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7613A - Medication managing device capable of detecting emergency situations - Google Patents

Medication managing device capable of detecting emergency situa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7613A
KR20240067613A KR1020220148826A KR20220148826A KR20240067613A KR 20240067613 A KR20240067613 A KR 20240067613A KR 1020220148826 A KR1020220148826 A KR 1020220148826A KR 20220148826 A KR20220148826 A KR 20220148826A KR 20240067613 A KR20240067613 A KR 20240067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tion
medicine
main body
user
p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8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나영
김수련
Original Assignee
김나영
김수련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나영, 김수련 filed Critical 김나영
Publication of KR2024006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613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4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weight

Abstract

실시예는 약 복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게값과 압력값을 이용하여 복용자의 약 복용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인 약 복용 관리 장치는 알약이 수용되는 제 1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알약의 투입과 배출을 위해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알약 수용부와, 약포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출입부를 구비하는 약포 수용부와, 알약 수용부 및 약포 수용부 각각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알약 수용부 내의 알약의 투입과 배출을 감지하고, 약포 수용부 내의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을 감지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embodiment relates to a medication administration device, and in particular, to a medication administration device that accurately determines whether a user has taken the medication using weight and pressure values.
The drug administr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receiving space in which pills are accommodated, a pill receiving portion having a door on one sid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inputting and discharging pills, and a second receiving space in which medicine packets are accommodated; , a medicine bag receiving part having an entrance and exit part that allows insertion and discharge of the medicine bag, and a medicine bag receiving par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f the pill receiving part and the medicine bag receiving part, detects the input and discharge of the pill in the pill receiving part, and the medicine bag receiving part. It is composed of a main body that detects the insertion and discharge of the medicine packet within.

Description

위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약 복용 관리 장치{MEDICATION MANAGING DEVICE CAPABLE OF DETECTING EMERGENCY SITUATIONS}{MEDICATION MANAGING DEVICE CAPABLE OF DETECTING EMERGENCY SITUATIONS}

실시예는 위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약 복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게값과 압력값을 이용하여 복용자의 약 복용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위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약 복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and in particular, to a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that accurately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taken the medication using weight and pressure values.

일반적으로 약의 복용은 질병의 치료나 예방을 목적으로 의사나 약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하게 된다. 이렇게 약을 복용하는 경우 약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성분이나 작용에 따라 인체 내에서 분해 및 흡수되는 과정과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처방 과정에서 약을 복용해야 하는 시간이 정해진다.In general, medications are taken according to a doctor's or pharmacist's prescription for the purpose of treating or preventing disease. When taking medicine in this way, the process and time for decomposition and absorption within the human body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unique ingredients or effects of the medicine, so the time for taking the medicine is determined during the prescription process.

감기 등과 같이 일상적으로 복용하는 약의 경우에는 처방 과정에서 지시하는 복용 시간을 정확히 지키지 않아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결핵 등과 같은 만성질환의 경우에는 정해진 시간에 복용을 하여야 병세가 악화되거나 합병증이 유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병세를 호전시킬 수 있다.In the case of medications taken on a daily basis, such as colds, no major problems will arise if you do not exactly follow the dosage instructions instructed during the prescription process. However, in the cas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hyperlipidemia, and tuberculosis, you must take the medication at the prescribed time to prevent illness. It can prevent it from worsening or causing complications, and can improve the condition.

최근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현상과 식생활 습관의 변화로 인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과 같은 만성질환자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만성질환을 치료 및 관리하기 위해 복용자는 장시간에 걸쳐 많은 종류의 약을 복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환자의 복약 순응도(Medication adherence)가 매우 중요하다.Due to the recent global aging phenomenon and changes in eating habit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and hyperlipidemia is continuously increasing. Because patients must take many types of drugs over a long period of time to treat and manage chronic diseases, the patient's medication adherence is very important.

복약 순응도는 의사가 처방한 약을 복용자가 정확하게 복용하는 정도를 말하고, Overdosing, Underdosing, Misdosing와 같은 복약 비순응(Non-adherence)은 질병 상태를 악화시키고 치명적인 합병증을 일으키는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Medication compliance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a patient correctly takes the medication prescribed by a doctor, and non-adherence such as overdosing, underdosing, and misdosing can lead to serious consequences such as worsening the disease condition and causing fatal complications. .

한편, 복약기(Medication Dispenser)는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약을 배출하고 복약 시각 알림을 통해 복용자의 복약을 돕는 개인건강기기로써, 현재 복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복용자가 실제로 약을 복용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의도적인 복약 비순응을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a medication dispenser is a personal health device that dispenses medication according to a set schedule and assists the user in taking medication by providing visual reminders for taking medication. It is currently considered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medication compliance, but the medication dispenser is a personal health device that helps users take medication by dispensing medication according to a set schedule and providing visual reminders for taking medication. It has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drug has been taken, making it difficult to prevent intentional non-compliance with medication.

실시예는 무게값과 압력값을 이용하여 복용자의 약 복용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위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약 복용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by accurately confirming whether the user has taken the medication using weight and pressure values.

실시예인 약 복용 관리 장치는 알약이 수용되는 제 1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알약의 투입과 배출을 위해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알약 수용부와, 약포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출입부를 구비하는 약포 수용부와, 알약 수용부 및 약포 수용부 각각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알약 수용부 내의 알약의 투입과 배출을 감지하고, 약포 수용부 내의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을 감지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rug administr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receiving space in which pills are accommodated, a pill receiving portion having a door on one sid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inputting and discharging pills, and a second receiving space in which medicine packets are accommodated; , a medicine bag receiving part having an entrance and exit part that allows insertion and discharge of the medicine bag, and a medicine bag receiving par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f the pill receiving part and the medicine bag receiving part, detects the input and discharge of the pill in the pill receiving part, and the medicine bag receiving part. It is composed of a main body that detects the insertion and discharge of the medicine packet within.

또한, 약포 수용부는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제 2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 케이스와, 수용부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들이 관통되어 개방된 양측면을 구비하고 약포가 삽입 및 배출되는 출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출입부에 개방된 일측에 인접하며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외부에서 약포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개방부에는 오목 형태의 홈이 형성되며, 본체부는 내부나 측면에 제어 장치들을 수용하는 본체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체부 케이스의 제 1 면은 수용부 케이스의 일측면을 대향하여 결합되며, 본체부 케이스의 제 2 면은 출입부의 개방된 일측면을 대향하여 결합되며, 본체부 케이스의 제 1 면에는 알약의 무게 또는 약약 수용부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가 장착되고, 본체부 케이스의 제 2 면에는 약포의 일부분에 접촉되어 약포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가 장착되며, 본체부 케이스의 제 2면에 인접한 면에는 약포의 용이한 배출을 위한 홈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medicine container has a container case that is open on one side and has a second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case, and has both sides that are open with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penetrating, and allows the medicine package to be inserted and discharged. It is composed of an entrance and exit unit, an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entrance unit, an opening is formed to facilitate insertion and discharge of the medicine packet while allowing the medicine packet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A concave groove is formed in the opening portion, and the main body. The unit is comprised of a main body case that accommodates control devices inside or on the side, the first side of the main body case is coupled to face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case, and the second side of the main body case is connected to the opening of the entrance/exit section. It is coupled to face one side of the main body case, and a weight sensor is installed on the first side of the main case to detect the weight of the pill or the weight of the medicine container, and the second side of the main case i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medicine bag to enter the medicine bag. A pressure sensor that detects pressure is installed, and a groove for easy discharge of medicine is form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second side of the main case.

또한, 약 복용 관리 장치는 알약 수용부와 본체부 및 약포 수용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어, 복용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으며 피부 접촉에 따른 접촉 감지값을 생성하여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접촉 센서와, 접촉 센서로부터의 접촉 감지값에 따라서 복용자의 파지를 확인하고, 무게 센서로부터의 무게값와, 압력 센서로부터의 압력값에 따라서 알약이나 약포의 감소를 확인하여 복용자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is mounted on one or more of the pill receptacle, main body, and medicine package receptacle, and can b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user. It includes a contact sensor that generates a touch detection value according to skin contact and applies it to the processor. , Contains a processor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taken it by checking the user's grip according to the contact detection value from the contact sensor and checking the decrease in pills or medicine packets according to the weight value from the weight sensor and the pressure value from the pressure sensor. It is desirable to do so.

또한, 약 복용 관리 장치는 표시부나 스피커나 진동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기저장된 복용 일정에 따라서 복용자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고, 미 복용 시에 표시부나 스피커나 진동부를 통하여 복용 알람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preferably includes a display unit, a speaker, or a vibrator unit, and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taken the medication according to a pre-stored dosage schedule, and performs a medication alarm through the display unit, speaker, or vibrator unit when the medication is not taken. do.

또한, 약 복용 관리 장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하여 복용자 통신 단말기나 보호자 통신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 복용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preferably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nd the processor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medication has been taken to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guardian's communication terminal, or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실시예는 무게값과 압력값을 이용하여 복용자의 약 복용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되, 접촉 감지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약 복용 유무의 정확성을 확보하였으며, 약포 및 알약 보관이 동시에 가능하다. 또한, 약통의 무게를 감소시켜 포터블한 형태를 지원하며,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통해 보호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복약 정보(복용 유무)를 업데이트하며, 위급상황이 감지되면 119 등 위기관리 센터에 자동으로 연동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The embodiment uses weight and pressure values to accurately confirm whether the user has taken the medicine, but additionally uses contact detection to ensure accuracy of whether the medicine has been taken, and it is possible to store medicine packets and pill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it supports a portable form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medicine box, updates medication information (whether medication is taken) to the guardian's application through real-time data processing, and automatically links to crisis management centers such as 119 when an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ccidents in advance.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의 사시도들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edicine administr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of a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 실시예들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그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to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ber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have,” “may have,” “includes,” or “may include” refer to the existence of the corresponding feature (e.g., a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 and does not rule out the exist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or/and B,” or “one or more of A or/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1) includes at least one A, (2) includes at least one B, or (3) it may refer to all cases including both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As used herein,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may describe various elements in any order and/or importance, and may refer to one element as another. It is only used to distinguish from components and does not limit the components. For example, a first user device and a second user device may represent different user device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named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named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When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y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exists between othe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The expression “configured to” used in this document may mean, for example,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or “having the capacity to.” I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The term “configured (or set) to” may not necessarily mean “specifically designed to” in hardware. Instead, in some context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working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For example, the phrase "processor configured (or set) to perform A, B, and C" refers to a processor dedicated to performing the operations (e.g., an embedded processor), or executing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on a memory device. By doing so, it may mean a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or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general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document, they may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It is not interpreted.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의 사시도들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edicine administr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s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of a medicine administr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약 복용 관리 장치(100)는 알약이 수용되는 제 1 수용 공간(S1)을 구비하며, 일측에 알약의 투입과 배출을 위해 개폐 가능한 도어(8)를 구비하는 알약 수용부(10)와, 약포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S2)을 구비하고,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출입부(17)를 구비하는 약포 수용부(20)와, 알약 수용부(10) 및 약포 수용부(20) 각각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알약 수용부(10) 내의 알약의 투입과 배출을 감지하고, 약포 수용부(20) 내의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을 감지하는 본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100 has a first receiving space (S1) in which the pills are accommodated, a pill receiving portion (10) having a door (8) on one sid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inputting and discharging the pills, and a medicine packet. A medicine bag receiving part 20 having a second receiving space (S2) in which the medicine bag is accommodated, and an entrance part 17 that allows insertion and discharge of the medicine bag, a pill receiving part 10, and a medicine bag receiving part ( 20) It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body portion 30 that detects the insertion and discharge of the pill in the pill container 10 and the insertion and discharge of the medicine package in the medication container 20. do.

자세하게는, 알약 수용부(10)는 내부에 제 1 수용 공간(S1)을 구비하고 일측에 형성된 개방구(2a)가 도어(8)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부 케이스(2)와, 케이스(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복용자의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8)는 예를 들면, 케이스(2)에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 개방구(2a)와의 결합을 위한 결착 후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수용부 케이스(2)의 일측면(2b)은 본체부(30)를 대향하며, 탈착 가능하게 본체부(30)에 결합된다. 알약 수용부(10)는 복용자가 알약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혹은 반투명 소재가 사용된다. 수용부 케이스(2)의 다른 일측면에는 키링 걸이를 위한 홈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detail, the pill receiving portion 10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case 2 having a first receiving space S1 inside and an opening 2a formed on one side being opened and closed by a door 8, and case 2 )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door (8) tha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door (8) and is opened and closed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user. The door 8 is, for example, hinged to the case 2, and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hook on one side for connection with the opening 2a. One side (2b) of the receiving case (2) faces the main body (3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30). The pill receiving part 10 is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amount of pills.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case 2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for hanging a key ring.

약포 수용부(20)는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제 2 수용 공간(S2)이 형성된 수용부 케이스(12)와, 수용부 케이스(12)의 일측에 결합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들이 관통되어 개방된 양측면을 구비하고 약포가 삽입 및 배출되는 출입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출입부(17)에 개방된 일측에 인접하며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외부에서 약포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17a)가 형성되며, 개방부(17a)에는 오목 형태의 홈(17b)이 형성된다. 출입부(17)의 개방된 일측면이 본체부(30)를 대향하여, 본체부(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약포 수용부(20)는 약포의 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투명 혹은 반투명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도록 고무 소재를 포함한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된다. The medicine container 20 is open on one side and is coupled to a container case 12 having a second container space S2 formed therein, and one side of the container case 12, and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re penetrated and opened. It is provided with both sides and includes an entrance/exit section (17) through which the medicine packet is inserted and discharged. An opening (17a) is form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opening in the entrance/exit unit (17) to facilitate insertion and discharge of the medicine package and to allow the medicine bag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In the opening part (17a), a concave groove (17b) is formed. ) is formed. One open side of the entrance/exit unit 17 faces the main body 3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30 . The medicine bag receiving part 20 can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o check the amount of medicine, and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including a rubber material for easy portability.

본체부(30)는 내부나 측면에 제어 장치들을 수용하는 본체부 케이스(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 케이스(22)의 제 1 면(22a)은 수용부 케이스(2)의 일측면(2b)을 대향하여 결합되며, 본체부 케이스(22)의 제 2 면(22b)은 출입부(17)의 개방된 일측면을 대향하여 결합된다. 본체부 케이스(22)의 제 1 면(22a)에는 알약의 무게 또는 약약 수용부(10)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26)가 장착된다. 본체부 케이스(22)의 제 2 면(22b)에는 약포의 일부분에 접촉되어 약포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23)가 장착된다. 본체부 케이스(22)의 제 1 및 제 2 면들(22a, 22b) 각각에 접하는 제3면(22c)에는 시각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5)와, 복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복용 시작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24)가 장착된다. 또한, 본체부 케이스(22)의 제 2면(22b)에 인접한 면에는 약포의 용이한 배출을 위한 홈(22d)이 형성된다.The main body 30 includes a main body case 22 that accommodates control devices inside or on the side. The first side (22a) of the main body case (22) is coupled to face one side (2b) of the receiving part case (2), and the second side (22b) of the main body case (22) is connected to the entrance part (17). ) is combined facing the open side of the. A weight sensor 26 that detects the weight of the pill or the weight of the medicine container 10 is mounted on the first surface 22a of the main body case 22. A pressure sensor 23 is mounted on the second surface 22b of the main body case 22, which contacts a portion of the medicine bag and detects the pressure caused by the medicine bag. The third surface 22c,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22a and 22b of the main body case 22, includes a display unit 25 for visually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nd an input from the user (e.g. , an input unit 24 for obtaining a dose start input) is installed. In addition, a groove 22d for easy discharge of medicine is formed on the surface adjacent to the second surface 22b of the main body case 22.

도 2a 및 2b에서와 같이, 결합 상태에서의 약 복용 관리 장치(100)의 알약 수용부(10)와 본체(30) 및 약포 수용부(20)가 그 순서로 적층되어 결합되며, 출입부(17)의 개방부(17a)를 통하여 약포가 삽입되며, 제 2 수용 공간(S2)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며, 약포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구(17a)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된다. 홈(22d)과 홈(17b)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며, 홈(22d)과 홈(17b) 사이에 약포의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된다. 복용자가 홈(22d)과 홈(17b) 사이에서 노출되는 약포의 일부분을 손가락으로 잡아 당기거나 끌어서 배출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2a and 2b, the pill receiving part 10, the main body 30, and the medicine containing part 20 of the drug administration management device 100 in the combined state are stacked and combined in that order, and the entrance part ( The medicine bag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17a of 17), at least a portion of the medicine bag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space S2, and at least a part of the medicine bag is exposed or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7a. The grooves 22d and 17b are 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medicine bag is located between the grooves 22d and the grooves 17b. The user can discharge the portion of the medicine packet exposed between the groove 22d and the groove 17b by pulling or dragging it with a finger.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약 복용 관리 시스템은 약(알약이나 약포)를 보관 수용하며 복용자의 복용 여부를 확인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100)와, 통신 기능을 지니는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예를 들면, 스마트폰, 테블릿 등)과, 통신 기능을 지니며 복용자의 보호자가 지니는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와, 통신 기능을 지니는 관리 서버(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약 복용 관리 장치(100)와,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와,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 및 관리 서버(400)(예를 들면, 클라우드 시스템 등) 각각은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다. The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100 that stores and accommodates medications (pills or medicine packets) and checks whether the user has taken the medication, and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200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e.g., a smartphone, Bullet, etc.), a guardian communication terminal (300) that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is owned by the guardian of the user, and a management server (400) that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The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100,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guardian communication terminal 300, and the management server 400 (e.g., cloud system, etc.) can each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500. .

관리서버(400)에는 의료 정보 시스템(미도시됨)과 통신을 수행하여 복용자의 복약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관리자가 복용자나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복약 정보를 직접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The management server 400 may acquire the patient's medication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a medical information system (not shown), or the administrator may directly store and manage the med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or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re is.

약 복용 관리 장치(100)는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 및/또는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 및/또는 관리 서버(400)에 기기별 고유 인식 번호에 의해 페어링되거나 제품 등록되며, 이러한 통신 방식은 본 실시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에 해당되어,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The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100 is paired or registered with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or the guardian communication terminal 300 and/or the management server 400 by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device, and this communication method is used in this product. Since the embodiments correspond to technologies wide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ir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약 복용 관리 장치(1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약포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압력값을 프로세서(40)에 인가하는 압력 센서(23)와, 사용자로부터 입력(예를 들면, 복용 시작 입력, 복용 시간 연장 입력, 복용 일정의 초기화 입력, 복용 일정의 갱신 입력 등)을 획득하여 프로세서(40)에 인가하는 입력부(24)와, 프로세서(40)로부터 다양한 정보(예를 들면, 복용 여부 알림, 복용 안내, 복용 알람 등)에 대한 표시 신호를 수신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25)와, 상술된 바와 같이, 알약에 관련된 무게값(알약 수용부(10)의 무게값)을 감지하여 프로세서(40)에 인가하는 무게 센서(26)와, 프로세서(40)로부터 음향 출력 신호를 인가 받아 음 방출하는 스피커(27a)와, 프로세서(40)로부터의 진동 출력 신호를 인가 받아 진동하는 진동부(27b)와, 알약 수용부(10)와 본체부(30) 및 약포 수용부(2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어, 복용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으며 피부 접촉에 따른 접촉 감지값을 생성하여 프로세서(40)에 인가하는 접촉 센서(28)와,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와,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 및 관리 서버(400) 중의 어느 하나 이상과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9)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복용자의 복용 일정의 갱신(또는 저장) 기능과, 복용 일정에 따른 복용 안내 기능과, 복용자의 복용 여부의 확인 기능 등을 수행하는 프로세서(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전원부(미도시), 스피커(27a), 진동부(27b), 통신부(29) 등은 본 실시예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에 해당되어,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되며, 입력부(24)와, 표시부(25)와, 무게 센서(26)는 상술되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100 includes a pressure sensor 23 that detects pressure from the medication packet and applies the detected pressure value to the processor 40, and an input from the user (e.g., input to start taking medication, An input unit 24 that obtains a dosage time extension input, a dosage schedule initialization input, a dosage schedule update input, etc.) and applies it to the processor 40, and various information (e.g., notification of whether to take the drug, etc.) from the processor 40. A display unit 25 that receives display signals for taking information, taking alarm, etc. and visually displays them, and as described above, a processor ( A weight sensor 26 applied to the weight sensor 40, a speaker 27a that receives an audio output signal from the processor 40 and emits sound, and a vibration unit 27b that vibrates by receiving a vibration output signal from the processor 40. ), and is mounted on one or more of the pill receiving part 10, the main body part 30, and the medicine bag receiving part 20, can b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user, and generates a contact detection value according to skin contact, and the processor ( 40), which perform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network 500 with one or more of the contact sensor 28, the patient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guardian communication terminal 300, and the management server 400. A communication unit 29 and a processor 40 that controls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performs a function of updating (or storing) the user's dosage schedule, a function of guiding the dosage according to the dosage schedule, and a function of confirming whether the user has taken the drug. It is composed including, etc. However,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speaker 27a, vibration unit 27b, communication unit 29, etc. correspond to technologies wide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elong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ir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 the input unit 24, the display unit 25, and the weight sensor 26 have been described above.

접촉 센서(28)는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기 위해 약 복용 관리 장치(100)를 손으로 파지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캐패시턴스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접촉 센서(28)는 접촉 감지값을 프로세서(40)에 인가하고, 프로세서(40)는 인가된 접촉 감지값과, 기준 접촉 감지값을 비교한다. 기준 접촉 감지값은 복용자의 손이나 피부가 접촉 센서(28)에 접촉된 경우의 최소 접촉 감지값에 해당된다. 프로세서(40)는 인가된 접촉 감지값이 기준 접촉 감지값 이상이면, 복용자가 약 복용 관리 장치(100)를 손으로 파지한 것으로 판단한다.The contact sensor 28 is used to detect when the user holds the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100 with his or her hand to take the medic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capacitance sensor. The contact sensor 28 applies a touch detection value to the processor 40, and the processor 40 compares the applied contact detection value with a reference contact detection value. The reference contact detection value corresponds to the minimum contact detection value when the user's hand or skin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or 28. If the applied contact detectio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ontact detection value, the processor 40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held the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100 by hand.

본 실시예에서, 복용 일정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복용 시간(예를 들면, 아침 8시)와, 복용 시간 범위(예를 들면, 30분)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osing schedule includes at least one dosing time (e.g., 8 a.m.) and a dosing time range (e.g., 30 minutes).

먼저, 복용자의 복용 일정의 갱신(또는 저장) 기능이 설명된다.First, the update (or save) function of the taker's dosing schedule is explained.

프로세서(40)는 입력부(24)를 통하여 복용 일정을 입력 받아 저장하거나, 통신부(29)를 통하여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나 관리 서버(400)로부터 복용 일정을 수신하여 저장하여, 복용자의 복용 일정을 처음으로 저장하거나, 이전 복용 일정을 신규의 복용 일정으로 갱신할 수 있다. The processor 40 receives and stores the dosage schedule through the input unit 24, or receives and stores the dosage schedule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200 or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9, and stores the dosage schedule of the user. You can save it for the first time, or update the previous dosing schedule with a new dosing schedule.

또한, 프로세서(40)는 복수의 복용 일정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복용자가 현재의 복용 일정에서 신규의 복용 일정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 입력부(24)를 통하여 복용 일정의 변경 입력(예를 들면, 2초 이상의 지속 입력 등)을 입력하면, 프로세서(40)는 복용 일정의 변경 입력에 따라서 새로운 복용 일정에 따른 복용 안내 기능과 복용 여부 확인 등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40 can store a plurality of dosage schedules, etc., and when the user wishes to change from the current dosage schedule to a new dosage schedule, a change in the dosage schedule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4 (e.g., When a continuous input of 2 seconds or more) is input, the processor 40 performs a dosing guidance function according to a new dosing schedule and confirmation of taking the dosing according to the input of a change in the dosing schedule.

또한, 복용자가 약 복용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거나, 새로운 복약 처방 후 현재 잔존하는 복용 일정을 초기화시키고 싶을 경우, 입력부(24)를 통하여 복용 일정의 초기화 입력을 입력하면, 프로세서(40)는 복용 일정의 초기화 입력에 따라 현재 복용 일정을 초기화(삭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emporarily stops taking the medicine or wants to initialize the currently remaining medication schedule after prescribing a new medication, if an initialization input for the medication schedule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4, the processor 40 determines the medication schedule. You can initialize (delete) the current dosing schedule by entering the initialization input.

다른 실시예로,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 또는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는 는 복용 일정과, 복용약(예를 들면, 알약, 약포 등의 복용양도 포함) 등을 포함하는 복용약 정보와, 복용자 정보(예를 들면, 이름, 주소, 병명 등)을 저장하며, 관리 서버(400)에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전송한다. 관리 서버(400)는 복용약 정보와, 복용자 정보를 각 복용자별 데이터로 저장하며, 복용자별 데이터는 추가적으로 복용자의 복용 여부 정보(예를 들면, 복용 했음, 복용 안했음)를 포함한다. 약 복용 관리 장치(1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복용약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200 or the guardian communication terminal 300 includes med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medication schedule, medication (for example, dosage amounts of pills, medicine packets, etc.), and user information ( For example, name, address, disease name, etc.) are stor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500. The management server 400 stores medication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as data for each user, and the data for each user additionally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has taken the drug (for example, took the drug, did not take the drug). The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periodically access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500 to receive, store, and use medication information.

다음으로, 복용 일정에 따른 복용 안내 기능이 설명된다. Next, the dosage guidance function according to the dosage schedule is explained.

프로세서(40)는 타이머를 내장하며, 표시부(25)를 통하여 시간 범위(예를 들면, 아침, 점심, 저녁 등)를 표시할 수 있다. The processor 40 has a built-in timer and can display a time range (eg, breakfast, lunch, dinner, etc.) through the display unit 25.

또한, 프로세서(40)는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빨간색과 같은 미복용 안내를 표시부(25)에 표시하고, 복용자가 약을 복용한 경우에는 초록색과 같은 복용 알림(복용하였음을 알림)을 표시부(25)에 표시한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40 displays a non-taking notice, such as red, on the display unit 25 if the user has not taken the medicine, and a medication notification, such as green, if the user has taken the medicine (a notification that the medicine has been tak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

또한, 복용자가 복용 일정 중에서 복용 시간을 기설정된 시간만큼 연장하고 싶을 경우에, 복용자가 입력부(24)를 통하여 연장 입력(예를 들면, 1초 미만의 입력 등)을 입력하면, 프로세서(40)는 가장 근접한 복용 시간을 기설정된 시간만큼 연장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taker wants to extend the dosing time by a preset time in the dosing schedule, if the taker inputs an extension input (for example, an input of less than 1 second, etc.) through the input unit 24, the processor 40 extends the nearest dosing time by a preset time.

또한, 프로세서(40)는 복용 시간으로부터 복용 시간 범위 이내에 복용 확인이 되지 않았을 경우, 제 1 기준 시간(예를 들면, 2 분) 후 표시부(25)와, 스피커(27a) 및 진동부(27b)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동작시켜 제 1 복용 안내(또는 알람)를 실시한다. 또한, 프로세서(40)는 위의 제 1 복용 안내 이후에, 제 2 기준 시간(예를 들면 8분) 이내에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경우, 표시부(25)와, 스피커(27a) 및 진동부(27b)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동작시켜 제 2 복용 안내(또는 알람)을 수행하고, 통신부(29)를 통하여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 및/또는 관리 서버(400)에 미복용 알림을 전송한다.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또는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를 통하여 보호자는 복용자인 환자의 미복용을 인지하고, 전화연결 기능을 통해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하여 복용자의 안부 확인 및 복용 안내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가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를 통하여 복용자와 통화가 안되거나, 안부 확인이 되지 않은 경우,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또는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를 통하여 관리 서버(400)나 긴급 출동 시스템에 복용자에 대한 신고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는 긴급 출동을 위해, 복용자의 질병 정보나 주소 등의 복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 서버(400)나 긴급 출동 시스템에 전송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f the processor 40 does not confirm the dosage within the dosage range from the dosage time, the display unit 25, the speaker 27a, and the vibrating unit 27b after the first reference time (for example, 2 minutes). Operat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to provide the first dosage guidance (or alarm). In addition, the processor 40, if the user does not take the medicine within the second reference time (for example, 8 minutes) after the above first dosage guidance, displays the display unit 25, the speaker 27a, and the vibrating unit. Any one or more of (27b) is operated to perform a second medication guidance (or alarm), and a non-medication notif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guardian communication terminal 300 and/or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9. Through the guardian communication terminal 300 (or an installed dedicated application), the guardian recognizes the patient's non-medica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patient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phone connection function to check the patient's safety and provide medication guidance. You can. In addition, if the guardian cannot communicate with the user through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200 or does not check the patient's safety, the guardian may contact the management server 400 or the emergency dispatch system through the guardian communication terminal 300 (or an installed dedicated application). It can be used to perform a reporting function for users. For emergency dispatch, the guardian communication terminal 300 may store the patient's information, such as the patient's disease information or address, and transmit it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or an emergency dispatch system.

다음으로, 복용자의 복용 여부의 확인 기능이 설명된다. Next, the function of confirming whether the user has taken the drug is explained.

프로세서(40)는 복용자의 파지와 약의 무게 감소 모두를 확인한다. 프로세서(40)는 복용자의 파지를 접촉 센서(28)로부터의 접촉 감지값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약포의 감소를 감지하기 위해, 프로세서(40)는 압력 센서(23)로부터의 압력값의 감소 변화를 확인하며, 압력값의 감소는 약포의 개수의 감소에 해당되므로, 약의 복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알약의 감소를 감지하기 위해, 프로세서(40)는 무게 센서(26)로부터의 무게값의 감소 변화를 확인하며, 무게값의 감소는 알약의 개수의 감소에 해당되므로, 약의 복용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or 40 confirms both the recipient's phage and the weight reduction of the drug. The processor 40 may determine the recipient's grip using the contact detection value from the contact sensor 28. In addition, in order to detect a decrease in the number of medicine bubbles, the processor 40 checks the change in the pressure value from the pressure sensor 23, and since the decrease in pressure value corresponds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medicine bubbles, it is determined that the medicine has been taken. can do. In addition, in order to detect a decrease in the number of pills, the processor 40 checks the change in the weight value from the weight sensor 26, and since the decrease in the weight value corresponds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pills, it is determined that the medicine has been taken. can do.

또한, 위의 약의 복용이 복용 시간 전후의 복용 시간 범위 이내에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면, 복용 시간이 오전 8시이고, 복용 시간 범위가 30분인 경우, 오전 7시 30분부터 오전 8시 30분 사이의 시간In addition, taking the above medicine must be done within the time range before and after the time of taking it. For example, if your dosing time is 8:00 a.m. and your dosing time window is 30 minutes, the time between 7:30 a.m. and 8:30 a.m.

즉, 프로세서(40)는 복용 시간 전후의 복용 시간 범위 이내에, 복용자의 파지 상태에서, 약포나 알약의 감소가 있어야만, 복용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한다. That is, the processor 40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taken the medicine only when there is a decrease in the amount of medicine packets or pills in the user's grasping state within the range of time taken before and after the taking time.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프로세서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device (e.g., processor or functions thereof) or method (e.g., 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s stored in, for example,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in the form of a program module. Can be implemented as stored instructions. When the instruction is executed by a processor, the one or more processors may perform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for example, memory.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hard disks, floppy disks, magnetic media (e.g. magnetic tape), optical media (e.g. CD-ROM, DVD (Digital Versatile Disc), magnetic media) It may also include magnetic media (e.g., a floptical disk), hardware devices (e.g., ROM, RAM, or flash memory, etc.), and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nd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operations of various embodiments. The same goes for the station.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에 의한 기능들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The processor or functions provided by the processo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some of them may be omitted, or other additional components may be included. Operations performed by modules, program modules, or other componen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b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iteratively, or in a heuristic manner. Additionally, som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mitted, or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explain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23: 압력 센서 26: 무게 센서
28: 접촉 센서
23: pressure sensor 26: weight sensor
28: contact sensor

Claims (5)

알약이 수용되는 제 1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알약의 투입과 배출을 위해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알약 수용부와;
약포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출입부를 구비하는 약포 수용부와;
알약 수용부 및 약포 수용부 각각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알약 수용부 내의 알약의 투입과 배출을 감지하고, 약포 수용부 내의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을 감지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
A pill receiving unit having a first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pills and having a door on one sid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inserting and discharging pills;
a medicine bag receiving unit having a second receiving space for storing the medicine bag, and having an entrance and exit part that allows insertion and discharge of the medicine bag;
It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f the pill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medicine package accommodating portion,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ody portion that detects the insertion and discharge of the pill in the pill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insertion and discharge of the medicament in the medicament accommodating portion.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약포 수용부는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제 2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 케이스와, 수용부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들이 관통되어 개방된 양측면을 구비하고 약포가 삽입 및 배출되는 출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출입부에 개방된 일측에 인접하며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외부에서 약포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개방부에는 오목 형태의 홈이 형성되며,
본체부는 내부나 측면에 제어 장치들을 수용하는 본체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체부 케이스의 제 1 면은 수용부 케이스의 일측면을 대향하여 결합되며, 본체부 케이스의 제 2 면은 출입부의 개방된 일측면을 대향하여 결합되며,
본체부 케이스의 제 1 면에는 알약의 무게 또는 약약 수용부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가 장착되고, 본체부 케이스의 제 2 면에는 약포의 일부분에 접촉되어 약포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가 장착되며, 본체부 케이스의 제 2면에 인접한 면에는 약포의 용이한 배출을 위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edicine container has a container case that is open on one side and has a second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a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case, has two open sides with opposing surfaces penetrating, and has an entrance and exit portion through which the medication is inserted and discharg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d is adjacent to one side of the opening in the entrance and exit part, and an opening is formed to facilitate insertion and discharge of the medicine bag while allowing the medicine bag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and a concave groove is formed in the opening part,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a main body case that accommodates control devices inside or on the side, the first side of the main body case is coupled to face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case, and the second side of the main body case is connected to the entrance part. It is joined facing one open side,
A weight sensor is mounted on the first side of the main body case to detect the weight of the pill or the weight of the medicine container, and a pressure sensor is mounted on the second side of the main body case to detect the pressure caused by the medicine bag by contacting a part of the medicine bag. A medicine administ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second side of the main body case for easy discharge of the medicine packet.
제 2 항에 있어서,
약 복용 관리 장치는 알약 수용부와 본체부 및 약포 수용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어, 복용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으며 피부 접촉에 따른 접촉 감지값을 생성하여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접촉 센서와, 접촉 센서로부터의 접촉 감지값에 따라서 복용자의 파지를 확인하고, 무게 센서로부터의 무게값와, 압력 센서로부터의 압력값에 따라서 알약이나 약포의 감소를 확인하여 복용자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is mounted on one or more of the pill container, main body, and medicine packet container, and includes a contact sensor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user and generates a touch detection value based on skin contact and applies it to the processor. It includes a processor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taken the drug by checking the user's grip according to the contact detection value from the sensor and checking the decrease in pills or medicine packets according to the weight value from the weight sensor and the pressure value from the pressure sensor. A drug administration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by:
제 3 항에 있어서,
약 복용 관리 장치는 표시부나 스피커나 진동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기저장된 복용 일정에 따라서 복용자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고, 미 복용 시에 표시부나 스피커나 진동부를 통하여 복용 알람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medication administration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a speaker, or a vibrator unit,
A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taken the medication according to a pre-stored dosing schedule and, when not taking the medication, provides a medication alarm through a display unit, speaker, or vibrator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약 복용 관리 장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하여 복용자 통신 단말기나 보호자 통신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 복용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medication administration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or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aking the medication to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guardian's communication terminal, or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KR1020220148826A 2022-11-09 Medication managing device capable of detecting emergency situations KR20240067613A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613A true KR20240067613A (en)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4893U (en) Portable drug dispenser
JP3213184U (en) Eye drop dispenser
US20110112686A1 (en) Device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nd/or indicating a medicament dosage regime
EP2485704B1 (en) Medication dispenser
US7269476B2 (en) Smart medicine container
JP2019213886A (en) Monitoring adherence to medication regimen using sensor
US8985388B2 (en) Smart medicine container
US20100100237A1 (en) Smart Medicine Container
US20090259336A1 (en) Smart Medicine Container Assembly
WO2016196140A1 (en) Sensor-based medication systems
JP7325791B2 (en)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and its system
US20220211582A1 (en) Inhaler compliance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KR100786170B1 (en) DrugAdministration inform system
KR20240067613A (en) Medication managing device capable of detecting emergency situations
JP5967792B1 (en) Medicine bag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medicine bag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20120007265A (en) Medicine storage box
US201901338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medication
ES2942668T3 (en) Support for patients with repeated medication intake
TW200426656A (en) Separation of validated information and functions in a healthcare system
JP2018140138A (en) Medication support device with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10881585B2 (en) Pill compliance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US20220148704A1 (en) Nutriment track and alert system
EA006618B1 (en) Signalling device to make the administering of medical preparations easier
KR20220095570A (en) IoT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apparatus
KR20240010868A (en) Smart medicine box control method and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