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265A - Medicine storage box - Google Patents

Medicine storage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265A
KR20120007265A KR1020100067936A KR20100067936A KR20120007265A KR 20120007265 A KR20120007265 A KR 20120007265A KR 1020100067936 A KR1020100067936 A KR 1020100067936A KR 20100067936 A KR20100067936 A KR 20100067936A KR 20120007265 A KR20120007265 A KR 20120007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rug
user
medici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9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64013B1 (en
Inventor
허지영
박은영
이원희
홍승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67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013B1/en
Priority to PCT/KR2010/006008 priority patent/WO2012008652A1/en
Publication of KR20120007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0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1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1Emergency ca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1117Fal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medicine storage box is provided to inform a user of an emergency situation by detecting the emergency situation. CONSTITUTION: A medicine storage box comprises: a sensor unit(110) which senses an emergency situation; an output unit(140) which outputs an emergency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ensed emergency situation; and a medicine providing unit which discharges specific medicine according to a fixed medicine taking schedule and discharges emergency medicine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output unit includes a sound unit outputting an emergency message.

Description

약품 보관함{MEDICINE STORAGE BOX}Drug Storage Box {MEDICINE STORAGE BOX}

본 발명은 약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에 대한 경고 메시지 발생, 응급 상황에 대한 비상 약품 복용 지도, 및 응급 상황에 대한 비상 연락을 수행할 수 있는 약품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g storag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rning box fo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to a user, an emergency medicine taking instruction for an emergency situation, and a medicine storage box capable of performing emergency contact for an emergency situation. will be.

약품이라 함은 질병이나 부상, 기타 신체의 이상을 치료, 완화 및 예방하기 위해 생물에게 투여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건강한 사람이라도 일 년에 수차례 약품을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히,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은 일생 동안 주기적으로 복약을 해야 하기도 한다. 이러한 약품들은 각각 서로 다른 화학적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약품마다 인체 내에서 흡수 및 분해되는 작용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대부분 복약시간이 미리 정해져 있다.Drug means a substance administered to a living organism to treat, alleviate, or prevent a disease, injury, or other physical condition. It is common to take medications many times a year, even in healthy people, especially those with certain conditions who may need to take medications regularly throughout their lives. Since these drugs are made of different chemical components, most medications are prescribed in advance because different drugs have different processes of absorption and decomposition in the human body.

따라서 올바른 투약효과를 위해서는 약품의 성분과 목적 및 약효의 지속시간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약제를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약품에 대한 처방전을 작성하는 의사나 약사는 투약시간에 대해 기상 후, 식전, 식후 및 취침 전 등으로 가능한 일반인들의 생활패턴에 맞춰 복용약품, 복약시간 및 방법 등에 대해 안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약지도는 의·약사들의 구두에 따라 설명되며 이후 복약과정에서 복용자의 기억과 주의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므로 복용자 개개인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복약스케줄에 따른 효과적인 복용을 기대하기 힘들다.Therefore, for the correct dosage effect, it is important to take a fixed drug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and purpose of the drug and the duration of the drug. In general, doctors or pharmacists who write prescriptions for medications provide information on medications, medication time, and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life patterns of the general public, such as after waking up, before meals, after meals, and before bedtime. However, such medication guidance is explained according to oral medicine and pharmacists, and since it depends solely on the memory and attention of the patient during the medication process, it is difficult to expect effective medicatio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unless the individual takes care of the medication.

나아가,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들(예컨대, 심장병 환자나 당뇨병 환자)은 불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응급 상황 시에 그에 적합한 비상 약품을 복용해야 하며,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심장병 환자의 갑작스런 심장 발작이나 당뇨병 환자의 갑작스런 저혈당 쇼크 발생이 대표적인 응급 상황이라 할 것이다.Furthermore, people with certain diseases (eg, heart disease patients or diabetics) should take appropriate emergency medications in case of an emergency that can occur unexpectedly, otherwise fatal problems can occur. For example, a sudden heart attack in a heart patient or sudden hypoglycemic shock in a diabetic patient may be a typical emergency.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갑작스런 응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그 장소가 병원, 약국 등이 아닌 이상,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의사, 약사, 간호사, 응급 구조 요원 등에 의하여 응급 조치를 받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갑작스런 응급 상황 발생 시에는 환자 자신 또는 주변의 다른 사람들이 발생한 응급 상황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를 수행하여야 한다.In the event of a sudden emergency in a person with a specific disease, it is difficult to expect emergency treatment by a physician, pharmacist, nurse, or emergency rescue person who has specialized knowledge, unless the place is a hospital or pharmacy. . Therefore, in the event of a sudden emergency, measures should be taken to resolve the emergency caused by the patient or others around him.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에 대한 가장 우선적인 대처 방법으로는,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들이 자신에게 발생할 수 있는 응급 상황에 대응하여 소지하고 있는 비상 약품을 환자에게 복용시키는 것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에도,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은 자신에게 일어난 응급 상황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고, 의식이 없을 수도 있으며, 주위 사람들은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을 인식하더라도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비상 약품을 복용시키기 위한 응급 조치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다반사이다.The first way to deal with emergencies in people with certain illnesses is to take patients with emergency medication that they have in response to emergencies. However, even when an emergency has occurred, a person with a certain disease may not be aware of the emergency that has happened to him or her, or may be unconscious, and people around him may have a specific disease even if they recognize an emergency that has occurred in a person with that particular disease. It is common for people to be unable to take emergency measures to take emergency medicine.

또한,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그에 따른 비상 약품을 복용한 환자가 추가적인 의료 조치를 받기 위해서는 상기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의 보호자나 간병인, 의사, 간호사, 전담 병원, 응급 센터 등에 대한 비상 연락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환자나 주변 사람들이 이러한 후속 조치를 즉시 수행하는 것 역시 어렵다고 할 것이다.In addition, if an emergency occurs in a person with a specific disease, the patient who took the emergency medication may be required to receive additional medical care, such as a guardian or carer, doctor, nurse, dedicated hospital, emergency center, etc. Emergency communication should be preceded, and it will also be difficult for the patient or people around him to carry out such follow-up immediately.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복용해야 하는 비상 약품 복용 방법을 알려 주며,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에 대한 비상 연락을 수행할 수 있는 약품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to a user with a specific disease to inform the user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he emergency that the user should take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to the user It tells how to take the drug, and provides the drug storage box to the emergency user can be contacted for an emergency occurr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uld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은 감지부, 출력부, 및 약품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응급 메시지(Emergency Message)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약품 제공부는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에 따른 특정 약품을 외부로 배출하며, 응급 상황 감지 시에는 상기 감지된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약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drug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may include a sensing unit, an output unit, and a drug providing unit. The detector may detect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output unit may output an emergency message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The drug providing unit discharges a specific dru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dication schedule to the outside, and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it may discharge the emergency medicin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mergency situation to the outsid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며,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에 따른 특정 약품을 수납하기 위한 제1 수납 공간 및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약품을 수납하기 위한 제2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수납 공간 및 상기 제2 수납 공간 중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 약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개구부, 및 상기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카트리지 및 상기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납 공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연통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ug storage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is provided in the case, the inside of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orage space and emergency situation for storing a specific dru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dication schedule A cartridge including a second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emergency medicine, formed in the case, for discharging the medicine stored in at least one storage space communicated between the first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to the outside An opening including at least one opening,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at least one of the cartridge and the opening based on whether an emergency occurs to communicate the at least one receiving space with the at least one opening. Can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약 관리 방법은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응급 메시지(Emergency Message)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응급 상황에 응답하여, 상기 응급 상황을 미리 설정된 외부 장치로 알리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에 따른 특정 약품을 외부로 배출하며, 응급 상황 감지 시에는 상기 감지된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약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dication management method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comprises the steps of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to the user; Outputting an emergency message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In response to the detected emergency, notifying the emergency to a preset external device; And discharging the specific drug according to a preset medication schedule to the outside, and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discharging the emergency drug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mergency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약품 보관함 및 복약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Drug storage and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약품 보관함 및 복약 관리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들은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응급 메시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ug storage and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r people around him can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to the user through an emergency message informing the user of the emergency situ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품 보관함 및 복약 관리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들은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복용해야할 비상 약품 복용 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ug storage and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r people around him can be provided with an emergency medicine taking method that the user should take in response to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품 보관함 및 복약 관리 방법에 의하면, 미리 설정된 기관, 보호자 등은 각자의 단말기(즉, 약품 관함에 대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을 통지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ug storage and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organ, guardian, etc. can be notified of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to the user through their terminal (that is, the external device to the drug container).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약품 보관함 및 복약 관리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약품을 즉시 복용할 수 있으며, 비상 약품 복용 후에도 응급 상황에 따른 후속 의료 조치를 신속하게 받을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drug storage box and the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immediately take emergency medicine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and can quickly receive subsequent medical measures according to the emergency even after taking the emergency medic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의 블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의 출력부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외부로 알리는 응급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의 출력부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복용해야할 비상 약품 복용 방법을 설명하는 응급 메시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의 출력부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을 외부 장치로 알리는 비상 연락 방법을 설명하는 응급 메시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의 출력부에서 발생하는, 일반 상황에서의 비상 약품 유무 감시 결과를 나타내는 메시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의 출력부에서 발생하는, 응급 상황에서의 비상 약품 유무 감시 결과를 나타내는 메시지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의 약품 제공부에 포함되는 카트리지의 일예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의 약품 제공부에 포함되는 카트리지의 다른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을 이용한 복약 관리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을 이용한 복약 관리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약품 보관함을 이용한 복약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edication track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drug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mergency message to inform the outside that an emergency occurred to the user, which occurs in the output of the drug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n emergency message for explaining an emergency medicine taking method to be taken by the user in response to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to the user, which occurs at the output of the drug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mergency message illustrating an emergency contact method for notifying an external device o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to a user, which occurs at an output of a drug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message indicating the emergency drug presence monitoring results in a general situation, which occurs in the output of the drug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message indicating the emergency drug presence monitoring result i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at the output of the drug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edicin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b is an example of a cartridge included in the drug providing unit of the drug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C is another example of the cartridge included in the medicine providing unit of the medicine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drug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drug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drug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Specific structural to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r the application are on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and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The examples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or in the applicatio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articular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출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When one component 'transmits or outputs' data or a signal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transmit or output' the data or signal directly to the other component, and at least one further This means that the data or signal may be transmitted or output to the other components through other components.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ve concept, and the first component may be call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복약 관리 시스템이란, 처방받은 약품을 올바르게 복용할 수 있도록 복약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복약 관리 시스템은 약물 복용자와 복용자의 건강 관리자(Health Manager)를 보다 가깝게 이어주고 서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복약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edication track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is a system for managing medications so that a prescribed medicine can be taken correctly. Medication management systems can lead to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medication management by bringing drug users and their health managers closer together and sharing information with each other.

이러한 복약 관리는 효과적인 복약을 위한 복약 지도, 복약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복약확인 및 환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에 따른 비상 약품 복용 지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지도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약하도록 하는 복약지시 및 약품을 오용 또는 남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남용방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Such medication management may include medication guidance for effective medication, medication identification to confirm whether or not medication, and emergency medication taking instruction according to an emergency occurring in a patient. Here, the medication map may include a medication instruction to take medicatio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and a misuse / abuse prevention function to prevent misuse or abuse of drugs.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복약 관리 시스템은, 각각이 서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건강 관리 서버(10),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 다수의 비상 연락용 이동통신 단말기들(21 내지 23), 다수의 관리용 단말기들(11 내지 13) 및 약품 보관함(1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edication tracker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health care server 10,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f a user,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Emergency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s 21 to 23, a plurality of management terminals (11 to 13) and the drug storage box 100 may be included.

건강 관리 서버(10)는 다수의 관리용 단말기들(11 내지 13) 및 약품 보관함(100)과 연동하여 환자, 약품 복용자 등 피건강 관리자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수집, 관리 및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건강 관리 서버(10)가 수집, 관리, 및 제공하는 정보에는 약품에 대한 복약 관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 관리 정보는 사용자 정보, 처방전 정보, 복약 스케줄, 복약 확인 정보, 응급 상황 발생 정보, 및 응급 상황에 대응한 비상 약품의 복용 확인 정보 등이 포함할 수 있다.The health care server 10 collects, manages, and provid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health of a health manager, such as a patient and a drug user, in conjunction with a plurality of management terminals 11 to 13 and the drug storage box 100. It can be a server. Information collected, managed, and provided by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includ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about a drug. Here,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user information, prescription information, medication schedul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emergency occurrence information, and emergency medication tak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사용자 정보는 약품을 복용하는 개인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성별, 연령, 체중, 혈압, 혈당, 병력 및 그 외의 복용자의 건강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처방전 정보는 사용자에게 처방된 약품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복약 스케줄은 사용자가 약품을 복용해야하는 일정일 수 있다. 복약 확인 정보는 복용자가 복약했는지 여부 및 약의 복용이 복약스케줄에 따라 이루어졌는지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individual taking the medication. For example,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name, sex, age, weight, blood pressure, blood sugar, medical history, and other health conditions of the user. Prescrip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medicine prescribed to the user. The medication schedule may be a schedule in which the user must take the medication.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such as whether or not the patient taking the medication and whether the taking of the medicine was mad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상기 약품 보관함(100)은 사용자가 복용하고자 하는 각종 약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건강 관리를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복약 지도를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약품 복용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약품 보관함(100)은 직접 또는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20) 및 건강 관리 서버(10)와 연동하여 비상 연락용 이동통신 단말기들(21 내지 23) 및 다수의 관리 단말기들(11 내지 13)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약품 보관함(10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본다.The drug storage box 100 may store a variety of drugs that the user wants to take, and may take a medication map to the user by using information for health care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may check whether the user takes the medicine. In addition, the drug storage box 100 is directly or in conjunction with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the health management server 10 emergency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21 to 23) and a plurality of management terminals (11 to) 13) and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he drug storage box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1.

상기 관리용 단말기들(11 내지 13)은 사용자의 건강 관리에 직, 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기관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관리용 단말기들(21 내지 23)은 상기 약품 보관함(100)에서 감지된 응급 상황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는 외부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관리용 단말기들(11 내지 13)에는 병원측 단말기, 병원측 서버, 약국측 단말기, 약국측 서버, 건강 관리 센터측 단말기, 응급 센터측 단말기, 응급 센터측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management terminals 11 to 13 refer to terminals of institution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 in the user's health management. The management terminals 21 to 23 may be external devices that receive an emergency occurrence message detected by the drug storage box 100. The management terminals 11 to 13 may include a hospital terminal, a hospital server, a pharmacy terminal, a pharmacy server, a health care center terminal, an emergency center terminal, an emergency center server, and the like.

상기 비상 연락용 이동통신 단말기들(21 내지 23)은 사용자의 건강 관리에 직, 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사람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비상 연락용 이동통신 단말기들(21 내지 23)에 각각은 상기 약품 보관함(100)으로부터 응급 상황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는 외부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비상 연락용 이동통신 단말기들(21 내지 23)에는 사용자의 보호자, 간병인, 의사, 간호사, 약사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mergency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21 to 23 refer to terminals of people who are directly or indirectly involved in the user's health management. Each of the emergency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21 to 23 may be an external device that receives an emergency occurrence message from the drug storage box 100. The emergency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21 to 23 may inclu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a caregiver, a caregiver, a doctor, a nurse, and a pharmacist of a user.

이하,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10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11, looks at the drug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100)의 블락도이다. 상기 약품 보관함(100)은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을 감지하여 사용자 또는 타인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응급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복용해야 하는 비상 약품 복용 방법을 알려 주며,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에 대한 비상 연락을 수행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the drug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ug storage box 100 detects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in the user and outputs an emergency message for recognizing the user or another person, and informs the user how to take the emergency medicine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occurred to the user You can perform emergency contact about the emergency situation that occurred to the user.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약품 보관함(100)은 센서(105), 감지부(110), 전원부(115), 제어부(120), 입력부(125), 메모리부(130), 출력부(140), 통신부(150), 및 약품 제공부(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rug storage box 100 includes a sensor 105, a detection unit 110, a power supply unit 115, a control unit 120, an input unit 125, a memory unit 130, and an output unit 140. , Communication unit 150, and drug providing unit 160.

상기 센서(105)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그 센싱 결과를 상기 감지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는 사용자의 심장 박동, 뇌파, 체온, 호흡, 혈당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속도, 가속도, 방위, 고도, 및 충격량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The sensor 105 may sense at least one of a user's biological signal and the exercise state of the user, and transmit the sensing result to the sensing unit 110. Here, the biosignal of the us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ser's heartbeat, brain waves, body temperature, respiration, and blood sugar, and the exercise state of the user includes at least one of speed, acceleration, azimuth, altitude, and impact on the user's body. One may be included.

상기 센서(105)는 상기 약품 보관함(100)의 일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약품 보관함(100)과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센서(105)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 또는 장착되는 엑세서리 형태(예컨대, 시계, 벨트, 목걸이, 팔찌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센서(105)는 상기 약품 보관함(100)과는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nsor 105 may be implemented as part of the drug storage box 100, it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from the drug storage box (100). The sensor 10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ccessories (eg, watches, belts, necklaces, bracelets) that are in contact with or mounted on the user's body. The sensor 105 may be connected to the drug storage box 100 by wire / wireless.

예컨대, 상기 센서(105)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센싱된 데이터를 상기 감지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센서(105)에 의하여 센싱된 데이터는 상기 통신부(150)를 통하여 수신되어 상기 감지부(110)로 전달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105 may detect data sensed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or the like. 110). In addition, unlike FIG. 1, the data sensed by the sensor 105 may b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and transmitted to the detection unit 110.

도 1에서 상기 센서(105)는 하나의 구성요소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센서(105)는 각각이 상술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싱 모듈일 수도 있다.In FIG. 1, the sensor 105 is shown as only one component, but the sensor 105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each configured to sense the above-described biological signal of the user and the exercise state of the user. It may be a module.

상기 감지부(110)는 상기 센서(105)에 의하여 센싱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 및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10)는 상기 약품 제공부(160)에 보관된 약품의 유무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The detection unit 110 may detect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and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in the us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bio signal of the user sensed by the sensor 105 and the exercise state of the user. have. 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110 ma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rug stored in the drug providing unit 160 and output the result to the control unit 120.

이하, 상기 감지부(110)의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운동 상태에 기초한 감지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a detection function based on the bio signal and the exercise state of the user of the detection unit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감지부(110)는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낙상하였음을 감지한 다음, 상기 사용자가 일정한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10)는 센싱된 상기 사용자의 심장 박동 수에 기초하여 심장병 환자인 상기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예컨대, 심장 발작)이 발생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10 may detect that the user has fallen based on the exercise state of the user, and then, when the user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may determine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o the user. In addition, the detector 110 may detect that an emergency situation (eg, a heart attack) has occurred in the user who is a heart patient based on the sensed heart rate of the user.

또한, 상기 감지부(110)는 센싱된 상기 사용자의 혈당에 기초하여 당뇨병 환자인 상기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예컨대, 저혈당)이 발생하였음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10)는 센싱된 상기 사용자의 혈압에 기초하여 고혈압 환자인 상기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예컨대, 혈압의 위험 임계치 초과)이 발생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감지부(110)에서 상기 센서(105)에 의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들을 감지하는 예들을 살펴 보았다. 그러나 이는 상기 감지부(110)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는 응급 상황의 일례들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detector 110 may detect that an emergency situation (eg, hypoglycemia) has occurred in the user who is a diabetic patient based on the sensed blood sugar of the user.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10 may detect that an emergency situation (eg, exceeding a risk threshold of blood pressure) has occurred in the user who is a hypertension patient based on the sensed blood pressure of the user. In the above, examples of detecting emergency situations occurring in the user using the sensing data by the sensor 105 have been described. However, these are only examples of emergency situations that may be detected by the detector 110,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감지부(110) 또는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에 따른 특정 약품의 복약 시기 내에 상기 특정 약품이 상기 약품 보관함(10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복용 스케줄에 따른 약품 복용 메시지가 출력되고 약품 복용 시기가 경과되도록 사용자가 약품을 복용하기 위한 조치 또는 약품을 나중에 복용할 것이라는 조치를 취하기 않은 경우에, 상기 감지부(110)는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110 or the control unit 120 is an emergency to the user if the specific drug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ug storage box 100 within the medication tim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set in advance for the us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ituation has occurred. That is, when the medication taking message according to the dosing schedule is output and the user does not take the action to take the medicine or to take the medicine later so that the time to take the medicine, the detection unit 110 to the user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상기 전원부(115)는 상기 약품 보관함(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15)는 상기 약품 보관함(100) 내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부(115)는 건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전지는 유/무선으로 재충전이 가능한 건전지일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여 이를 상기 약품 보관함(100)에 공급할 수 있는 태양 전지(Solar Cell)일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15 may provide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drug storage box 100. The power supply 115 may be fixed or detached in the drug storage box (100).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115 may include a battery. In this case, the battery may be a battery that can be recharged by wire / wireless, or may be a solar cell capable of supplying energy to the drug storage box 100 by itself.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약품 보관함(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에 따른 상기 약품 보관함(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 보관함(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rug storage box (1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an operation of the drug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a medication schedule set in advance for the user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and based o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in the user. The operation of the drug storage box 100 may be controlled.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130)에는 상기 약품 보관함(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사용자의 복약 스케줄, 사용자의 복약 결과,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등)이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3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memory unit 13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drug storage box 100, the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the user's medication schedule, the user's medication results, the sensed user Vital signs, etc.) may be stored. The memory unit 130 may include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 only memory (ROM), and an electrically erasable (EP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etc. may be implement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먼저, 상기 복약 스케줄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하에서 수행되는 상기 약품 보관함(100)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drug storage box 100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출력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부(140)가 상기 복약 스케줄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복약 스케줄에 따른 특정 약품의 복용 시기를 알리는 메시지, 상기 특정 약품의 복용 방법을 알리는 메시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the output unit 140 to cause the output unit 140 to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The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a message informing a time of taking a specific medicin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a message informing a method of taking the specific medicine, and the like.

좀 더 상세히 살펴 보면, 상기 출력부(140)의 음향부(142)는 상기 복약 스케줄에 따라서, 특정 약품의 복용 시기가 도래한 것을 알리는 경보음 및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부(140)의 표시부(144)는 상기 특정 약품의 복용 시기 및 복용 방법을 나타내는 영상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ound unit 142 of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an alarm sound and a voic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time of taking a particular medicine has arrived,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and the output unit ( The display unit 144 of 140 may output an image message indicating when to take and how to take the specific medicine.

여기서, 상기 표시부(144)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약품 보관함(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44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3D). The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medicine container 100 may be displayed us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s.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약품 제공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약품 제공부(160)가 내부에 보관된 특정 약품을 상기 복약 스케줄링에 따라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확인 버튼(미도시) 조작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약품 제공부(16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약품 제공부(160)의 보관 약품 배출 동작은 차후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 본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drug providing unit 160 to allow the drug providing unit 160 to discharge the specific drug stored therein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ing.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2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edicine providing unit 160 in response to a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user's manipulation of a confirmation button (not shown). The operation of discharging chemicals stored in the medicine providing unit 1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8C.

상기 확인 버튼은 상기 입력부(125)에 포함되는 상기 약품 보관함(100) 케이스 외부로 돌출된 버튼일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 기능에 의하여 상기 입력부(125)의 특정 영역에 구현되는 버튼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 보관함(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한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firmation button may be a button that protrudes out of the case of the drug storage box 100 included in the input unit 125, or may be a button implemented in a specific area of the input unit 125 by a touch screen function. That is, the input unit 125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nd a touch pad for generating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edicine container 100 based on a user's manipulation. Blackout), a jog wheel, and a jog switch.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건강 관리 서버(10) 및 관리용 단말기들(21 내지 23)로부터 처방전 정보, 복약 스케줄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건강 관리 서버(10) 및 관리용 단말기들(21 내지 23)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 상기 사용자의 복약 결과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50 to receive various data, including prescription information, medication schedule, etc., from the health care server 10 and the management terminals 21 to 23 from an external device. can do.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various data including the bio signal of the user, the exercise state of the user, the medication result of the user, and the like to the health care server 10 and the management terminals 21 to 23.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o an external device.

여기서, 상기 통신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외부 장치들과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부(150)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 또는 건강 관리 서버(10)를 통하여 비상 연락용 이동통신 단말기들(21 내지 23) 및 관리용 단말기들(21 내지 23)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통신부(150)는 직접 상기 비상 연락용 이동통신 단말기들(21 내지 23) 및 관리용 단말기들(21 내지 23)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Here, as shown in FIG. 1,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perform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communication unit 150 is an emergency contac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21 to 23 and a management terminal through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r the health care server 10.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s 21 to 23 may be performed.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emergency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21 to 23 and the management terminals 21 to 23.

상기 통신부(150)가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에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뿐 아니라, Wifi,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communicates with external devices in addition to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nd ultra wideband (UWB).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Wifi, Wireless 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may be used.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하에서 수행되는 상기 약품 보관함(100)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Next, when an emergency occurs to the user, the operation of the drug storage box 100 that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부(110)에 의하여 감지된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응급 메시지(Emergency Message)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응급 상황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응급 상황을 알리는 경고음, 상기 감지된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 및 상기 비상 약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음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응급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140)의 음향부(142)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the output unit 140 to output an emergency message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detected by the detector 110. For exampl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the controller 120 may include a warning sound for notifying the detected emergency situation, a voice message for notifying the detected emergency situation, and a voice message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the emergency medicine to a user. The sound unit 142 of the output unit 140 may be controlled to output the emergency message including at least one.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응급 상황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응급 상황을 알리는 영상 및 상기 비상 약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응급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140)의 표시부(144)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당뇨병 환자인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즉, 저혈당)이 발생한 경우, 상기 출력부(140)의 표시부(144)에 표시되는 응급 메시지의 일예를 살펴 본다.In addi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20 outputs the emergency message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mage informing of the detected emergency situation and an image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the emergency medicine to a user. The display unit 144 of the output unit 140 may be controlled.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3 and 5, when an emergency situation (that is, hypoglycemia) occurs in a diabetic user, an example of an emergency mess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4 of the output unit 140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100)의 출력부(140)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외부로 알리는 응급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144)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 환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 환자는 인슐린을 복용해야 합니다!!"라는 문자 영상 표시됨을 알 수 있다.3 is a view showing an emergency message to inform the outside that the user has an emergency occurred in the output unit 140 of the drug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y unit 144 displays a text image indicating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to the user, “the patient has had an emergency !! Patient should take insulin !!”.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100)의 출력부(140)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복용해야할 비상 약품 복용 방법을 설명하는 응급 메시지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144)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약품 보관함(100)에 보관된 비상 약품(즉, 인슐린)을 복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비상 약품이 들어 있습니다!! 여기를 눌러 배출되는 비상 약품을 복용하세요!!라는 문자 영상이 표시됨을 알 수 있다.4 illustrates an emergency message for explaining how to take an emergency medicine to be taken by the user in response to an emergency occurring in the user, which occurs at the output unit 140 of the drug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display unit 144 includes “emergency medicines” indicating how the user takes emergency medicines (ie, insulin) stored in the medicine storage box 100. Take an emergency medication !! You will see a text imag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100)의 출력부(140)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을 미리 설정된 외부 장치로 알리는 비상 연락 방법을 설명하는 응급 메시지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144)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외부 장치(즉, 응급 센터측 관리용 단말기)로 알리는 "여기를 눌러 응급 센터로 연락하세요!!" 라는 문자 영상이 표시됨을 알 수 있다.5 is an emergency message illustrating an emergency contact method for notifying a user o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in the output unit 140 of the drug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reset external device. Referring to FIG. 5, the display unit 144 notifies an external device (ie, emergency center management terminal)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to the user, "click here to contact the emergency center !!" It can be seen that the text image is displayed.

여기서, 미리 설정된 외부 장치라 함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외부 장치인 병원측 단말기, 병원측 서버, 약국측 단말기, 약국측 서버, 건강 관리 센터측 단말기, 응급 센터측 단말기, 응급 센터측 서버, 사용자의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간병인의 이동통신 단말기, 의사의 이동통신 단말기, 간호사의 이동통신 단말기, 약사의 이동통신 단말기들 등이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preset external device is a hospital terminal, a hospital server, a pharmacy terminal, an external device which is preset to receive a message indicating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Pharmacy Server, Health Care Center Terminal, Emergency Center Terminal, Emergency Center Server, Guardian's Mobile Terminal, Caregiver's Mobile Terminal, Doctor's Mobile Terminal, Nurse's Mobile Terminal, Pharmacis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like.

참고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표시부(144)에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 입력부(125)가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응급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은 응급 메시지가 표시된 부분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약품 보관함(100)이 비상 약품을 배출하게 하거나 외부 장치로의 비상 연락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For reference, an input unit 125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is coupled to the display unit 144 illustrated in FIGS. 4 and 5. Therefore, a user or a person who checks the emergency message may allow the medicine storage box 100 to discharge the emergency medicine or to perform an emergency contact to an external device by touching a portion where the emergency message is displayed.

상기 출력부(140)의 메시지 표시 동작을 좀 더 살펴 보면, 상기 출력부(140)는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감지부(110)에 의한 비상 약품 유무 감지 결과를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Looking at the message display operation of the output unit 140 in more detail, the output unit 140 may display the emergency drug presence detection result by the detection unit 110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to the user. It may be.

도 6은 일반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100)의 출력부(140)에서 발생하는, 비상 약품 유무 감시 결과를 나타내는 메시지이다. 도 7은 응급 상황 발생 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100)의 출력부(140)에서 발생하는, 비상 약품 유무 감시 결과를 나타내는 메시지이다.6 is a message indicating the emergency drug presence monitoring result, which occurs in the output unit 140 of the drug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general situation. 7 is a message indicating the emergency drug presence monitoring result, which occurs in the output unit 140 of the drug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mergency occurs.

도 6의 (a)를 참조하면, 일반 상황에서 상기 약품 보관함(100)에 비상 약품이 있는 경우에 상기 출력부(140)의 표시부(144)에는 "비상 약품이 들어 있습니다!" 라는 문자 영상이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일반 상황에서 상기 약품 보관함(100)에 비상 약품이 없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144)에는 "비상 약품이 없습니다!" 라는 문자 영상이 표시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when there is an emergency medicine in the medicine storage box 100 in a normal situation, the display unit 144 of the output unit 140 contains “emergency medicine!” It can be seen that the text image is displayed.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6 (b), when there is no emergency medicine in the drug storage box 100 in the general situation, the display unit 144 "There is no emergency medicine!" It can be seen that the text image is displayed.

그러나 도 7의 (a)를 참조하면, 응급 상황 발생 시 상기 약품 보관함(100)에 비상 약품이 있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144)에는 "비상 약품이 들어 있습니다!" 라는 문자 영상과 더불어 "여기를 눌러 비상 약품을 복용하세요!" 라는 문자 영상이 함께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의 (b)를 참조하면, 응급 상황 발생 시 상기 약품 보관함(100)에 없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144)에는 "비상 약품이 없습니다!" 라는 문자 영상과 "여기를 눌러 응급 센터에 알리세요!" 라는 문자 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However, referring to FIG. 7 (a), when there is an emergency medicine in the medicine storage box 100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display unit 144 includes "emergency medicine!" In addition to the text image "Click here to take emergency medicine!" It can be seen that the text image is displayed together.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7 (b), when the emergency occurs in the drug storage box 100, the display unit 144, "there is no emergency medicine!" Text message and "Click here to notify the emergency center!" It can be seen that the text image is displayed together.

이때, 사용자 또는 그 주변 사람은 상기 영상 메시지 부분을 누름으로써 통신부(150)가 응급 상황이 발생 및 상기 약품 보관함(100)에 보관된 비상 약품이 없음을 응급 센터로 알리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b)의 구현 예와 달리, 상기 통신부(150)는 응급 상황 발생 시 상기 약품 보관함(100)에 보관된 상기 비상 약품이 없는 경우, 상기 비상 약품이 없음을 자동으로 응급 센터측 관리 단말기와 같은 미리 설정된 외부 장치로 알릴 수도 있다. 이는 일반 상황에서 비상 약품이 약품 보관함(100)에 없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At this time, a user or a person around the user may press the video message portion so that the communication unit 150 notifies the emergency center that an emergency occurs and that there is no emergency medicine stored in the medicine storage box 100. Unlike the embodiment of Figure 7 (b), the communication unit 150, if there is no emergency medicine stored in the drug storage box 100 when an emergency occurs, emergency center side management automatically does not have the emergency medicine It may be notified to a preset external device such as a terminal. This is true even if the emergency medication is not in the drug storage box 100 in the general situation.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약품 제공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약품 제공부(160)가 내부에 보관된 응급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복용해야할 비상 약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의 확인 버튼 조작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약품 제공부(16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약품 제공부(160)의 비상 약품 배출 동작은 이하에서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 본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medicine providing unit 160 to discharge the emergency medicine to be taken by the user to the outside in response to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the medicine providing unit 160 is stored therein.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2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edicine providing unit 160 in response to a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user's or a person's neighbor's manipulation of the confirmation button. Emergency drug discharge operation of the drug providing unit 1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8a to 8c below.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8a는 상기 약품 제공부(160)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약품 제공부(16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도 8a에 도시되지 않았다.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약품 제공부(160)는 케이스(164), 상기 케이스(164) 내부에 마련되는 카트리지(162), 및 상기 케이스(164)에 형성되는 개구부(165)를 포함한다.Figure 8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ug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FIG. 8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drug providing unit 160, and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drug providing unit 160 are not shown in FIG. 8A. Referring to FIG. The drug providing unit 160 includes a case 164, a cartridge 162 provided inside the case 164, and an opening 165 formed in the case 164.

상기 케이스(164)는 상기 약품 보관함(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약품 보관함(100)은 거취용 약상자 또는 휴대용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약품 보관함(100)이 휴대용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됨 없이 상기 약품 보관함(100)을 휴대함으로써, 외출하는 때에도 복약 스케줄에 따라 약품을 복용하기 용이하도록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164 may form an appearance of the drug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ug storage box 100 may be a medicine box or a portable medicine. If the drug storage box 100 is portable, the user holds the drug storage box 100 without regard to the place, so that the weight is light and small so that it is easy to take the medicin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even when going out.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케이스(164)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 요소들의 보호를 위한 적합한 강도를 가진 강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64)는 내부에 보관되는 약품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빛, 습기 등을 차단하는 재질 및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통풍이 자유로운 재질 및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se 164 is preferably made of reinforced plastic or aluminum having a suitable strength for the protection of the components contained therein. In addition, the case 164 may have a material and structure that blocks light, moisture, etc. in order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chemicals stored therein, may have a material and structure that is free to ventilate.

상기 카트리지(162)는 상기 케이스(164)의 내부에 마련되며, 다수의 약품 수납 공간들(16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수납 공간들(162A)은 적어도 하나의 격벽에 의하여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8a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다수의 약품 수납 공간들(162A)은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에 따른 특정 약품을 수납하기 위한 제1 수납 공간 및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약품을 수납하기 위한 제2 수납 공간로 분류될 수 있다.The cartridge 162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se 164,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ug receiving spaces 162A.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162A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t least one partition wall. Although not shown in FIG. 8A, the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spaces 162A may be a first storage space for storing a specific medicine according to a preset medication schedule and a second storage space for storing emergency medicine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Can be classified.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162)의 형상은 상기 케이스(164)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64)가 원통형상인 경우에는 카트리지는 원통 형상 또는 원형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카트리지(162)의 형상은 상기 케이스(164)의 형상과 다를 수도 있다.Here, the shape of the cartridge 162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case 16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A, when the case 164 has a cylindrical shape, the cartridge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circular plate shape.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of the cartridge 162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ase 164.

상기 카트리지(162)는 상기 케이스(164) 내에 수용되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은 약품 보관함(100)의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 또는 후술할 구동부(166)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원형 카트리지(162)는 상기 구동부(166)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다른 구현 형태에 따르면 직육면체 형의 카트리지는 상기 구동부(166)에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164) 내부에서 직선 운동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162)는 상기 케이스(164) 내부에서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artridge 162 may be accommodated and driven in the case 164. Such driving may be perform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a user of the drug storage box 100 or a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166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circular cartridge 162 illustrated in FIG. 8A may rotate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166.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cartridge may linearly move inside the case 164 by an exter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166. In addition, the cartridge 162 may simultaneously perform linear motion and rotational motion inside the case 164.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카트리지(162)도 약을 보관하기 적합한 재질(예컨대, 보관된 약품을 빛이나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재질)일 수 있고, 약을 보관하기 적합한 구조(예컨대, 통풍이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artridge 162 may also be a material suitable for storing the medicine (eg, a material for protecting the stored medicine from light or moisture), and may have a structure suitable for storing the medicine (eg, a structure for easy ventilation). have.

이러한 수납 공간들(162A) 각각에는 약품이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납 공간들(162A) 중 제1 수납 공간에는 사용자가 복약 스케줄에 따라 복용해야할 특정 약품의 1회 복용 분량이 수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 수납 공간이 복수 개인 경우에, 상기 카트리지(162)에는 제1 수납 공간의 수에 상응하는 복용 분량의 특정 약품이 보관될 수 있다.Drugs may be stored in each of the storage spaces 162A. For example, the first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spaces 162A may store a single dose of a specific medicine to be taken according to a medication schedule. Therefor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first storage spaces, the cartridge 162 may store a certain amount of a specific medicin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first storage spaces.

이러한 특정 약품의 종류 역시 한 가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복약 스케줄 상 여러 가지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 수납 공간들 역시 상기 특정 약품의 종류에 따라서 다수의 하위 수납 공간들로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감기약과 항생제를 동시에 복용해야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 공간들은 복약 스케줄에 따라서 감기약만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 항생제만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 공간, 감기약과 항생제를 모두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으로 분류될 수 있다.This particular type of drug is also not limited to one, and may be various in the medication schedule. Then, the first storage spaces may also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lower storage spaces according to the specific drug type. For example, when a user needs to take a cold medicine and an antibiotic at the same time, the first storage spaces may include a storage space for storing only cold medicine, a storage space for storing only antibiotics, and storage for both cold medicine and antibiotics according to a medication schedule. Can be classified as space.

상기 수납 공간들(162A) 중 제2 수납 공간에는 사용자가 응급 상황에서 복용해야할 비상 약품의 1회 복용 분량이 수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 수납 공간이 복수 개인 경우에 상기 카트리지(162)에는 제2 수납 공간의 수만큼의 복용 분량이 보관될 수 있다.The second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spaces 162A may store a single dose of emergency medicine that the user should take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refor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he second storage spaces, the cartridge 162 may store the amount of dos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second storage spaces.

이러한 비상 약품의 종류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응급 상황에 따라서 여러 가지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2 수납 공간은 상기 비상 약품의 종류에 따라서 다수의 하위 수납 공간들로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당뇨병과 고혈압을 동시에 가진 환자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납 공간들은 저혈당이라는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약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 심장 마비 증상에 대응하는 비상 약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 두 가지 비상 약품 모두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으로 분류될 수 있다.There may be many kinds of such emergency medicine depending o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to the user. Then, the second storage space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lower storage spaces according to the type of emergency medicin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atient having diabetes and hypertension at the same time, the second storage space is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emergency medicine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called hypoglycemia, and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emergency medicine corresponding to a heart attack symptom. For example, it can be classified a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both emergency medicines.

상술한 제1 수납 공간들 및 제2 수납 공간들 중 상기 개구부(165)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의하여 연통되는 수납 공간에 수납된 약품은 약품 보관함(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65)는 수납 공간과 연통된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슬릿(165A)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The medicin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communicated by at least one opening formed in the opening 165 among the above-described first storage spaces and the second storage space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edicine storage box 100. Referring to FIG. 8A, the opening 165 may further include a slit 165A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이때, 상기 구동부(166)는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 또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복용해야할 약품이 보관된 상기 제1 수납 공간들 및 제2 수납 공간들 중 대응하는 수납 공간을 상기 개구부(165)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연통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166 opens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among the first storage spaces and the second storage spaces in which the medicine to be taken by the user is stored based on a preset medication schedule o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in the user. A driving force for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pening formed in 165 may be generated.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66)와 카트리지(162)는 구동축(166A)과 구동축공(163)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력은 원통형의 카트리지(16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일 수 있다. 이때, 제1 수납 공간들 및 제2 수납 공간들 중에서 보관된 약품을 배출하는 수납 공간은 상기 회전력에 의한 상기 카트리지(162)의 회전 각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A, the driving unit 166 and the cartridge 16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driving shaft 166A and the driving shaft hole 163, and the driving force may be used to rotate the cylindrical cartridge 162. Rotational force. In this case, the storage space for discharging the stored chemicals among the first storage spaces and the second storage spaces may be determined by the rotation angle of the cartridge 162 due to the rotational force.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구동부(166)는 카트리지가 아닌 개구부와 결합되어 개구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고, 구동력 역시 회전력이 아닌 직선 운동을 위한 구동력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66)는 카트리지와 개구부 모두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166 may be combined with an opening that is not a cartridge to generate a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opening, and the driving force may also be a driving force for linear motion, not a rotational force.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166 may drive both the cartridge and the opening.

복약 스케줄 또는 응급 상황 발생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 보관함(100)에서 약품이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 개구는 도 8a에서 상기 카트리지(162)의 빗금 친 부분에 위치한다. 상기 빗금 친 부분은 상기 카트리지(162)의 구조상 수납 공간이 있어야 하는 공간이나, 일반 상황에서 상기 카트리지(162)에 수납된 약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막혀 있거나 비어 있는 수납 공간임이 바람직하다. 도 8b 및 도 8c에는 빗금 친 수납 공간 부분이 도시되지 않으나, 상술한 내용은 도 8b 및 도 8c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opening is located in the hatched portion of the cartridge 162 in FIG. 8A when no medication is discharged from the medication container 100 based on medication schedule or emergencies. The hatched portion is a space that should have a storage space in the structure of the cartridge 162, but in order to prevent the medicine stored in the cartridge 162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y a closed or empty storage space Do. 8B and 8C do not show the hatched storage space portion, but the above description may also be applied to FIGS. 8B and 8C.

도 8a에서 카트리지(162)에 포함된 수납 공간들(162A)의 제1 수납 공간들 및 제2 수납 공간들은 격벽으로 서로 분리된다. 그러나 구현 형태에 따라서 제1 수납 공간들과 제2 수납 공간들의 분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하,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여 살펴 본다.In FIG. 8A, the first storage spaces and the second storage spaces of the storage spaces 162A included in the cartridge 16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artition wall. However,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he separation of the first storage spaces and the second storage spaces can be made in various ways,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8B and 8C.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100)의 약품 제공부(160)에 포함되는 카트리지(162')의 일예이며,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100)의 약품 제공부(160)에 포함되는 카트리지(162")의 다른 예이다.8B is an example of the cartridge 162 ′ included in the medicine providing unit 160 of the medicine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C illustrates the medicine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xample of the cartridge 162 ″ included in the drug providing unit 160 is described.

도 8a 및 도 8c를 참조하면, 도 8a의 카트리지(162)에 포함된 제1 수납 공간들 및 제2 수납 공간들은 모두 동일한 회전 반경 내에 형성되나, 도 8b 내지 도 8c의 카트리지(162', 162")에서 제1 수납 공간들(162A', 162A")은 회전 축을 기준으로 제1 회전 반경과 제2 회전 반경 사이의 제1 회전 반경 영역에 마련되며, 제2 수납 공간들(162B', 162B")은 상기 제2 회전 반경 내인 제2 회전 반경 영역에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b 및 도 8c에서는 제1 회전 반경이 제2 회전 반경보다 크나, 구현 형태에 따라서는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또한, 도 8a의 카트리지(162)와 같이 동일한 회전 반경 영역에 제1 수납 공간들 및 제2 수납 공간들이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8A and 8C,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spaces included in the cartridge 162 of FIG. 8A are all formed within the same radius of rotation, but the cartridges 162 ′ and 162 of FIGS. 8B to 8C. The first storage spaces 162A 'and 162A " are provided in the first rotation radius region between the first rotation radius and the second rotation radiu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storage spaces 162B' and 162B. It can be seen that ")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adius of rotation area within the second radius of rotation. In Figures 8b and 8c the first radius of rotation is greater than the second radius of rotati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In additio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s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s may be formed together in the same rotation radius area as that of the cartridge 162 of FIG. 8A.

도 8b 내지 도 8c의 카트리지들(162', 162")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8b에서 제2 수납 공간들(162B')은 동일 회전 반경 내에서 격벽으로 분리된 다수의 수납 공간들을 포함하며, 도 8c의 제2 수납 공간(162b")은 동일 회전 반경 내에 형성되는 하나의 공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카트리지 및 수납 공간들의 형태 및 구조는 본 발명에서의 구현 예 일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Looking more specifically at the cartridges 162 ′, 162 ″ of FIGS. 8B-8C, the second receiving spaces 162B ′ in FIG. 8B include a plurality of receiving spaces separated by a partition within the same turning radiu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62b ″ of FIG. 8C is one space formed within the same rotation radius. However,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cartridge and the storage spaces described above are on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개구부는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에 응답하여 제1 수납 공간들(162A', 162") 중 대응하는 수납 공간과 연통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및 제2 수납 공간들(162B', 162B") 중 대응하는 수납 공간과 연통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FIGS. 8A and 8B, the opening may include a first opening and a first opening communicating with a corresponding storage space among the first storage spaces 162A ′ and 162 ″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It is preferred to include a second open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of the two storage spaces 162B ', 162B ".

상기 제1 수납 공간들(162A', 162A") 및 제2 수납 공간들(162B', 162B")은 상기 구동부(166)에 의하여 발생하는 서로 다른 구동력들에 의하여 구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일반 상황에서는 제1 수납 공간들(162A', 162A")이 복약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166)는 제1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복용해야 하는 특정 약품이 수납된 수납 공간이 개구와 연통될 수 있다.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s 162A 'and 162A ″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s 162B' and 162B ″ may be driven by different driving forces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166. For example, in a general situation, the first storage spaces 162A 'and 162A "may be rotated by the first rotational force based on the medication schedule. Then, the specific medicine that the user should take The received storage space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그러나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2 수납 공간들(162B', 162B")이 상기 구동부(166)에서 발생하는 제2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복용해야할 비상 약품이 수납된 수납 공간이 개구와 연통될 수 있다.However, when an emergency occurs in the user, the second storage spaces 162B 'and 162B ″ may be rotated by the second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166. Then,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occurring to the user An accommodation space containing the emergency medication to be taken by the user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복약 스케줄에 따라서는 상기 제1 수납 공간들(162A', 162A") 중 2개 이상의 수납 공간들이 연속적으로 개구와 연통될 수도 있다. 복약 스케줄에 따라서 2개 이상의 제1 수납 공간들이 연속적으로 개구와 연통되는 것은 도 8a의 수납 공간들(162A)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medication schedule, two or more storage spaces of the first storage spaces 162A 'and 162A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opening.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the two or more first storage spaces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opening. The communication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storage spaces 162A of FIG. 8A.

또한, 응급 상황에서의 사용자의 상태, 응급 상황의 중복 발생 여부 등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수납 공간들(162B', 162B") 중에서 2개 이상의 수납 공간들이 연속적으로 개구와 연통될 수도 있다. 응급 상황의 중복 발생 여부 등에 기초하여 2개 이상의 제2 수납 공간이 연속적으로 개구와 연통되는 것은 도 8a의 수납 공간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wo or more storage spaces among the second storage spaces 162B 'and 162B ″ may be continuously communicated with the opening based on a user's state in an emergency situation, whether or not an overlap of emergency situations occurs, and the like. The two or more second storage spaces continuously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storage spaces of FIG.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품 보관함(100)의 구조, 기능, 및 동작 등을 각 구성 별로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시계열적인 흐름에 따른 상기 약품 보관함(100)을 이용한 사용자에 대한 복약 관리 방법들을 살펴본다.In the above, the structur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drug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examined for each component. Hereinafter, look at the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for the user using the drug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flow.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100)을 이용한 복약 관리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9를 참조하여, 그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본다.9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drug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9.

감지부(110)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이 감지되면(S90), 통신부(150)는 상기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미리 설정된 연락처로 알리고(S91), 출력부(140)는 상기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S92).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to the user by the detection unit 110 is detected (S90), the communication unit 150 notifies the user to the preset contact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S91), the output unit 140 is the user Outputs a warning message indicating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S92).

여기서, 미리 설정된 연락처라 함은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외부 장치의 식별 번호(예컨대, 사용자의 보호자의 이동통신 번호)를 의미하며, 경고 메시지에는 응급 상황 종류, 응급 상황에 대응하여 약품 보관함(100)에 보관된 비상 약품의 제공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preset contact means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number of the guardian of the user) set in advance to notify the user of an emergency situation, and a warning message corresponds to an emergency situation type and an emergency situation. It may include a method of providing an emergency medicine stored in the drug storage box (100).

그런 다음, 사용자 또는 그 주변 사람이 상기 출력부(140)가 출력한 경고 메시지를 확인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는 등의 조작을 하면(S93), 약품 제공부(160)는 상기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약품을 외부로 배출한다(S94). 그러면 사용자는 배출된 비상 약품을 복용할 수 있고, 후속 의료 조치도 빠르게 제공받을 수 있다.Then, when the user or a person around him checks the warning message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40, and presses the confirmation button (S93), the drug providing unit 160 to respond to the emergency Discharge the emergency medicine to the outside (S94). The user can then take the discharged emergency medication and quickly receive follow-up medical car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100)을 이용한 복약 관리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여 그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 본다.10 is a flow 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drug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sequentially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10.

감지부(110)는 약품 제공부(160)에 보관된 비상 약품의 유무를 감지한다(S100, S101). 그 결과 상기 약품 제공부(160)에 보관된 비상 약품이 있는 경우, 출력부(140)는 상기 약품 제공부(160)에 보관된 비상 약품이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102).The detection unit 110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mergency medicine stored in the drug providing unit 160 (S100, S101). As a result, when there is an emergency medicine stored in the medicine providing unit 160, the output unit 140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an emergency medicine stored in the medicine providing unit 160 (S102).

그러나 상기 약품 제공부(160)에 보관된 비상 약품이 없은 경우, 상기 출력부(140)는 상기 약품 제공부(160)에 보관된 비상 약품이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 다음(S103), 사용자가 응급 상황에 대응하여 복용해야 하는 비상 약품을 소지하고 있지 않음을 미리 설정된 연락처로 알릴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연락을 받은 보호자 등은 상기 사용자에게 비상 약품을 전달하거나 상기 약품 보관함(100)에 비상 약품을 재충전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re is no emergency medicine stored in the medicine providing unit 160, the output unit 140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no emergency medicine stored in the medicine providing unit 160 (S103) May inform to a preset contact that they do not have emergency medicines to take in response to an emergency. Then, the guardian, etc. who have received such contact may deliver emergency medicine to the user or recharge the emergency medicine in the medicine storage box 100.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약품 보관함(100)을 이용한 복약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11을 참조하여 그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 본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drug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sequentially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11.

출력부(140)는 복약 스케줄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S110). 여기서, 복약 스케줄에 따른 알림 메시지라 함은 복약 스케줄에 따른 복약 시점의 도래, 복약할 특정 약품의 종류, 복약 방법 등을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 또는 영상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알림 메시지가 출력된 다음, 감지부(110) 또는 제어부(120)는 복약 스케줄에 따른 특정 약품을 복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11).The output unit 140 outputs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S110). Here, the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may be a voice message or a video message including the arrival of the medication tim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the type of a specific medication to be taken, the medication method, and the like. After the notification message is output, the detector 110 or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operation of a user for taking a specific medicine according to a medication schedule (S111).

상기 특정 약품을 복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누르는 등의 조치를 취하면, 약품 제공부(160)는 복약 스케줄에 따른 특정 약품을 외부로 배출하며(S112), 사용자는 배출된 특정 약품을 복용할 수 있다.When the user takes an action such as pressing a confirmation button to take the specific drug, the drug provider 160 discharges the specific drug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to the outside (S112), the user takes the discharged specific drug can do.

그러나 복약 스케줄에 따른 특정 약품의 복용 시기 내에, 사용자의 상기 특정 약품 복용을 위한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S113), 상기 감지부(110)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사용자의 운동 상태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However, if there is no operation for the user to take the specific medicine within the time period of taking the specific medicin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o the user (S113), the detection unit 110 May detec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in the user based on the user's bio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the user's exercise state, and the like.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출력부(140)로 하여금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게 하고, 통신부(150)로 하여금 미리 설정된 연락처로 응급 상황을 알리게 한다(S114).Then, the control unit 120 causes the output unit 140 to output a warning message indicating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d causes the communication unit 150 to notify the emergency contact to a preset contact point (S114).

그런 다음, 사용자 또는 그 주변 사람이 상기 출력부(140)가 출력한 경고 메시지를 확인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는 등의 조작을 하면, 약품 제공부(160)는 상기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약품을 외부로 배출한다(S115). 그러면 사용자는 배출된 비상 약품을 복용할 수 있고, 후속 의료 조치도 빠르게 제공받을 수 있다.Then, when the user or a person around him checks the warning message output by the output unit 140, presses the confirmation button, and the like, the medicine providing unit 160 supplies the emergency medicine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Discharge to the outside (S115). The user can then take the discharged emergency medication and quickly receive follow-up medical ca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execut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For exampl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방법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대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대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의 선택적 조합에 의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determined by an optional combination of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 건강 관리 서버 11, 12, 13: 관리용 단말기
20: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21, 22, 23: 비상 연락용 이동통신 단말기
100: 약품 보관함 105: 센서
110: 감지부 115: 전원부
120: 제어부 125: 입력부
130: 메모리부 140: 출력부
142: 음향부 144: 표시부
150: 통신부 160: 약품 제공부
161: 약품 보관함 케이스 162, 162', 162": 카트리지
162A: 수납 공간들 162A', 162A": 제1 수납 공간
162B', 162B": 제2 수납 공간 163: 구동축공
165: 개구 165A: 개구 개방용 슬릿
166: 구동부 167: 구동축
10: health care server 11, 12, 13: management terminal
20: User's mobile terminal 21, 22, 23: Emergency communication terminal
100: medicine container 105: sensor
110: detector 115: power supply
120: control unit 125: input unit
130: memory unit 140: output unit
142: sound unit 144: display unit
150: communication unit 160: drug providing unit
161: Drug Storage Case 162, 162 ', 162 ": Cartridge
162A: storage spaces 162A ', 162A ": first storage space
162B ', 162B ": 2nd accommodating space 163: Drive shaft hole
165: opening 165A: opening slit
166: drive unit 167: drive shaft

Claims (20)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응급 메시지(Emergency Message)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에 따른 특정 약품을 외부로 배출하며, 응급 상황 감지 시에는 상기 감지된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약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의약품 제공부를 포함하는 약품 보관함.
A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emergency message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nd
Dispensing certain drug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dication schedule to the outside, the drug storage box including a drug providing unit for discharging the emergency medicin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mergency to the outside when an emergency is det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하여 센싱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ction unit
Drug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in the us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s biological signal sensed by at least one sensor and the exercise state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감지된 응급 상황을 알리는 경고음, 상기 감지된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 및 상기 비상 약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음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응급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put unit
A sound unit for outputting the emergency messag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warning sound for notifying the detected emergency situation, a voice message for notifying the detected emergency situation, and a voice message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the emergency medicine to a user; Drug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감지된 응급 상황을 알리는 영상 및 상기 비상 약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응급 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put unit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emergency message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mage for notifying the detected emergency situation and an image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the emergency drug to a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보관함은
상기 감지된 응급 상황을 미리 설정된 외부 장치로 알리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약품 보관함.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ug storage box
Drug storage box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detected emergency situation to a preset exter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약품 제공부에 보관된 상기 비상 약품의 유무를 더 감지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비상 약품 유무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 약품의 유무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ction unit further detects the presence of the emergency medicine stored in the drug providing unit,
The output unit drug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for further outputting a message indic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mergency medicine based on the emergency drug presence detection resul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보관함은
상기 약품 제공부에 보관된 상기 비상 약품이 없는 경우, 상기 비상 약품이 없음도 자동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 장치로 알리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약품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rug storage box
If there is no emergency medicine stored in the drug providing unit, the drug storage box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automatically notifying the preset external device even if there is no emergency dru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에 따른 알림 메시지(Alarm Message)를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put unit
Drug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outputs a notification message (Alarm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t medication sche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보관함은
상기 복약 스케줄에 따른 상기 특정 약품의 복약 시기 내에 상기 특정 약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응급 상황을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 장치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보관함.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ug storage box
If the specific drug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in the medication tim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to the user and the drug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notifying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며,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에 따른 특정 약품을 수납하기 위한 제1 수납 공간 및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약품을 수납하기 위한 제2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수납 공간 및 상기 제2 수납 공간 중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 약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개구부; 및
상기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카트리지 및 상기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납 공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연통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약품 보관함.
case;
A cartridge provided inside the case, the cartridge including a first storage space for storing a specific medicin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dication schedule and a second storage space for storing an emergency medicine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An opening formed in the case and including at least one opening for discharging the medicine stored in at least one storage spac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mong the first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And
And a drive unit for driving at least one of the cartridge and the opening to communicate the at least one storage space with the at least one opening based on whether the emergency occur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카트리지 및 상기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정해진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하며,
상기 제1 수납 공간들은 회전 축을 기준으로 제1 회전 반경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수납 공간들은 상기 회전 축을 기준으로 제2 회전 반경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riving unit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for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cartridge and the opening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rotation axis,
The first receiving spaces are provided in the first rotation radius area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The second storage space is a chemical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second rotation radius area relative to the rotation axi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회전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수납 공간과 연통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회전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수납 공간과 연통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pening
A first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receiving space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force; And
And a second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receiving space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for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보관함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하여 센싱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rug storage box
And 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in the user based on at least one of a user's biological signal sensed by at least one sensor and the exercise state of the us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보관함은
상기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에 따른 알림 메시지(Alarm Message) 및 상기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응급 메시지(Emergency Message)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rug storage box
The drug storage box further comprises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medication schedule and an emergency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응급 상황을 알리는 경고음, 상기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 및 상기 비상 약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음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응급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output unit
And a sound unit for outputting the emergency messag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warning sound for notifying the emergency situation, a voice message for notifying the emergency situation, and a voice message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the emergency medicine to a user. Drug storag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응급 상황을 알리는 영상 및 상기 비상 약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응급 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output unit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emergency message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mage notifying the emergency situation and an image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the emergency drug to a us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보관함은
상기 응급 상황을 미리 설정된 외부 장치로 알리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rug storage box
Drug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emergency situation to a preset external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보관함은
상기 약품 제공부에 보관된 상기 비상 약품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비상 약품 유무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 약품의 유무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rug storage box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emergency medicine stored in the medicine providing unit; And
The medicine storage box further comprises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message indic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mergency medicine based on the emergency drug presence detection resul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보관함은
상기 약품 제공부에 보관된 상기 비상 약품이 없는 경우, 상기 비상 약품이 없음을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외부 장치로 알리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drug storage box
If there is no emergency medicine stored in the drug providing unit, drug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automatically notifying the preset external device that there is no emergency medicine.
사용자에게 발생한 응급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응급 메시지(Emergency Message)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응급 상황에 응답하여, 상기 응급 상황을 미리 설정된 외부 장치로 알리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복약 스케줄에 따른 특정 약품을 외부로 배출하며, 응급 상황 감지 시에는 상기 감지된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약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방법.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in the user;
Generating an emergency message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In response to the detected emergency, notifying the emergency to a preset external device; And
Dispensing a specific dru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dication schedule to the outside, and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the step of discharging the emergency medic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mergency to the outside.
KR20100067936A 2010-07-14 2010-07-14 Medicine storage box KR1011640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7936A KR101164013B1 (en) 2010-07-14 2010-07-14 Medicine storage box
PCT/KR2010/006008 WO2012008652A1 (en) 2010-07-14 2010-09-03 Medicine storage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7936A KR101164013B1 (en) 2010-07-14 2010-07-14 Medicine storage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65A true KR20120007265A (en) 2012-01-20
KR101164013B1 KR101164013B1 (en) 2012-07-18

Family

ID=4546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67936A KR101164013B1 (en) 2010-07-14 2010-07-14 Medicine storage box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4013B1 (en)
WO (1) WO201200865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005B1 (en) * 2018-05-14 2019-08-3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device combined with medicine box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338B1 (en) * 2013-06-05 2015-10-22 주식회사 인포피아 Medicine management apparatus and catridge for the apparatus
KR101573512B1 (en) * 2013-06-20 2015-12-01 주식회사 인포피아 Apparatus for management of taking medicine for group members
KR101684652B1 (en) * 2015-05-15 2016-12-20 김주희 Wearable medicine bottle station, managemet system for user health condition having this, and managemet method for user health status
KR101735460B1 (en) * 2015-05-15 2017-05-15 김주희 Smart medicine bottle station, managemet system for taking medicine having this, and managemet method taking medicine using thi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749A (en) * 1996-12-04 1998-06-16 Hiyuunet Kk System for monitoring and informing about human health condition
JP3308972B1 (en) * 2001-01-16 2002-07-29 有限会社セルフセキュリティ Medication confirmation support device
JP2006042910A (en) * 2004-07-30 2006-02-16 Yukihiro Hirose Device for preventing medicine from being forgotten to be taken or being taken too much
JP2007325125A (en) * 2006-06-02 2007-12-13 Adaputogen Seiyaku Kk Notification system and medicine box
JP5496477B2 (en) * 2008-06-30 2014-05-21 東日本メディコム株式会社 Medicine chest with moni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005B1 (en) * 2018-05-14 2019-08-3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device combined with medicine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8652A1 (en) 2012-01-19
KR101164013B1 (en)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792B1 (en)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KR102402909B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dherence monitoring an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se of consumable dispensers
US20160354283A1 (en) Sensor-based medication systems
KR101233799B1 (en)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CN102184312B (en) Internet-of-things based medical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EP2037990B1 (en) Medication dispenser
CN101010114B (en) Electronically and remotely controlled pill and system for delivering at least one medicament
JP5349053B2 (en) Drug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m
KR101164013B1 (en) Medicine storage box
US20090326509A1 (en) Context aware medical monitoring and dosage delivery device
US20160371462A1 (en) Medication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US11901059B2 (en) System and device for remote monitoring
JP2013506487A (en) Medicine dispenser
WO2020106330A1 (en) Smart drug delivery and monitoring device, kit, and method of use for pill compounds
CN107924708A (en) For improving the game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effect
JP6923565B2 (en) Methods and equipment for health devices and wearable / implantable devices
JP7427111B2 (en) Activation and detection system for auxiliary devices attached to drug delivery devices
US20210398635A1 (en) Medication compliance device
Prasath et al. A Smart Medicine Box for Medication Management Using IoT
US20220280391A1 (en) Medication dispensing machine and system
Fong et al. Personalized elderly assistive home care using 3G networks
Russo et al. The Internet of Things and people in health care
Kevin et al. Automated Individualised Remote-Accessible Medication Evaluator And Dispenser (AIRMED)
Sousa et al. Smart modular dispenser for medication administration
JPS63160898A (en) Ic card for prescribing medic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