30)의 틀체끼움홈(31)에는, 내측 상면에 고정체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커버고정체(45)가 압축 삽입되게 하고, 삽입된 커버고정체(45)가 틀체끼움홈(31)의 하측에서 원복된 상태에서 제1커버부재(40)를 내벽으로 밀어 가압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제1커버부재(40)를 당기는 과정에서 커버고정체(45)가 고정체걸림턱에 걸려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틀체 프레임(30)은 도 6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의 양측 선단에서 제1 커버받침판(32a)과 제2 커버받침판(32b)의 상측에 분리방지판(33)이 "ㄷ" 형상을 갖고 형성되어 내측에 커버삽입구(34)를 구비함으로서, 비교적 단면 폭이 두껍고 내부에 공기층이 구비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제2커버부재(43)를 상기 커버삽입구(34)에 조립되게 구성한다.
상기 제2커버부재(43)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적인 형상은 2겹 또는 3겹의 받침판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과 받침판 사이에 일정간격의 공기층이 형성되게 격실이 간격을 두고 연속해 일체 성형된다.
또, 상기 제2커버부재(43)는 육각 면체(S1) 및 오각 면체(S2)의 내측 공간에서 커버삽입구(34)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겹쳐진 상태로 삽입시켜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여, 상기 공기층을 갖는 격실에 의해 내부 및 외부와의 단열 및 방음 효과가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틀체 프레임(30)의 외측면에는 마감커버(50)를 더 장착하여, 외부에서 틀체 프레임(30)의 틀체끼움홈 및 제1커버부재(40)와 제2커버부재(43)를 더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마감커버(50)는, 틀체 프레임(30)의 분리방지판(33)에 양측 선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ㄷ" 형상의 고리부(51)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의 내측에 분리방지판(33)의 내벽에 걸려지는 고리고정턱이 돌출 구비되어 상기 분리방지판(33)의 일측에 고리부(51)를 우선 조립한 다음에 타측에 고리부를 젖혀 조립되게 하거나 또는 틀체 프레임(30)의 측면에서 마감부재를 끼워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마감커버(50)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을 갖고 다양한 색상을 갖게 사출 성형할 수 있으며, 외면을 코팅 처리하여 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허브 커넥터(20)에 결합된 틀체 프레임(30)에 첨탑 형상을 갖고 각각 조립되거나, 도 7에서와 같이 허브 커넥터(20)와 같이 3방향으로 분기된 마감연결구(52)를 갖고 복수의 틀체 프레임(30) 상부를 함께 마감하면서, 상기 마감연결구(52)의 일측으로 틀체 프레임(30)의 길이방향으로 조립되는 마감커버(50)를 연결해 조립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틀체 프레임(30)의 외측면에는 마감캡(55)이 배치되어, 마감캡()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캡고정편을 틀체끼움홈(31)의 고정경사면(31a)에 걸려지게 조립하여, 외부에서 상기 틀체끼움홈의 노출을 차단해 외부 이물질이 유입 및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마감캡(55)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을 갖고 다양한 색상을 갖게 사출 성형할 수 있으며, 외면을 코팅 처리하여 틀체 프레임(30)의 길이방향으로 마감캡(55)이 띠 형상의 색상을 갖고 배치되어 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지오데식 돔 20 : 허브 커넥터
30 : 틀체 프레임 31 : 틀체끼움홈
32 : 커버받침판 33 : 분리방지판
34 : 커버삽입구 40 : 제1커버부재
43 : 제2커버부재 50 : 마감커버
S1 : 육각 면체 S2 : 오각 면체

Claims (9)

  1. 지오데식 돔의 육각 면체와 오각 면체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육각 면체와 오각 면체의 꼭지점에 배치된 허브 커넥터에 양단부가 조립되는 틀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틀체 프레임은, "ㅅ" 형상의 제1 커버받침판과 제2 커버받침판을 갖고 성형되어, 오각 면체와 육각 면체 또는 육각 면체와 육각 면체의 외측 테두리를 함께 구성하며, 체결부재를 이용해 허브 커넥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 프레임의 제1커버받침판과 제2커버받침판은,
    142.62도의 각도를 갖고 성형되어 오각 면체와 육각 면체의 외곽테두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138.19도의 각도를 갖고 성형되어 육각 면체와 육각 면체의 외곽테두리를 형성하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 프레임의 제1커버받침판과 제2커버받침판은,
    허브 커넥터에 조립되는 선단부가 120도의 각도를 갖는 첨탑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 프레임에는,
    외면 양측에 틀체끼움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육각 면체 또는 오각 면체의 외면을 감싸는 제1커버부재의 선단부를 상기 틀체끼움홈에 배치하여, 상기 제1커버부재의 외측에서 탄력을 갖는 커버고정체가 틀체끼움홈에 조립되면서 제1커버부재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 프레임의 틀체끼움홈에는,
    내측 상면에 고정체걸림턱이 형성되어, 커버고정체가 압축 삽입되게 하고, 삽입된 커버고정체가 틀체끼움홈의 하측에서 원복되며 제1커버부재를 내벽으로 밀어 가압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 프레임의 틀체끼움홈은,
    내측 상면의 폭이 좁고 하면의 폭은 비교적 넓게 고정경사면을 갖고 성형되어, 커버고정체가 압축 삽입되면서 틀체끼움홈의 하측에서 원복되며 제1커버부재를 내벽 양측으로 밀어 가압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 프레임은,
    길이방향의 양측 선단에서 제1커버받침판과 제2커버받침판의 상측에 분리방지판이 "ㄷ" 형상을 갖고 내측에 커버삽입구를 갖게 형성하여, 비교적 단면 폭이 두꺼운 제2커버부재를 상기 커버삽입구에 조립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 프레임에는,
    외측에 배치되어 틀체끼움홈을 폐쇄하며 분리방지판의 선단에 고리부가 걸려 조립되는 마감커버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 프레임의 틀체끼움홈에는,
    고정경사면에 걸려지게 캡고정편이 저면에 돌출 형성된 마감캡을 조립하여, 상기 틀체끼움홈을 폐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
KR1020220163593A 2022-11-30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 KR20240080333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0333A true KR20240080333A (ko) 2024-06-0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69194B (zh) 模块拼接结构
US6708455B1 (en) Polyhedral fabricated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357962B1 (ko) 조립식 재배용 용기의 조립세트 및 조립식 재배용 용기
KR20180085984A (ko) 스틸 돔 하우스 제작을 위한 유닛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틸 돔 하우스 제작 방법
BR112014031596B1 (pt) Sistema de construção e painel para um sistema de construção
US9816263B2 (en) Pre-fabricated dome
KR20240080333A (ko) 지오데식 돔용 틀체 프레임
CN106894552A (zh) 幕墙龙骨单元、幕墙单元件及幕墙结构
KR20190001737U (ko) 구형 텐트 프레임
US20190382998A1 (en) Construction structure of geodesic dome-shaped house and connection structure body thereof
JP2019532204A (ja) 建築構造
KR20180000163U (ko) 행사장 구조물용 블럭 조립체
KR20180005986A (ko) 기밀성이 향상된 조립식 돔 하우스
KR101921633B1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 연결 구조체
WO2012029297A1 (ja) 組立式植栽用容器の組立てセット及び組立式植栽用容器
CN206418645U (zh) 一种半球形网壳结构组装房屋
JP5049411B1 (ja) 組立式植栽用容器の組立てセット及び組立式植栽用容器
KR200493083Y1 (ko) 프레임 커넥터
US20240175252A1 (en) Geodesic dome structure including vertical doorway
KR102497758B1 (ko) 조립식 돔형 건축물 및 조립식 돔형 건축물의 설치 방법
GB2561353A (en) Pre-fabricated dome
JP2019060216A (ja) 球面三角パネルドーム建築構造体
KR20200033651A (ko) 골조와 판넬의 각개 조립구조를 갖는 카보네이트 온실
KR100970507B1 (ko) 조립식 구조물의 커넥터 구조체
JP7028670B2 (ja) 簡易床および簡易ベッド用ユニ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