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3273A -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3273A
KR20240073273A KR1020220154634A KR20220154634A KR20240073273A KR 20240073273 A KR20240073273 A KR 20240073273A KR 1020220154634 A KR1020220154634 A KR 1020220154634A KR 20220154634 A KR20220154634 A KR 20220154634A KR 20240073273 A KR20240073273 A KR 20240073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terminal
daily life
curren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정훈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플러스헬스케어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플러스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플러스헬스케어
Publication of KR20240073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327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Abstract

대면 방식과 비대면 방식을 혼합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 처방, 일상 생활 관리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대면 헬스케어와 비대면 헬스케어를 혼합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진료, 처방, 일생상활 관리 및 모니터링을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종합적인 헬스케어를 통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HYBRID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 대면 방식과 비대면 방식을 혼합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 처방, 일상 생활 관리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만성질환은 심근경색, 뇌졸중과 같은 심뇌혈관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중증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평상시 철저한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러 치료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 많은 이들이 만성질환으로 인해 사망하고 있다. 즉, 다수의 환자들이 만성 질환을 진단받고 인지하고 있으며, 치료받고 관리 받고 있음에도 다양한 합병증 및 이로 인한 사망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점을 통해서, 만성질환의 관리에 있어서 미충족 수요(unmet needs)가 있다고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만성질환 솔루션들이 등장하였으나 성공한 예는 거의 없다.
또한 다수의 만성질환 환자들은 병원을 방문해서 약을 처방받고 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약을 복용하는 것 외에는 만성질환 관리에 애쓰지 않으며, 관리에 의지가 있는 일부 환자들은 운동을 하거나 인터넷에서 정보를 얻어 식이요법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실은 대부분의 만성질환 환자들에서 진료현장에서의 관리와 평상시 생활에서의 관리가 분리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28544호(2001.04.06. 공개)에서는 원격치료를 위한 식사요법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28544호(2001.04.06. 공개)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대면 헬스케어와 비대면 헬스케어를 혼합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진료, 처방, 일생상활 관리 및 모니터링을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종합적인 헬스케어를 통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며, 직장인을 위한 하이브리드 케어 솔루션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역사회 노약자를 위한 하이브리드 케어 솔루션을 제공하고, 특히, 복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무관심 등을 개선하기 위한 복약 관리 차원에서의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환자 스스로 복약 관리 뿐만 아니라 건강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환자의 건강 관리를 위한 전문가 집단의 종합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환자 관리가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대면 헬스케어와 비대면 헬스케어를 혼합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진료, 처방, 일생상활 관리 및 모니터링을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종합적인 헬스케어를 통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며, 직장인을 위한 하이브리드 케어 솔루션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역사회 노약자를 위한 하이브리드 케어 솔루션을 제공하고, 특히, 복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무관심 등을 개선하기 위한 복약 관리 차원에서의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환자 스스로 복약 관리 뿐만 아니라 건강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환자의 건강 관리를 위한 전문가 집단의 종합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환자 관리가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현재 상태를 입력하는 코치진 단말, 상기 코치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환자 상태 분석부 및 상기 코치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수신하고,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상기 환자 상태 분석부의 상기 환자에 대한 분석 결과를 매칭하는 매칭부 및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상기 매칭부의 매칭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피드백을 분석하는 피드백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 상태 분석부는 상기 피드백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코치진 단말은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다수의 환자를 특정 그룹으로 설정하고, 특정 그룹에 해당하는 다수의 환자 중에서 특정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환자에게 대응하는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그룹내 환자들 중에서 현재 특정 환자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치진 단말이 환자의 현재 상태를 입력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상기 코치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한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코치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는 환자 상태 분석부가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통신부가 상기 코치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코치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는 매칭부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상기 환자 상태 분석부의 상기 환자에 대한 분석 결과를 매칭하는 단계 및 저장부가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상기 매칭부의 매칭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코치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피드백 분석부가 상기 환자의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피드백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 상태 분석부가 상기 피드백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치진 단말이 환자의 현재 상태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코치진 단말이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다수의 환자를 특정 그룹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코치진 단말이 상기 특정 그룹에 해당하는 다수의 환자 중에서 특정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코치진 단말이 상기 특정 환자에게 대응하는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그룹내 환자들 중에서 현재 특정 환자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대면 헬스케어와 비대면 헬스케어를 혼합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진료, 처방, 일생상활 관리 및 모니터링을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종합적인 헬스케어를 통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며, 직장인을 위한 하이브리드 케어 솔루션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역사회 노약자를 위한 하이브리드 케어 솔루션을 제공하고, 특히, 복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무관심 등을 개선하기 위한 복약 관리 차원에서의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환자 스스로 복약 관리 뿐만 아니라 건강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환자의 건강 관리를 위한 전문가 집단의 종합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환자 관리가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환자 정보(기본정보)에 대한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환자의 현재 상태 분석 결과 출력에 대한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환자의 현재 상태 분석 결과 출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매칭부의 매칭 기준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그룹 케어 분석 결과, 특정 환자의 주간 변화 및 해당 케어를 시작한 이후 주간 변화에 대한 예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환자 정보(기본정보)에 대한 예시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환자의 현재 상태 분석 결과 출력에 대한 예시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환자의 현재 상태 분석 결과 출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예시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매칭부의 매칭 기준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그룹 케어 분석 결과, 특정 환자의 주간 변화 및 해당 케어를 시작한 이후 주간 변화에 대한 예시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10)은 코치진 단말(100), 관리 서버(200),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고, 관리 서버(200)는 환자 상태 분석부(210), 통신부(220), 매칭부(230), 저장부(240), 피드백 분석부(250), 보상 판단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 단말(300) 및 코치진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기기 및 통신 칩이 포함되어,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며,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랩탑 등 다양한 장비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코치진은 비만관리 서비스, 만성질환관리 서비스 등의 헬스케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의료진(의사, 간호사)뿐만 아니라, 영양사, 운동치료사 등의 다양한 방면에서 헬스케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코치진 단말(100), 관리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 간에 데이터 송수신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가능하며, 유무선 통신에 대한 통신 방법은 특정 통신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치진 단말(100)은 환자의 현재 상태를 입력할 수 있고, 코치진 단말(100)은 환자의 현재 상태를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환자의 현재 상태는 환자의 질병과 관련된 상태와 더불어 BMI, 체지방량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이 환자 정보(기본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은 환자 정보(기본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 정보(기본정보)는 환자의 알레르기 여부, 질병 관련하여 진단받은적이 있는지 여부, 당뇨 진단 여부, 암 진단 여부, 복용중인 약이 있다면 해당 약에 대한 정보, 특정 수술을 받았는지 여부, 가족력(부모, 형제/자매, 자녀가 진단받은 질환이 있는지 여부, 진단받은 질환이 있다면 어떠한 질환인지), 생활 습관(흡연 여부, 흡연 기간, 금연 여부, 음주 횟수, 주량 등), 운동 정보(저강도 운동, 중강도 운동, 고강도 운동 등의 운동 수행 여부), 식사 여부(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정보(기본정보)는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성별, 나이, 현재 진행 중인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의 종류(비만, 만성질환 등), 담당 코치진 등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설명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하는 환자 정보(기본정보)에 대한 예시라고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일 실시예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10)에서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뿐만 아니라, 코치진 단말(100)에게도 환자 정보(기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코치진 단말(100)은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다수의 환자를 특정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고, 특정 그룹에 해당하는 다수의 환자 중에서 특정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할 수 있으며, 특정 환자에게 대응하는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그룹내 환자들 중에서 현재 특정 환자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특정 환자의 상황은 현재 특정 환자의 상황이 그룹내 환자들 가운데서 어느정도 수준인지 또는 그룹내 환자들 중에서 개선되고 있는 상황이 어느정도 수준인지 등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40)는 환자 정보(기본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환자 정보(기본정보)는 코치진 단말(100)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통신부(220)는 저장부(240)가 저장하고 있는 환자 정보(기본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은 통신부(220)로부터 수신한 환자 정보(기본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코치진 단말(100)로부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할 수 있고, 관리 서버(200)는 코치진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현재 상태를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의 현재 상태는 기존에 건강검진을 받았다면, 해당 건강검진 결과를 포함할 수 있고, 코치진의 판단 결과 해당 환자의 건강 상태(질병 유무, 체지방, BMI 등의 신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 상태 분석부(210)는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 상태 분석부(210)는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함에 있어서, 통신부(220)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환자 정보(기본정보)를 반영하여 분석할 수 있다.
즉, 단순히 체중이 80Kg으로 동일하다고 하여, 환자의 현재 상태 분석 결과가 동일하다면, 이는 개인에게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바, 환자 정보(기본정보)를 반영하여,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환자에게 최적화된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체중이 80Kg으로 동일하지만 체지방량 및 근육량의 차이에 따라 비만여부가 달라질 것이며, 이에 따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이 달리질 수 있기 때문에, 환자 상태 분석부(210)는 환자 각각에게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환자 정보를 반영하여 환자의 현재 상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의 현재 상태 분석 결과는 일반적인 경우와 비교할 때, 환자의 현재 상태가 어느정도 수준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백분율 등을 통해 환자의 현재 상태를 설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20)는 환자의 현재 상태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300) 및 코치진 단말(10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 및 코치진 단말(100) 중 적어도 하나는 통신부(220)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현재 상태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환자의 현재 상태 분석 결과 출력에 대한 예시는 도 4 및 도 5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코치진 단말(100)로 환자 상태 분석부(210)가 분석한 환자의 현재 상태를 송신할 수 있으며, 코치진 단말(100)은 환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한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통신부(22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은 환자에게 최적화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운동량, 식단 메뉴, 환자의 현재 질병 상황 및 개선을 위한 주요 과업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20)는 코치진 단말(100)로부터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수신할 수 있고, 통신부(220)는 코치진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은 통신부(220)로부터 수신한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출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 소유자는 본인에게 최적화된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실천함으로써, 질병 치료 및 치료 이후 건강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이 출력하는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예시는 도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매칭부(230)는 통신부(220)가 코치진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과 환자 상태 분석부(210)가 분석한 환자에 대한 분석 결과를 매칭할 수 있다.
즉, 매칭부(230)는 통신부(220)가 코치진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분석하여 현재 환자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코치진을 매칭할 수 있다.
이러한 매칭에 대한 기준은 도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코치진 단말(100)은 통신부(220)로 코치진 전문 분야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저장부(240)는 통신부(220)가 수신한 코치진 전문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매칭부(230)는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분석하여 현재 환자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코치진을 저장부(240)가 저장하고 있는 코치진 전문 분야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환자와 특정 코치진을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20)는 매칭부(230)의 특정 환자 및 특정 코치진의 매칭 결과를 사용자 단말(300) 및 코치진 단말(10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환자의 현재 상태,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매칭부(230)의 매칭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 상태 분석부(210)는 저장부(240)가 저장하고 있는 환자의 현재 상태를 이용하여, 특정 환자의 현재 상태가 특정 그룹에 속한 환자들 중에서 어느 정도 수준인지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의 분석 결과는 그룹 케어 분석 결과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특정 그룹(비만 케어)에 속한 A환자의 경우, 체지방율이 25%이라면, 특정 그룹(비만 케어)의 평균 체지방율 및 체지방율이 적은 순위 등을 반영하여 A환자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환자 상태 분석부(210)는 분석할 수 있으며, 해당 분석 결과는 그룹 케어 분석 결과로 정의될 수 있고, 통신부(220)는 그룹 케어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300) 및 코치진 단말(10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할 수 있고, 저장부(240)는 그룹 케어 분석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 상태 분석부(210)는 특정 그룹(비만 케어)에서 특정 환자의 주간 변화 및 해당 케어를 시작한 이후 주간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 및 코치진 단말(100) 중 적어도 하나는 수신한 그룹 케어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20)는 특정 환자의 주간 변화 및 해당 케어를 시작한 이후 주간 변화를 사용자 단말(300) 및 코치진 단말(10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할 수 있고, 저장부(240)는 그룹 케어 분석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 및 코치진 단말(100) 중 적어도 하나는 수신한 특정 환자의 주간 변화 및 해당 케어를 시작한 이후 주간 변화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 케어 분석 결과 및 특정 환자의 주간 변화 및 해당 케어를 시작한 이후 주간 변화는 도 8을 참고하면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특정 그룹의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비만 케어로 특정하였으나, 비만 케어로 한정되지 않으며, 비만 케어, 당뇨, 고혈압 등의 질병 케어 등 다양한 케어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환자가 기존에 건강검진을 받은 내역이 있는 경우, 해당 건강검진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분석부(250)는 통신부(220)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피드백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피드백은 환자가 복약을 정확히 하였는지 여부, 코치진의 지시사항에 따라 식단을 조절하였는지 여부, 코치진의 지시사항에 따라 운동을 수행하였는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 상태 분석부(210)는 피드백 분석부(250)의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환자의 현재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분석부(250)는 환자 상태 분석부(210)의 갱신되기 전의 환자의 현재 상태 분석 결과 및 갱신된 환자의 현재 상태 분석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통신부(220)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피드백이 정확한 피드백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실제로 사용자 단말(300) 소유자가 복약을 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300)이 통신부(220)로 환자가 복약을 정확히 하였다는 내용이 포함된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피드백을 송신한 경우, 피드백 분석부(250)는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피드백이 반영되기 전의 환자 상태 분석부(210)의 환자의 현재 상태 분석 결과와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피드백이 반영된 환자 상태 분석부(210)의 환자의 현재 상태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실제 사용자 단말(300) 소유자가 복약을 제대로 하였는지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복약 여부에 따라 발생하는 기본적인 환자의 상태 변화를 이용하여, 피드백 분석부(250)가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갱신된 환자의 현재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300)로 갱신된 환자의 현재 상태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현재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 상태 분석부(210)의 환자의 현재 상태 갱신 결과를 고려하여, 기준 시점 이전 대비 환자의 현재 상태가 좋아졌다는 진단 내용을 통신부(220)가 코치진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보상 판단부(260)는 보상 내역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보상 내역을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후, 피드백 분석부(250)가 분석 결과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피드백이 거짓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보상 판단부(260)는 보상 내역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보상 내역을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상 판단부(260)의 보상 내역은 현금성 포인트, 추가 헬스케어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 소유자의 현재 상태 개선을 위한 노력을 독려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코치진 단말(100)은 환자의 현재 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S930)
또한, 코치진 단말(100)은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다수의 환자를 특정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코치진 단말(100)이 특정 그룹에 해당하는 다수의 환자 중에서 특정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코치진 단말(100)이 특정 환자에게 대응하는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그룹내 환자들 중에서 현재 특정 환자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200)는 코치진 단말(100)로부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S931)
또한, 환자 상태 분석부(210)는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20)는 코치진 단말(100)로부터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매칭부(230)는 통신부(220)가 수신한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환자 상태 분석부(210)의 환자에 대한 분석 결과를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40)는 환자의 현재 상태,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매칭부(230)의 매칭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S932)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은 통신부(220)로부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 분석부(250)는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피드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상태 분석부(210)는 피드백 분석부(250)의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환자의 현재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은 수신한 환자의 현재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S933)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 100: 코치진 단말
200: 관리 서버 210: 환자 상태 분석부
220: 통신부 230: 매칭부
240: 저장부 250: 피드백 분석부
260: 보상 판단부 300: 사용자 단말

Claims (8)

  1. 환자의 현재 상태를 입력하는 코치진 단말;
    상기 코치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환자 상태 분석부;및
    상기 코치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수신하고,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상기 환자 상태 분석부의 상기 환자에 대한 분석 결과를 매칭하는 매칭부;및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상기 매칭부의 매칭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환자의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피드백을 분석하는 피드백 분석부;
    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 상태 분석부는
    상기 피드백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갱신하는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치진 단말은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다수의 환자를 특정 그룹으로 설정하고, 특정 그룹에 해당하는 다수의 환자 중에서 특정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환자에게 대응하는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그룹내 환자들 중에서 현재 특정 환자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
  5. 코치진 단말이 환자의 현재 상태를 입력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상기 코치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한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코치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는
    환자 상태 분석부가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및
    통신부가 상기 코치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코치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는
    매칭부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상기 환자 상태 분석부의 상기 환자에 대한 분석 결과를 매칭하는 단계;및
    저장부가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상기 매칭부의 매칭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코치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피드백 분석부가 상기 환자의 상기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에 대한 피드백을 분석하는 단계;및
    상기 환자 상태 분석부가 상기 피드백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치진 단말이 환자의 현재 상태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코치진 단말이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다수의 환자를 특정 그룹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코치진 단말이 상기 특정 그룹에 해당하는 다수의 환자 중에서 특정 환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및
    상기 코치진 단말이 상기 특정 환자에게 대응하는 일상 생활 가이드 라인 및 그룹내 환자들 중에서 현재 특정 환자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
KR1020220154634A 2022-11-17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73273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3273A true KR20240073273A (ko) 2024-05-2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0795B2 (ja) ユーザおよび装置との合成インタラクション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Bravata et al. Using pedometers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and improve health: a systematic review
Greenwood et al. Telehealth remote monitoring systematic review: structured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and impact on A1C
Drincic et al. Evidence-based mobile medical applications in diabetes
US10665344B2 (en) Personalized management and comparison of medical condition and outcome based on profiles of community patients
Sy et al. Caring for older adults with diabet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N113436693A (zh) 完全自主的医疗解决方案(我的医生)
WO2022217051A1 (en) Efficiently training and evaluating patient treatment prediction models
Dhediya et al. Role of telemedicine in diabetes management
Mitka Getting religion seen as help in being well
CN113724818A (zh) 在诊疗过程中推送医嘱数据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Abedin et al. AI in primary care, preventative medicine, and triage
JP2003178142A (ja) 遠隔診療システム
Pereira et al. Leaving the practice: effects of primary care physician departure on patient care
Horvat et al. High-flow nasal cannula use and patient-centered outcomes for pediatric bronchiolitis
KR20240073273A (ko) 하이브리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uehn IOM: data on health of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rsons needed
TWI749621B (zh) 用藥提醒與回報系統及其實施方法
Liu et al. Express medicine—potential for home-based medical care
Nautiyal et al. Role of digital healthcare in the well-being of elderly people: a systematic review
Vasilevskis The challenges of diabetes medication management at hospital discharge in older adults
Voelker A First in Stroke Rehabilitation
KR102542675B1 (ko) 항암제의 부작용 치료를 위한 원격 치료 서버 및 그에 관한 방법
Tiwari DHANWANTARI: AN ANDROID APPLICATION TO INCREASE SERVICE DELIVERY IN HEALTHCARE INDUSTRY
Su et al. A Service Oriented Tele-health Promotion Information System with Mobil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