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0994A - Battery having a plurality of beading portions - Google Patents

Battery having a plurality of beading por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0994A
KR20240070994A KR1020220152594A KR20220152594A KR20240070994A KR 20240070994 A KR20240070994 A KR 20240070994A KR 1020220152594 A KR1020220152594 A KR 1020220152594A KR 20220152594 A KR20220152594 A KR 20220152594A KR 20240070994 A KR20240070994 A KR 20240070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eading
electrode
coupling
electro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2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복천희
성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5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0994A/en
Publication of KR20240070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09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는, 전극 조립체가 내부에 수용된 전지로서,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극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전지 하우징; 상기 전극 조립체의 특정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집전체; 상기 전지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며, 전지의 중심축을 향해 압입되어 형성되는 제1 비딩부; 및 상기 제1 비딩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전지의 중심축을 향해 압입되어 형성되는 제2 비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제1 비딩부 및 제2 비딩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서 상기 전지 하우징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and includes a battery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and accommodating the upper electrode assembly through the opening;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pecific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 first bead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and formed by press-fitting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battery; and a second beading portion formed below the first beading portion and press-fitted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battery.
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battery housing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eading portion and the second beading portion.

Description

복수의 비딩부를 구비한 전지{BATTERY HAVING A PLURALITY OF BEADING PORTIONS}Battery having a plurality of beading portions {BATTERY HAVING A PLURALITY OF BEADING PORTIONS}

본 발명은 복수의 비딩부를 구비한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접 없이 전극 집전체를 전지 하우징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복수의 비딩부를 구비한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having a plurality of beading parts, and more specifically, to a battery having a plurality of beading parts that can stably couple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o a battery housing without welding.

이차 전지는 방전 이후에도 충전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한 전지로, 휴대용 전화기, 태블릿 PC, 청소기 등 소형 디바이스의 에너지원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자동차, 스마트 그리드용 ESS(Energy Storage System) 등 중대형 디바이스의 에너지원으로서도 활용되고 있다. Secondary batteries are batteries that can be reused by charging even after discharge, and can be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small devices such as portable phones, tablet PCs, and vacuum cleaners, and as an energy source for medium to large devices such as automobiles and ESS (Energy Storage System) for smart grids. It is also used as a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가 원통형 금속 캔에 내장된 캔 타입 배터리와, 전극 조립체가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 타입 배터리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캔 타입 전지는 상대적으로 용량이 크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Secondary batteries can be classified into can-type batteries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built into a cylindrical metal can, and pouch-type batteries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built in a pouch-shaped case. In general, cylindrical can-type batteries are known to have relatively large capacity and high structural stability.

도 1은 종래 원통형 배터리 셀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통형 배터리 셀은, 젤리-롤 타입의 전극조립체(121, 122, 123)가 원통형의 하우징(130)에 수용되고, 하우징(130) 내에 전해액이 주입된 후, 전극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캡 어셈블리(140)가 하우징(130)의 개방 상단에 결합되어 제작된다. 전극조립체(12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 권심부(150)에 원통형의 센터 핀(160)이 삽입될 수 있다. 캡 어셈블리(140)의 상단 중앙 영역에 돌출된 형태의 양극 단자(141)가 형성되고, 금속 캔(130)의 다른 부위에 음극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ylindrical battery cell. Referring to FIG. 1, in a cylindrical battery cell,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ies 121, 122, and 123 are accommodated in a cylindrical housing 130, and after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housing 130, the electrode terminals are The formed cap assembly 140 is manufactured by being coupled to the open top of the housing 130. A cylindrical center pin 160 may be inserted into the core portion 150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A protruding positive terminal 141 may be formed in the upper central region of the cap assembly 140, and a negative terminal may be formed in another portion of the metal can 130.

원통형 배터리 셀은, 캡 어셈블리(140)가 캔(130)의 개방 상단에 결합된 후, 크림핑 공정을 통해 밀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핑 공정을 통해 하우징(130)의 상단 개방부의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크림핑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The cylindrical battery cell may be sealed through a crimping process after the cap assembly 140 is coupled to the open top of the can 130. As shown in FIG. 1, a crimping portion 142 in which the end of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housing 130 is bent inward may be formed through a crimping process.

종래의 원통형 배터리는, 전극 조립체와 외부 단자를 이어주는 탭을 전극 조립체의 포일에 용접하여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원통형 배터리는, 전류의 경로가 한정적이고 전극 조립체의 자체 저항이 매우 높을 수 밖에 없었다.A conventional cylindrical battery has a structure in which a tab connect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xternal terminal is connected by welding to a foil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a cylindrical battery with this structure, the current path was limited and the self-resistance of the electrode assembly was inevitably very high.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전극 조립체의 상부 면에 특정 전극(예를 들어, 음극)의 일부를 노출시켜 결합면을 형성시키고, 전극 집전체(예를 들어, 음극 집전체)를 해당 결합면과 용접 결합시킨 후, 전극 집전체의 일부 영역을 하우징의 내면에 용접 결합시키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a part of a specific electrode (for example, a negative electrode)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form a bonding surface, and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r example,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welded to the bonding surface. After joining, a structur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portion of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wel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다만, 이러한 배터리의 구조는, 전극 집전체의 고정력에 한계가 있으며, 전지의 저항을 더욱 감소시킬 필요성이 있다. However, this battery structure has limitations in the fixing force of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re is a need to further reduce the resistance of the battery.

한국공개특허 2022-010514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2-010514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 없이 전극 집전체를 전지 하우징에 안정정으로 고정 결합시킬 수 있는, 복수의 비딩부를 구비한 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battery having a plurality of beading portions that can stably couple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o the battery housing without weld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극 집전체와 전지 하우징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전지의 자체 저항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복수의 비딩부를 구비한 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battery with a plurality of beading parts,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self-resistance of the battery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battery housing. there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는, 전극 조립체가 내부에 수용된 전지로서,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극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전지 하우징; 상기 전극 조립체의 특정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집전체; 상기 전지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며, 전지의 중심축을 향해 압입되어 형성되는 제1 비딩부; 및 상기 제1 비딩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전지의 중심축을 향해 압입되어 형성되는 제2 비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a battery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and accommodating the upper electrode assembly through the opening;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pecific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 first bead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and formed by press-fitting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battery; and a second beading portion formed below the first beading portion and press-fitted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battery.

여기에서, 상기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제1 비딩부 및 제2 비딩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서 상기 전지 하우징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battery housing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eading portion and the second beading portion.

상기 전극 집전체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면에 노출된 특정 전극과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전지 하우징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cludes a contact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has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in contact with a specific electrod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it may include one or more coupling parts that extend from the contact part and contact the battery housing in the space part.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비딩부의 하면 및 상기 제2 비딩부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와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전지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ortion,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housing.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비딩부의 하면 및 상기 제2 비딩부의 상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공간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by being press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ortion.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전지 하우징과의 용접 결합 없이, 상기 제1 비딩부의 하면 및 상기 제2 비딩부의 상면에 의한 수직 압력에 의해 상기 공간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The coupling par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pace by vertical pressur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art, without welding coupling with the battery housing.

상기 제1 비딩부의 하면 및 상기 제2 비딩부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공간부를 향해 압입되어, 상기 전지 하우징의 하면과 평행한 평탄 구간을 기준으로 일정 깊이만큼 내입된,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ortion is press-fitted toward the space portion and is indented to a certain depth based on a flat section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housing; may include.

상기 가압부의 내입 깊이의 최대 값은, 상기 결합부의 두께의 0.1배 이상, 0.4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ximum depth of the pressing portion may be 0.1 times or more and 0.4 times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portion.

상기 가압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sing portion may be formed in plural piec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s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공간부에 결합된 이후, 압착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sing portion may be formed through a pressing process after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상기 전극 집전체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 집전체에 해당할 수 있다.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correspond to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전지는, 상기 전지 하우징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하우징 커버; 및 상기 제1 비딩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크림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includes a housing cover that seals the opening of the battery housing; and a crimp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eading portion and bent to surround an edge of the housing cov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접 없이 전극 집전체를 전지 하우징에 안정정으로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can be stably and fixedly coupled to the battery housing without welding.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집전체와 전지 하우징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전지의 자체 저항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battery housing is increased, and the self-resistance of the battery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도 1은 종래의 원통형 배터리 셀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집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ylindrical battery cell.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ess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ress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press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의 정면도이다.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1)는, 내부에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전지 하우징(1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a batter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housing 10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전지 하우징(10)은 원통형 형상을 갖는 캔 구조체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지 하우징(10)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는, 제1 전극, 분리막 및 제2 전극이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어 형성되는,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에 해당할 수 있다. The battery housing 10 may correspond to a can structure having a cylindrical shape. Here,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ed in the battery housing 10 may correspond to a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winding a first electrode, a separator, and a second electrode around a winding axis.

한편, 본 발명의 범위는 전지의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각형 전지 등, 다른 형상의 전지로 구현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battery, and can be implemented with batteries of other shapes, such as square batteries.

전지 하우징(10)은,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를 통해 전극 조립체가 수용될 수 있다. 이후, 전지 하우징(10)의 개방부는 크림핑 공정을 통해 밀봉될 수 있다. The battery housing 10 has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and an electrode assembly can be accommodated through the opening. Thereafter, the open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10 may be sealed through a crimping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전지(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비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상, 비딩부가 형성된 위치를 전지 하우징(10)의 상측 또는 상부로 지칭한다. In the batter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beading portions may be formed. Meanwhile,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osition where the beading portion is formed is referred to as the top or top of the battery housing 10.

제1 비딩부(11)는, 전지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전지(1)의 중심 축을 향해 압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beading portion 11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ttery housing 10 and may be formed by press-fitting it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battery 1.

제2 비딩부(12)는, 전지 하우징(10)의 제1 비딩부(11)의 하부에 형성되며, 전지(1)의 중심 축을 향해 압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eading portion 12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eading portion 11 of the battery housing 10 and may be formed by press-fitting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battery 1.

제1 비딩부(11)와 제2 비딩부(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내입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이한 내입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first bead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beading portion 12 may be formed with the same embedded depth, or may be formed with different embedded depths as needed.

전지의 비딩 공정 수행시, 제2 비딩부(12)를 형성하기 위한 비딩 공정이 먼저 수행되고, 이후 제1 비딩부(11)를 형성하기 위한 비딩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비딩 공정의 순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집전체와 전지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When performing the beading process of the battery, a beading process to form the second beading part 12 may be performed first, and then a beading process to form the first beading part 11 may be performed. The order of this beading process is to form a combined structure of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battery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지(1)의 세부 구조 및 전극 집전체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attery 1 and the bonding structure of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1)는, 전지 하우징(10), 전극 조립체(20), 전극 집전체(30), 하우징 커버(40) 및 실링 가스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batter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housing 10, an electrode assembly 20,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30, a housing cover 40, and a sealing gasket 50.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전지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전지의 중심축을 향해 내입된 제1 비딩부(11) 및 제2 비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비딩부(12)는, 제1 비딩부(1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beading part 11 and a second beading part 12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ttery housing 10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battery. Here, the second beading part 12 may be formed below the first beading part 11.

제1 비딩부(11)의 상부에는, 하우징 커버(40)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하우징 커버(40)를 고정하는, 크림핑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지(1)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우징 커버(40)와 크림핑부(130)의 내면 사이에 실링 가스켓(50)이 개재될 수 있다. A crimping part 130 may be formed on the top of the first beading part 11, which is bent to surround the edge of the housing cover 40 and fixes the housing cover 40. Here, in order to improve the airtightness of the battery 1, a sealing gasket 5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40 and the crimping portion 130.

전극 조립체(20)는,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어 형성되는,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극 조립체(20)는, 상면의 일부 영역에 특정 전극(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의 일부가 노출된 결합면이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20 may correspond to a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winding an anode, a separator, and a cathode around a winding axis. Here, the electrode assembly 20 may have a coupling surface in which a portion of a specific electrode (either an anode or a cathode) is exposed i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전극 조립체의 상부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의 구조 및 형상은,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partial area of the upper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Meanwhile,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shown in FIG. 4 are examples for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20)의 상부에는, 권취된 전극들 중 특정 정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고 분리막의 외부로 노출된 무지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지부(21)는 그 자체로 전극 탭으로 기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n uncoated region 21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20, extending from a specific positive electrode among the wound electrodes,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parator without being coated wit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re is. Here, the uncoated portion 21 may itself function as an electrode tab.

무지부(21)의 적어도 일부는, 전극 조립체(20)의 권취 방향을 따라 분할된 복수의 분절편(segments)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분절편은, 전극 조립체(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벤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벤딩된 복수의 분절편이 서로 중첩되어, 전극 조립체(20)의 상면에 결합면(22)이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uncoated portion 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gments divided along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20, and the plurality of segments may exten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20. It can be bent accordingly. Here, a plurality of bent segments may overlap each other to form a coupling surface 2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20.

예를 들어, 전극 조립체(20)의 상부에는, 음극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무지부(21)가 형성되고, 제1 무지부(21)의 분절편들이 중심축을 향해 벤딩되어 서로 중첩됨으로써, 전극 조립체(20)의 상부에 음극 탭으로 기능하는 음극 결합면(22)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 first uncoated area 21 extending from the cathode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20, and the segment pieces of the first uncoated area 21 are bent toward the central axis and overlap each other, so that the electrode A cathode coupling surface 22 that functions as a cathode tab may be formed on the top of the assembly 20.

전극 집전체(30)는, 전극 조립체(20)의 특정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전지 하우징(30)과 접촉되어, 해당 전극과 전지 하우징(3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전극 집전체(30)는, 전극 조립체(20)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 집전체에 해당할 수 있다.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pecific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2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is in contact with the battery housing 30, so that the electrode and the battery housing 3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 Here,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30 may correspond to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2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집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전극 집전체의 구조 및 형상은,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shown in FIG. 5 are examples for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3 및 5를 참조하면, 전극 집전체(30)는, 접촉부(31) 및 결합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3 and 5,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30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31 and a coupling portion 32.

접촉부(31)는, 전극 조립체(20)의 상부에 안착되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전극 조립체(20)의 결합면(22)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접촉부(31)가 결합면(2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중첩 영역의 일부에 대한 용접이 수행됨으로써, 전극 집전체(30)가 전극 조립체(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31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20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is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surface 22 of the electrode assembly 20. Here, with the contact portion 31 seated on the coupling surface 22, welding is performed on a portion of the overlapping area, so that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30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electrode assembly 20.

결합부(32)는, 접촉부(3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전지 하우징(10)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부(32)는, 제1 비딩부(11) 및 제2 비딩부(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서 전지 하우징(10)과 접촉될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 3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contact portion 31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is in contact with the battery housing 10 . Here, the coupling portion 32 may be in contact with the battery housing 10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ead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beading portion 12.

실시예에서, 결합부(32)는, 제1 비딩부(11)의 하면 및 제2 비딩부(12)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와 직접 접촉하여, 해당 전극과 전지 하우징(1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부(32)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딩부(11)의 하면 및 제2 비딩부(12)의 상면과 모두 접촉하는 경우, 전지 하우징(10)과 전극 집전체(30)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전지의 자체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upling portion 32 is in direct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ortion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ortion 12,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electrode and the battery housing 10. You can do it. Here, when the coupling portion 32 is in contact with bo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ortion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ortion 12, as shown in FIG. 3, the battery housing 10 and the electrode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of the current collector 30, the self-resistance of the battery can be reduced.

실시예에서, 결합부(32)는, 제1 비딩부(11)의 하면 및 제2 비딩부(12)의 상면에 의해 가압되어 공간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부(32)는, 전지 하우징(10)과의 용접 결합 없이, 제1 비딩부(11)의 하면 및 제2 비딩부(12)의 상면에 의한 수직 압력에 의해 공간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upling portion 32 may be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by being press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ortion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ortion 12. Here, the coupling portion 32 is fixed to the space by vertical pressur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ortion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ortion 12, without welding the battery housing 10. can be combined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2)는, 제1 비딩부(11) 및 제2 비딩부(1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제1 비딩부(11)의 하면과 제2 비딩부(12)의 상면이 결합부(32)를 향해 인가하는 압력에 의해 해당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집전체(30)와 전지 하우징(10)의 용접 접합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전극 집전체(30)가 강한 고정력으로 가지며 전지 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coupling part 32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eading part 11 and the second beading part 12,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art 11 and the second beading part 12. 2 The upper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12 may be fix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by pressure applied toward the coupling portion 3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welding joining process of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30 and the battery housing 10 can be omitted, and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30 has a strong fixing force and can be coupled to the battery housing 10.

이러한 고정 결합 구조를 형성시키기 위해, 전지의 제조시, 제2 비딩부(12)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비딩 공정이 먼저 수행되고, 전극 집전체(30)의 결합부(32)가 제2 비딩부(12)의 상면에 안착되면, 이후 제1 비딩부(11)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비딩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비딩부(11) 및 제2 비딩부(12)의 이격 거리와, 제1 비딩부(11) 및 제2 비딩부(12) 각각의 내입 깊이는, 결합부(32)가 파손되지 않고 강한 고정력을 갖을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In order to form this fixed coupling structure, when manufacturing a battery, a first beading process to form the second beading part 12 is performed first, and the coupling part 32 of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30 is formed by the second beading process. Onc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 12, a second beading process to form the first beading part 11 may be performed. Her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bead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beading portion 12 and the insertion depth of each of the first bead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beading portion 12 are determined by the coupling portion 32. It can be set to an appropriate value to ensure strong fixation without damag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ess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지 하우징(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결합부(32)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압부는, 제1 비딩부(11)의 하면 및 제2 비딩부(12)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A pressing portion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of the coupling portion 32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10 . Here, the pressing portion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ortion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ortion 12.

도 6을 참조하면, 제1 비딩부(11)는, 하면의 일부 영역이 공간부를 향해 압입되어 형성되는 가압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압부(14)는, 전지 하우징(10)의 하면과 평행한 평탄 구간을 기준으로 일정 깊이만큼 내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2)는, 제1 비딩부(11)의 하면과 제2 비딩부(12)의 상면에 의한 수직 압력 이외에, 가압부(14)에 의한 추가 압력이 작용되어, 더욱 강한 결합력으로 전지 하우징(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beading portion 11 may include a pressing portion 14 formed by press-fitting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toward the space. Here, the pressing portion 14 may be formed by being injected to a certain depth based on a flat section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housing 10. In addition to the vertical pressure caus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art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art 12, the coupling part 32 is applied with additional pressure by the pressing part 14, thereby forming a battery with a stronger coupling force. It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housing 10.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가압부는 제2 비딩부(1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비딩부(11)의 하면과 제2 비딩부(12)의 상면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Unlike shown in FIG. 6, the press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ortion 12, and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ortion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ortion 12, respectively. .

가압부의 내입 깊이의 최대 값은, 결합부(32) 두께의 0.1배 이상, 0.4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압부(14)는, 결합부(32) 측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며 완만하게 내입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압부(14)의 최대 내입 깊이는, 결합부(32)의 파손 또는 절단을 방지하는 동시에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결합부(32) 두께의 0.1배 이상, 0.4배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배 이상, 0.3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ximum depth of the pressing portion may be 0.1 times or more and 0.4 times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portion 32. Referring to FIG. 6, the pressing portion 14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has a certain curvature and is gently recessed toward the coupling portion 32. Here, the maximum penetration depth of the pressing portion 14 is formed to be 0.1 times or more and 0.4 times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portion 32 to prevent breakage or cutting of the coupling portion 32 and improve the coupling force. It can be, preferably, 0.2 times or more and 0.3 times or less.

가압부는, 제1 비딩부(11) 및 제2 비딩부(12)가 형성된 이후, 추가 압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비딩부(12)가 형성된 이후, 결합부(32)가 제2 비딩부(12)의 상면에 안착되면, 제1 비딩부(11)가 형성되어, 결합부(32)가 공간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제1 비딩부(11)의 하면 및 제2 비딩부(12)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추가 압착 공정을 통해 가압부가 형성되어,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The pressing portion may be formed through an additional pressing process after the first bead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beading portion 12 are formed. More specifically, after the second beading portion 12 is formed, when the coupling portion 32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ortion 12, the first beading portion 11 is formed, and the coupling portion 32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space part. Thereafter, a pressure portion is formed through an additional pressing process on at least o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ortion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ortion 12, so that the bonding forc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ress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제1 비딩부(11)의 하면에 제1 가압부(14)가 형성되고, 제2 비딩부(12)의 상면에 제2 가압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가압부(14)와 제2 가압부(15)는, 전지 하우징(10)의 수평 단면을 기준으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압부(15)는 제1 가압부(14)보다 전지의 중심축 방향으로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a first pressing part 14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art 11, and a second pressing part 15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art 12. Here, the first pressing part 14 and the second pressing part 15 may b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based o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battery housing 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pressing portion 15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pressing portion 14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battery.

제1 가압부(14)와 제2 가압부(15)가 전지 하우징(10)의 수평 단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결합부(32)의 내구성이 감소되어 파손 또는 절단의 위험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제1 가압부(14)와 제2 가압부(15)가 전지 하우징(10)의 수평 단면을 기준으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결합부(32)의 파손 또는 절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결합부(32)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first pressing portion 14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15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based on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battery housing 10, the durability of the coupling portion 32 is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risk of breakage or cutting. there i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first pressing portion 14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15 ar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based o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battery housing 10, damage or cutting of the coupling portion 32 is prevented. This can be prevent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upling force of the coupling portion 32 can be further improv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제1 비딩부(11)의 하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Figur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press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plan view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art 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딩부(11)의 하면에 복수의 제1 가압부(14)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비딩부(12)의 상면에 복수의 제2 가압부(15)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pressing p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a plurality of first pressing parts 14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art 1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FIG. 8, a plurality of second pressing parts 15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art 12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복수의 가압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복수의 가압부는, 결합부(3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집전체(30)가 4개의 결합부(32)를 포함하는 경우, 가압부는, 결합부(32) 각각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32.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30 includes four coupling portions 32, the pressing portion will be formed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position of the coupling portions 32. You can.

가압부는, 결합부(32)가 배치되는 영역 이외, 결합부(32)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32)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된 가압부는, 결합부(32)가 배치된 영역에 형성된 가압부보다, 더 깊게 내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s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reas where the coupling portion 32 is not disposed, in addition to the region where the coupling portion 32 is disposed. In this case, the pressing portion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engaging portion 32 is not disposed may be formed deeper than the pressing portion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engaging portion 32 is disposed.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1: 전지
10: 전지 하우징
11: 제1 비딩부
12: 제2 비딩부
13: 크림핑부
14: 제1 가압부
15: 제2 가압부
20: 전극 조립체
30: 전극 집전체
31: 접촉부
32: 결합부
40: 하우징 커버
50: 실링 가스켓
1: Battery
10: Battery housing
11: first beading part
12: Second beading unit
13: Crimping part
14: first pressurizing part
15: Second pressurizing part
20: Electrode assembly
30: electrode current collector
31: contact part
32: coupling part
40: Housing cover
50: Sealing gasket

Claims (12)

전극 조립체가 내부에 수용된 전지로서,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전지 하우징;
상기 전극 조립체의 특정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집전체;
상기 전지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며, 전지의 중심축을 향해 압입되어 형성되는 제1 비딩부; 및
상기 제1 비딩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전지의 중심축을 향해 압입되어 형성되는 제2 비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제1 비딩부 및 제2 비딩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서 상기 전지 하우징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전지.
A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housed,
a battery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and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through the opening;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pecific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 first bead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and formed by press-fitting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battery; and
A second beading portion is formed below the first beading portion and is press-fitted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battery.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battery housing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eading portion and the second bead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집전체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면에 노출된 특정 전극과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전지 하우징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지.
In claim 1,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a contact portion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in contact with a specific electrod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battery comprising: one or more coupling parts extending from the contact part and contacting the battery housing in the space par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비딩부의 하면 및 상기 제2 비딩부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와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전지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
In claim 2,
The coupling part,
A battery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ar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hous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비딩부의 하면 및 상기 제2 비딩부의 상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공간부에 결합되는, 전지.
In claim 2,
The coupling part,
A battery that is press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전지 하우징과의 용접 결합 없이, 상기 제1 비딩부의 하면 및 상기 제2 비딩부의 상면에 의한 수직 압력에 의해 상기 공간부에 고정 결합되는, 전지.
In claim 3,
The coupling part,
A battery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space by vertical pressur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ortion without welding with the battery housing.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딩부의 하면 및 상기 제2 비딩부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공간부를 향해 압입되어, 상기 전지 하우징의 하면과 평행한 평탄 구간을 기준으로 일정 깊이만큼 내입된,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를 포함하는, 전지.
In claim 4,
At least o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ading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ading part,
A battery comprising: at least one pressing portion that is press-fitted toward the space portion and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based on a flat section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housing.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내입 깊이의 최대 값은,
상기 결합부의 두께의 0.1배 이상, 0.4배 이하로 형성되는, 전지.
In claim 6,
The maximum value of the insertion depth of the pressurizing part is,
A battery formed to be 0.1 times or more and 0.4 times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po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 전지.
In claim 6,
The pressurizing part is,
A cell formed in plural cel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전지
In claim 6,
The pressurizing part is,
A batter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공간부에 결합된 이후, 압착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전지.
In claim 6,
The pressurizing part is,
A battery formed by a compression process after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집전체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 집전체인, 전지.
In claim 1,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A battery, which is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지 하우징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하우징 커버; 및
상기 제1 비딩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크림핑부;를 더 포함하는, 전지.
In claim 1,
a housing cover that seals the opening of the battery housing; and
The battery further includes a crimp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eading portion and bent to surround an edge of the housing cover.
KR1020220152594A 2022-11-15 2022-11-15 Battery having a plurality of beading portions KR202400709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594A KR20240070994A (en) 2022-11-15 2022-11-15 Battery having a plurality of beading por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594A KR20240070994A (en) 2022-11-15 2022-11-15 Battery having a plurality of beading por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0994A true KR20240070994A (en) 2024-05-22

Family

ID=9132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2594A KR20240070994A (en) 2022-11-15 2022-11-15 Battery having a plurality of beading por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099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5146A1 (en) 2020-10-01 2022-04-07 Shuang Xie Medical Applications of Cannabis and Hemp Extrac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5146A1 (en) 2020-10-01 2022-04-07 Shuang Xie Medical Applications of Cannabis and Hemp Extra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024B1 (en)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1049818B1 (en) Secondary battery
EP2157633B1 (en) Secondary battery
EP2388847B1 (e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first and second collector plates that are enmeshed together
KR102647962B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US10236481B2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connected cap plate and current collector
KR101683213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637933B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KR20160107416A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cover
KR101520064B1 (en) Method for producing cap assembly, cap assembly thereb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20220162580A (en) Cylindrical battery can assembl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277655B1 (en) Cap assembly of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473390B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20240070994A (en) Battery having a plurality of beading portions
KR101465171B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20230037895A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KR20210100493A (en) Cap assembly,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US10651454B2 (en) Rechargeable battery
US20230133138A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187707A1 (en) Secondary battery
KR100322099B1 (en) Prismatic type Secondary Battery
EP4170782A1 (en) Secondary battery
US20230395912A1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US20230170559A1 (en)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40274933A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